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636Y1 - 일회용 손목밴드 - Google Patents

일회용 손목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636Y1
KR200486636Y1 KR2020170002057U KR20170002057U KR200486636Y1 KR 200486636 Y1 KR200486636 Y1 KR 200486636Y1 KR 2020170002057 U KR2020170002057 U KR 2020170002057U KR 20170002057 U KR20170002057 U KR 20170002057U KR 200486636 Y1 KR200486636 Y1 KR 200486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separated
worn
ban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케이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케이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케이코드
Priority to KR2020170002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6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05Identification bracelets, e.g. secured to the arm of a pers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22Features for removal or adhesion, e.g. t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되 놀이시설, 수영장 등과 같은 시설물의 이용은 물론, 해당 시설물 내의 다른 편의시설의 이용에도 사용가능한 일회용 손목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되 절취선에 의해 분리가능한 쿠폰형성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 배면에 형성되되 상기 몸체 타측 표면 끝단부가 접착되어 링 형상으로 손목에 착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접착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되 링 형상으로 손목에 착용된 상기 몸체가 다시 띠 형상으로 손목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를 절개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몸체 일부가 파지가능하도록 절개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몸체와 이어지게 형성된 파지부, 일단이 상기 파지부 끝단과 이어지되 상기 파지부의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몸체를 소정길이로 절개시켜 상기 몸체가 띠 형상으로 손목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손목밴드{Disposable wristband}
본 고안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되 놀이시설, 수영장 등과 같은 시설물의 이용은 물론, 해당 시설물 내의 다른 편의시설의 이용에도 사용가능한 일회용 손목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사용방지 밴드는 놀이공원, 수영장 등의 내부 시설물을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 팔 또는 목에 두르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대상물(동물, 어패류, 물건 등)을 감싸는 상태로 부착시켜 그 대상물의 등급을 구별하기 쉽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 한다.
그 일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0204787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재된 놀이공원용 재사용방지 손목밴드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놀이공원용 재사용방지 손목밴드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띠형상을 가지는 밴드부(10)와, 상기 밴드부(10)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접착부(20)와, 상기 접착부(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재사용을 방지하는 절취부(21)와, 상기 접착부(20)에 덧대여져 그 접착력을 보호하는 박리지(24)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놀이공원용 재사용방지 손목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접착부(20)에 부착된 박리지(24)를 제거한 다음 손목에 두른 후 상기 접착부(20)를 밴드부(10)의 타단에 접합시키면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재사용방지 밴드는 사용자가 내부 시설물을 이용하는데 있어 시설물 이용에 대한 이용권을 매번 구입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이 이용권이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시설물의 관리측 입장에서는 자유이용권을 구입한 개인이 타인에게 빌려주는 형태로 여러사람이 돌려가며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놀이공원용 재사용방지 손목밴드는 접착부에 대하여 부착되는 박리지가 그에 대응하는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박리지를 접착부로부터 떼어내기가 쉽지 않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상기 접착부와 박리지의 접합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심하였다.
아울러 종래기술인 손목밴드는 놀이공원을 이용하는 이용권의 용도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접착부의 면적과 상관없이 손목에 착용은 물론, 착용한 이후에 분리가 용이한 손목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이용권 이외에 해당 놀이공원 내에 존재하는 다른 시설물을 이용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손목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손목밴드는 소정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 배면에 형성되되 상기 몸체 타측 표면 끝단부가 접착되어 링 형상으로 손목에 착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접착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되 링 형상으로 손목에 착용된 상기 몸체가 다시 띠 형상으로 손목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를 절개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몸체 일부가 파지가능하도록 절개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몸체와 이어지게 형성된 파지부, 일단이 상기 파지부 끝단과 이어지되 상기 파지부의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몸체를 소정길이로 절개시켜 상기 몸체가 띠 형상으로 손목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절취선 일단은 상기 몸체에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평행하도록 상기 파지부와 이어지되 타단은 서로 마주보거나 또는 서로 대칭되게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절취선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표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한 면에는 광고표시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광고표시부는 상기 접착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가 띠 형태로 분리된 이후에도 상기 광고표시부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몸체 일측은 절취선에 의해 분리가능한 쿠폰형성부가 더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 배면에 형성된 접착부의 면적에 상관없이 파지부를 통해 이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고, 안내절취선과 절곡절취선을 따라 외력에 의해 몸체가 절개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 일측에 절취선에 의해 분리가능한 쿠폰형성부가 더 구비됨으로 인하여 놀이시설의 이용은 물론, 해당 놀이시설 내의 다른 편의시설 등을 이용시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손목밴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손목밴드를 나타낸 표면 및 이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손목밴드의 쿠폰형성부가 분리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손목밴드의 광고표시부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손목밴드의 착용 및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손목밴드(이하, 간략하게 '손목밴드'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손목밴드는 놀이공원, 수영장, 행사장 등과 같은 내부 시설물에 자유로이 드나들어 이용할 수 있게 사람의 손목, 발목, 팔 등에 링 형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반려동물이나 물건 등의 식별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본 고안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인이면 충분히 예측할 수 있음에 유의하며, 하기에는 놀이공원 내의 시설물을 이용하는 용도의 손목밴드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목밴드(1)는 크게 몸체(100), 접착부(200) 및 분리수단(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100)는 후술하는 접착부(200) 및 분리수단(300)이 형성되되 평상시에는 띠 형상을 유지하며, 이용자의 손목 등에 링 형상으로 착용되어 해당 이용자가 놀이공원을 이용할 수 있는 자임을 제3자(놀이공원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몸체(100)는 손목 등에 링 형태로 착용되거나 후술하는 광고표시부(115)가 그 외면에 형성될 수 있게 소정의 길이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의 몸체(100)는 220 ~ 270mm 의 길이를 갖되 그 면적은 15 ~ 25mm 이내로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220mm 이하인 경우에는 이용자의 손목에 링 형상으로 착용된 이후에 해당 이용자의 손목을 죄여 피부에 손상(몸체의 끝단에 의한 상처)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이 그 이유이며, 270mm 이상인 경우에는 손목의 지름이 작은 아동이나 여성의 손목에서 이탈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 몸체(100)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방수 가능한 재질의 것이 사용되되 이용자의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0) 끝단을 컬링(curling) 작업하여 그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몸체(100) 일측 끝단에는 절취선(114)에 의해 소정면적을 갖도록 상기 몸체(100)에서 분리되는 쿠폰형성부(113)가 더 형성되어 놀이시설 내의 다른 편의시설을 이용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인 손목밴드(1)를 착용한 이용자는 놀이공원 내에서 운영하는 카페나 매장 등에 방문하여 무료로 음료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쿠폰으로 절개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술한 쿠폰형성부(113)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필요에 따라 보호자의 연락처 등을 기재하여 미아방지용으로 사용하거나 본 고안인 손목밴드(1)의 재사용이 불가하도록 하는 확인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몸체(100)의 표면(111) 또는 배면(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는 본 고안인 손목밴드(1)를 제공한 제공자는 물론, 해당 제공자와 연관있는 광고주의 광고물품을 안내하는 광고표시부(1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광고표시부(115)는 필름형태로 인쇄,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APP)을 통해 광고물품을 홍보할 수 있는 QR 코드 등이 인쇄되어 단순히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확인용이 아닌, 광고물의 홍보도 병행하는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부(200)는 평상시 띠 형상을 갖는 몸체(100)가 이용자의 손목 등에 링 형태로 고정착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접착부(200)는 몸체(100)의 일측 배면(112)에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 타측 표면(111) 끝단부 접착면 부분이 상기 접착부(200)에 접착되어 손목에 감겨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접착부(200)는 상술한 쿠폰형성부(113) 면적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여 절취선(114)을 통해 분리된 이후의 상기 쿠폰형성부(113)에 접착부(200)의 점성이 묻어나 이용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접착부(200)는 평상시에 외부로 노출되어 이물질 등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분리가능한 이형지(211)에 의해 덮여지도록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몸체(100)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다수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 굵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착되어 이용자의 피부 등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게 감겨질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접착부(200)는 몸체(100) 타측이 부착된 이후에 외력에 대하여도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접착력을 유지하여 이용자가 놀이시설을 이용시에도 본 고안인 손목밴드(1)가 손목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수단(300)은 몸체(100)에 형성되되 링 형상으로 손목에 착용된 상기 몸체(100)가 다시 띠 형상을 갖게 손목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파지부(310) 및 안내절취선(3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파지부(310)는 상술한 접착부(200)와 소정거리 이웃하되 일단이 몸체(100)와 이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 일부를 절개한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용자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파지함과 동시에 절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파지부(310) 외면에는 본 고안인 손목밴드(1)가 분리될 수 있는 방향을 용이하게 육안으로 식별하여 절개될 수 있게 화살표(안내절취선 방향으로) 등이 표시된 표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파지부(310)는 몸체(100) 표면(111)에 형성된 광고표시부(115)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310)를 통해 몸체(100)가 손목에서 분리된 이후에도 광고표시부(115)에 입쇄된 내용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안내절취선(320)는 일단이 몸체(100)와 서로 이어진 파지부(310) 양끝단과 각각 이어지게 한 쌍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링 형상으로 이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본 고안인 손목밴드(1)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안내절취선(320) 각각의 타단은 그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절취선(321)을 더 형성하여 파지부(310)의 진행방향을 따라 안내절취선(320)이 절개된 이후에 상기 절곡절취선(321)의 절개에 의해 링 형상으로 착용된 본 고안인 손목밴드(1)가 띠 형태로 손목에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손목밴드의 착용 및 작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도록 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형상을 갖는 몸체(100) 배면에 형성된 이형지(211)를 분리하여 접착부(2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손목에 얹어 놓는다.
손목에 얹어진 몸체(100) 타측을 링 형상으로 감아 상기 몸체(100) 타측 끝단부 표면(111)을 접착부(200)에 부착하여 이용자의 손목에 몸체(100)가 링 형상을 갖게 착용하여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입장권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상태로 이용자는 단순히 손목에 착용한 것으로도 놀이시설을 편하게 이용하되 이용이 끝난 이후에 분리가 필요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310)를 손가락 등으로 파지하여 본 고안인 손목밴드(1)를 분리할 준비를 하게 된다.
그 다음, 이용자는 파지된 파지부(310)를 안내절취선(320)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안내절취선(320)을 따라 절개된 몸체(100)가 절곡절취선(321)까지 연장 절개되어 최종적으로는 이용자의 손목에서 분리된 띠 형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손목밴드(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100) 배면(112)에 형성된 접착부(200)의 면적에 상관없이 파지부(310)를 통해 이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고, 안내절취선(320)과 절곡절취선(321)을 따라 외력에 의해 몸체(100)가 절개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100) 일측에 절취선(114)에 의해 분리가능한 쿠폰형성부(113)가 더 구비됨으로 인하여 놀이시설의 이용은 물론, 해당 놀이시설 내의 다른 편의시설 등을 이용시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손목밴드
100: 몸체 111: 표면
112: 배면 113: 쿠폰형성부
114: 절취선 115: 광고표시부
200: 접착부 211: 이형지
300: 분리수단 310: 파지부
320: 안내절취선 321: 절곡절취선

Claims (3)

  1. 소정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0);
    상기 몸체(100) 일측 배면(112)에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 타측 표면(111) 끝단부가 접착되어 링 형상으로 손목에 착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접착부(200); 및
    상기 몸체(100)에 형성되되 링 형상으로 손목에 착용된 상기 몸체(100)가 다시 띠 형상으로 손목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를 절개시키는 분리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수단(300)은 상기 몸체(100) 일부가 파지가능하도록 절개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몸체(100)와 이어지게 형성된 파지부(310), 일단이 상기 파지부(310) 끝단과 이어지되 상기 파지부(310)의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몸체(100)를 소정길이로 절개시켜 상기 몸체(100)가 띠 형상으로 손목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절취선(320)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절취선(320) 일단은 상기 몸체(100)에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평행하도록 상기 파지부(310)와 이어지되 타단은 서로 마주보거나 또는 서로 대칭되게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절취선(321)이 더 구비하여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100)가 상기 안내절취선(320)과 상기 절곡절취선(321)을 따라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몸체(100)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220 ~ 270mm 의 길이를 갖되 그 면적은 15 ~ 25mm 이내로 사용하며, 상기 몸체(100) 끝단은 착용자의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컬링(curling) 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손목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표면(111) 또는 배면(112) 중 어느 한 면에는 광고표시부(115)가 더 구비되되 상기 광고표시부(115)는 상기 접착부(200)와 상기 파지부(31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수단(300)에 의해 상기 몸체(100)가 띠 형태로 분리된 이후에도 상기 광고표시부(115)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몸체(100) 일측은 절취선(114)에 의해 분리가능한 쿠폰형성부(1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손목밴드.
KR2020170002057U 2017-04-24 2017-04-24 일회용 손목밴드 KR200486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57U KR200486636Y1 (ko) 2017-04-24 2017-04-24 일회용 손목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57U KR200486636Y1 (ko) 2017-04-24 2017-04-24 일회용 손목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636Y1 true KR200486636Y1 (ko) 2018-06-14

Family

ID=6259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057U KR200486636Y1 (ko) 2017-04-24 2017-04-24 일회용 손목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6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557A (ko) 2020-06-02 2021-12-09 이광현 감열물질을 이용한 보안 테이프 및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266A (ja) * 2002-12-18 2004-07-15 Sato Corp リストバンド
JP2015001606A (ja) * 2013-06-14 2015-01-05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情報表示バンドおよびその使用方法
EP2871632A2 (en) * 2013-11-08 2015-05-13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Easily removed identification ban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266A (ja) * 2002-12-18 2004-07-15 Sato Corp リストバンド
JP2015001606A (ja) * 2013-06-14 2015-01-05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情報表示バンドおよびその使用方法
EP2871632A2 (en) * 2013-11-08 2015-05-13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Easily removed identification ba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557A (ko) 2020-06-02 2021-12-09 이광현 감열물질을 이용한 보안 테이프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2794B2 (en) Identification wristband
US8590191B2 (en) Wristband with adhered tags
US9147354B2 (en) Wristband, continuous body of wristbands, and method for winding wristband
US20090246427A1 (en) Product labels having removable portions having adhesive and backing thereon
US9126453B2 (en) Wristband
JP3139039U (ja) カード用ステッカー
KR200486636Y1 (ko) 일회용 손목밴드
JP2006181349A (ja) 付け爪粘着用シート
KR100769347B1 (ko) 밴드용 태그
JP2013029661A (ja) 台紙なしリストバンドおよび台紙なしリストバンド連続体
KR200460704Y1 (ko) 네일아트용 스티커 포장체
KR20100113014A (ko) 재사용 방지 밴드
JP6280527B2 (ja) リストバンドおよびリストバンドの巻付け方法
JP6309820B2 (ja) タグ用ラベル及びロール状ラベル
JP2010151558A (ja) 巻尺
JP4490242B2 (ja) Icタグ収納ラベル
US20010033916A1 (en) Contestant identification for sporting events
US20220184485A1 (en) Handheld Tool for Scraping Scratch-Off Tickets
JP3217999U (ja) 靴用名札具
JP3197886U (ja) 標示具
FR2621413A1 (fr) Accessoire d'identification personnelle pour systeme automatique de paiement ou de controle d'acces
JPH10121310A (ja) 片手で装着できる手袋型防護具
US20140130967A1 (en) Soft adhesive fabric to cover tags and seams in clothing
KR200439925Y1 (ko) 리프트권 부착 수단
CN201757959U (zh) 儿童识别腕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