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073A - 핀홀식 결상 장치 - Google Patents

핀홀식 결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073A
KR20070054073A KR1020060024758A KR20060024758A KR20070054073A KR 20070054073 A KR20070054073 A KR 20070054073A KR 1020060024758 A KR1020060024758 A KR 1020060024758A KR 20060024758 A KR20060024758 A KR 20060024758A KR 20070054073 A KR20070054073 A KR 20070054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hole
imaging device
optical
lens
thr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아키 아베
Original Assignee
테크노 인터내셔널 캄파니 리미티드
요쇼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노 인터내셔널 캄파니 리미티드, 요쇼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테크노 인터내셔널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5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6Pin-hol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Lenses (AREA)

Abstract

피사체가 다른 촬영 거리에서의 결상 결과가 모두 선명하게 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높은 콘트라스트 특성으로 광학적 일그러짐이 작은 결상을 얻을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 가능하며, 소형 촬상 장치, 휴대식 전화기(휴대 전화), 모바일식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 및 그 보조 장치로의 설치·사용에 적합한 결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핀홀식 결상 장치에서는 광선이 광학 시스템에 진입하여 결상을 구성하는 것을 허용하는 핀홀식 개구 스로틀과,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에 적합한 적어도 1개의 광학 렌즈를 갖는 구성을 채용한다.
피사체, 콘트라스트, 촬상 장치, 결상 장치, 광학 시스템, 광학 렌즈

Description

핀홀식 결상 장치{A pinhole imag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핀홀식 결상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핀홀식 결상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핀홀식 결상 장치를 배치한 휴대 전화의 구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핀홀식 결상 장치를 배치한 휴대 전화의 핀홀식 결상 장치 부분의 구조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인 정보 단말 장치의 개관 사시도를 도시하고,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에 적용한 그림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인 정보 단말 장치의 개관 사시도를 도시하고, 모바일 컴퓨터에 적용한 그림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전 변환 센서 2, 3: 광학 렌즈
4: 핀홀 5: 본체
10: 케이스 11: 표시 유닛
12: 조작 유닛 15: 핀홀 유닛
16: 볼록 렌즈 17: 주기판
18: CCD 이미지 센서 51: 렌즈통
52: 수납 공간 181: 필터 유리
182: 센서 유닛
본 발명은 결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핀홀식 렌즈의 결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상의 촬상 장치의 대부분에는 광학 렌즈 시스템에 의한 결상이 채용되고, 고정된 촬영 거리상에서의 촬영에 한정하여, 상기 촬영 거리상 및 그 근방의 물체의 선명한 결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1)고정된 거리상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는, 상기 거리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물체에 대해서는, 그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촬영 거리의 물체 전부에 대하여 선명한 결상 결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외 일련의 기계장치, 예를 들면 오토 포커스 장치, 수동 핀트 맞춤 기능의 렌즈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야만 했다.
(2)상기 기계장치의 도움을 받은 후에도, 어떤 물체에 대한 고정 촬영 거리가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을 뿐이고, 상대적으로 근방의 물체 및 상대적으로 원 방의 물체의 결상 결과가 모두 선명한 효과를 얻을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3)오토 포커스 및 수동 핀트 맞춤 광학장치구조의 결상 장치는 오토 포커스 작용 및 핀트 맞춤 작용의 전용 기계구조, 예를 들면, 스텝 모터나 VCM 액추에이터등, 수동 핀트 맞춤의 슬라이드 로드 등이 구비되기 때문에, 그 구조는 복잡하고, 사이즈는 크고, 비용도 비싸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모바일식 전자 기기상으로의 촬상 장치의 설치 요구는 보편적인 것으로 되어 있지만, 모바일식 전자 기기에서는 그 체적의 제한을 받기 때문에, 결상 장치의 소형화, 간이화에 대해서는 보다 높은 요구가 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오토 포커스 및 수동 핀트 맞춤 광학 메카니즘을 채용하여 촬영대상의 촬상 거리의 자유도를 높이고, 피사체의 다른 촬영 거리에서의 결상 결과가 모두 선명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높은 콘트라스트 특성으로, 광학적 일그러짐이 작은 결상을 얻을 수 있는 결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는 간단하고, 소형화 가능하고, 소형 촬상 장치, 휴대식 전화기(휴대 전화), 모바일식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 및 그 보조 장치로의 설치·사용에 적합한 결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원리에 기초하여 실현된다. 핀홀은 중국 고대의 흑자(黑子)의 일대 발명이고, 그 간단한 적응성에 의해, 하이테크 기술이 발전한 현재에 있어서도, 여전히 큰 영향력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핀홀 결상을 원리로서 설계된 핀홀식 결상 장치이며, 그것에는 이 하의 것이 포함된다.
광선이 광학 시스템에 진입하여 결상을 구성하는 것을 허용하고, 홀 직경이 0.5mm 내지 0.9mm인 핀홀식 개구 스로틀과, 상기 핀홀 이외로부터의 광선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광벽과,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에 적합한 적어도 1개의 광학 렌즈와, 차광벽으로부터 연신되는 광학 렌즈 고정 프레임이다.
상기 광학 렌즈는 1개이며,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의 피사체 방향과는 반대측에 설치된다.
상기 광학 렌즈는 2개이며, 차례로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의 피사체 방향과는 반대측에 설치된다.
상기 광학 렌즈는 2개이며, 1개는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의 피사체 방향과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다른 1개는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의 피사체 방향에 면하는 측에 설치된다.
상기 핀홀식 렌즈의 결상 장치의 화상은 광전 변환기(예를 들면, CCD 이미지 센서 또는 CM0S 이미지 센서 등)에 의해 전자 화상 신호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조가 채용되기 때문에, 광선이 핀홀식 개구 스로틀의 스로틀을 통과할 때, 원방의 물체가 발하여 광학 시스템에 진입한 광선의 결상 및 근방의 물체가 발하여 광학 시스템에 진입한 광선의 결상은 모두 선명하고, 거리가 다른 피사체의 화상 전부를 동시에 선명하게 할 수 있는 특성을 갖추고, 그와 동시에, 핀홀의 전후단에 설치되는 광학 렌즈에 의해 일반의 핀홀의 일그러짐이 큰 결점도 극복되고 있기 때문에, 센서 소자의 전감광면적에 본 발명의 결상 장치가 결 상한 화상을 수용하는 작용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오토 포커스 시스템 메카니즘이나 수동 핀트 맞춤 시스템 메카니즘은 필요하지 않고, 구조는 간단하고, 사이즈는 콤팩트하고, 사용 수명은 길고, 비용은 저렴하다는 이점이 갖추고 있기 때문에, 소형 촬상 장치, 휴대식 전화기(휴대 전화), 모바일식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 및 그 보조 장치로의 설치·사용에 적합한 결상 장치로 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첨부도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핀홀식 결상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핀홀식 결상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조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핀홀식 결상 장치를 배치한 휴대 전화의 구조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핀홀식 결상 장치를 배치한 휴대 전화의 핀홀식 결상 장치 부분의 구조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최적 효과가 얻어지는 핀홀 개구 스로틀의 직경에 대해서, 발명자는 이론적 분석연구를 기초로 하여, 일련의 핀홀 직경 선택 실험을 실시하였다. 직경은 0.5mm, 0.6mm, 0.7mm, 0.8mm, 0.9mm, 1.0mm이며, 핀홀의 깊이는 1.0mm 내지 3.0mm로 설정하고, 실내의 휘도는 100룩스로 한 후에, 상응의 핀홀을 통하여 촬영된 화상의 밝기, 일그러짐, 선명함에 관해서 관찰하였다. 상세한 것은 표 1에 제시된 실험 결과와 같다.
핀홀의 개구직경 화상의 밝기 화상의 일그러짐 화상의 날카로움
0.5mm ×
0.6mm
0.7mm
0.8mm
0.9mm
1.0mm
핀홀의 개구직경을 0.7mm 이하로 설정한 경우, 거기서 얻어지는 화상은 선명하다. 그러나 일그러짐이 발생함과 동시에, 광량 부족에 의해 밝기가 부족한 화상이 얻어졌다. 핀홀의 개구직경을 0.9mm 이상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화상이 흐려지고 있었다. 그 원인은 개구직경이 과도하게 크기 때문에, 핀홀 내에서 빛이 산란하여 버리기 때문이다. 핀홀의 개구직경을 0.8mm 전후로 설정한 경우, 얻어진 화상은 충분한 광량을 얻고 있기 때문에, 일그러짐이 없는 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 분석실험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핀홀의 개구직경은 0.7 내지 0.9mm이고, 0.8mm의 경우에 얻어진 화상이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것은 2개의 광학 렌즈의 핀홀식 결상 장치이며, 본체(5)의 선단에 직경이 0.8mm인 핀홀(4)이 천공되고, 핀홀(4)의 깊이는 2mm이다. 핀홀(4)의 후단은 확장되어 직경이 큰 렌즈통(51)으로 되고, 렌즈통(51)의 후단은 더욱 확장되어 직경이 큰 광전 변환 센서(1)의 수납 공간(52)으로 된다. 광학 렌즈(3,2)는 차례로 본체 후부로부터 렌즈통(51)내에 끼워지고, 광전 변환 센서(1)는 수납 공간(52)내에 배치된다. 본체(5)는 불투과 재료를 일체 성형하여 제작되고, 상기 핀홀 이외로부터의 광선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광벽을 형성하고 있다.
사용할 때, 시야범위 내의 피사체가 발하는 광선(촬영대상 및 배경)은 핀홀(4)을 통하여 광학 렌즈(3)에 입사하고, 광학 렌즈(3,2)에서 집속(集束)된 후에, 광전 변환 센서(1)상에 결상한다. 핀홀 유닛의 직경치수가 0.8mm이기 때문에, 핀홀결상원리에 기초하여, 거리가 상기 결상 장치에 매우 접근한 물체 및 거리가 상기 결상 장치와 매우 먼 물체가 선명한 화상이 동시에 광전 변환 센서(1)상에 결상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그 외 결상 장치에서는 일정 고정 촬영 거리의 물체 이외에 대하여, 그 선명한 결상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는 해결된다.
(제 2 실시예)
도 2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핀홀식 결상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고,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2개의 광학 렌즈(2,3)가 각각 핀홀(4)의 전후 양단에 설치된다는 점이다. 광학 렌즈(2)는 본체(5)의 선단에 끼워져 있고, 그 후에는 동축에서 직경 0.75mm의 핀홀(4)이 천공되고, 핀홀(4)의 깊이는 3mm이다. 핀홀(4)의 후단은 확장되어 직경이 큰 렌즈통(51)으로 되고, 렌즈통(51)의 후단은 더욱 확장되어 직경이 큰 광전 변환 센서(1)의 수납 공간(52)으로 된된(1)는 수납 공간(52)내에 배치된다. 본체(5)는 불투과 재료를 일체 성형하여 제작되고 있고, 상기 핀홀 이외로부터의 광선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광벽을 형성하고 있다.
(제 3 실시예)
도 3, 4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핀홀식 결상 장치를 응용한 휴대 전화 결상 장치의 실시예이다.
휴대 전화는 표시 유닛(11), 조작 유닛(12), 핀홀 유닛(15)을 갖고 케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된다.
핀홀 유닛(15)에 대하여, 그 상단에는 직경 0.8mm의 핀홀(19)이 천공되고, 볼록 렌즈(16)가 핀홀식 개구 스로틀의 피사체의 방향과는 반대의 면에 끼워져 있다. 핀홀 유닛(15)의 하방의 일부분에는 CCD 이미지 센서의 수납 공간이 확정되고, CCD 이미지 센서(18)에는 필터 유리(181), 센서 유닛(182)이 포함되고, 센서 유닛(182)은 주기판(17)상에 고정되고, 필터 유리(181)는 센서 유닛(182)의 상방에 배치된다.
휴대 전화의 주기판(17)상으로는 상응의 CCD 이미지 센서(18)가 촬영한 화상 신호 내로부터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거나, 또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 유닛(11)상에 표시하기 위해서 변환하는 신호 처리 회로가 설치된다.
센서 유닛(182)의 전면적을 유효 이용하기 위해서, 핀홀 유닛(15)의 후에는 편측 비구면의 볼록 렌즈(16)가 끼워져 있고, 그것에 의해서 광선이 집속된다. 상기 볼록 렌즈(16)는 플라스틱, 경질 유리 등의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CCD 이미지 센서(18)에 설치되는 유리 부분(181)에는, 광량(자외선량)에 따라서 변색하는 유리 커버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인 유리를 사용한 경우에, 볼록 렌즈(16)로부터 입사한 빛의 작용에 의해 소결(갈색으로 변색) 현상이 발생하여, 화질이 저하할 뿐만 아니라, CCD 이미지 센서(18)의 사용 수명도 짧아지기 때문에, 그것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사용시에는 휴대 전화상의 핀홀 유닛(15)을 통하여 들어간 가시광(촬영대상 및 배경)이 볼록 렌즈(16)에 입사하고, 상기 볼록 렌즈(16)에 의해 무초점상태하에서 휴대 전화의 주기판(17)상에 설치되는 CCD 이미지 센서(18)의 유리 부분(181)을 경유하여 센서 유닛(182)에 입사한다. 신호 처리 회로를 통하여, 화상은 즉시 표시 유닛(11)상에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고, 휴대 전화의 칩 내에 기억할 수도 있다.
핀홀 유닛(15)은 직경 0.8mm의 핀홀 개구 스로틀이기 때문에, 거리가 휴대 전화에 매우 접근한 물체 및 거리가 휴대 전화와 매우 먼 물체가 선명한 화상을 동시에 센서(18)상에 결상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표시 유닛(11)상에 명료하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정보 단말 장치의 개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에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를, 도 6에는 모바일 컴퓨터를, 각각 도시한다. 또, 케이스 내부에서의 기본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500)의 경우, 핀홀부(501)를 액정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모바일 컴퓨터(600)의 경우, 핀홀부(601)를 액정 디스플레이의 좌횡(左橫)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들의 핀홀부(501, 601)를 설치하는 위치는, 반드시 도시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핀홀부를 통하여 촬상된 화상은, 충분한 밝기를 유지하면서,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관계없이 날카롭고 일그러짐이 없는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핀홀부의 설치위치를 설계단계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 설계의 자유도를 대폭 늘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선이 핀홀식 개구 스로틀의 스로틀을 통과할 때, 원방의 물체가 발하여 광학 시스템에 진입한 광선의 결상 및 근방의 물체가 발하여 광학 시스템에 진입한 광선의 결상은 모두 선명하기 때문에, 거리가 다른 피사체의 화상전부를 동시에 선명하게 할 수 있다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고, 그것과 동시에, 핀홀의 전후단에 설치되는 광학 렌즈에 의해 일반의 핀홀의 일그러짐이 크다는 결점도 극복되고 있기 때문에, 센서 소자의 전감광면적에 본 발명의 결상 장치가 결상한 화상을 수용하는 작용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 제한한 실시예이고, 본 발명의 설계 구상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광학적 결상 작용을 필요로 하는 제품/설비 또는 계량기에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구상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한 비본질적인 변경은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침범하는 행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소형 촬상 장치, 휴대식 전화기(휴대 전화), 모바일식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 및 그 보조 장치로의 설치·사용에 적합한 결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광선이 광학 시스템에 진입하여 결상을 구성하는 것을 허용하고, 홀 직경이 0.5mm 내지 0.9mm인 핀홀식 개구 스로틀과, 상기 핀홀 이외로부터의 광선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광벽과,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에 적합되는 적어도 1개의 광학 렌즈와, 차광벽으로부터 연신되는 광학 렌즈 고정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식 결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렌즈는 1개이며,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의 피사체 방향과는 반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식 결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렌즈는 2개이며, 차례로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의 피사체 방향과는 반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식 결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렌즈는 2개이며, 1개는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의 피사체 방향과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다른 1개는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의 피사체 방향에 면하는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식 결상 장치.
  5. 케이스의 일부분상에 핀홀식 결상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결상 장치에는, 광선이 광학 시스템에 진입하여 결상을 구성하는 것을 허용하고 홀 직경이 0.5mm 내 지 0.9mm인 핀홀식 개구 스로틀과, 상기 핀홀 이외로부터의 광선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광벽과,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에 적합한 적어도 1개의 광학 렌즈와, 광학 렌즈를 고정 및 장착시키기 위한 렌즈 프레임 구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식 렌즈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광전 변환 센서를 추가로 가지며, 그것은 CCD 이미지 센서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로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식 렌즈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변환 센서의 화상 수취 속도를 전환하는 전환 장치를 추가로 가지며, 그것은 CCD 이미지 센서 또는 CM0S 이미지 센서로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식 렌즈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렌즈는 2개이며, 차례로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과 광전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고, 렌즈 프레임 구조상에 고정되거나, 또는 1개는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과 광전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고, 다른 1개는 피사체 방향에서 핀홀식 개구 스로틀의 선단에 설치되고, 각각 렌즈 프레임 구조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식 렌즈 시스템.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렌즈는 1개이며, 상기 핀홀식 개구 스로틀과 광전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식 렌 즈 시스템.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소형 촬상 장치, 휴대 전화, 모바일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 및 그 보조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홀식 렌즈 시스템.
KR1020060024758A 2005-11-22 2006-03-17 핀홀식 결상 장치 KR20070054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37446 2005-11-22
JP2005337446A JP2007140389A (ja) 2005-11-22 2005-11-22 ピンホール式結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073A true KR20070054073A (ko) 2007-05-28

Family

ID=3658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758A KR20070054073A (ko) 2005-11-22 2006-03-17 핀홀식 결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788428A1 (ko)
JP (1) JP2007140389A (ko)
KR (1) KR20070054073A (ko)
TW (1) TW2007208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4872B2 (en) * 2017-06-27 2020-04-28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5212A (ja) * 1988-03-28 1989-09-29 Sony Corp 固定焦点レンズ
JP2650309B2 (ja) * 1988-03-28 1997-09-03 ソニー株式会社 固定焦点レンズ
JPH1169208A (ja) * 1997-08-21 1999-03-09 Kanagawa Chikudenchi Kk ピンホールビデオカメラ
JP2004274365A (ja) * 2003-03-07 2004-09-30 Harada Techno Co Ltd 情報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20814A (en) 2007-06-01
JP2007140389A (ja) 2007-06-07
EP1788428A1 (en)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879B1 (ko) 연성 인쇄 회로 연장부를 구비한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US20240027880A1 (en) Imaging lens assembly module,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01771816A (zh) 便携式电子装置及成像方法
US20220252824A1 (en) Imaging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10976639B2 (en) Lens assembly driv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130127780A (ko) 카메라 모듈
US20220132008A1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10351405A (zh) 一种具有微观成像功能的移动通讯设备
KR102645837B1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1338064A (zh) 一种小型化的高成像质量的近距离成像模组
KR20070054073A (ko) 핀홀식 결상 장치
KR20180009969A (ko) 슬라이딩셔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KR102620517B1 (ko) 카메라 모듈
CN113114918B (zh) 一种摄像头及电子设备
CN212009127U (zh) 一种小型化的高成像质量的近距离成像模组
JP3118835U (ja) ピンホール式結像装置
US20070152134A1 (en) Pinhole type imaging device
CN110826540A (zh) 光学指纹模组及终端
CN2849752Y (zh) 一种针孔式成像装置
US7342220B2 (en) Lens assembly having focal length adjustable by a spacer for obtaining an image of an object
US20190253590A1 (en) Camera Module
KR101036365B1 (ko) 카메라 모듈
CN112188045A (zh) 摄像模组及终端
JP2005018017A (ja) レンズ移動機構、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EP4145190A2 (en) Camera module,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