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680A - 핸들 기능을 포함하는 게임기 - Google Patents

핸들 기능을 포함하는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680A
KR20070055680A KR1020050113932A KR20050113932A KR20070055680A KR 20070055680 A KR20070055680 A KR 20070055680A KR 1020050113932 A KR1020050113932 A KR 1020050113932A KR 20050113932 A KR20050113932 A KR 20050113932A KR 20070055680 A KR20070055680 A KR 20070055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rt
handle
display
main par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6354B1 (ko
Inventor
지만석
Original Assignee
지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만석 filed Critical 지만석
Priority to KR1020050113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354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63F13/245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1Including a rotatable keypad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레이싱 게임을 위한 게임기 및 개인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레이싱용 게임기는 메인 파트, 메인 파트에 대해 고정된 디스플레이 파트, 및 메인 파트와 디스플레이트 파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파트의 주변을 회전하는 회전 특성에 대응하여 게임 유닛을 제어하는 핸들 파트를 구비한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는 키 입력부를 포함하는 메인 파트, 메인 파트에 대해 고정된 자세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디스플레이 파트, 및 메인 파트와 디스플레이트 파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파트의 주변을 회전하는 회전 특성에 대응하여 게임 유닛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파트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을 하여 상기 키 입력부를 개폐하는 핸들 파트를 구비한다.
레이싱, 핸들, 게임기, 개인휴대단말기

Description

핸들 기능을 포함하는 게임기 및 개인휴대단말기{GAM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A HANDL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게임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게임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게임기의 우회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게임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게임기의 좌회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게임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개인휴대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개인휴대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 조작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개인휴대단말기가 열린 상태에서 핸들 조작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에서 핸들 파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탄성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게임기 200:개인휴대단말기
110, 210:메인 파트 120, 220:핸들 파트
130, 230:디스플레이 파트 132, 232: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게임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레이싱 게임에 대응하여 적합한 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게임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게임기는 디스플레이 양측에 배치된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게임 유닛을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조작 특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게임 유닛을 조절하는 데에 실감이 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특히, 자동차 레이싱 게임 또는 비행기 시뮬레이션 게임 등과 같이 방향 조정이 중요한 게임에서 상하좌우로 배치된 방향 키들은 게임의 재미를 반감시킬 수가 있다. 실제로, 가정용 비디오 게임기에서도 레 이싱 게임을 위한 핸들 세트를 추가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휴대용 기기에서는 이러한 확장 세트를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게임기 외에도 개인휴대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게임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역시 개인휴대단말기에서도 레이싱 게임을 재미있게 즐기기에 한계가 있으며, 레이싱 유닛을 실감나게 조절할 수 있는 조건도 함께 필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레이싱 및 그와 유사한 종류의 게임에서 게임 유닛을 실제 핸들과 유사한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게임기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임기 또는 단말기 본체도 함께 디스플레이와 움직이는 휴대용 기기의 특성 상 사용자의 시선을 편안하게 고정하고, 게임 유닛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게임기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게임기는 메인 파트, 메인 파트에 대해 고정된 디스플레이 파트, 및 메인 파트와 디스플레이 파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파트를 포함한다. 게임기는 핸들 파트의 회전각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하여 게임 중 게임 유닛 의 방향 및 운동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휴대용 게임기의 특성상 디스플레이가 같이 회전하게 되면 시선 고정이 어렵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파트를 고정시키고, 핸들 파트가 디스플레이 파트 주변을 회전하도록 하여 게임을 편안하게 즐기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는 키 입력부를 포함하는 메인 파트, 메인 파트에 대해 고정된 자세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디스플레이 파트, 및 메인 파트와 디스플레이 파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파트를 포함한다. 개인휴대단말기 역시 디스플레이 파트에 대한 핸들 파트의 회전 특성을 이용하여 게임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들 파트의 회전 특성이라 함은, 디스플레이 파트에 대한 핸들 파트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 각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게임기와 는 달리 디스플레이 파트는 메인 파트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파트 및 핸들 파트가 함께 움직여 메인 파트의 키 입력부를 개폐할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게임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게임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게임기(100)는 메인 파트(110), 핸들 파트(120) 및 디스플레이 파트(130)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파트가 차례로 적층되어 3단 구조를 갖는다. 다만, 메인 파트(110)에 대해 디스플레이 파트(130)는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며, 핸들 파트(12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파트(130)의 주변을 회전할 수가 있다.
메인 파트(110)는 가장 하부에 위치하며, 메인 파트(110)의 위로 핸들 파트(12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메인 파트(110) 또는 핸들 파트(120) 등에 배터리, 메인 회로부 등이 장착될 수 있으며, 외부와의 정보 교환을 위해 저장매체 리더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라 함은 소형 디스크,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등이 될 수가 있다.
디스플레이 파트(130)는 메인 파트(110)에 대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된 자세를 유지한다. 디스플레이 파트(130)의 상면으로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132)가 설치되며, 디스플레이(132)를 통해서 게임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핸들 파트(120)는 메인 파트(110) 및 디스플레이 파트(130) 사이에서 위치하며, 메인 파트(110) 및 디스플레이 파트(130)에 대해 회전을 할 수가 있다. 핸들 파트(120)는 디스플레이 파트(130)의 주변을 회전하면서 게임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 특성을 반영할 수가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핸들 파트(120) 및 메인 파트(110) 사이, 핸들 파트(120)와 디스플레이 파트(130) 사이에는 핸들 파트(120)의 회전 특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핸들 파트(120)의 회전 특성을 전기적 신호로 생성하여 게임기 내부의 메인 회로부로 전송할 수가 있다.
핸들 파트(120)는 디스플레이 파트(130)의 좌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1 핸들부(126) 및 제1 핸들부(126)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파트(130)의 우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2 핸들부(124)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핸들부(126, 124)는 동일한 몸체를 형성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및 제2 핸들부(126, 124)가 서로 독립된 몸체를 형성하여 동일한 회전 특성 또는 유사한 회전 특성을 갖도록 할 수가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 핸들부(126, 124)가 서로 다른 몸체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핸들부가 조금씩 시간 차가 있는 동작을 하거나 아예 서로 독립적인 운동을 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제1 및 제2 핸들부는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최초 위치로 복귀하는 탄성 복원력을 가져 한 손으로도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핸들 파트(120)는 디스플레이(132)의 양측으로 배치된 키 패드를 포함한다. 제2 핸들부(124)에는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제2 키 패드가 장착되어 있으며, 제1 핸 들부(126)에는 기타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키 패드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키 패드의 위치는 반대로 변경될 수도 있으며, 키 패드의 배열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게임기의 우회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게임기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인 파트(110)를 양 손으로 지지하고, 엄지 손가락으로 핸들 파트(120)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게임 유닛을 우회전 또는 그에 상응하는 조건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파트(130)는 메인 파트(110)에 대해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132)는 게임 유닛의 우회전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파트(130)의 좌우 측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핸들 파트(120)는 디스플레이 파트(130)의 좌우 측면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용 공간의 내면은 디스플레이 파트(130)에 원호 형상 측면에 대응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시각적으로도 안정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파트(130) 및 핸들 파트(120)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게임기의 좌회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는 도 5의 게임기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인 파트(110)를 양 손으로 지지하고, 엄지 손가락으로 핸들 파트(120)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게임 유닛을 좌회전 또는 그에 상응하는 조건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파트(130)는 메인 파트(110)에 대해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132)는 게임 유닛의 좌회전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개인휴대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200)는 메인 파트(210), 핸들 파트(220) 및 디스플레이 파트(230)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파트가 차례로 적층되어 3단 구조를 갖는다. 다만, 메인 파트(210)에 대해 디스플레이 파트(230)는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다만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다. 즉, 디스플레이 파트(230)는 메인 파트()에 대해 회전 없이 제한된 자세를 유지하지만, 그 위치는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달라질 수가 있다. 또한, 핸들 파트(22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파트(230)의 주변을 회전할 수가 있으며, 디스플레이 파트(230)와 함께 메인 파트(21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가 있다. 핸들 파트(2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파트(220) 및 디스플레이 파트(230)가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동안에는 핸들 파트(220)가 회전을 못하도록 임시로 고정시킬 수가 있다.
메인 파트(210)는 가장 하부에 위치하며, 메인 파트(210)의 위로 핸들 파트(22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메인 파트(210) 또는 핸들 파트(220) 등에 배터리, 메인 회로부 등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면으로는 숫자나 문자를 입력할 수 있 는 키 입력부(212)가 제공될 수가 있다. 참고로, 키 입력부(212)는 통화 시 전화번호 입력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게임 시 여러 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보조 입력부로 사용될 수가 있다.
디스플레이 파트(230)는 메인 파트(210)에 대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며,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가 있다. 디스플레이 파트(230)의 상면으로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232)가 설치되며, 디스플레이(232)를 통해서 일반 단말기의 기능 및 게임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핸들 파트(220)는 메인 파트(210) 및 디스플레이 파트(230) 사이에서 위치하며, 메인 파트(210) 및 디스플레이 파트(230)에 대해 회전을 할 수가 있다. 또한, 핸들 파트(220)는 디스플레이 파트(23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가 있다. 핸들 파트(220)는 디스플레이 파트(230)의 주변을 회전하면서 게임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 특성을 반영할 수가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핸들 파트(220) 및 메인 파트(210) 사이, 핸들 파트(220)와 디스플레이 파트(230) 사이에는 핸들 파트(220)의 회전 특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핸들 파트(220)의 회전 특성을 전기적 신호로 생성하여 게임기 내부의 메인 회로부로 전송할 수가 있다.
핸들 파트(220)는 디스플레이 파트(230)의 좌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1 핸들부(226) 및 제1 핸들부(226)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파트(230)의 우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2 핸들부(224)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핸들부(226, 224)는 동일한 몸체를 형성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및 제2 핸들부(226, 224) 가 서로 독립된 몸체를 형성하여 동일한 회전 특성 또는 유사한 회전 특성을 갖도록 할 수가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 핸들부(226, 224)가 서로 다른 몸체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핸들부가 조금씩 시간 차가 있는 동작을 하거나 아예 서로 독립적인 운동을 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제1 및 제2 핸들부는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최초 위치로 복귀하는 탄성 복원력을 가져 한 손으로도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핸들 파트(220)는 디스플레이(232)의 양측으로 배치된 키 패드를 포함한다. 제2 핸들부(224)에는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제2 키 패드가 장착되어 있으며, 제1 핸들부(226)에는 기타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키 패드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키 패드의 위치는 반대로 변경될 수도 있으며, 키 패드의 배열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핸들부(224)에는 일반 전화기의 리시버(228)이 장착되어 일반 전화기로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도 9는 도 7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파트(230)의 좌우 측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핸들 파트(220)는 디스플레이 파트(230)의 좌우 측면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용 공간(222)의 내면은 디스플레이 파트(230)에 원호 형상 측면에 대응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시각적으로도 안정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파트(230) 및 핸들 파트(220)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파트(210)의 상면에는 가이드 홈(214) 및 가이드 홈(214)에 인접하게 형성된 케이블 홀(216)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파트(230) 및 메인 파트(210) 사이에는 가이드 홈(214)을 따라 이동하는 중공형의 힌지(218)가 장착되며, 중공형의 힌지(218)를 통해 메인 파트(210) 및 디스플레이 파트(230)의 내부 회로를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연성기판(FPCB)이 통과할 수 있다.
핸들 파트(220)는 중공형의 힌지(218)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홀(223)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파트(230) 및 메인 파트(21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힌지(218)가 슬라이드 이동을 하면서 디스플레이 파트(230) 및 핸들 파트(220)가 함께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메인 파트(210)와 디스플레이 파트(230)는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핸들 파트(220)는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할 수가 있다.
도 10은 도 7의 개인휴대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 조작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7의 개인휴대단말기가 열린 상태에서 핸들 조작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닫힌 상태에서는 이전 실시예의 게임기와 같이 핸들 파트(220)는 시계 도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게임 유닛을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핸들 파트(220) 및 디스플레이 파트(230)가 열린 상태에서도 핸들 파트(220)는 회전하면서 게임 유닛을 조절할 수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는 메인 파트(210)의 키 입력부(212)도 게임 조절의 위한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가 있다.
사용자는 메인 파트(210)를 양손으로 지지하고, 엄지 손가락으로 핸들 파트 (220)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게임 유닛을 우회전 또는 그에 상응하는 조건으로 조절할 수가 있으며, 엄지 손가락으로 핸들 파트(220)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게임 유닛을 좌회전 또는 그에 상응하는 조건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도 12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에서 핸들 파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탄성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탄성 힌지부(240)는 메인 파트(210)의 가이드 홈(214)을 따라 이동하며 하부 캠(243)이 상부에 형성된 중공형의 슬라이드 가이드(242), 슬라이드 가이드(242)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부 캠(245)이 하부에 형성된 중공형의 회전 가이드(244), 및 상부 캠(245)과 하부 캠(243)을 서로 밀착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246)을 포함하며, 회전 가이드(244)는 핸들 파트(220)에 고정된다.
상부 캠(245) 및 하부 캠(243)은 골과 산을 이루는 캠면을 포함하며, 대략 180도 주기로 형성되어 핸들 파트(220)가 초기 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속적인 힘을 줄 수가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242) 및 회전 가이드(244)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중공의 통로를 통해서 메인 파트(210), 핸들 파트(220) 및 디스플레이 파트(230)의 내부 회로를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연성기판(FPCB)이 통과할 수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242)의 저면으로는 가이드 돌기(248)가 돌출되며, 가이드 돌기(248)는 가이드 홈(214)과 결속 및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드 가이드(242)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설명된 내용은 슬라이드 및 회전 구조를 위한 여러 힌지 구조로 변경될 수 있으며, 당업자로 하여금 제1 실시예의 게임기에서도 용이하게 실시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게임기 및 단말기는 핸들 파트를 이용하여 게임 유닛을 조절할 수 있으며, 레이싱 및 그와 유사한 종류의 게임에서 게임 유닛을 실제 핸들과 유사한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고 핸들 파트만 상대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선을 편안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레이싱 게임을 위한 게임기에 있어서,
    메인 파트;
    상기 메인 파트에 대해 고정된 디스플레이 파트; 및
    상기 메인 파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의 주변을 회전하는 회전 특성에 대응하여 게임 유닛을 제어하는 핸들 파트;
    를 구비하는 게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의 좌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1 핸들부 및 상기 제1 핸들부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의 우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2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핸들부는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최초 위치로 복귀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의 좌우 측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 파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내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에 대응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4. 레이싱 게임을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키 입력부를 포함하는 메인 파트;
    상기 메인 파트에 대해 고정된 자세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디스플레이 파트; 및
    상기 메인 파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의 주변을 회전하는 회전 특성에 대응하여 게임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을 하여 상기 키 입력부를 개폐하는 핸들 파트;
    를 구비하는 개인휴대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의 좌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1 핸들부 및 상기 제1 핸들부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의 우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2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핸들부는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최초 위치로 복귀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의 좌우 측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 파 트는 상기 제1 및 제2 핸들부에 의해서 정의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핸들부의 내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에 대응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트의 상면에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인접하게 형성된 케이블 홀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 및 상기 메인 파트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중공형의 힌지가 장착되어 상기 메인 파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의 내부 회로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통과하고, 상기 핸들 파트는 상기 중공형의 힌지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홀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 및 상기 메인 파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트의 상면에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인접하게 형성된 케이블 홀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 및 상기 메인 파트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탄성 힌지부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 힌지부는 상기 메인 파트의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며 하부 캠이 상부에 형성된 중공형의 슬라이드 가이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부 캠이 하부에 형성된 중공형의 회전 가이 드, 및 상기 상부 캠과 하부 캠을 서로 밀착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핸들 파트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 파트의 원위치 복귀를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파트의 회전각,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회전 특성에 대응하여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를 통해 출력되는 게임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20050113932A 2005-11-28 2005-11-28 핸들 기능을 포함하는 게임기 KR100726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932A KR100726354B1 (ko) 2005-11-28 2005-11-28 핸들 기능을 포함하는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932A KR100726354B1 (ko) 2005-11-28 2005-11-28 핸들 기능을 포함하는 게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460U Division KR200408520Y1 (ko) 2005-11-28 2005-11-28 핸들 기능을 포함하는 게임기 및 개인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680A true KR20070055680A (ko) 2007-05-31
KR100726354B1 KR100726354B1 (ko) 2007-06-13

Family

ID=3827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932A KR100726354B1 (ko) 2005-11-28 2005-11-28 핸들 기능을 포함하는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229B1 (ko) * 2006-11-07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퍼즐 게임 실행 단말기 및 퍼즐 게임 실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3861B2 (en) 2002-11-29 2005-08-23 Alfadata Computer Corp. Key-operating device for a hand-held video game apparatus
US7031759B2 (en) 2002-12-30 2006-04-18 Motorola, Inc. Rotating user interface
US7154479B2 (en) 2003-05-29 2006-12-26 Nokia Corporation Precision resolution
KR100566282B1 (ko) * 2003-11-25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229B1 (ko) * 2006-11-07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퍼즐 게임 실행 단말기 및 퍼즐 게임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354B1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9708B2 (en) Foldable/Slidable Function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JP4773284B2 (ja) ディスプレイパートおよびキーパッドパートを含む個人携帯端末機
JP4277140B2 (ja) 電子装置およびゲーム用コントローラ
CN1682241B (zh) 一种触屏输入机构和便携电子装置
US20060250367A1 (en) Keyboard with detachable module
US20050124387A1 (en)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EP1380324B1 (en) Game controller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s
KR100726354B1 (ko) 핸들 기능을 포함하는 게임기
KR200408520Y1 (ko) 핸들 기능을 포함하는 게임기 및 개인휴대단말기
JP3995363B2 (ja) ゲーム機などに使用するコントローラ
KR20070049099A (ko) 정보 처리 장치
KR10063211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방향입력장치
US20060030380A1 (en) Mobile communication and gaming terminal
JP4890586B2 (ja) 操作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
JP4032728B2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70001676A (ko) 슬라이딩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
WO2009054668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bent to width direction, and slide module and parts thereof for the device
JP3453263B2 (ja) ゲーム機用操作装置
KR100998268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EP1396813B1 (en) User inputs on a touch screen
KR100716758B1 (ko) 스윙형 개인휴대단말기
JP2003058278A (ja) 携帯電子機器用入力機能付きケース
KR20060124172A (ko)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사이드 버튼부제어방법
KR100718893B1 (ko)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070067418A (ko) 버튼 장치 및 그 버튼 장치를 사용한 개인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