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975A -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975A
KR20070055975A KR1020060117857A KR20060117857A KR20070055975A KR 20070055975 A KR20070055975 A KR 20070055975A KR 1020060117857 A KR1020060117857 A KR 1020060117857A KR 20060117857 A KR20060117857 A KR 20060117857A KR 20070055975 A KR20070055975 A KR 20070055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air
liquid
outlet
c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314B1 (ko
Inventor
에밀 페테레손
올라 할
Original Assignee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70055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자동차의 운전실(1)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용 흡입구(6) 및 상기 운전실로 개방되어 있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케이싱에 들어가는 공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2)를 구비하고 있는 케이싱(5)을 포함한다. 조립체는 증발기 수단(13)에 의한 공기 냉각으로부터 발생한 액체를 케이싱에서 제거하거나 흡입구를 통해 케이싱에 들어온 공기에 포함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배수 기구를 포함한다. 이 기구는 그 위의 우세한 음 기압에 의해 배출 개구부 위의 액체 기둥 안의 액체를 수집하도록 형성된 수단을 구비한다.
자동차, 환기, 공기 조화, 응축액, 수집 수단, 배수 기구

Description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AN ASSEMBLY FOR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OF A DRIVING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의 일반 구조를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 화물 자동차 운전실의 전방부의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단순화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체의 일 부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조립체의 또 다른 부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운전실 3: 조립체
4: 앞 유리 5: 케이싱 6: 흡입구 9: 팬 요소 10: 저압부 11: 고압부 12: 배출구 13: 증발기 수단 17: 제1 채널 18: 케이싱 바닥 19: 제2 채널 20: 수집 채널
21: 수집 수단 22: 배출 개구부
24: 밸브 요소 25: 스프링 요소
본 발명은 자동차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용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케이싱으로 들어가는 공기를 위한 상기 운전실로 개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싱에 배열되어 있으며 공기가 냉각될 때 응축액의 형태로 액체를 발생시키는 증발기 수단,
상기 흡입구를 통해서 케이싱으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어 있는 저압부 및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는 고압부를 구비하고 있고 공기를 상기 증발기 수단으로 불어내고 나아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운전 실로 불어 내보내는 팬 요소, 및
증발기 수단에 의한 상기의 공기 냉각으로부터 발생한 액체를 케이싱에서 제거하거나 상기 흡입구를 통해 케이싱에 들어온 공기에 포함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배수 기구를 포함한다.
자동차는 승용차, 버스, 화물 자동차 등과 같이 이 유형의 조립체를 구비한 어떠한 형태도 될 수 있다.
본 유형의 조립체는 운전자 및 자동차의 상기 운전실에 있을 수 있는 승객이 자동차 운전실의 쾌적한 상태를 경험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때문에 그러한 조립체는 대개 소위 가열, 환기 및 공기 조화 조립체이며 즉, 조립체는 배출구를 통해서 운전실로 공기를 불어 내기 전에 필요에 따라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팬 요소의 고압부에 배열된 가열 기구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가열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조립체도 포함한다.
이 유형의 조립체의 작동시에는 응축액 형태의 액체가 증발기 수단이 공기를 냉각할 때 형성되며 또한 액체와 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케이싱으로 들어갈 수 있고 공기와 함께 케이싱의 고압부로 이송될 수도 있다. 팬 요소의 고압부에서 그렇게 생성된 액체는 케이싱에서 제거되어야 하며 이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조립체에 상기 배수 기구를 마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 481 886호 및 제6 422 301 B1를 통해서 이 유형의 조립체들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미 알려진 그러한 조립체들의 문제점은 환기 및 공기 조화 기능에 필요 없는 추가의 공기가 케이싱 밖으로 상기 액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으로 유입되어야 하며 그리고/또는 액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배열된 케이싱의 배출 개구부를 통해서 케이싱으로부터 공기를 불어 내보내기 때문에, 이 때 케이싱에서 액체를 제거하는 필요와 무관하게 상기 배출 개구부를 통해서 또한 공기를 불어 내보낸다는 것이다. 이는 팬 요소의 치수가 과대해져야만 하거나 케이싱 밖으로 액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추가의 공기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관해서도 추가의 팬 요소가 배열되어야 한다던지 또는 공기를 액체와 함께 케이싱 밖으로 불어냄으로써 공기가 손실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문제점은 공기를 운전 실로 불어 내보내기 위하여 대개 필요한 어떠한 여과기 수단을 통과하지도 않고 액체 배출 개구부를 통해서 공기가 케이싱으로 들어갈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러한 원하지 않는 공기가 운전실의 공기에 혼합되는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알려진 그러한 조립체에 관하여 개선된 도입부에서 정의된 유형의 조립체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수 기구가 상기 액체를 케이싱의 고압부로부터 저압부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증발기 수단 아래의 영역의 케이싱의 고압부에서 시작하여 저압부로 연장하고 상기 액체를 상기 저압부에서 케이싱 바닥의 개구부에 의해 형성된 배출구로 유도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과
상기 채널로부터 배출 개구부에 도달한 상기 액체를 상기 배출 개구부 위의 우세한 음 기압에 의하여 상기 배출 개구부 위에서 대체적으로 기둥의 형태로 수집하도록 형성된 수단을 포함하는 그러한 조립체를 제시함으로써 달성된다.
케이싱의 배출 개구부에서 상기 수집 수단의 설계 및 저압부에서의 이의 배열은, 공기를 액체용 배출 개구부를 통해서 불어 내보냄으로써 공기가 손실되는 위험 또는 케이싱 안에 액체의 범람이 생기는 위험 없이 케이싱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배출 개구부는 그 위의 우세한 음 기압 덕분에 상기 액체 기둥에 의해서 항상 닫혀 있기 때문에 이 기둥의 액체는 공기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배출 개구부는 개방 상태에 있게 되므로 케이싱의 다른 부분으로 액체가 범람할 위험이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배수 기구는, 상기 고압부 및 저압부의 기압 차이를 통해서 케이싱의 저압부로 그곳의 상기 액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흡입구로부터 배출구로의 공기 방향에 대하여 상기 증발기 수단의 상류 방향의 케이싱의 영역에서 액체를 수집하기 위한 상향의 슬롯 개구부 형태의 제1 유형의 상기 채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이러한 소위 재순환 채널은 팬 요소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공기압 차이를 상기 채널을 통해서 고압부에 도달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저압부로 다시 끌어내는데에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케이싱의 저압부에 들어온 빗물이 배출된 곳과 동일한 위치에서 이러한 배출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수 기구는 액체를 상기 수집 수단에 전달하기 위하여 케이싱의 저압부에서 서로 합쳐지는, 케이싱 바닥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제1 유형의 상기 채널을 포함한다. 이것은 케이싱의 해당 영역 전체에서 상기의 수집 수단으로 배출을 위해 액체를 이송하는 적합한 방식을 만들어 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수 기구는 상기 케이싱 바닥에서 연장하며 상기 증발기 수단의 영역 또는 흡입구로부터 케이싱의 배출구로의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그 하류 방향의 영역에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형의 채널은 최소한 그것이 시작하는 부분에서 둘러 싸는 벽을 구비한 파이프와 같은 특성을 가지며, 증발 수단에 의해 형성된 응축액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케이싱으로 들어온 공기에 포함되어 있고 케이싱의 이러한 영역으로부터 저압부를 향해서 중력에 의해 증발기 수단을 통과한 액체를 유도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케이싱의 이 부분에 도달한 액체는 이러한 파이프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채널에 의해서 케이싱의 저압부로 중력을 통해서 효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 제2의 채널이 시작하는 케이싱의 부분에서 케이싱의 저압부의 상기 수집 수단으로 이송을 시작하기 위해서 상기의 공기압 차이에 의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채널은 중력에 의해 상기 액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케이싱의 저압부까지, 둘러싸는 벽을 구비한 파이프와 같은 특성을 가지며 그 결과 배출 개구부로 배수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액체 이송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립체는 상기 수집 수단에 액체를 전달하기 위하여 케이싱의 저압부에서 서로 합쳐지는, 케이싱 바닥에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제2 채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채널은 공통의 상기 수집 수단에 액체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의 저압부에서 서로 합쳐지도록 배열되며 이것이 배수 기구의 구성을 단순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케이싱 바닥 부분에서 각기 상기 제1 채널을 형성하는 인접한 골 부분들을 분리시키는 융기부들 내 측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채널은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수 기구는 연관된 수집 수단 및 밸브 요소와 함께 다수의 상기 배출 개구부를 구비한다. 그러한 수집 수단 및 밸브 요소의 적정한 수를 선택하면 그 결과로 단순한 구성의 배수 기구와 그것의 신뢰할 수 있는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립체는 위치 에너지를 내어 놓으면서 밸브 요소를 상기 배출 개구부를 닫는 위치로 밀도록 형성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스프링 요소는 이때 압축 스프링이지만 가스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 요소 또는 유체 위치 에너지 발산 및 저장 요소를 통해서 닫힘 위치로 밸브 요소의 편향을 달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케이싱은 또한,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케이싱을 관류하는 공기의 방향에 대해서 증발기 수단의 하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운전실로 불어 내보내기 전에 공기를 가열하도록 형성된 가열 수단을 포함한다. 이 유형의 조립체에 그러한 가열 수단을 포함시키는 것이 대부분의 지역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장점들은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예로서 인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자동차의 앞 유리(4) 아래 영역에 배열된 운전실의 가열,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3)를 구비한 화물 자동차(2) 형태의 자동차의 운전실(1)의 앞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조립체는, 대체적으로 자동차의 운전 방향을 향하고 있고 여과기 요소(7)로 덮여 있고 화살표(8)로 도시한 것과 같이 자동차를 충분한 속도로 전방으로 운전할 때 발생하는 외부 공기 흐름의 유입을 위한 흡입구(6)를 구비한 케이싱(5)을 포함하고 있다.
케이싱은 상기 흡입구(6)와 연결되어 있는 저압부(10) 및 앞 유리(4) 내측 영역의 운전실로 개방된 배출구(12)에 연결되어 있는 고압부(11)를 구비한 팬 요소(9)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케이싱은 도시 되지 않았으나 운전실로부터 저압부(10)의 케이싱으로 재순환하는 공기를 위한 제2 흡입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팬 요소는 작동 시에 흡입구(6) 및 이 때 제2 흡입구로부터도 공기를 흡입하며 배출구(12)를 통해서 운전실(1)로 공기를 불어 내보낸다.
또한 운전실로 공기를 불어 내보내기 전에 각기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기 위하여 팬 요소(9)의 고압부(11)에 배열되어 있는 증발기 수단(13) 및 가열 수단(14)을 케이싱이 어떻게 포함하는지가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운전실 내에서 원하는 온도의 공기를 얻기 위하여 증발기 수단, 가열 수단 및 팬 효소의 운전이 어떻게 조정되는지에 관해서는 관련 기술 범위에서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또한 참고한다. 도 2에 도시된 프레임(15)의 좌측에 배열된 조립체의 부분이 자동차의 운전실의 바깥쪽에 배열되어 있는 반면에 그 우측의 조립체의 부분 즉, 증발기 수단(13)과 가열 수단(14) 및 배출구(12)를 포함하는 케이싱의 부분은 자동차 운전실에 배열되어 있다. 액체는 흡입구(6)를 통해 케이싱으로 들어가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공기가 증발기 수단(13)을 통과할 때 냉각됨에 따라 응축액의 형태로 생성됨으로써, 운전실의 안쪽에 위치한 케이싱의 부분(16)에 존재할 수 있다. 케이싱(5)의 상기 부분(16)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증발기 수단(13)의 영역으로부터 프레임(15) 쪽으로 케이싱 저압부까지 연장하는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제1 유형의 슬롯 형의 채널(17)을 가지고 있는 바닥이 구비되어 있다. 케이싱 바닥은(18)은, 케이싱의 이러한 부분(16)에서,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증발기 수단(13)의 영역으로부터 케이싱의 저압부로 연장하는 둘러싸는 벽을 구비한 파이프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다수의 제2 채널(19)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를 통해서 케이싱으로 들어오고 흡입구에서부터 배출구까지 케이싱을 관류하는 공기의 방향과 관련하여 증발기 수단의 상류 방향의 케이싱 바닥에 존재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액체는 케이싱의 고압부와 저압부 사이의 압력 차이를 통해서 상기 제1 채널(17)에서 저압부로 흡입되며 공동의 수집 채널(20)에 의해서 그곳에 수집된다. 케이싱의 더욱 하류 방향에 존재하거나 공기가 증발기 수단에 의해 냉각될 때 응축액으로 형태로 생성되는 액체는 제2 채널(19)로 들어가며 중력에 의해 케이싱의 저압부로 전달되고 제1 채널(17)과 공통의 수집 채널(20)에 수집된다. 사실 제2 채널(19)은 케이싱 바닥 부분에서 각기 제1 채널(17)을 형성하는 인 접한 골 부분들을 분리시키는 융기부들 내측에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싱을 관류하는 공기 흐름의 방향과 관련하여 제2 채널들(19)은 제1 채널들(17)보다 더욱 하류의 방향에서 시작된다.
배수 조립체는 수집 채널(2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의 제1 및 제2 채널로부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과 유사한 다수의 연결 수단(21)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수집 수단은, 상기의 채널들로부터, 액체를 케이싱에서 배출하기 위한 배출 개구부(22)까지 도달한 액체를, 스프링 요소(25)에 의해 배출 개구부(23)를 닫는 위치로 편향되어 있는 역류 방지 밸브의 특성을 가지는 밸브 요소(24) 위에서 대체적으로 기둥(23)의 형태로 수집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 요소(25)는 케이싱에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액체 기둥의 높이 위에서부터 밸브 요소가 배출 개구부(22)를 개방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집 수단(21) 안의 액체 기둥은 절대로 상기의 미리 정해진 높이를 초과하지 않게 되며 액체 기둥이 상기의 미리 정해진 높이에 이르지 못한다면 밸브 요소는 자동적으로 닫힌다. 그러나 배출 개구부 위의 우세한 음압 덕분에, 사실 밸브 요소가 필요 없지만, 역류 방지 밸브 역할을 하고 이 개구부를 통해서 케이싱에 들어오는 공기에 거슬러 개구부를 닫는 개구부 위의 상기 기둥이 이 공기압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증발기 수단의 작동 결과로서 또는 흡입구를 통해 케이싱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됨으로써, 팬 요소의 고압부에 존재하는 액체가 상기의 제1 및 제2 채널과 수집 수단(21)을 통해서 액체의 이송을 위한 추가적인 공기의 필요성 없이, 또는 액체 배출 개구부를 통하여 케이싱으로부터 공기가 이탈되는 위험이나 이러한 개구부를 통해서 공기가 케이싱으로 들어가는 위험 없이 효율적으로 배출된다.
당연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로 어떠한 방식으로도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의 가능성은 청구항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채널과 관련하여 청구항에서 사용된 "서로 합쳐지는"은 모든 채널들이 서로 합쳐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채널들이 채널의 집단들을 이루며 합쳐질 수도 있다.
청구항에서 상기 제1 채널이 증발기 수단의 상류 방향의 케이싱 영역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기에 적합하다고 기술하고 있지만 이 채널은 또한 증발기 수단이 있는 영역과 같은 다른 장소의 액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케이싱의 배출 개구부에서 상기 수집 수단의 설계 및 저압부에서의 상기 수단의 배열은, 공기를 액체 배출 개구부를 통해서 불어 내보냄으로써 공기가 손실되는 위험 또는 케이싱 안에 액체의 범람이 생기는 위험 없이 케이싱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배출 개구부는 그 위의 우세한 음 기압 덕분에 상기 액체 기둥에 의해서 항상 닫혀 있기 때문에 이 기둥의 액체는 공기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배출 개구부는 개방 상태에 있게 되므로 케이싱의 다른 부분으로 액체가 범람할 위험이 없다.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용 흡입구(6)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케이싱으로 들어가는 공기를 위한 상기 운전실로 개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2)를 구비하고 있는 케이싱(5),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에 배열되어 있으며 공기가 냉각될 때 응축액 형태로 액체를 발생시키는 증발기 수단(13),
    상기 흡입구를 통해서 케이싱으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어 있는 저압부(10) 및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는 고압부(11)를 구비하고 있고 공기를 상기 증발기 수단으로 불어내고 나아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운전 실로 불어 내보내는 팬 요소(9), 및
    증발기 수단에 의한 상기의 공기 냉각으로부터 발생한 액체를 케이싱(5)에서 제거하거나 상기 흡입구를 통해 케이싱에 들어온 공기에 포함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배수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차(2)의 운전실(1)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로서,
    상기 배수 기구는,
    상기 액체를 케이싱의 고압부로부터 저압부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증발기 수단(13) 아래의 영역의 케이싱(5)의 고압부(11)에서 시작하여 저압부로 연장하고 상기 액체를 상기 저압부에서 케이싱 바닥의 개구부(22)에 의하여 형성된 배출구로 유도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17,19)과
    상기 채널로부터 배출 개구부에 도달한 상기 액체를 상기 배출 개구부 위의 우세한 음 기압에 의하여 상기 배출 개구부 위에서 대체적으로 기둥(23)의 형태로 수집하도록 형성된 수단(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기구는, 상기 고압부 및 저압부의 기압 차이를 통해서 케이싱의 저압부(10)로 상기 액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흡입구(6)로부터 배출구(12)로의 공기 방향에 대하여 상기 증발기 수단(13)의 상류 방향의 케이싱의 영역에서 액체를 수집하기 위한 상향의 슬롯 개구부 형태의 제1 유형의 상기 채널(17)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기구는 액체를 상기 수집 수단에 전달하기 위하여 케이싱의 저압부(10)에서 서로 합쳐지는, 케이싱 바닥(18)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제1 유형의 상기 채널(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기구는 상기 케이싱 바닥(18)에서 연장하며 상기 증발기 수단(13)의 영역 또는 흡입구로부터 케이싱의 배출구로의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그 하류 방향의 영역에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채널(19)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형의 채널은 최소한 그것이 시작하는 부분에서 둘러싸는 벽을 구비한 파이프와 같은 특성을 가지며, 증발 수단에 의해 형성된 응축액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케이싱으로 들어온 공기에 포함되어 있고 케이싱의 이러한 영역으로부터 저압부를 향해서 중력에 의해 증발기 수단을 통과한 액체를 유도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19)은 중력에 의해 상기 액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케이싱(5)의 저압부(10)까지, 둘러싸는 벽을 구비한 파이프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수단(21)에 액체를 전달하기 위하여 케이싱의 저압부(10)에서 서로 합쳐지는, 케이싱 바닥(18)에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제2 채널(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 체.
  7. 제2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17) 및 제2 채널(19)은 공통의 상기 수집 수단(21)에 액체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의 저압부(10)에서 서로 합쳐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8. 제3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19)은 상기 케이싱 바닥 부분에서 각기 상기 제1 채널(17)을 형성하는 인접한 골 부분들을 분리시키는 융기부들 내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9.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기구는 연관된 수집 수단(21) 및 밸브 요소(24)와 함께 다수의 상기 배출 개구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10.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에너지를 내어 놓으면서 밸브 요소(24)를 상기 배출 개구부를 닫는 위치로 밀도록 형성된 스프링 요소(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 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11.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은 또한,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케이싱을 관류하는 공기의 방향에 대해서 증발기 수단(13)의 하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공기를 상기 배출구(12)를 통해서 상기 운전실(1)로 불어 내보내기 전에 공기를 가열하도록 형성된 가열 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KR1020060117857A 2005-11-28 2006-11-27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KR101345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502588-7 2005-11-28
SE0502588A SE529344C2 (sv) 2005-11-28 2005-11-28 Aggregat för ventilering och luftkonditionering av ett förarutrymme hos ett motorford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975A true KR20070055975A (ko) 2007-05-31
KR101345314B1 KR101345314B1 (ko) 2013-12-27

Family

ID=3781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857A KR101345314B1 (ko) 2005-11-28 2006-11-27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790511B1 (ko)
KR (1) KR101345314B1 (ko)
CN (1) CN1974248B (ko)
AT (1) ATE438528T1 (ko)
BR (1) BRPI0604796B1 (ko)
DE (1) DE602006008251D1 (ko)
RU (1) RU2402429C2 (ko)
SE (1) SE52934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8955B4 (de) * 2008-06-18 2010-06-02 Wirtgen Gmbh Baumaschine, insbesondere Straßenfräsmaschine, Miner, Recycler oder Stabilisierer
BE1019386A3 (nl) * 2010-06-24 2012-06-05 Cnh Belgium Nv Luchtbehandelingssysteem met verbeterde condensaatafvoer.
JP5812379B2 (ja) * 2010-07-02 2015-11-11 スズ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の暖房装置
DE102010062406B4 (de) 2010-12-03 2023-08-10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Klimagerät für ein Fahrzeug
JP6091321B2 (ja) * 2013-05-09 2017-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DE102015200851A1 (de) * 2014-02-10 2015-08-13 MAHLE Behr GmbH & Co. KG Baugruppe für eine Klimatisierungsanlage
DE102016205688A1 (de) * 2016-04-06 2017-10-12 Mahle International Gmbh Klimaanlage
CN112213286B (zh) * 2020-10-13 2021-05-25 广州新程北斗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数据采集传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4809B1 (fr) * 1987-12-21 1991-05-10 Peugeot Dispositif d'evacuation d'eau a travers une cloison et vehicule equipe de ce dispositif
DE3826021A1 (de) * 1988-07-30 1990-02-01 Porsche Ag Heizungs- und/oder klimaanlage fuer ein kraftfahrzeug
JP3287100B2 (ja) 1993-05-19 2002-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調和装置のクーリングユニットおよび排水ケース
DE19637408A1 (de) * 1996-09-13 1998-03-1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ondenswasser-Auffangschale für eine Klimaanlage eines Kraftfahrzeuges
US5894737A (en) * 1997-03-20 1999-04-20 Pro Air, Inc. Housing with integral drain for removing condensate from a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unit
KR200156113Y1 (ko) 1997-05-13 1999-09-01 박상록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US6422301B1 (en) 2000-08-14 2002-07-23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functional drain for a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assembly
JP4098495B2 (ja) * 2001-06-22 2008-06-11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6584795B1 (en) 2002-04-30 2003-07-01 Deere & Company Condensate drain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0511B1 (en) 2009-08-05
BRPI0604796B1 (pt) 2018-06-26
RU2402429C2 (ru) 2010-10-27
EP1790511A2 (en) 2007-05-30
BRPI0604796A (pt) 2007-10-09
KR101345314B1 (ko) 2013-12-27
SE0502588L (sv) 2007-05-29
SE529344C2 (sv) 2007-07-10
CN1974248B (zh) 2010-08-04
RU2006141864A (ru) 2008-06-20
ATE438528T1 (de) 2009-08-15
CN1974248A (zh) 2007-06-06
EP1790511A3 (en) 2008-07-30
DE602006008251D1 (de)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314B1 (ko) 자동차의 운전실의 환기 및 공기 조화를 위한 조립체
JP409849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5618323A (en) Integral cab and engine air intake system for a vehicle
US9475362B2 (en)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JP3716287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US8439655B2 (en) Cooling channel for a fan motor for a ventilation, heating, and/or air conditioning system
US7879122B2 (en) Air filter and fan device for vehicle ventilation systems
US7721565B2 (en) HVAC lateral condensate drain channel
US9770975B2 (en) Multi-stage fresh air inlet system
JP200801311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9202692A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CN107042742B (zh) 用于将通风空气供应给车辆内部的通风装置的装置和方法,以及机动车辆
JP200328563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80009425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배수구조
US6716100B2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JP2006205967A (ja) カウルダクトの水切り構造
JP4008317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045326A (ja) 空気調和装置
JP6308269B2 (ja) 車両のカウル構造
JP427357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40076652A (ko) 공조케이스
KR100917579B1 (ko)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JPH0620650Y2 (ja) ク−ルボツクス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JP6308271B2 (ja) 車両のカウル構造
CN117642298A (zh) 供暖、通风和/或空气调节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