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331A -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331A
KR20070056331A KR1020050114841A KR20050114841A KR20070056331A KR 20070056331 A KR20070056331 A KR 20070056331A KR 1020050114841 A KR1020050114841 A KR 1020050114841A KR 20050114841 A KR20050114841 A KR 20050114841A KR 20070056331 A KR20070056331 A KR 20070056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eck plate
slab
extension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훈
오형장
최종문
금동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4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6331A/ko
Publication of KR2007005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건물 특히,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은, 기존 바닥 슬래브와 접합 시공되는 증축부 바닥 슬래브와, 상기 바닥 슬래브의 시공시 슬래브 바닥에 지지되면서 수평 거푸집으로 대용되되 시공후 일체로 접합되는 강재 테크 플레이트와,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수직 거푸집으로 시공되어 상기 바닥 슬래브와 일체로 접합되는 증축부 벽 및, 상기 슬래브와 벽 및 데크 플레이트들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시공 접합되는 보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벽식구조 건물 특히, 공동주택의 평면을 확장하고, 증축되는 부분도 벽식구조로 설계하는 경우, 기존 벽식구조 공동주택과 증축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일체화 시키고 공기를 단축하기 위해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면서 다양한 강도 보강수단들을 동시에 사용하여 증축부의 강도유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공동주택, 증축부, 벽식 증축, 바닥, 증축 시스템

Description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Extending System for Wall-Type Structural Apart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도 1은 건물의 일예로 공동주택의 증축부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
도 2는 종래의 기존 슬래브와 증축부 슬래브사이의 접합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앵커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b)는 앵커볼트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c)는 앵커와 앵커볼트를 혼합 사용하는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종래 벽식구조로 증축하는 경우 거푸집 설치(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증축부의 벽 및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는 형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도 3의 종래 증축 구조에서 수평 거푸집 대신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종래의 벽식구조 증축부를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콘크리트 결합돌부를 도시한 요부도
도 9는 종래(도 3의 구조)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도 5-7)에 대한 하중 실험을 나타낸 그래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10.... 증축부 바닥 슬래브
20.... 강재 테크 플레이트 30.... 증축부 벽
40,40'.... 수직 거푸집 50a,50b.... 보강수단
60.... 지지체
본 발명은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기존의 벽식구조 공동주택의 평면을 확장하되 증축되는 부분도 벽식구조로 설계하는 경우, 기존 벽식구조 공동주택과 증축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일체화 시키고 공기를 단축하기 위해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면서 다양한 강도 보강수단들을 동시에 사용하여 증축부의 강도 성능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국내 대부분의 공동주택 특히, 아파트의 경우에 구조형식은 순수 벽식구조로서 모든 내력을 벽에서 지지하는 형태로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층고를 최소화 하여 보통 2.6m - 2.7m 정도의 층고로 설계되어 왔다.
그런데, 이와 같은 벽식 구조 형태를 가지는 공동주택 예를 들어, 아파트 등을 증축(예 베란다 부분)하는 경우, 콘크리트 혹은 철골조로 이루어진 라멘골조로 증축하게 되면 일반 벽식구조에 사용되는 슬래브 두께보다 보의 춤이 크기 때문에 생활에 필요한 최소 층고높이를 확보하기 어렵고, 기둥의 크기도 벽두께 보다 크기 때문에 유효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층고를 유지하면서 유효공간을 그대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증축부 부분도 벽식으로 구조 변경(설계)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건물의 기존 슬래브와 벽식구조 증축부를 갖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슬래브(110)와 벽(120)의 기존 벽식구조부분(A)과 증축되는 바닥 슬래브(110')와 증축되는 벽(120')(130')의 증축부분(B)으로 구분된다.
이때, 특히 기존 부위와 중측부의 접합부위는 기본 바닥 슬래브(110)와 벽(120)이 증축부의 슬래브(110')와 벽(130')과 접합되는 'X' 부위의 접합 증축부와 증축부 슬래브(110')와 증축부 벽(130')이 접합되는 'Y' 부위의 접합 증축부로 구 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상기 도 1의 'X'부위의 접합 증축부의 접합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2a와 같이 기존 슬래브(110)와 증축 슬래브(110')사이에 철근(140)과 앵커(150)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도 2b에서와 같이, 기존 및 증축부 슬래브(110)(110')사이에 보강판(160)과 앵커볼트(170)를 이용하여 접합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마지막으로, 도 2c에서와 같이, 기존 및 증축부 슬래브(110)(110')사이에 도 2a 의 앵커 및 도 2b의 앵커볼트+보강판을 혼합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도 2a에서 도 2c로 갈수록 시공은 복잡해 지지만, 기존과 증축부위간의 접합 강도는 증대된다.
다음, 도 3에서는 도 1의 'Y'부위의 증축 접합부의 구조 즉, 기존 슬래브와 접합되는 증축부 슬래브(110')의 끝단 벽(130')(도 1참조)의 접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증축부 슬래브(110')와 증축부 벽(130')의 시공시 우측으로는 벽과 슬래브를 지지하는 ㄴ자 거푸집(180)을 대고, 좌측으로는 수직한 거푸집(180)을 설치한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어 증축부의 슬래브와 벽을 증축행하였다.
한편, 상기 ㄴ자 거푸집(180)은 슬래브 바닥(실제로는 천장)을 구축하기 위한 수평 거푸집(180b)과 벽을 구축하기 위한 수직 거푸집(180a)(180a')로 이루어 진다.
한편, 이와 같은 벽식구조 즉, 슬래브만을 증축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구조적인 강도유지를 위하여 벽(130')도 같이 증축하는 벽식 구조인 경우, 건물의 신축 시공때와는 달리 ㄴ자 거푸집(180)중 특히 수평 거푸집(180b)으로 시스템 폼(형태)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공사가 필수적이므로 공기가 매우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도 3에서 돗한 바와 같이, 통상 거푸집 설치 시공시 벽을 증설하기 위한 수직방향의 거푸집(180a) 보다는 슬래브 바닥을 설치하기 위한 수평방향의 거푸집(180b)의 시공이 더 까다롭고 공기도 많이 걸리는 것이다.
즉, 슬래브 바닥측의 수평 거푸집(180b)은 위를 쳐다보며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그 설치 작업이 어려운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벽식 구조의 증축 시스템에서 증축 슬래브(110')에 해당하는 수평 거푸집(180b)의 시공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되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종래의 다른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즉, 수평 거푸집(180b) 대신에 데크 플레이트(190)를 사용하여 바닥 슬래브 형성을 용이하게 하거나 나중에 거푸집과 같이 해체시키지 않아 전체적인 증축부 시스템의 강도 보강이 강화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도 4에서 도시한 종래의 경우에는, 데크 플레이트(19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130')을 먼저 타설 양생한 후에 데크(190)를 벽위에 올려놓아야 하는데, 데크 플레이트(190)가 시공시 벽(130')의 철근(140)에 방해를 받게 된다.
특히, 데크 플레이트(190)가 삽입된 'C'부위에서는 벽(130')과 벽(130')사이 및 벽솨 슬리브 사이의 콘크리트 접합 연속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공기단축 효과 및 구조성능 확보라는 면에서 효과를 얻기 힘든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서, 벽식구조 공동주택의 증축시, 증축부의 바닥 슬래브를 구축하기 위한 수평 거푸집 대신에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되, 이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증축부 벽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수직방향의 거푸집이 대신하게 하면서, 강재 데크 플레이트가 증축부 벽에 침입하지 않도록 하고, 특히 다양한 형태의 보강수단을 사용하면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의 시공 단축과 강도 유지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존의 벽식구조 공동주택의 평면을 확장하고, 증축되는 부분도 벽식구조로 설계하는 경우, 기존 벽식구조 공동주택과 증축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일체화시키고 공기를 단축하기 위해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면서 다양한 강도 보강수단들을 같이 사용되어 증축부의 강도 성능을 향상시킨 건물의 벽식 구조 증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 바닥 슬래브와 접합 시공되는 증축부 바닥 슬래브;
상기 바닥 슬래브의 시공시 슬래브 바닥에 지지되면서 수평 거푸집으로 대용되되 시공후 일체로 접합되는 강재 테크 플레이트;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수직 거푸집으로 시공되면서 상기 바닥 슬래브와 일체로 접합되는 증축부 벽; 및,
상기 슬래브와 벽 및 데크 플레이트들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시공 접합되는 보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의 끝단은 상기 벽면에 밀착되되 상기 수직 거푸집의 상단에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기는 상기 보강수단은, 벽과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를 일체로 통과하면서 결합되는 철근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벽의 시공시 일체로 양생되는 스터드볼트와 이에 일체로 되고 상기 수직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앵글로 구성된 보강앵커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보강수단은 벽과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를 일체로 통과하면서 결합되는 철근 및, 벽과 일체로 결합되는 스터드볼트와 이에 일체로 되고 수직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앵글의 보강앵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슬래브 콘크리트와 일체로 접합되는 다수의 결합돌부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바닥 슬래브와 접합되는 증축부 벽을 시공하도록 하는 수직 거푸집을 시공하는 단계;
강제 데크 플레이트를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하여 수평 거푸집으로 대용 시공하되 상기 수직 거푸집에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와 수직 거푸집으로 구축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보강수단을 일체로 결합시키어 증축되는 벽과 바닥 슬래브를 일체로 접합 시공하는 단계;
로 구성된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시스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수단은 벽과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를 일체로 통과하면서 결합되는 철근, 벽과 일체로 결합되는 스터드볼트와 이에 일체로 되고 수직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앵글의 보강앵커 및, 이들 모두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기존에 벽식구조 건물(공동주택, 아파트)의 평면 확장을 전제로 한 리모델링시 기존 건물의 층고가 낮아 증축부를 기둥 및 보를 가지는 라멘골조로 하기 힘든 경우가 많으므로, 철근 콘크리트 벽식구조로 증축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즉, 본 발명은 벽식 구조로 증축해야 하는 증축 시스템의 개선된 구조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기존의 경우에는 벽식구조로 하는 경우 거푸집 공사 특히, 수평 거푸집 공사로 공기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거푸집 공사에서 바닥 슬래브의 타설 양생을 위한 수평방향의 거푸집 공사를 생략하면 공기단축이 가능하게 되고,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에서 층고 저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구조성능을 향상시키고 공기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대신, 종래에도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데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의 거푸집을 생략하고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되, 데크 플레이트를 벽 양생후에 시공하지 않고 벽과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같이 시공하면서 데크 플레이트에 의한 벽의 구조적인 성능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벽과 슬래브 사이의 강도 보강 유지를 위한 철근, 스터드볼트와 보강앵글의 보강앵커 또는 이들의 결합된 여러 형태의 보강수단들을 같이 이용하여 강도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의 강재 데크 플레이트는 증축부 바닥 슬래브의 수평 거푸집 역 할을 하면서 강도 보강의 역할을 하고, 이 데크 플레이트는 벽의 증축을 위한 수직 거푸집이 지지 보강토록 하여 전체적으로 시공상의 공기단축과 구조적인 강도성능 유지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건물 특히, 라멘식 리모델링이 어려운 공동주택의 벽식 구조 증축 시스템에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벽식 구조 증축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벽식 구조 증축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벽식 구조 증축 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벽식 구조 증축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콘크리트 결합돌부를 도시한 요부도이며, 도 9는 종래(도 3 구조)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도 5-7)에 대한 하중 실험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1)은, 기존 바닥 슬래브와 접합 시공되는 증축부 바닥 슬래브(10)와, 상기 바닥 슬래브(10)의 시공시 슬래브 바닥에 지지되면서 수평 거푸집으로 대용되되 시공후 일체로 접합되는 강재 테크 플레이트(20)와,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20)를 지지하는 수직 거푸집(40)으로 상기 바닥 슬래브(10)와 일체로 접합되는 증축부 벽(30) 및, 상기 슬래브와 벽 및 데크 플레이트들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시공 접합 되는 보강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증축부 바닥 슬래브(10)의 수평 거푸집 공사를 생략하는 대신에, 일체로 배치 시공하는 강재 데크 플레이트(20)를 바닥 슬래브 바닥에 수평 거푸집의 대용으로 시공하면서, 동시에 거푸집과는 달리 시공후 철거되지 않는 데크 플레이트(20)에 의하여 바닥 슬래브(10)의 강도를 강화시키게 한 것이다.
이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재 데크 플레이트(20)가 증축부 벽(30)의 배근(철근 설치)을 방해하지 않고 벽의 연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증축부 벽(30)의 시공시 사용하는 수직 거푸집(40)이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20)를 지지하게 하였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30)의 반대측에는 수직 거푸집(40')이 데크 플레이트와 상관없이 설치되어 벽의 콘크리트 양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기존의 문제점인 수평 거푸집의 설치를 없애고 간단하게 데크 플레이트(20)를 사용하면서 그 지지구조도 벽 증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사용되는 수직 거푸집(40)으로 지지하게 하여 전체 공기도 단축시키고, 유효 강도도 유지하게 한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20)의 끝단(22)은 상기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되,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일측의 상기 수직 거푸집(40)의 상단에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체(60)를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와 같은 데크 플레이트 지지체(60)는 데크 플레이트가 수평 거푸집 역할을 하므로 바닥 슬래브의 시공을 정밀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사각 목재(강목) 등이 데크 플레이트(20)를 끝에서 평행이 유지되고 정밀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로 사용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1)은 데크 플레이트(20)를 수평 거푸집으로 대용하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자체 두께가 얇기 때문에, 시공후에도 슬래브 바닥에 접합되면서도 전체적인 층고를 무리하게 높이지 않는다.
또한, 수평 거푸집 보다는 시공이 용이한 수직 거푸집(40)을 이용하여 증축부 벽(30)을 시공하고, 결국 벽과 슬래브가 데크 플레이트와 수직 거푸집으로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시 사용되는 거푸집으로 구축된다.
특히,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그대로 슬래브와 접합되어 수직 거푸집만이 제거되게 된다.
이때,도 5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상부에는 소정간격으로 슬래브 시공시 콘크리트와 일체로 접합되는 결합돌부(22) 예를 들어, 역삼각 형상의 결합돌부(22)들이 접합되기 때문에, 상기 바닥 슬래브와 금번 본 명의 데크 플레이트는 매우 견고하게 접합 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상기 상기 보강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수단은 벽과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를 일체로 통과하면서 결합되는 철근(50a)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벽의 시공시 일체로 양생되는 스터드볼트(50b1)와 이에 일체로 되고 상기 수직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앵글(50b2)로 구성된 보강앵커(50b)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데크 플레이트(20)가 슬래브의 끝 까지만 설치되므로 기존과 같이 데크 플레이트(20)가 끝나는 부분은 증축되는 벽(30)에 더 이상 삽입되지 않고 밀착되고, 이부분에서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구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터드볼트(50b1)와 보강앵글(50b2)로 된 보강앵커(50b)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앵커(50b)의 스터드볼트(50b1)는 스터드볼트가 증축 벽(30)의 내부에 매입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에 증축 슬래브(10)와 증축벽(30)이 전단방향으로 일체성을 가지게 하여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게 한다.
그리고, 보강앵글(50b2)이 수직 거푸집과 강재 데크 플레이트(20) 사이에 끼우되, 점용접을 실시하여 보강앵글(50b2)부분이 콘크리트 타설시에 그 위로 시공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하면 시공을 간편하게 할 것이다.
이때, 도 5 및 도 7의 보강수단중 하나인 철근(50a)은 상기 슬래브(10)의 단부에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의해 슬래브(10)의 단부의 상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바람직하기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수단(50a)(50b)을 하나의 시스템(1)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20)는 슬래브 바닥 즉, 건물의 천정에 해당되므 로 내화성능을 인정받은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면 내화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수단은 벽과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를 일체로 통과하면서 결합되는 철근(50a) 및, 벽과 일체로 결합되는 스터드볼트(50b1)와 이에 일체로 되고 수직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앵글(50b2)의 보강앵커(50b) 및, 이들 모두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증축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살려보면, 먼저 바닥 슬래브와 접합되는 증축부 벽(30)을 시공하도록 하면서 데크 플레이트(20)의 끝단를 지지하는 일측 및 타측 수직 거푸집(40)(40')을 시공한다.
다음, 강재 데크 플레이트(20)를 바닥 슬래브로 시공하기 위한 수평 거푸집을 대신하여 상기 일측 수직 거푸집(40)에 지지되면서 시공한다.
다음, 마지막으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와 수직 거푸집(40)(40')으로 구축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앞에서 설명한 보강수단(50a)(50b)을 일체로 결합시키어 증축부 벽(30)과 바닥 슬래브(10)를 일체로 접합 시공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상기 보강수단은 벽과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를 일체로 통과하면서 결합되는 철근(50a) 또는, 벽과 일체로 결합되는 스터드볼트와 이에 일체로 되고 수직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앵글(50b2)의 보강앵커(50b) 또는 이들 모두를 사용하면 된다.
물론, 철근(50a)과 스터드볼트(50b1)와 보강앵글(50b2)이 일체로 된 보강앵글(50b)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상기 벽과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 양샹시 일체 로 접합 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9에서는 도 3의 종래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증축부와 도 5 내지 도 7의 본 발명의 증축부 구조의 하중강도를 실험한 결과치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1)(도 5 내지 도 7의 선)이 도 3의 기존의 철근만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강도도 매우 높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도 7의 보강수단 즉, 배근과 보강앵커를 모두 사용한 도 7의 경우 가장 하중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접합부는 기존의 벽식구조에 비해 탄성강성 및 내력이 크게 나타나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항복 후의 소성역에서는 소성변형이 우수하게 나타나 구조안전성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공기 지연의 요인이 되는 증축부 바닥 슬래브의 수평 거푸집 대신에,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공기를 대폭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벽 타설 거푸집이 상기 데크 프레이트를 지지하되, 여러 다양한 형태의 보강수단들을 같이 사용하여 벽과 바닥 슬래브의 접합 강도를 보강하여 전체 증축부 강성특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지진 등과 같은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에 대해 일체성을 확보하여 내진성을 제공하는 다른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증축부의 사용 수명이 길고 시공 크랙등의 균열도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8)

  1. 기존 바닥 슬래브와 접합 시공되는 증축부 바닥 슬래브;
    상기 바닥 슬래브의 시공시 슬래브 바닥에 지지되면서 수평 거푸집으로 대용되되 시공후 일체로 접합되는 강재 테크 플레이트;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수직 거푸집으로 상기 바닥 슬래브와 일체로 접합 시공되는 증축부 벽; 및,
    상기 슬래브와 벽 및 데크 플레이트들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일체로 시공 접합되는 보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의 끝단은 상기 벽면에 밀착되되 상기 수직 거푸집의 상단에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벽과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를 일체로 통과하면서 접합되는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벽의 시공시 일체로 양생되는 스터드볼트; 및,
    상기 스터드볼트와 일체로 되고 상기 수직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앵글;
    을 포함하는 보강앵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벽과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를 일체로 통과하면서 결합되는 철근 및, 벽과 일체로 결합되는 스터드볼트와 이에 일체로 되고 수직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앵글의 보강앵커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슬래브 콘크리트와 일체로 접합되는 다수의 결합돌부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7. 바닥 슬래브와 접합되는 증축부 벽을 시공하도록 하는 수직 거푸집을 시공하는 단계;
    강제 데크 플레이트를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하여 수평 거푸집으로 대용 시공하되 상기 수직 거푸집에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와 수직 거푸집으로 구축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보강수단을 일체로 결합시키어 증축되는 벽과 바닥 슬래브를 일체로 접합 시공하는 단계;
    로 구성된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시스템 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벽과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를 일체로 통과하면서 결합되는 철근, 벽과 일체로 결합되는 스터드볼트와 이에 일체로 되고 수직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앵글의 보강앵커 및, 이들 모두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시스템 시공방법.
KR1020050114841A 2005-11-29 2005-11-29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56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841A KR20070056331A (ko) 2005-11-29 2005-11-29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841A KR20070056331A (ko) 2005-11-29 2005-11-29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331A true KR20070056331A (ko) 2007-06-04

Family

ID=3835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841A KR20070056331A (ko) 2005-11-29 2005-11-29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63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240B1 (ko) * 2007-11-01 2009-06-08 서울메트로 차수벽을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지하구조물에 연결통로구조물을 연결하는 방법
CN105863289A (zh) * 2016-04-15 2016-08-17 山东省建筑科学研究院 一种加固用钢结构空间体系及其施工方法
KR20220049720A (ko) * 2020-10-15 2022-04-22 삼성물산 주식회사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240B1 (ko) * 2007-11-01 2009-06-08 서울메트로 차수벽을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지하구조물에 연결통로구조물을 연결하는 방법
CN105863289A (zh) * 2016-04-15 2016-08-17 山东省建筑科学研究院 一种加固用钢结构空间体系及其施工方法
KR20220049720A (ko) * 2020-10-15 2022-04-22 삼성물산 주식회사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494B1 (ko)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9145701B2 (en) Earthquake resistant reinforcement apparatus, earthquake resistant building, and an earthquake resistant reinforcing method
JP5275545B2 (ja) 耐震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180042007A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KR20070056331A (ko) 건물의 벽식구조 증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17538057A (ja) 建築用デッキパネル
KR101397886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및 보강장치
KR100628537B1 (ko) 내진성능확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벽체시스템
JP7288787B2 (ja) 木造建物の床パネル
RU2536902C1 (ru) Контактное винтовое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бор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колонн
JP2007224586A (ja) 複合構造建物及び複合構造建物の構築方法
JP5658455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5475054B2 (ja) 耐震シェルターの補強方法及び耐震強度の高い耐震シェルター
RU2423585C1 (ru) Композитная балоч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2008274622A (ja) 建築物の中間階免震機構
JP7189004B2 (ja) 耐震補強壁構造
JP2018115491A (ja) 建物構造
JP7470243B1 (ja) 複合梁および複合梁の施工方法
JP2003090142A (ja) 境界梁ダンパー
JP6390747B1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の支持部材
KR101795434B1 (ko) 상하부 벽식pc기둥 상호간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벽식pc기둥 및 pc보의 src 결합구조
KR101785317B1 (ko) 상하부 벽식pc기둥 상호간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벽식pc기둥 및 pc보의 rc 결합구조
JP2002088905A (ja) フラットプレートスラブによる建築物の躯体構造
JP6679300B2 (ja) 基礎構造及び建物
JP3132175U (ja) 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金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