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159A -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159A
KR20070055159A KR1020050113560A KR20050113560A KR20070055159A KR 20070055159 A KR20070055159 A KR 20070055159A KR 1020050113560 A KR1020050113560 A KR 1020050113560A KR 20050113560 A KR20050113560 A KR 20050113560A KR 20070055159 A KR20070055159 A KR 20070055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ometer
isolation valv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hamb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5159A/ko
Publication of KR2007005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69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drying 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이솔레이션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챔버 내부의 압력를 측정하는 마노미터가 구비된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이솔레이션 밸브 및 상기 마노미터는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에 의하면, 마노미터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의 외부에 히팅자켓을 설치하여 마노미터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의 온도가 상승시킴으로써, 공정진행 중 또는 공정완료 후에 발생하는 폴리머를 챔버에 연결된 진공라인을 통해 보다 많이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마노미터의 내벽이나 아이솔레이션 밸브의 내벽에 흡착하는 폴리머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챔버 클리닝 후나 PM작업 후 새로운 식각공정을 진행할 때 마노미터의 제로 포지션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챔버 내부의 압력을 큰 오차없이 리딩할 수 있으며, 식각 종료점 검출(EPD) 시간이 지연되지 않아 정확하게 식각을 종료할 수 있다.
마노미터(manometer), 아이솔레이션 밸브, 식각 종료점 검출(EPD)

Description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MANOMETER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노미터 시스템이 반도체 제조 설비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챔버 20; 마노미터
30; 제어부 40; 아이솔레이션 밸브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머의 흡착을 최소화하여 정확하게 압력을 리딩할 수 있는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각공정이나 증착공정과 같이 반도체 제조 공정은 대부분 상압보다 매우 낮은 압력에서 진행된다. 따라서 반도체 공정이 진행되는 챔버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형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챔버에서의 진공 형성은 챔버에 형성된 펌핑 통로에 진공 펌프(vacuum pump)를 연결하여 진공을 뽑아줌으로써 이루어진다.
반도체 제조 설비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설비에 형성된 압력의 관리와 이러한 압력 정도에 따라 웨이퍼의 식각 상태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도체 제조 설비는 매우 정교하게 압력을 측정 관리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챔버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AMT사의 CENTURA 장비와 같은 건식 식각 장비에서는 마노미터(manometer)가 채용되고 있다.
마노미터는 압력 또는 압력차를 측정하는 기구로서, 대부분 반도체 제조 장비에 연결되어 있으며, 마노미터에서 측정된 챔버의 압력은 반도체 제조 장비의 제어부에 압력 신호로 전달된다.
한편, 챔버와 마노미터 사이에는 아이솔레이션 밸브(isolation valve)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아이솔레이션 밸브는 평상시에는 마노미터에 의해 챔버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챔버를 클리닝하거나 PM 작업을 진행할 때, 또는 챔버 내부의 가스를 벤팅할 때에는 마노미터로 챔버 내부의 가스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클로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마노미터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에는 별도의 가열수단이 없어 식각공정 중 또는 식각공정 후의 폴리머가 진공라인을 통해 배출되기 보다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아이솔레이션 밸브나 마노미터의 내벽에 흡착된다.   이와 같이 폴리머가 아이솔레이션 밸브나 마노미터에 흡착된 상태에서는 마노미터가 챔버 내부의 압력을 정확하게 리딩할 수 없으며, 마노미터의 제로 포지션(zero position)이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식각 종료 검출(end point detector; EPD)시간이 지연되므로 챔버 내부의 압력 및 식각 종료점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어 공정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노미터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를 히팅자켓과 같은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온도를 높임으로써 식각 공정 중 또는 식각 공정 후에 발생하는 폴리머가 마노미터나 아이솔레이션의 내벽에 최소한으로 흡착될 수 있는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이솔레이션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챔버 내부의 압력를 측정하는 마노미터가 구비된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이솔레이션 밸브 및 상기 마노미터는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수단은 히팅자켓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노미터 시스템이 반도체 제조 설비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노미터 시스템은 마노미터(manometer; 20), 아이솔레이션 밸브(isolation valve; 40) 및 가열 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노미터(20)는 현재 반도체 제조설비에서 채용되고 있는 전형적인 마노미터로서, 반도체 제조설비에 연결되어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 정보를 반도체 제조설비의 제어부(30)로 알려준다.
상기 제어부(20)는 이러한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정보를 바탕으로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을 반도체 제조공정에 요구되는 수준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반도체 제조설비는 식각설비 또는 증착설비와 같이 상압보다 낮은 압력을 공정에 요구하는 설비로서, 소정의 반도체 공정이 진행되는 챔버(10)이다.
한편, 마노미터(20)와 챔버(10) 사이에는 아이솔레이션 밸브(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아이솔레이션 밸브(40)는 마노미터(20)에 의해 챔버(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항상 개방되어 있다. 다만, 상기 아이솔레이션 밸브(40)는 챔버(10)를 클리닝하거나 PM 작업 등을 진행할 때 또는 챔버(10) 내부의 가스를 벤트할 때는 마노미터(20)로 가스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로징된다.
한편,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마노미터(20)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40)의 외부에 히팅자켓과 같은 가열수단(미도시)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은 온도조절장치(미도시)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마노미터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의 외부에 히팅자켓을 설치하면, 마노미터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공정진행 중 또는 공정완료 후에 발생한 폴리머는 기체상태를 유지하면서 펌핑되어 외부로 배출되므로 마노미터의 내벽이나 아이솔레이션 밸브의 내벽에 흡착하는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마노미터나 아이솔레이션 밸브의 내벽에 흡착된 폴리머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어 챔버 클리닝 후나 PM작업 후 식각공정을 진행할 때 마노미터의 제로 포지션(zero position)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챔버 내부의 압력을 큰 오차없이 리딩할 수 있으며, 식각 종료점 검출(EPD) 시간이 지연되지 않아 정확하게 식각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여기서는 설명을 위해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노미터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의 외부에 히팅자켓을 설치하여 마노미터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의 온도가 상승시킴으로써, 공정진행 중 또는 공정완료 후에 발생하는 폴리머를 챔버에 연결된 진공라인을 통해 보다 많이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마노미터의 내벽이나 아이솔레이션 밸브의 내벽에 흡착하는 폴리머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챔버 클리닝 후나 PM작업 후 새로운 식각공정을 진행할 때 마노미터의 제로 포지션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챔버 내부의 압력을 큰 오차없이 리딩할 수 있으며, 식각 종료점 검출(EPD) 시간이 지연되지 않아 정확하게 식각을 종료할 수 있다.

Claims (2)

  1. 아이솔레이션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챔버 내부의 압력를 측정하는 마노미터가 구비된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이솔레이션 밸브 및 상기 마노미터는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히팅자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
KR1020050113560A 2005-11-25 2005-11-25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 KR20070055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560A KR20070055159A (ko) 2005-11-25 2005-11-25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560A KR20070055159A (ko) 2005-11-25 2005-11-25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159A true KR20070055159A (ko) 2007-05-30

Family

ID=3827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560A KR20070055159A (ko) 2005-11-25 2005-11-25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51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8274B2 (ja) 半導体製造装置,半導体製造装置の流量補正方法,プログラム
TWI414763B (zh) Gas flow calibration device
US8887549B2 (en) Valve leakby diagnostics
KR20100114079A (ko) 가스 유동 제어기의 인 시투 시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TWI593038B (zh) 監控聲音的半導體基板處理系統及方法
TWI723046B (zh) 檢查氣體供給系統之方法
CN110073181B (zh) 用于大范围质量流量检验的方法和设备
US7165443B2 (en) Vacuum leakage detecting device for use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ystem
WO2018181105A1 (ja) ヒータ管の気体リーク検出装置及びヒータ管の気体リーク検出方法
JP4078982B2 (ja) 処理システム及び流量測定方法
KR20070055159A (ko) 반도체 제조설비의 압력측정장치
US2007019047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systems
KR101664192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US2021017282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7095728A (ja) デバイス製造装置及びリークチェック方法
KR20060085716A (ko) 반도체 설비의 이중 실링을 위한 슬롯 밸브 장치
JP5198988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932118B1 (ko) 반도체 제조설비의 진공 시스템
US20220270940A1 (en)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processing apparatus
KR100840480B1 (ko) 이온주입기의 냉각수 배출장치
KR20060108794A (ko) 급속 열처리 장치
KR20050055476A (ko) 화학기상증착장치의 진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H01274427A (ja) 試料裏面ガス圧力制御装置
KR20050066757A (ko) 반도체 제조 설비용 진공 장치
KR20080042458A (ko) 반도체 공정의 진공누설 감지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