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514B1 -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514B1
KR100972514B1 KR1020070122912A KR20070122912A KR100972514B1 KR 100972514 B1 KR100972514 B1 KR 100972514B1 KR 1020070122912 A KR1020070122912 A KR 1020070122912A KR 20070122912 A KR20070122912 A KR 20070122912A KR 100972514 B1 KR100972514 B1 KR 10097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mean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main re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992A (ko
Inventor
전형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2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5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는, 무선 호출 기능에 더하여 무선 호출 수단을 가진 사람이 어느 곳에 있던지 서버에서 발신자에 대한 정보와 함께 발신자의 위치까지도 인지하여 상황에 맞는 대응(예를 들어, 위급 상황에 대한 응급 구조 등)이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무선 호출 수단의 배터리 상태와 각 중계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 하고,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에 따라 가장 최단 거리에 있는 중계기를 찾아 발신자의 위치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신속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Figure R1020070122912
페이저(Pager), 중계기(Relay), 긴급 호출

Description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AGING BY USING FIXED ROUTING ALGORITHM}
본 발명은 무선 호출 시의 네트워크 상에서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페이징 시스템은 무선 호출 수단을 가진 발신자가 누구인지 알 수 있도록 하는 인식 기능은 구비하고 있었으나, 발신자의 위치까지는 알 수가 없었으므로 발신자의 위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발신자가 외부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긴급한 상황에 처한 경우에는 그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어려웠다.
또한, 발신자가 무선 호출 수단을 가지고 있더라도 배터리 상태에 신경을 쓰지 않아 정작 필요한 경우 그 효용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메쉬(Mesh) 프로토콜 기반 하에서의 통신은 신뢰성은 보장 받을 수 있으나, 그 링크 버짓(Link Budget)은 증가하게 되는 바, 한정된 공간이 아닌 실외나 넓은 범위의 지역의 경우에는 이를 보완할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통신 서버에서는 신속성과 신뢰성 유지를 위하여 네트워크 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되도록 빨리 해결해야 하는 부담을 갖게 된다.
또한, 메쉬 프로토콜의 특성상 이웃하고 있는 여러 개의 중계기(Relay)에 중첩되어 신호가 거의 동시에 전달될 때 RSSI(Receiving Signal Strength Indicate: 전계 수신 강도) 수신 값의 오차가 발생하는 점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호출 수단으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의해 발신자의 위치를 연산하여 발신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에서 알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서버는 발신자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에 의해 실외와 같은 넓은 지역의 경우에, Link Budget의 증가를 줄이고자 하였으며, 수신 확률과 RSSI 값을 높여 오차를 줄임으로써 발신자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전달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호출 수단이 위치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중계(Relay) 수단이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중, 가장 근거리에서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를 판단하여 이를 메인 중계 수단으로 송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Main) 중계 수단이 상기 서브 중계 수단으로부터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 1 위치 정보를 타 메인 중계 수단으로만 송신하는 단계, 수신 서버 수단이 상기 타 메인 중계 수단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수신 서버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타 메인 중계 수단으로부터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로부터 신호 경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경로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파악된 경로를 기초로 중계 수단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파악된 경로를 기초로 발신자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 중 비상 알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연산된 발신자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구조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은 무선 호출 수단으로부터의 RSSI (Receiving Signal Strength Indicate:전계 수신 강도), Time Delay 등의 위치 정보에 의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연산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서버에서 알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무선 호출 수단으로부터 발신자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에 의해 실외와 같은 넓은 지역의 경우에 특정 위치에 따라 적용되는 안테나의 수신 각도 범위 및 사이즈를 다르게 선정한 후, 일반적인 메쉬 프로토콜이 아닌 특정 중계기(Relay)로의 단계별 중계를 통하여 위치 정보가 전달되게 하는 링크 버짓(Link Budget)를 구성한다.
또한, 차등화된 RSSI 값을 다수의 단계별 디지털 신호로 변경시켜 전송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각 지역에 방향성을 갖는 안테나를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수신 확률과 RSSI 값을 높여 RSSI 수신 값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 및 상기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은 무선 호출 수단(예를 들어, Pager)(110)과 중계(Relay) 수단(120), 수신 서버(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이 경우 상기 호출 수단(110)은 하나의 호출 버튼과 하나의 비상 알람 버튼이 있어 상황에 맞는 호출, 비상 알람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며, 발광 소자나 기타 디스플레이 수단 등에 의해 상기 무선 호출 수단의 배터리 상태 파악 및 배터리 잔량의 상태를 표시하고 이를 송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 수단(110)은 휴대가 가능한 크기로 기본적인 생활 방수가 가능하며, 사용자 구분이 가능한 ID가 내장되어 정보 전송 시 이를 함께 전송하게 된다.
상기 중계 수단(120)은 서브 중계 수단과 메인 중계 수단으로 구분되며 상기 호출 수단에 직접 연결된 중계 수단은 서브 중계 수단으로, 서브 중계 수단과 메인 중계 수단 및 수신 서버에 연결된 중계 수단은 메인 중계 수단으로 정의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호출 수단(110)을 가진 사람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자신에 대한 호출 신호를 수신함과 더불어, 자신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어느 곳에 있던지 중계 수단(12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수신 서버(130)에게 발신자에 대한 정보와 함께 발신자의 위치까지도 알려 상황에 맞는 대응(예를 들어, 위급 상황에 대한 응급 구조 등)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호출 수단(110)을 구비한 사람은 다수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호출 수단(110)에서 위치 정보를 송출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중계 수단은 상기 호출 수단에서 송출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그 중에서 제일 먼저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를 판단하여 이를 메인 중계 수단으로 수신한다.
그 후, 상기 메인 중계 수단은 이를 다시 타 메인 중계 수단으로 송신하여 수신 서버(130)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중계 수단(120)이 수신하는 위치 정보는 상기 호출 수단(110) 고유 ID와 수신 시간, RSSI(Receiving Signal Strength Indicate:전계 수신 강도) 정보, 비상 알람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중 RSSI 정보를 복수의 단계별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는 수단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상기 중계 수단(120)은 2.4 GHz ISM 주파수 대역 또는 UHF 대역을 사용하며, 중계되는 통신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메쉬(Mesh) 방식의 신호 방식을 따르며,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중계 수단의 설치 수와 중계 루트는 임의 설정 및 자동 설정이 가능하다. 실외 또는 넓은 지역에서의 중계의 경우, 특정 위치에 따라 적용되는 안테나의 수신 각도 범위 및 사이즈를 다르게 선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메쉬 프로토콜이 아닌 특정 중계 수단으로 단계별 중계를 통하여 위치 인식 정보가 전달되는 무선 link Budget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쉬 프로토콜의 특성상 이웃하고 있는 여러 개의 중계 수단(120)에 중첩되어 신호가 거의 동시에 전달될 때 나타날 수 있는 RSSI 수신 값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제안된 차등화된 RSSI값을 복수의 단계별 디지털 신호로 변경시켜 전송하여 정확한 위치 인식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또는 각 지 역에 방향성을 갖는 안테나를 설치하여 하나의 호출 전용 통신 단말 수단(110)의 신호에 대한 수신 확률과 RSSI 값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신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타 메인 중계 수단으로부터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이를 통해 신호 경로를 파악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파악된 경로를 기초로 서브 중계 수단과 메인 중계 수단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파악된 경로를 기초로 발신자 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 중 비상 알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연산된 발신자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구조 기관에 구조를 요청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발신자 위치 연산과 구조 요청은 선, 후가 바뀌어 진행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중계 수단 중 서브 중계 수단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서브 중계 수단의 구성 및 역할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호출 서브 중계 수단은 송수신부(210), 제 1 위치 정보 판단부(220), RSSI 디지털 신호화부(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210)는 상기 호출 수단(110)으로부터 무선 호출 수단 고유의 ID와 수신 시간, 비상 알람 신호, RSSI(Receiving Signal Strength Indicate: 전 계 수신 강도) 등의 위치 정보와 배터리 잔량 상태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며, 하기 제 1 위치 정보 판단부(220) 및 RSSI 디지털 신호화부(230)에서 생성된 결과를 송신한다.
제 1 위치 정보 판단부(220)는 상기 송수신부(210)를 통해 입력 받은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수신 신호 중 RSSI값이 가장 크고, 수신 시간이 가장 적은 무선 호출 수단(110)의 위치 정보 및 고유의 ID 등을 가장 근거리에 있는 제 1 위치 정보로 판단하며, 이는 송수신부(210)에 의해 메인 중계 수단으로 송신되게 된다.
RSSI 디지털 신호화부(230)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중 RSSI 정보를 복수의 단계별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여 RSSI 값의 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수신 서버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수신 서버의 구성 및 역할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호출 수신 서버(130)는 송수신부(310), 경로파악부(320), 디스플레이부(330), 연산부(340), 구조 요청부(350), 모니터링부(3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타 메인 중계 수단으로부터 제 1 위치 정보 및 배터리 잔량 상태 신호 등을 수신하고, 이후의 구조 요청부(350)에서의 요청 신호 및 사용자 정보를 구조 기관으로 송신한다. 경로 파악부(320)는 상기 송수신부(310)를 통하여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로부터 신호 경로를 파악하며 이때 각 서버 중계 수단 및 메인 중계 수단을 거쳐 전달된 신호에 대한 경로를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후에 디스플레이부(320)에서 파악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사용자 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일종의 Map을 바탕으로 LED를 이용한 문자판 또는 모니터상의 Map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등의 표시 방법에 의하여 하기 연산부(340)에서의 계산에 위해 파악된 발신자의 위치를 표시한다.
연산부(340)는 상기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파악된 경로를 기초로 발신자 위치를 연산한다.
구조 요청부(350)는 상기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 중 비상 알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연산부(340)의 연산에 의해 파악된 발신자 위치를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하여 표시하게 하고 송수신부(310)를 통하여 구조 기관으로의 요청 신호를 보낸다.
모니터링부(360)는 상기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경로 파악부(320)를 통하여 파악된 경로를 기초로 중계 수단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 중 비상 알람 신호가 수신된 경우 구조요청부(350)를 통하여 요청신호를 보내고, 위치를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연산부(340)의 발신자 위치 연산과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의 수행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 의 수행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은 안테나와 송신 출력을 컨트롤하는 하드웨어적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중계 수단(120)의 출력 대비 호출 전용 무선 통신 단말 수단(110)의 출력은 1/2 수준으로 하여 상기 단말 수단의 통신 반경을 줄이고, 서브 중계 수단과 메인 중계 수단 간의 통신 반경을 다르게 함으로써, 신호 전달이 Tree 구조와 유사하게 전송되도록 하드웨어 중심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무선 호출 수단(110) 예를 들어, 페이저에서 발생한 신호는 ①번, ②번 경로를 통하여 1-1 또는 1-2 서브 중계 수단으로 전송된다. 이 때 ③번 경로를 통한 신호는 2-2 서브 중계 수단으로 전송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출력 신호 대비 거리,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2-2로 수신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1-1 또는 1-2 서브 중계 수단으로 수신된 위치 정보 등의 신호는 곧바로 1번 메인 중계 수단으로 전송되고 순차적으로 2번, .. , n번 메인 중계 수단으로 전송됨으로써 수신 서버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때 1번 메인 중계 수단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서브 중계 수단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수신 서버(130)에서는 상기 수신된 1-1과 1-2 서브 중계 수단의 신호의 RSSI 및 시간차를 가지고 최종적으로 " A " 지역에서 상기 단말 수단의 발신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표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 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중계 수단 중 서브 중계 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수신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의 수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Relay (중계기);
220 : 제 1 위치 정보 판단부;
230 : RSSI 디지털 신호화부;
320 : 경로파악부;
340 : 연산부;

Claims (15)

  1. 무선 호출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무선 호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호출 장치의 무선 호출 수단에서, 위치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무선 호출 장치의 서브 중계(Sub Relay) 수단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중에서, RSSI(Receiving Signal Strength Indicate : 전계 수신 강도)정보의 값이 가장 크고, 상기 수신에 소요되는 수신 시간이 가장 짧은 제1 위치 정보를 판단하여 메인 중계(Main Relay) 수단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중계 수단에서, 타 메인 중계 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수신 서버 수단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서버 수단에서, 상기 수신된 제1 위치 정보로부터 신호 경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서버 수단에서,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파악된 신호 경로에 기초하여, 중계 수단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호출 수단에서, 고유의 ID, 비상 알람 신호, 또는 배터리 잔량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브 중계 수단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호출 수단에서, 배터리 잔량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호출 수단의 출력은,
    상기 서브 중계 수단, 또는 상기 메인 중계 수단 출력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중계 수단 또는 상기 메인 중계 수단은,
    상기 RSSI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중계 수단 또는 상기 메인 중계 수단은,
    2.4GHz ISM주파수 대역 또는 UHF 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중계 수단 또는 상기 메인 중계 수단은,
    방향성을 갖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중계 수단 또는 상기 메인 중계 수단은,
    다수의 안테나 수신 각도 범위와 다수의 안테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서버 수단에서, 상기 수신된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파악된 신호 경로를 기초로 발신자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서버 수단에서, 상기 수신된 제1 위치 정보에 비상 알람 신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연산된 발신자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구조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서버 수단에서, 상기 수신된 제1 위치 정보에 배터리 잔량 상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호출 수단으로 경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2. 무선 호출 장치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송출하는 무선 호출 수단;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중에서, RSSI정보의 값이 가장 크고, 상기 수신에 소요되는 수신 시간이 가장 짧은 제1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서브 중계 수단;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타 메인 중계 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메인 중계 수단; 및
    상기 타 메인 중계 수단을 통해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위치 정보로부터 파악된 신호 경로에 기초하여, 중계 수단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수신 서버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호출 수단의 출력은,
    상기 서브 중계 수단, 또는 메인 중계 수단 출력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호출 수단은,
    고유의 ID, 비상 알람 신호, 또는 배터리 잔량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브 중계 수단으로 송신하고, 배터리 잔량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서버 수단은,
    상기 수신된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파악된 신호 경로를 기초로 발신자 위치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수신된 제1 위치 정보에 비상 알람 신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연산된 발신자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구조 요청하는 구조 요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장치.
KR1020070122912A 2007-11-29 2007-11-29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 KR100972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912A KR100972514B1 (ko) 2007-11-29 2007-11-29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912A KR100972514B1 (ko) 2007-11-29 2007-11-29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992A KR20090055992A (ko) 2009-06-03
KR100972514B1 true KR100972514B1 (ko) 2010-07-26

Family

ID=4098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912A KR100972514B1 (ko) 2007-11-29 2007-11-29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392B1 (ko) * 2009-07-31 2011-09-27 알트론 주식회사 구조 요청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220A (ko) * 1999-08-05 2001-08-29 요트.게.아. 롤페즈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220A (ko) * 1999-08-05 2001-08-29 요트.게.아. 롤페즈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992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4678B2 (en) First responder communications system
US20050001720A1 (en) Emergency response personnel automated accountability system
US7245216B2 (en) First responder communications system
US7868783B2 (en) Cellular-based preemption system
US7652571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mergenc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0763041B1 (ko) 위치기반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기
US20070103292A1 (en) Incident control system with multi-dimensional display
US20040192353A1 (en) Geolocation system-enabled speaker-microphone accessory for radio communication devices
US200201695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tracking
US10028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emergency exit
KR101713297B1 (ko) 보안등 네트워크 시스템, 이를 이용하는 이동 경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10887817B2 (en) Location-based network system and location-based communication method
KR20200025666A (ko) 로라 네트워크 멀티 채널 구현방법
KR100738333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KR101060919B1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자동 조난신고 시스템
CN113940100A (zh) 基于位置跟踪器情况识别信息的位置跟踪服务提供方法
KR100972514B1 (ko)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
KR101334656B1 (ko) 스마트 폴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KR101344730B1 (ko) 구조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구조요청 스마트단말기와 구조 스마트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 시스템.
CN105592167B (zh) 一种基站电磁辐射监测系统
KR100926237B1 (ko) Rssi와 시간차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장치
KR102046016B1 (ko)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실내 측위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KR20200052704A (ko) 선박 안전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8306676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近距離内通信相手探索方法
KR20110042596A (ko) 미아 추적 시스템 및 위치 추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