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992A -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 Google Patents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992A
KR20070053992A KR1020050111911A KR20050111911A KR20070053992A KR 20070053992 A KR20070053992 A KR 20070053992A KR 1020050111911 A KR1020050111911 A KR 1020050111911A KR 20050111911 A KR20050111911 A KR 20050111911A KR 20070053992 A KR20070053992 A KR 20070053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scharge
discharge cell
plasma displa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8576B1 (ko
Inventor
임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576B1/ko
Priority to JP2006276873A priority patent/JP2007141818A/ja
Priority to CNA2006101723925A priority patent/CN1971828A/zh
Priority to EP06255959A priority patent/EP1788609A3/en
Priority to US11/603,193 priority patent/US20070114938A1/en
Publication of KR2007005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6Addres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6Disposition of electrodes with respect to cell parameters, e.g. electrodes within the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방전셀 가운데 서로 인접한 3개의 방전셀이 삼각형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 있어서, 기판면과 나란한 면 내에서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들에는 하나의 화소당 상기 전극군 가운데 하나이며 상기 제1 방향과 일정 각을 이루는 어드레스 전극이 평균 1.5개씩 대응 또는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이 개시된다.
이런 본 발명에 따르면, 같은 수평 해상도 표시에서 어드레스 전극 및 그 구동에 필요한 구동회로 칩의 갯수를 줄일 수 있어 전체 소비 전력과 발열량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for increasing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pixel}
도1은 종래의 매트릭스 형태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일 예에서 각 화소별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2는 종래의 육각 방전셀 삼각형 배열을 가진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일 예에서 각 화소별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격벽 125,225: 가지전극
313: 버스전극 315: 투명전극
A(Am+1...): 어드레스 전극 X(XN +1...): 공통(유지)전극
Y(YM +1....): 스캔(유지) 전극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배열과 격벽 구조를 통해 화소의 집적도를 높이기에 적합한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대향하는 두 개의 기판 사이에 격벽 및 구동 전극을 형성하고,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겹쳐 내부에 방전 가스를 주입한 후 밀봉하여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 이하 패널과 혼용함)을 이용한 평판형 표시장치를 말한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한 뒤, 패널의 각 전극과 연결되는 구동 회로 등 화면 구현에 필요한 요소들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서는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수많은 화소가 종횡으로 주기적,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서 각 화소는 그 구동을 위한 능동 소자 없이 단순히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 즉, 수동 매트릭스 방식으로 구동된다. 각 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 신호의 형태에 따라 플라즈마 표시 패널은 직류형과 교류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방전 전압이 인가되는 두 전극의 배치에 따라 대향형, 면방전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교류형의 경우, 전극이 유전체층으로 덮이므로 자연스럽게 정전용량을 가지게 되며, 전극을 흐르는 전류가 제한되고, 방전시의 이온충격으로부터 전극 보호가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전극 수명도 길어지는 이점이 있다. 통상의 교류 면방전형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서, 두 기판 가운데 한 쪽의 내측에 면방전형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서 다수의 어드레스 전극이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형성된다. 같은 기판이나 다른 기판의 내측에 유지 전극 또는 표시 전극으로 통칭될 수 있는 공통 전극과 주사 전극은 서로 번갈아 가면서 서로 평행하게 수평으로 형성된다.
흔히 매트릭스 형태라 하는 화소의 배열은 격벽과 전극의 형성에 의해 구체적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컬러 화소는 대개 다른 색의 가시광을 내는 3개의 방전셀이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화소는 3개가 나란히 배열되거나, 삼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고, 방전셀은 4각, 6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격벽은 어드레스 전극과 나란히 열방향으로만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 스트라이프형, 행방향과 열방향으로 이루어져 한 셀을 구획하는 격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의 혼합 구성으로 스트라이프 격벽 사이의 폭이 좁아지고 넓어짐을 반복하여 넓어진 구간에 방전셀을 이루는 미앤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도1은 종래의 매트릭스 형태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일 예에서 각 화소별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2는 종래의 육각 방전셀 삼각형 배열을 가진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일 예에서 각 화소별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들 종래의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서 세개의 방전셀로 이루어지는 1개의 화소마다 종으로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A) 3개가 지나가게 된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와 관련하여, 화질을 높이기 위해 고정세화, 고휘도화 기술 개발이 계속적으로 이 루어지고 있다. 현실에서 고정세 화면을 이루기 위해서는 횡으로 배열된 화소수와 화소 밀도도 늘어나고, 어드레스 전극(A:Am...Am+11)의 갯수도 따라서 증가되게 된다.
그러나, 어드레스 전극이 늘어나면 유지전극(X,Y)과 달리 어드레스 전극의 특성상 소모되는 전력도 커지고, 발열량이 높아진다. 특히, 어드레스 전극(A) 갯수가 늘어나면서 어드레스 전극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기생 캐퍼시턴스 증가로 인하여 전력소모와 발열량도 급격히 증가하고, 신호 특성도 나빠질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 전극 수가 늘어나면 대개 어드레스 전극의 구동에 필요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같은 고가 부품의 사용도 늘어나고 구동보드 설계가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현상은 모두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설계와 제작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해상도, 혹은 화소수를 유지하면서 어드레스 전극의 갯수를 줄이는 기술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같은 화소 수를 유지하면서도 이들 화소 구동에 필요한 어드레스 전극의 갯수를 줄일 수 있는 전극 구조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같은 정도의 화소밀도를 유지하면서도 전력 소모와 부품 가격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의 플라즈마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플라즈마 표시 패널은,
두 기판과 이들 두 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 두 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방전셀을 이루도록 하는 격벽, 이들 두 기판 및 격벽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방전셀에 방전을 유도하는 전극군, 방전셀 공간을 채우는 방전 가스를 구비하며, 방전셀 가운데 서로 인접한 3개의 방전셀이 삼각형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 있어서,
기판면과 나란한 면 내에서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들에는 하나의 화소당 상기 전극군 가운데 하나이며 상기 제1 방향과 일정 각을 이루는 어드레스 전극이 평균 1.5개씩 대응 또는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화소는 서로 인접한 3개의 방전셀이 삼각형 가운데 델타형 또는 나블라형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들로 이루어지는 화소 행은 상기 델타형으로 배열된 화소와 상기 나블라형으로 배열된 화소가 번갈아가면서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화소 각각에는 어드레스 전극이 2개가 지나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기판과 나란한 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일정 각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 2개의 방전셀 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들 방전셀 행에는 3가지 색채의 광을 방출하는 방전셀이 순차적 주기적으로 배치되 고, 3가지 색채의 광을 방출하는 방전셀 3개가 이루는 전체 폭을 1주기로 할 때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방전셀 행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서로 1/2주기 차이가 나도록 배치되며, 방전셀 행을 이루는 각각의 방전셀에는 어드레스 전극이 하나씩 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어드레스 전극은 통상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기판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볼 때, 격벽 가운데 어드레스 전극과 나란한 수직 격벽 부분 사이로 형성된다. 가령, 어드레스 전극은 격벽 가운데 종방향으로 형성된 격벽과 겹치지 않도록, 서로 가까운 상위 방전셀 행의 종방향 격벽과 하위 방전셀 행의 종방향 격벽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어드레스 전극이 지나는 방전셀 영역 내에는 어드레스 전극으로부터 분기되는 가지 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가지 전극은 방전 영역의 확산과 방전의 확실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어드레스 전극으로부터 각 방전셀의 중앙부를 향하여 분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전셀의 방전을 유도하는 전극군 가운데 유지 전극이 기판에 방전셀들이 모여 이루어지는 화면을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제 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때, 유지 전극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스캔 전극과 공통 전극이 번갈아 가면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전셀은 육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가령, 방전셀은 4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유지 전극은 격벽 가운데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분과 겹치도록 이루어지거나, 방전셀은 육각형으로 이루어지 며, 유지전극은 격벽 가운데 방전셀의 육각형 일부를 이루면서 제 1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부분과 겹치도록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유지 전극의 갯수의 관점에서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들로 이루어지는 화소행 하나에는 평균 하나의 공통 전극과 하나의 스캔 전극이 배정될 수 있다. 이때 유지 전극은 제 2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알리스(ALIS:alternative lightening of surface)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전극군 가운데 공통 전극은 알리스 구동을 위하여 2개의 공통 전극 그룹으로 배분되어 별도의 전압 파형이 인가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3에 따르면, 각 방전셀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상하 위치에 있는 두 행의 3개의 방전셀이 조합되어 삼각형 배열을 하는 화소를 이루게 된다. 하나의 방전셀 행에는 세가지 가시 광선을 방출하는 3 종류의 방전셀, 가령 R,G,B가 차례로 제1 방향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을 기준으로 횡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배열된다. 그 하위 방전셀 행에도 R,G,B가 차례로 주기적으로 배열된다. 단, R,G,B로 이루어진 하나의 폭 주기의 1/2이 제 1 방향 즉, 횡 방향으로 옮겨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위 행의 횡으로 인접한 두 방전셀, 가령 R, G와 이들 방전셀에 함께 접하는 하위행의 방전셀, 가령 B가 형성하는 나블라(▽)형이 하나의 화소를 이루고, 상위 행의 다음 방전셀, 가령 B와 이 방전셀과 접하는 하위 행의 두 개의 방전셀, 가령 R,G가 형성하는 델타(△)형이 횡으로 배열된 다음 화소를 이룬다. 그리고 횡으로 이들 두가지 삼각형태가 주기적 반복되면서 화소의 전체적인 횡 방향 배열을 이룬다.
기판면과 나란한 면 내에서 제 1 방향과 일정 각을 이루는 제 2 방향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종 방향으로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A:Am+1...Am+6)은 하나의 방전셀 행 기준으로 보면 하나의 방전셀에 하나의 어드레스 전극이 할당된다. 그러나, 이를 화소 단위로 보면 제1 방향 가령, 횡 방향으로 형성된 4개의 화소에 모두 6개의 제2 방향 가령, 종 방향으로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A:Am+1...Am+6)이 할당되어 화소당 평균 1.5개의 어드레스 전극이 할당되고 있다. 이는 종래의 도2의 예와 비교할 때 화소당 어드레스 전극의 갯수를 절반으로 줄인 결과가 된다.
어드레스 전극(A)은 방전셀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110)들 가운데 종으로 형성된 격벽들의 사이에 스트라이프 형태를 이루면서 위치하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어드레스 전극은 격벽 가운데 종방향으로 형성된 격벽과 겹치지 않도록, 서로 가까운 상부 행의 종방향 격벽과 하부 행의 종방향 격벽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어드레스 전극에는 방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종단하는 방 전셀의 중심 방향으로 가지 전극(125)이 주된 어드레스 전극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어드레스 전극 내에서 상하의 인접한 가지 전극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물론, 가지 전극(125)의 형태 및 개수, 주된 어드레스 전극과 이루는 각도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상 횡으로 형성되는 유지전극(X,Y)은 각 방전셀 행을 구획하는 횡방향 격벽과 겹치도록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횡방향 격벽이 종 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될 때 공통 전극(X:XN +1..XN +3)과 스캔 전극(Y:YM..YN +3)이 번갈아가면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런 경우, 방전셀 조합에 의해 화소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상하 두개의 방전셀 행을 통해 평균 두 개의 유지 전극, 즉, 하나의 공통 전극과 하나의 스캔 전극이 할당되는 형태가 이루어진다.
한편, 이런 형태의 패널 구조에서 하나의 스캔 전극에 음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어느 어드레스 전극에 양 전압이 인가되면 해당 스캔 전극 상하의 두 방전 셀에서 어드레스 방전이 일어날 수 있고, 이런 경우, 두 화소 사이의 완전한 독립 구동이 이루어질 수 없어 실질적인 수직 해상도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런 문제는 잘 알려져 있는 알리스 구동(ALIS: alternative lightening of surface method)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알리스 구동 방법은 여러 가지 변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각각이 여러 문헌을 통해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알리스 구동을 위해 공통 전극(YM)은 제1 공통전극군(Y2M+1)과 제2 공통전극군(Y2M)으로 나누어져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된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4의 실시예는 대개의 구성이 도3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단, 각 방전셀은 육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행의 3개의 방전셀이 조합되어 삼각형 배열을 하는 화소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도 하나의 방전셀 행에는 세가지 가시 광선을 방출하는 3 종류의 방전셀, 가령 R,G,B가 차례로 주기적으로 배열된다. 그 하위 방전셀 행에도 R,G,B가 차례로 주기적으로 배열된다. 단, R,G,B로 이루어진 하나의 폭 주기의 1/2이 횡으로 옮겨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평면도를 기준으로 종으로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은 하나의 방전셀 행 기준으로 보면 하나의 방전셀에 하나의 어드레스 전극(A)이 할당되고, 화소 단위로 보면 횡으로 형성된 4개의 화소에 모두 6개의 어드레스 전극이 할당되어 화소당 평균 1.5개의 어드레스 전극이 할당되고 있다.
어드레스 전극은 방전셀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들 가운데 종방향으로 형성된 격벽들의 사이에 스트라이프 형태를 이루면서 위치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어드레스 전극(A)은 도면상에서 격벽(110) 가운데 종방향으로 형성된 격벽과 겹치지 않도록, 서로 가까운 상부 행의 종방향 격벽과 하부 행의 종방향 격벽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어드레스 전극에는 어드레스 전극이 종단하는 방전셀의 중심 방향으로 가지 전극(225)이 형성된다. 가지 전극은 어드레스 방전을 방전셀의 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산시키고, 이후 표시 방전을 할 때에도 보다 넓은 공간에서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횡으로 형성되는 유지전극(X,Y)은 육각형 방전셀을 형성하는 격벽의 횡으로 지그재그로 형성된 횡방향 부분과 겹치도록 형성된다. 각 유지 전극(310)은 하나의 재질로 넓은 폭으로 형성되거나, 본 실시예의 유지전극과 같이 중앙의 좁은 폭의 버스 전극(313)과 버스 전극에 접하는 상하 방전셀 중앙부로 일정 폭 확장된 투명전극(315)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횡방향 격벽이 종 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며, 스캔 전극(XN)과 공통 전극(YM)이 번갈아가면서 위치한다. 이런 구성에서도 해당 스캔 전극 상하의 두 방전 셀에서 독립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알리스 구동(ALIS: alternative lightening of surface method)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3 및 도4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화소행과 4개의 화소열, 모두 16개의 화소를 나타내고 있는데, 모두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은 6개, 횡방향으로 형성된 스캔전극은 4개를 가져 그 갯수 비율이 3:2를 이루고 있다. 어드레스 전극과 유지전극의 갯수 비율로는 3:4가 된다.
도3 및 도4와 같은 평면 구성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층구조를 형성하여 이룰 수 있다. 가령, 전극은 패널을 이루는 전면 및 후면 기판 가운데 한 쪽에만 형성될 수 있고, 두 기판에 나누어져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세화 경향에 따라 방전 전극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서 방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두 종류의 유지 전극을 격벽에 형성하여 방전 전극 간의 거리를 증대시킨 롱갭, 대향 방전형 패널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어드레스 전극은 금속층으로 불투명하게 배면 기판에 이루어지고, 그 위로 유전층과 격벽이 형성되고, 그 위로 형광층이 적층되어 배면 기판을 이룰 수 있다. 전면 기판에는 유지전극을 이루는 두 종류의 전극군이 금속 혹은 금속과 인듐 틴 옥사이드(ITO)등 투명 도전막이 형성되고, 그 위에 유전층 및 보호층이 덮일 수 있다. 전극층이나 격벽 등 막의 패턴은 인쇄 혹은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보호막 등은 스퍼터링이나 증착 등 여러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단면 구조 및 형성 방법은 플라즈마 표시 패널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을 가진 이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이 역시 구체적인 형성 방법 기술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 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패널과 다른 격벽 및 전극 구조를 가진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서의 어드레스 전극 수, 구동용 집적회로인 TCP의 수, 어드레스 버퍼 보드의 필요한 수, 어드레스 소비전력, 어드레스 회로 당 발생열, 어드레스 회로당 인가되는 임계 전력치(순시전력), 스캔 전극 수, 스캔 구동회로 수를 이론적인 인자를 통해 비교한 것이다.
이때, 어드레스 전극 당 소비전력과 발생열, 임계전력치는 가장 좋지않은 조건에서의 값이며, 육각 사행 싱글 스캔의 경우를 기준(1)으로 한 비율 값이다.
듀얼 스캔은 어드레스 구동이 상하부 가운데 양쪽에서, 싱글 스캔은 어드레스 구동이 상하부 가운데 한 쪽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스트라이프, 육각 방전셀, 육각 사행(meander)는 방전셀 형태와 관련된 격벽 구조를 나타내며, FHD는 완전 고정세 방식(Full High Definition type)을 나타낸다.
종류/항목 어드레스전극의 수 TCP갯수개당전극수192 필요한 버퍼보드의 수 어드레스 전극당 소비전력 어드레스 전극당 발생열 어드레스 전극당 임계전력 스캔 전극 수 스캔 구동 칩 수
본발명예 FHD 듀얼 스캔 2880 30 2 0.69 0.49 0.35 1080 17
스트라이프 FHD, 듀얼스캔 5760 60 2 1.39 0.49 0.7 1080 17
육각방전셀 FHD, 듀얼스캔 5760 60 2 1.39 0.49 0.7 1080 17
육각 사행 FHD, 싱글 스캔 5760 30 1 2.78 1.98 1.41 1080 17
육각 사행 1366*768 싱글 스캔 4098 21 1 1 1 1 768 12
육각 사행 1280*720 싱글 스캔 3840 20 1 0.82 0.88 0.94 720 12
이상의 표를 통해 본 발명 예가 어드레스 전극 수나 TCP 필요 갯수, 어드레스 전극당 소비 전력, 발열량, 임계전력에서 유리한 점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서 같은 수평 해상도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어드레스 전극 및 그 구동에 필요한 구동회로 칩의 갯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서 가장 많은 전력 소비, 방열량을 차지하는 어드레스 전극의 갯수를 줄여 전체 소비 전력과 발열량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4)

  1. 두 기판과 상기 두 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두 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방전셀을 이루도록 하는 격벽, 상기 두 기판 및 상기 격벽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셀에 방전을 유도하는 전극군, 상기 방전셀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방전셀 공간을 채우는 방전 가스를 구비하며,
    상기 방전셀 가운데 서로 인접한 3개의 방전셀이 삼각형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들에는 하나의 화소당 상기 전극군 가운데 하나이며 상기 기판과 나란한 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일정 각을 이루는 어드레스 전극이 평균 1.5개씩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서로 인접한 3개의 방전셀이 삼각형 가운데 델타형 또는 나블라형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들은 상기 델타형으로 배열된 화소와 상기 나블라형으로 배열된 화소가 번갈아가면서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화소 각각에는 상기 어드레스 전극이 2개가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기판과 나란한 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일정 각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2개의 방전셀 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전셀 행에는 3가지 색채의 광을 방출하는 방전셀이 순차적 주기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3가지 색채의 광을 방출하는 방전셀의 전체 폭을 1주기로 할 때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방전셀 행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서로 1/2주기 차이가 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방전셀 행을 이루는 각각의 방전셀에는 상기 어드레스 전극이 하나씩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은 육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볼 때 상기 격벽 가운데 상기 어드레스 전극과 나란한 수직 격벽 부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이 지나는 상기 방전셀 영역 내에 상기 어드레스 전극으로부터 분기되는 가지 전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 전극은 상기 어드레스 전극으로부터 상기 방전셀의 중앙부를 향하여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군 가운데 유지 전극이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제 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유지 전극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스캔 전극과 공통 전극이 번갈아 가면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은 4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지 전극은 상기 격벽 가운데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분과 겹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은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지전극은 상기 격벽 가운데 상기 제 1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부분과 겹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들로 이루어지는 화소행 하나에는 평균 하나의 공통 전극과 하나의 스캔 전극이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전극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알리스(ALIS:alternative lightening of surface)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은 2개의 공통 전극 그룹으로 배분되어 별도의 전압 파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14. 두 기판과 상기 두 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두 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방전셀을 이루도록 하는 격벽, 상기 두 기판 및 상기 격벽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셀에 방전을 유도하는 전극군, 상기 방전셀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방전셀 공간을 채우는 방전 가스를 구비하며,
    상기 방전셀 가운데 서로 인접한 3개의 방전셀이 삼각형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들에는 하나의 화소당 상기 전극군 가운데 하나이며 상기 기판과 나란한 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일정 각을 이루는 어드레스 전극과, 상기 전극군 가운데 유지 방전에 관계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유지전극의 평균 갯수 비율이 3: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20050111911A 2005-11-22 2005-11-22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78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911A KR100788576B1 (ko) 2005-11-22 2005-11-22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JP2006276873A JP2007141818A (ja) 2005-11-22 2006-10-10 画素の集積度を高めることのできるプラズマ表示パネル
CNA2006101723925A CN1971828A (zh) 2005-11-22 2006-11-22 具有增加像素集成度的等离子体显示面板
EP06255959A EP1788609A3 (en) 2005-11-22 2006-11-22 Plasma display panel with increased integration degree of pixels
US11/603,193 US20070114938A1 (en) 2005-11-22 2006-11-22 Plasma display panel with increased integration degree of pix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911A KR100788576B1 (ko) 2005-11-22 2005-11-22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992A true KR20070053992A (ko) 2007-05-28
KR100788576B1 KR100788576B1 (ko) 2007-12-26

Family

ID=3799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911A KR100788576B1 (ko) 2005-11-22 2005-11-22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14938A1 (ko)
EP (1) EP1788609A3 (ko)
JP (1) JP2007141818A (ko)
KR (1) KR100788576B1 (ko)
CN (1) CN19718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834B1 (ko) * 2005-11-22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색 표시에 적합한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20070121154A (ko) * 2006-06-21 2007-1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00042795A (ko) * 2008-10-17 2010-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213B1 (ko) * 2000-06-26 2003-12-01 황기웅 폐쇄형 화소로 된 델타 칼라 화소들을 가지는 교류형플라즈마 방전표시기
KR20020056443A (ko) * 2000-12-29 2002-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2251165A (ja) * 2001-02-22 2002-09-0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駆動装置、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US6806645B2 (en) * 2001-10-24 2004-10-19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KR20030037293A (ko) * 2001-11-01 200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82325B1 (ko) * 2002-03-14 2005-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U2003208531A1 (en) * 2002-03-19 2003-09-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lasma display panel electrode and phosphor structure
TWI220052B (en) * 2002-11-25 2004-08-0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panel having shared data electrodes
TW579493B (en) * 2003-02-20 2004-03-11 Au Optronics Corp Drive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TW591682B (en) * 2003-08-20 2004-06-11 Au Optronics Corp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
WO2005059943A1 (ja) * 2003-12-17 2005-06-30 Hitachi Plasma Patent Licensing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89341B1 (ko) * 2004-02-25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8878B1 (ko) * 2004-04-29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0769B1 (ko) * 2005-11-15 2007-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8609A3 (en) 2008-10-29
KR100788576B1 (ko) 2007-12-26
US20070114938A1 (en) 2007-05-24
EP1788609A2 (en) 2007-05-23
JP2007141818A (ja) 2007-06-07
CN1971828A (zh)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576B1 (ko)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760769B1 (ko)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JP200219798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122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6630790B2 (en) Plasma display device with reduced display defects
US7199522B2 (en) Plasma discharge method and plasma display using the same
KR2007000634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7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94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465339B2 (ja) 単色表示に適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19677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686821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614406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6802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4489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70518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2007012115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485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275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6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5706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5433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4386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7237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0051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