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335A - 차동 엇물림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 모듈 탭 - Google Patents

차동 엇물림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 모듈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335A
KR20070057335A KR1020050116642A KR20050116642A KR20070057335A KR 20070057335 A KR20070057335 A KR 20070057335A KR 1020050116642 A KR1020050116642 A KR 1020050116642A KR 20050116642 A KR20050116642 A KR 20050116642A KR 20070057335 A KR20070057335 A KR 20070057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taps
memory module
sign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최백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7335A/ko
Publication of KR2007005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50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e.g. power bus, number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5Shape
    • H01L2224/05552Shape in top view
    • H01L2224/05553Shape in top view being rectangul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동 엇물림 구조(Differential staggered structure)를 갖는 탭(Tab)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PCB)의 일면 가장자리의 상단에 배열되는 제1 탭들 및 그 일면 가장자리의 하단에 배열되는 제2 탭들을 구비하며,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된 탭인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이 제1 탭들 중에 포함되거나 및/또는 제2 탭들 중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모듈은 그 크기를 종래 크기로 유지시키면서도 차동 신호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핀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탭(Tab), 차동 신호

Description

차동 엇물림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 모듈 탭{Memory module tab with differential staggered structur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메모리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엇물림 구조(Staggered structure)를 가지는 탭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이 상단의 제1 탭들에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동 쌍이 하단의 제2 탭들에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동 쌍이 상단의 제1 탭들과 하단의 제2 탭들 모두에 포함되어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동 엇물림 구조 (Differential staggered structure)를 갖는 탭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메모리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메모리 모듈(100)에는 다수개의 DRAM 등의 메모리 장치(120)들이 배열된다. 탭들(130)은 인쇄회로기판(110)의 일면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a)와 간격(b)으로 배치되며, 그 끝부분에 도금선(Plating bar, 140)이 형성된다. 도금선(140)은 솔더 마스크 공정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의 탭들과 패드의 금도금을 위한 전해 도금 공정 시, 전기적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부분이다.
탭들(130)은 메모리 모듈과 머더보드(Mother board) 사이의 신호와 전원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 모듈과 머더보드 사이의 신호 전송에 있어서, 신호 충실도(Signal integrity)를 보장하면서도 고속 동작에 유리한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가 사용되고 있다.
차동 신호는 일반적으로 고속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것들을 포함하는 고속 회로에서 사용된다. 차동 신호는 한 쌍의 신호, 즉 정 신호("+" 신호) 및 부 신호("-" 신호)로 구성되는 신호이다. 차동 신호의 동작에 따르면, - 신호는 + 신호의 역이 되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이러한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사용하게 되면 종래의 싱글 엔드 신호(Single ended signal)에 비해 핀(Pin)수가 2배가 되어야한다.
또한 고속 신호 전송을 위해서 동작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메모리 칩에서의 전력 소모가 증가하게 되어, 안정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모듈에 공급하는 전원(Power)과 접지(Ground) 핀 역시 증가하여야 한다.
즉 동작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메모리 모듈의 핀 수는 차동 신호를 위해서 그리고 안정적 전원 공급을 위해서도 크게 증가하여야 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도 1의 종래 탭 구조에서 핀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탭의 크기를 줄여야만 한다. 즉 탭의 크기(a)와 탭 사이의 간격(b)을 좁혀 그 수를 증가시켰으나 이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차동 신호 전송 시에 탭에서 생기는 불연속을 보상할 수 없기 때문에 차동 신호에 적합한 구조라 할 수 없다.
도 2는 종래의 엇물림 구조(Staggered structure)를 가지는 탭을 나타낸 것이다. 탭들(200)은 인쇄회로기판(PCB)의 일면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a)와 간격(b)으로 상단의 제1 탭들(210)과 하단의 제2 탭들(220)의 2열로 배열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구조는 핀 수의 증가에는 도움이 되지만, 이와 같은 구조는 차동 신호를 위하여 차동 신호 쌍(Differential signal pair)을 구성하게 되면 인접 신호가 같은 열에 배치되지 못하게 되어 여전히 불연속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차동 신호와 또한 안정적 전원 공급을 위해서 차동 엇물림 구조(Differential staggered structure)를 가지는 메모리 모듈 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PCB)의 일면 가장자리의 상단에 배열되는 제1 탭들 및 그 일 면 가장자리의 하단에 배열되는 제2 탭들을 구비하며,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된 탭인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이 상기 제1 탭들 중에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탭들 중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모듈은 상단에 배열되는 제1 탭들 중에는 차동 신호를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된 탭인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이 포함되고, 하단에 배열되는 제2 탭들 중에는 차동 신호의 신호 충실도(Signal integrity)를 위하여 접지에 연결되는 탭인 그라운드 가드(Ground guard)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모듈은 상단에 배열되는 제1 탭들 중에는 차동 신호의 신호 충실도를 위하여 접지에 연결되는 탭인 그라운드 가드(Ground guard)가 포함되고, 하단에 배열되는 제2 탭들 중에는 차동 신호를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된 탭인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차동 쌍을 하부에 배치함으로서 전해 도금을 위한 도금선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모듈은 상단에 배열되는 제1 탭들과 하단에 배열되는 제2 탭들 모두에, 차동 신호를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된 탭인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최대한 차동 쌍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차동 신호교환과 또한 안정적 전원 공급을 위해서 차동 엇물림 구조(Differential staggered structure)를 이용한 탭을 구현하여, 메 모리 모듈의 크기를 기존 크기로 유지시키면서도 차동 신호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핀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동 쌍(Differential pair, 312)이 상단의 제1 탭들(310)에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단에 배열되는 차동 쌍(312)은 같은 크기를 갖는 한 쌍의 탭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단의 제2 탭들(320)에는 상단의 차동 쌍 사이사이에 그라운드 가드(Ground guard, 322)들이 배치된다.
상기 차동 쌍은 메모리 모듈과 머더보드(Mother board) 사이의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에 의한 신호교환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그라운드 가드는 주변 다른 차동 쌍과의 신호가 결합되는 커플링(Coupling)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이 하단의 제2 탭들(420)에 포함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같은 크기를 갖는 한 쌍의 탭으로 이루어진 차동 쌍(422)은 도 3과는 달리 하단에 배열된다. 또한 상단의 제1 탭들(410)에는 그라운드 가드(Ground guard, 412)들이 배치된다.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을 하부에 배치함으로서 전해 도금을 위한 도금선(Plating bar, 14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비록 도금선의 길이가 짧다 하더라도 고주파수에서 신호를 왜곡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도금선의 효과를 최대한 억제 시킨 것이다.
상기 도 3과 상기 도 4에서 설명되어진 본 발명의 아이디어가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은, 핀 수를 증가시키면서도 차동 쌍에 야기되는 불연속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웃한 차동 쌍 사이에 그라운드 가드를 배치함으로써 신호 충실도를 보장한다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동 쌍(512, 522)이 상단의 제1 탭들과 하단의 제2 탭들 모두에 포함되어 배열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다수의 차동 쌍을 사용하여야할 경우 최대한 차동 쌍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구조이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동 신호와 또한 안정적 전원 공급 을 위해서 차동 엇물림 구조(Differential staggered structure)를 이용한 탭을 구현하여, 메모리 모듈의 크기를 기존 크기로 유지시키면서도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 송신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핀 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반도체 메모리 모듈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PCB)의 일면 가장자리의 상단에 배열되는 제1 탭들; 및
    상기 일면 가장자리의 하단에 배열되는 제2 탭들을 구비하며,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된 탭인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이 상기 제1 탭들 중에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탭들 중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들 중에는 차동 신호를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된 탭인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이 포함되고, 상기 제2 탭들 중에는 차동 신호의 신호 충실도(Signal integrity)를 위하여 접지에 연결되는 탭인 그라운드 가드(Ground guard)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들 중에는 차동 신호의 신호 충실도를 위하여 접지에 연결되는 탭인 그라운드 가드(Ground guard)가 포함되고, 상기 제2 탭들 중에는 차동 신호를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된 탭인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들 및 상기 제2 탭들 중에 차동 신호를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된 탭인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이 모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KR1020050116642A 2005-12-01 2005-12-01 차동 엇물림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 모듈 탭 KR20070057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642A KR20070057335A (ko) 2005-12-01 2005-12-01 차동 엇물림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 모듈 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642A KR20070057335A (ko) 2005-12-01 2005-12-01 차동 엇물림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 모듈 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35A true KR20070057335A (ko) 2007-06-07

Family

ID=3835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642A KR20070057335A (ko) 2005-12-01 2005-12-01 차동 엇물림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 모듈 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73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316A (ko) * 2010-09-07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11523506B2 (en) 2020-11-02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e board and memory modul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316A (ko) * 2010-09-07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8323037B2 (en) 2010-09-07 2012-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odule having a board with a chip region and two tap regions with different thicknesses
US11523506B2 (en) 2020-11-02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e board and memory modul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6770B2 (ja) 半導体装置
KR100340285B1 (ko)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상호 직렬 접속된 메모리 모듈
JP2006128633A (ja) 多端子素子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00307005A (ja)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プリント配線基板ならびに電子機器
US9820389B2 (en) Partially depopulated interconnection arrays for packaged semiconductor devices and printed circuit boards
US20110007487A1 (en) Lsi package, printed board and electronic device
US9105635B2 (en) Stubby pads for channel cross-talk reduction
US7405473B1 (en) Techniques for optimizing electrical performance and layout efficiency in connectors with via placement and routing
US7282790B2 (en) Planar array contact memory cards
US11887923B2 (en) Wiring design method, wiring structure, and flip chip
US9722012B1 (en) Circuits and methods providing mutual capacitance in vertical electrical connections
JPH09223861A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プリント配線基板
US6449166B1 (en) High capacity memory module with higher density and improved manufacturability
CN109511224B (zh) 一种印刷电路板
US6246121B1 (en) High performance flip-chip semiconductor device
KR20070057335A (ko) 차동 엇물림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 모듈 탭
US6662250B1 (en) Optimized routing strategy for multiple synchronous bus groups
US8780536B2 (en) Motherboard capable of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N112151506B (zh) 电子封装结构及其晶片
CN214672596U (zh) 一种高密度球栅阵列的封装结构
KR102339899B1 (ko) 반도체 패키지,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US118173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calable ball grid array (BGA) assignment and a PCB circuit trace breakout pattern for RF chip interfaces
US1128183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e bus routing
KR100232220B1 (ko) 핀 배치 구조
WO2020154915A1 (zh) 电路模块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