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605A - 밴드용 태그 - Google Patents

밴드용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605A
KR20070054605A KR1020070012378A KR20070012378A KR20070054605A KR 20070054605 A KR20070054605 A KR 20070054605A KR 1020070012378 A KR1020070012378 A KR 1020070012378A KR 20070012378 A KR20070012378 A KR 20070012378A KR 20070054605 A KR20070054605 A KR 20070054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dhesive
tag
strip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9347B1 (ko
Inventor
권재순
고경민
Original Assignee
권재순
제주도(관리부서:제주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재순, 제주도(관리부서:제주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filed Critical 권재순
Priority to KR1020070012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347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2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making the record carrier wearable, e.g. having the form of a ring, watch, glove or brace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용 태그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폭을 가지는 띠와 상기 띠의 일단부에 도포된 접착제와 상기 접착제 위에 덮여진 커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지를 뗀 후 단부끼리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띠의 접착제가 도포된 일단부와 상기 접착제가 부착될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에서 물기를 용이하게 배출하여 큰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분에 노출된 장소에서의 사용이 적합하다.
태그, 밴드, 어류, 접착제, 통공, 커버지

Description

밴드용 태그{A TAG FOR BAND}
도 1a는 일반적인 밴드용 태그의 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밴드용 태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밴드용 태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밴드용 태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밴드용 태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밴드용 태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용 태그가 물고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주요 구성부호의 설명
100... 띠
130... 통공
200... 접착제
300... 커버지
400... 바코드
500... 광고용 문양
1000... 밴드용 태그
본 발명은 밴드용 태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기에 노출되어 젖은 상태로 사용되어도 접착력을 유지하여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밴드용 태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그는 사람, 동물, 어류나 물건 등 각종 대상물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건이다.
현재까지는 인공풀장이나 찜질방 등 물기에 많이 노출되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사람의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는 밴드용 태그가 많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밴드는 물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손목에 부착하여 부착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부착전에 물기에 노출되면 접착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양식용 어류의 이력(history) 등 정보저장이나 연구용으로 사용되는 밴드용 태그도 개시되어 있다. 상기 양식용 어류의 이력은 원산지, 양식 개시일 및 사용한 사료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밴드의 표면에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연구용 어류에 대해서는 소정의 기간을 두고 특정 연구대상 물고기에 대한 각종 연구자료를 얻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태그의 표면에 어류에 대한 각종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밴드용 태그의 구성 및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밴드용 태그(10)는 전개시에 소정 폭을 가진 띠 형상으로 되어 있고, 소정 폭의 띠(1)와 그 일단부에 도포된 접착제(2)와 상기 접착제(2)를 덮는 커버지(3)로 구성되어 있어 커버지(3)를 뗀 후 단부끼리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밴드용 태그(10)는 어류의 꼬리와 몸통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결합되어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살아있는 물고기에 밴드용 태그(10)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물고기를 잡아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어류의 꼬리와 몸통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감은 후에 상기 커버지(3)를 제거하여 띠(1)의 타단부에 접착하는 과정을 지나야 한다.
그러나, 물고기 자체에 물기가 많을 뿐만 아니라 고정하는 과정에서 많은 요동이 있기 때문에, 띠(1)의 표면에는 항상 물기가 남아 있는 상태(젖은 상태)가 고, 따라서 커버지(3)를 벗겨내고 도포된 접착제(2)를 부착하면 표면에 남아 있던 수분이 배출되지 못하고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띠(1)의 타단과 접착제(2) 사이의 접착력이 급속히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즉, 물기에 의해 접착제(2)와 띠(1) 가 서로 분리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결국, 접착력이 약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띠(1)의 양단이 서로 분리되어 물고기의 몸체에서 이탈되므로 양식용 또는 연구용으로 사용하려던 본래의 사용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더욱이, 사용중에 접착제와 띠의 표면 사이에 공기층까지 개입되므로 접착력이 더욱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기에 노출되어 있는 장소에서 결합하여도 소정의 접착력을 유지하여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밴드용 태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밴드용 태그를 물고기에 부착시 작업자의 손이 물고기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밴드용 태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사용하여도 물고기로부터 미끄러져 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밴드용 태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밴드용 태그는,
소정 폭을 가지는 띠와 상기 띠의 일단부에 도포된 접착제와 상기 접착제 위에 덮여진 커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지를 뗀 후 단부끼리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띠의 접착제가 도포된 일단부와 상기 접착제가 부착될 타단부 중 적어 도 하나의 단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가 부착될 타단부에는 중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첩부에 의해 측면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신, 통공이 형성된 띠의 단부에서 테두리 부근에는 띠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띠의 배면에는 미끄럼 방지제가 도포되거나 한지(韓紙)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지의 안 쪽 일부분은 접착제를 넘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띠의 접착제가 도포된 일단부에는 다수의 파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와 접착될 띠 부분의 통공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띠의 표면에는 바코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띠의 표면에는 광고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밴드용 태그(10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용 태그(1000)는, 소정 폭을 가지는 띠(100)와, 상기 띠(100)의 일단부에 도포된 접착제(200)와 상기 접착제(200) 위에 덮여진 커버지(300)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커버지(300)를 떼고 단부끼리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다.
특히, 상기 띠(100)의 접착제(200)가 도포된 단부(110)와 접착제(200)와 부착될 단부(120) 중 적어도 일단부에는 다수의 통공(130)이 형성되어 있다(도면에서는 접착제(200)와 부착될 단부에 형성).
이에 따라, 상기 띠(100)의 양단부를 서로 부착한 상태에서 2개의 손가락 사이에 넣고 비비듯이 접착부를 문지르면 접착제(200)와 띠(100) 사이에 잔류하던 물기가 통공(130)을 통해 배출되므로 본래의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통공(130)을 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것, 예컨대 다수의 행과 열로 촘촘하게 배열하면 물기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공(130)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타원이나 각형 등 구멍의 형상에 크게 구애받는 것은 아니지만 원형으로 형성하면 통공(130)을 향하는 물기의 방향에 무관하게 균일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띠(100)의 배면에는 미끄럼 방지 코팅제를 도포하거나 한지(韓紙)가 부착하여 물고기로부터 밴드가 미끄러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코팅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519411호에 개시된 미끄럼 방지제나 그 종래기술 부분에 소개된 다양한 형태의 미끄럼 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지(300)의 안 쪽 일부분은 접착제(200)를 넘어서 연장되어 있어, 접착제로부터 커버지(300)를 떼어내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띠(100)의 접착제(200)가 도포된 일 부분에는 다수의 파단선(180)이 형성되어 있어, 한번 사용 후 서로 분리하면 파손되므로 다수회 사용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파단선(180)은 다수의 파형(波形)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띠(100)의 표면에는 바코드(400)가 형성되어 있어 태그(1000)가 부착되는 어류 또는 기타 대상물의 정보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띠(100)의 표면에는 광고 문양(500)이 형성되어 있어 양식한 어류 등의 판매시 광고효과를 나타내게 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물고기에 밴드(1000)가 부착된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실시예 2
도 3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밴드용 태그(1000)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밴드용 태그(1000)는 살아 있는 물고기에 태그를 부착할 때 작업자의 손과 물고기가 접촉하여 물고기가 움직이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부가되어 있다. 즉, 태그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물고기가 사람 손에 닿기 쉽고, 접촉하는 순간에는 물고기에 전류가 흐르는 듯한 느낌을 주어 심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착제(200)가 부착될 타단부에 중첩부(700)를 형성하고, 상기 중첩부(700)에 의해 측면 통로(710)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측면 통로(710)는, 띠(100)의 끝단을 접은 후에 재봉이나 접착제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실제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갈래로 분기된 집게(700)를 이용하되, 그 한쪽 갈래의 단부를 상기 측면 통로(710)에 삽입시킨 후 물고기의 꼬리 둘레로 감으면 손이 닿지 않는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기타 구성은 실시예 1과 유사하므로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상기 띠(100)의 배면에 미끄럼 방지 코팅제나 부착된 한지(韓紙)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지(300)의 안 쪽 일부분이 접착제(200)를 넘어서 연장되어 있어, 접착제로부터 커버지(300)를 떼어내기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띠(100)의 접착제(200)가 도포된 일단부에는 다수의 파단선(180) 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띠(100)의 표면에 바코드(400)나 광고 문양(500)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밴드용 태그(1000)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실시예 3에 따른 밴드용 태그(1000)도 살아 있는 물고기에 태그를 부착할 때 작업자의 손과 물고기가 접촉하여 물고기가 움직이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부가되어 있다. 즉, 태그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물고기가 사람 손에 닿기 쉽고, 접촉하는 순간에는 물고기에 전류가 흐르는 듯한 느낌을 주어 심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통공(130)이 형성된 띠(100)의 단부에서 테두리 부근에는 띠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장공(15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장공(150)은 통공(130)과 띠(100)의 끝단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는 실제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갈래로 분기된 집게(700)를 이용하되, 그 한쪽 갈래의 단부를 상기 2개의 장공(150)에 교대로 삽입시킨 후 물고기의 꼬리 둘레로 감으면 손이 닿지 않는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기타 구성은 실시예 1과 유사하므로,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상기 띠(100)의 배면에 미끄럼 방지 코팅제나 부착된 한지(韓紙)가 적용 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지(300)의 안 쪽 일부분이 접착제(200)를 넘어서 연장되어 있어, 접착제로부터 커버지(300)를 떼어내기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띠(100)의 접착제(200)가 도포된 일단부에는 다수의 파단선(180)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띠(100)의 표면에 바코드(400)나 광고 문양(500)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띠의 접착제가 도포된 단부와 접착제가 부착될 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에서의 물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므로 수분에 노출된 장소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큰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제가 부착될 타단부에는 중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첩부에 의해 측면 통로가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도구를 이용할 경우 사람 손이 물고기에 직접 닿는 경우를 피할 수 있으므로 용이한 태그의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띠의 배면에 미끄럼 방지제가 도포되어 있거나 한지가 부착되어 있어 태그가 물고기로부터 미끄러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지를 접착제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번 사용 후에 재사용이 곤란하게 하여 양식 또는 연구 대상 물고기의 혼동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띠의 표면에는 바코드나 광고 문양이 형성되어 있 어 태그가 붙은 어류나 물건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소정 폭을 가지는 띠와 상기 띠의 일단부에 도포된 접착제와 상기 접착제 위에 덮여진 커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지를 뗀 후 단부끼리 부착하여 사용하는 밴드용 태그에 있어서,
    상기 띠의 접착제가 도포된 일단부와 상기 접착제가 부착될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용 태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부착될 타단부에는 중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첩부에 의해 측면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용 태그.
  3. 제1항에 있어서,
    통공이 형성된 띠의 단부에서 테두리 부근에는 띠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용 태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의 배면에는 미끄럼 방지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용 태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의 배면에는 한지(韓紙)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용 태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지의 안 쪽 일부분은 접착제를 넘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용 태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의 접착제가 도포된 일단부에는 다수의 파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용 태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와 접착될 띠 부분의 통공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용 태그.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의 표면에는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용 태그.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의 표면에는 광고 문양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용 태그.
KR1020070012378A 2007-02-06 2007-02-06 밴드용 태그 KR10076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378A KR100769347B1 (ko) 2007-02-06 2007-02-06 밴드용 태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378A KR100769347B1 (ko) 2007-02-06 2007-02-06 밴드용 태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605A true KR20070054605A (ko) 2007-05-29
KR100769347B1 KR100769347B1 (ko) 2007-10-24

Family

ID=3827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378A KR100769347B1 (ko) 2007-02-06 2007-02-06 밴드용 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364B1 (ko) * 2010-09-13 2012-05-30 (주)크리노 어류용 태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979B1 (ko) 2008-05-29 2010-12-31 김용환 놀이공원용 입장권
KR101351601B1 (ko) * 2011-11-25 2014-01-14 주식회사 글로비트 어류용 밴드형 태그
KR102331989B1 (ko) * 2021-02-24 2021-12-01 주식회사 오주산업 케이블 표시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2295A (ja) * 1984-01-19 1985-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バ−タ駆動制御装置
DE3734830A1 (de) * 1987-10-14 1989-04-27 Gilowy Hans Maschf Verfahren zur sterilisation von temperaturbelastbaren behaeltern unter reinraumbedingungen
JPH08286613A (ja) * 1995-04-11 1996-11-01 Ishizaki Shizai Kk 巻き付けタイプの表示帯
KR200204787Y1 (ko) 2000-06-27 2000-12-01 김영태 놀이공원용 재사용방지 손목밴드
KR200240239Y1 (ko) * 2001-05-04 2001-10-12 박선우 병원의 환자관리용 밴드
US7119690B2 (en) 2004-10-08 2006-10-10 Proximities, Inc. Identification band using serpentine paths to detect tampering
KR100655373B1 (ko) * 2005-04-29 2006-12-08 김근환 밴드타이 일체형 공가설비관리용 rfid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364B1 (ko) * 2010-09-13 2012-05-30 (주)크리노 어류용 태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347B1 (ko)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347B1 (ko) 밴드용 태그
US9147354B2 (en) Wristband, continuous body of wristbands, and method for winding wristband
US4947876A (en) Instant nail polish kit
US4178879A (en) Restraining device for animals
US9126453B2 (en) Wristband
JP2005349183A (ja) 付け爪用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90204048A1 (en) Easy removable bandage
KR101149364B1 (ko) 어류용 태그
US6962641B2 (en) Arts and crafts material
US9460641B2 (en) Wrist band
KR200486636Y1 (ko) 일회용 손목밴드
KR101351601B1 (ko) 어류용 밴드형 태그
JP2002238944A (ja) 治療用テープ
JP2007252356A (ja) 動物用の識別タグ
JP6280527B2 (ja) リストバンドおよびリストバンドの巻付け方法
GB2465161A (en) Matrix display tag
JP2020143234A (ja) 接着テープ及び連続接着テープ
US6024043A (en) Book bands assembly for a book
JP3002679U (ja) 三味線の撥皮
KR200277183Y1 (ko) 손톱 메니큐어 테이프
US20070224386A1 (en) Pet identification tag
JP3059696U (ja) 短冊シート
KR101003979B1 (ko) 놀이공원용 입장권
EP1836893A1 (en) Pet identification tag
JPH1161058A (ja) 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