KR20180023331A -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331A
KR20180023331A KR1020160108464A KR20160108464A KR20180023331A KR 20180023331 A KR20180023331 A KR 20180023331A KR 1020160108464 A KR1020160108464 A KR 1020160108464A KR 20160108464 A KR20160108464 A KR 20160108464A KR 20180023331 A KR20180023331 A KR 20180023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tting
analyzing
facility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민
김영일
김영민
김홍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10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331A/ko
Publication of KR2018002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설비를 상시 감시하고, 감시 결과를 분석하여 안전관리자 또는 배전센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설비에 센서모듈을 설치하여 수전설비내의 부속기기을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그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실시간으로 현장에 접근한 안전관리자 또는 배전센터에 전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CONTINUOUS MONITORING OF POWER RECEIVING UNIT AND ANALYZING DATA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수전설비를 상시 감시하고, 감시 결과를 분석하여 안전관리자 또는 배전센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설비에 센서모듈을 설치하여 수전설비내의 부속기기을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그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실시간으로 현장에 접근한 안전관리자 또는 배전센터에 전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전설비란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인의 전기설비나 구내 발전설비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내 수전설비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로 전력 수급용 계기용변성기, 주차단장치와 그 부속기기 및 배전반까지의 설비를 말한다.
전기사업법 제73조에 의거 전기사업자나 자가용전기설비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는 전기설비 관리업무를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전기, 기계, 토목 분야의 기술자격을 취득한 사람 중에서 각 분야별로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한다.
수전설비의 안전관리를 위한 전기안전관리자는 수전설비내 부속기기를 수시 또는 정기 안전 검검을 시행하고 있으나, 부속기기의 열화 진행, 외부환경에 의한 파손 등 상시 감시하지 못하여 이로 인한 고장이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종래 배전설비 고장예방을 위해 과학적 설비진단, 최적계통운영, 기술역량 확보등 다각적이고 능동적인 활동을 시행하고 있으며, 배전선로 파급고장 예방을
위한 수용가의 수전설비에 대해 2~3년 주기로 열화상 진단을 지원하고 있으나, 수용가의 수전설비 전부를 추적관리하기가 어렵다.
기존 적외선 열화상 장치를 이용한 수전설비 감시는 수전설비 전체에 대한 평면적 열 화상측정으로 열화상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적 제약이 따르며, 관리자에게 보내진 화상정보는 수전설비를 구성하고 있는 부속기기에 대한 정확한 온도편차 판정이 어려운 상태이다. 또한 수전설비는 열화 이외의 환경적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원인이 다재하여 이를 감시하기 위한 별도의 감시 장치도 필요한 상태이다.
즉, 수전설비 고장유형으로는 설비 내 부속기기 자연열화, 외물접촉, 기자재불량, 수분침투, 자연현상에 의한 파손 등 다양한 원인이 있으나 이를 예방하기 위한 별도의 감시장치가 없어 고장발생 후 보수하는 방법으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기존 적외선 열화상 장치를 이용한 수전설비 감시는 수전설비 이상징후 발생시만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정보를 안전관리자에게 보내주며 수전설비를 상시 감시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3001호 (2004.12.0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전설비에 센서모듈을 설치하여 수전설비내의 부속기기을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그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실시간으로 현장에 접근한 안전관리자 또는 배전센터에 무선 전송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은 수전설비를 상시 감시하고, 이상 여부를 분석하여 안전관리자 등에 전송하기 위한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전설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전설비를 상시 감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중계기; 상기 중계기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서버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열화감지 센서모듈, 모션감지 센서모듈 및 섬광감지 센서모듈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침수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자계감응식 고장위치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센서모듈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기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서버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수전설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송신할 대상을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대상에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설비에 외물 접촉시 점등되는 경고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설비에 안전관리자등이 접근한 경우,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상기 안전관리자등에 송신할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빅 데이터로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은 수전설비를 상시 감시하고, 이상 여부를 분석하여 안전관리자 등에 전송하기 위한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센서부를 통해 상기 수전설비를 실시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수전설비의 이상여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안전관리자 및 배전센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단계는 원격장비 ID 및 등록설비를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안전관리자 및 배전센터에 전송하는 단계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설비에 안전관리자등이 접근한 경우,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안전관리자등의 무선통신 단말에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설비를 실시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수전설비에 외물 접촉시 경고등을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전설비의 최하 측에 설치되어 내부장비의 침수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빅데이터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전설비에 센서모듈을 설치하여 수전설비내의 부속 기기을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그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실시간으로 현장에 접근한 안전관리자 또는 배전센터나 관리센터에 무선 전송하여 종래의 수시점검과 정기점검에 비해 효율적 설비관리가 가능하고, 활선 상태의 수전설비를 안전관리자가 접근하지 않음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징후 발생시 분석데이터를 안전관리자에 전송하여 점검시간 단축 및 고장발생으로 인한 설비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b 는 종래의 수전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센서모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은 상기 수전설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전설비를 상시 감시하는 센서부(100), 상기 센서부(100)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중계기(300), 상기 중계기(300)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서버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00)는 열화감지 센서모듈, 모션감지 센서모듈 및 섬광감지 센서모듈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상감지를 위해 필요한 센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00)는 침수센서(200)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침수센서(200) 모듈은 상기 수전설비의 최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100)는 자계감응식 고장위치 표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센서모듈은 상기 수전설비의 내부 장비, 예를 들면, MOF(700)(계기용 변성기) 또는 주변압기등 내부장비을 센싱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센서모듈이 센싱할 수 있는 각도 또는 구역이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각 종류의 센서모듈은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열화감지 센서모듈, 복수의 모션감지 센서모듈 또는 복수의 섬광감지 센서 모듈이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내부장비들을 센싱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토대로 상기 수전설비의 이상여부를 분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센서들이 센싱한 데이터는 상기 수전설비의 일측에 설치되는 중계기(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며, 일정기간 누적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중계기(300)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제 한정되지 않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LTE 또는 CDMA 방식등 다른 종류의 무선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션 센서 모듈을 통해 상기 수전설비의 부속장비에 외물(쥐, 고양이, 뱀, 수목 등)의 접근 또는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의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게되고, 상기 서버에서의 분석결과 외물의 접근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수전설비의 일측에 설치된 경고등(250)을 점등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중계기(300)를 통해 전송된 각 센서모듈별 센싱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상기 수전설비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송신할 대상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계기(300)를 통해 전송된 상기 센싱데이터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대상에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에는 상기 중계기(300)를 통해 전송받은 센싱데이터들이 누적적으로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설비의 일측에 설치된 모션 센서모듈의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수전설비에 안전관리자등이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상기 안전관리자등의 무선통신 단말에 송신할 것을 결정할 수 있고, 현장에서 상기 수전설비의 고장요인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안전관리자등의 접근이 없는 경우라도, 상기 분석부에 의한 분석결과 설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안전관리자등의 무선통신 단말 또는 배전 센터등에 상기 분석 데이터를 전송하여, 분석결과에 해당되는 고장요인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빅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누적적으로 관리하여 고장발생 추이패턴, 고장 예지 프로그램 개발, 수배전 설비 기자재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센서모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설비내 부속기기(변압기등) 열화측정은
복수개의 열화감시 센서에 의해 입체적으로 측정 후, 측정된 값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비교분석하며 분석된 데이터는 시스템 저장 후 이상값 발생시 안전관리자등에게 전송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센서모듈로부터 각각 측정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부속기기열화개소 판정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비정상 측정값을 발생시키는 센서모듈은 수시 정비가 가능하다.
즉, 상기 각종 센서모듈에 의해 상시감시된 데이터는 평상시 누적 관리되며, 이상발생시 안전관리자와 배전센터 또는 관리센터에 전송된다. 또한 안전관리자가 수전설비 근거리 접근시 평상시 누적 관리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부속기기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은 상기 수전설비의 각각 일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모듈을 통해 상기 수전설비의 부속기기를 실시간으로 센싱하는 단계(S100)를 진행한다.
즉, 모션센서 모듈의해 상기 수전설비에 안전관리자의 접근 여부 및 외물의 접근여부를 감지 할 수 있으며, 상기 침수 센서모듈에 의해 침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열화감시 센서모듈에 의해 열화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전설비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다른 이상요인을 감지할 수 해당 센서모듈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중계기(300)는 블루투스등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센서모듈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단계(S200)로 진행된다. 이‹š,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원격장비 ID 및 등록설비를 매핑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300)에 의해 수집, 저장된 각 센서모듈의 센싱데이터들은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서버로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S300).
상기 서버는 상기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전설비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400) 따라서, 실시간 분석을 통해 설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안전관리자의 무선통신 단말 또는 배전센터나 관리센터에 상기 분석데이터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S500).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S400단계에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빅데이터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하여 추후 고장발생 추이패턴, 고장 예지 프로그램 개발, 수배전 설비 기자재 개발등에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모션 센서에 의해 근거리에서 외물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이 감지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수전설비에 외물의 접근 또는 접촉을 판단하여, 상기 경고등(250)의 점등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전설비의 최 하측에 설치된 침수 센서가 감지한 데이터를 토대로 침수여부를 판단하여, 안전관리자의 무선통신 단말 또는 배전센터나 관리센터에 분석결과를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게 되어 고장발생으로 인한 설비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종래 활선상태인 수전설비를 안전관리자가 육안점검하거나 열화상 측정기를 사용한 점검방식에 비해, 활선상태인 수전설비내 부속기기를 각종센서로 감시하여 전기안전관리자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이상징후 발생시 분석데이터를 안전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점검시간 단축 및 수전설비 고장발생에 따른 파급 고장에 대한 예방을 통해 안정적 전력공급과 전기품질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 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센서부
200: 침수센서
250: 경고등
300: 중계기
400: 전주
500: 현수애자
600: 완철
700: MOF
800: 주변압기

Claims (17)

  1. 수전설비를 상시 감시하고, 이상 여부를 분석하여 안전관리자 등에 전송하기 위한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전설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전설비를 상시 감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중계기;
    상기 중계기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서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열화감지 센서모듈, 모션감지 센서모듈 및 섬광감지 센서모듈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침수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자계감응식 고장위치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5. 제 2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센서모듈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수전설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송신할 대상을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대상에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설비에 외물 접촉시 점등되는 경고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설비에 안전관리자등이 접근한 경우,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상기 안전관리자등에 송신할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빅 데이터로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11. 수전설비를 상시 감시하고, 이상 여부를 분석하여 안전관리자 등에 전송하기 위한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센서부를 통해 상기 수전설비를 실시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수전설비의 이상여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안전관리자 및 배전센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단계는 원격장비 ID 및 등록설비를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안전관리자 및 배전센터에 전송하는 단계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설비에 안전관리자등이 접근한 경우,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안전관리자등의 무선통신 단말에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설비를 실시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수전설비에 외물 접촉시 경고등을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전설비의 최하 측에 설치되어 내부장비의 침수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빅데이터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 상시 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방법.




KR1020160108464A 2016-08-25 2016-08-25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KR20180023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464A KR20180023331A (ko) 2016-08-25 2016-08-25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464A KR20180023331A (ko) 2016-08-25 2016-08-25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331A true KR20180023331A (ko) 2018-03-07

Family

ID=6168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464A KR20180023331A (ko) 2016-08-25 2016-08-25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33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452A (ko) * 2019-07-30 2021-02-09 스퀘어네트 주식회사 제조 공정 비정상 데이터 탐지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346B1 (ko) * 2003-10-04 2006-05-10 한국 전기안전공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전설비의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KR20070057627A (ko) * 2005-12-01 2007-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KR20110029339A (ko) * 2009-09-15 2011-03-23 한국전기안전공사 디지털 분전반과 수배전반에 구축된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10107575A (ko) * 2010-03-25 2011-10-04 박윤교 산업설비 관리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130092061A (ko) *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삼천리엔바이오 환경기초시설용 다이렉트 동적감시관리장치 및 방법
KR101304347B1 (ko) * 2013-03-14 2013-09-11 (주)동국일렉콘스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소 기기의 데이터를 일괄하여 감시 및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데이터를 감시 및 제어하는 방법
KR20160013491A (ko) * 2014-07-25 2016-02-04 참빛파워텍 주식회사 전기실 관리자 안전사고 예방 경보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346B1 (ko) * 2003-10-04 2006-05-10 한국 전기안전공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전설비의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KR20070057627A (ko) * 2005-12-01 2007-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KR20110029339A (ko) * 2009-09-15 2011-03-23 한국전기안전공사 디지털 분전반과 수배전반에 구축된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10107575A (ko) * 2010-03-25 2011-10-04 박윤교 산업설비 관리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130092061A (ko) *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삼천리엔바이오 환경기초시설용 다이렉트 동적감시관리장치 및 방법
KR101304347B1 (ko) * 2013-03-14 2013-09-11 (주)동국일렉콘스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소 기기의 데이터를 일괄하여 감시 및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데이터를 감시 및 제어하는 방법
KR20160013491A (ko) * 2014-07-25 2016-02-04 참빛파워텍 주식회사 전기실 관리자 안전사고 예방 경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452A (ko) * 2019-07-30 2021-02-09 스퀘어네트 주식회사 제조 공정 비정상 데이터 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3444B2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sensor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method for the same
EP346938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fault detection in an electric grid
CN105631576A (zh) 用于配电系统的监测和管理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CN105574683A (zh) 一种全方位变电站巡检系统及方法
KR101183587B1 (ko)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84675A1 (en) Prognostic and health monitoring systems for circuit breakers
KR101859925B1 (ko) 원격 데이터 수집 및 제어기능을 구비한 지능형 전원차단 시스템
KR1022344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간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US9224122B2 (en) Outdoor device management system
CN104240321A (zh) 基于Zigbee无线网络的智能巡检系统
KR101353387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통신 구조물 안전상태 감시 시스템
KR20200030317A (ko) 열화상카메라 및 iot센서를 활용한 송배전설비 현장점검 증강현실 플랫폼
KR20220070891A (ko) 맨홀 복합 정보 수집 시스템 및 장치
KR102489584B1 (ko) 송전선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송전선 감시 시스템 및 감시장치
CN210431427U (zh) 一种基于ai图像辨别的光缆线路故障定位及可视化系统
KR20180023331A (ko)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KR20100001685A (ko)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6617995B1 (ja) 無線電波調査システム
US20200033393A1 (en)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sensing
KR20220071675A (ko) 지하공동구 감시 장치 및 방법
CN112782504A (zh) 一种通风冷却的环网柜故障诊断方法
KR20210034473A (ko) 사물 인터넷 기반 피뢰침 시스템
KR20200039880A (ko) 도시철도 현장 기능실의 무선 네트워크 기반 센싱 모듈
CN105303752A (zh) 一种基于点型感温元件的电气火灾监控预警系统
KR102368737B1 (ko)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