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851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851B1
KR100684851B1 KR1020050082704A KR20050082704A KR100684851B1 KR 100684851 B1 KR100684851 B1 KR 100684851B1 KR 1020050082704 A KR1020050082704 A KR 1020050082704A KR 20050082704 A KR20050082704 A KR 20050082704A KR 100684851 B1 KR100684851 B1 KR 100684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ells
electrodes
front substrate
address
black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2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6Addres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6Address electrodes
    • H01J2211/26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1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shape
    • H01J2211/365Pattern of the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해상도 구현 시 수반되는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하고,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지며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 사이에서 다수로 구획되고 그 중심이 삼각형상으로 배치되는 방전셀들,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뻗어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및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상기 전면기판 측에 형성되는 흑색 라인 패턴을 포함한다.
플라즈마, 어드레스전극, 소비전력, 주사전극, 화소, 흑색 라인 패턴, 콘트라스트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및 전극배열을 일부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소를 고집적화 하는 화소배열과 전극배열을 가지며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체방전을 통하여 얻어진 플라즈마로부터 방사되는 진공자외선이 형광체를 여기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가시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60인치 이상의 초대형 화면을 불과 10cm 이 내의 두께로 구현할 수 있고, CRT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이므로 색 재현력 및 시야각에 따른 왜곡현상이 없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등에 비해 제조공법이 단순하여 생산성 및 원가 측면에서도 강점을 갖는 TV 및 산업용 평판 디스플레이로 각광 받고 있다.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하여, 3전극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이 3전극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동일 면상에 위치한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포함한 기판과, 이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어드레스전극을 포함한 다른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 방전가스를 충전하고 있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전 여부는 각 라인에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주사전극과 어드레스전극의 방전에 의해 결정되고, 화면을 표시하는 유지방전은 동일 면상에 위치한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발광효율은 소비전력(W)에 대한 광속(lm: lumen)의 비(㏐/W)로 나타난다. 이 발광효율은 방전셀의 크기에 비례한다. 그런데 고집적화로 인하여, 방전셀이 작아지게 되면, 방전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고, 또한 구동전압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발광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비전력, 즉 입력전력은 회로에서 손실되고(회로 효율), 회로로부터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에 인가되는 방전전력은 열 및 기타 방사로 손실되며(방전 효율), 방전에 의한 진공자외선은 내벽 등에 흡수되며(자 외선 효율), 진공자외선이 형광체를 발광시키면서 열을 발생시키고 최종적으로 가시광을 발생시킨다(가시광 효율). 이와 같은 여러 단계들의 각 효율에 의한 종합 효율이 곧 발광효율이 된다.
따라서, 작은 피치의 방전셀들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발이 어렵게 된다. 특히, 42인치 해상도 1920*1080(FHD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극 배열 및 스트라이프형 격벽 구조의 사용이 곤란하다.
이 스트라이프형 격벽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전셀은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은 방전셀 내에서 서로 대향하면서 방전 갭을 형성한다.
이 경우, 1개의 화소(pixel)는 방전셀들 중 서로 인접한 적색, 녹색, 청색의 방전셀들, 즉 3개의 부화소들(subpixel)로 구성된다. 이때, 어드레스전극들은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방전셀들 각각을 지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각 화소 당 3개씩의 어드레스전극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점차 고해상도의 추세로 발전함에 따라, 각 방전셀들을 지나는 어드레스전극들 간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진다.
이에 따라 이웃한 어드레스전극들 간의 커패시턴스(C) 값이 증가하면서 필연적으로 에너지(=CV2f) 소모가 증가할 수밖에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해상도 구현 시 수반되는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하고,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지며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 사이에서 다수로 구획되고 그 중심이 삼각형상으로 배치되는 방전셀들, 및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뻗어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을 포함한다. 이때,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는 복수의 방전셀들 중 적어도 2개의 방전셀들은 1개의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대응한다. 그리고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상기 전면기판 측에 형성되는 흑색 라인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각 방전셀들은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전셀에 대응하는 각 흑색 라인 패턴은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방전셀들의 경계의 연장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웃한 상기 방전셀들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흑색 라인 패턴들의 경계의 연장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웃한 상기 흑색 라인 패턴들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상기 방전셀들 중 2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어드레스전극에 대응되는 2개의 방전셀들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체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은 상기 배면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어드레스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이격되고, 상기 전면기판 측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뻗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나란히 배치되는 유지전극들과 주사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의 화소에는 2개의 상기 어드레스전극들과 2개의 상기 주사전극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어드레스전극은 나머지 1개의 상기 방전셀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주사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주사전극은 나머지 1개의 상기 방전셀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유지전극들 및 주사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는 버스전극과, 상기 버스전극보다 넓은 폭으로 상기 버스전극을 따라 뻗어 형성되는 투명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흑색 라인 패턴은 상기 전면기판의 내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기판에서, 상기 흑색 라인 패턴과 상기 투명전극은 동일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흑색 라인 패턴은 상기 격벽의 선폭과 같은 크기의 선폭 또는 상기 격벽의 선폭보다 작은 크기 선폭을 가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색, 녹색, 청색의 가시광을 각각 발생시키는 3개의 부화소들(subpixel)이 삼각형상으로 배열되어 한 조의 화소(pixel)를 형성하는 이른 바 델타형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 사이에 임의의 간격을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호 봉입되는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30)을 구비한다.
이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30) 사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임의의 패턴으로 화소들(120)을 구획하는 격벽들(23)이 배치된다. 여기서 한 조의 화소(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삼각형상으로 배열되는 3개의 부화소들(120R, 120G, 120B)로 이루어진다.
이 부화소들(120R, 120G, 120B)은 각각 방전셀(18)을 가지고 있는데, 이 방전셀들(18)은 격벽(23)에 의해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 부화소들(120R, 120G, 120B) 각각의 평면형상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격벽(23) 또한 부화소들(120R, 120G, 120B)을 사각형상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각 부화소들(120R, 120G, 120B)이 가지는 방전셀(18)은 상부가 열린 사각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방전셀들(18) 내에는 플라즈마 방전에 필요한 제논(Xe), 네온(Ne) 등을 포함하는 방전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가시광을 각각 발생시키는 부화소들(120R, 120G, 120B)에는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층(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형광체층들(25)은 각 방전셀(18)의 바닥면과 격벽(23)의 측면에 도포되어 있다.
어드레스전극들(15)은 방전셀들(18)에 대응하는 배면기판(10) 상에서, 제1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각각 뻗어 형성되고,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 어드레스전극들(15)은 각 방전셀(18)의 하방(즉, 배면기판과 격벽 사이)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유전층(12)은 이 어드레스전극들(15)을 덮으면서 배면기판(10)의 전면(全面)에 도포된다.
즉, 어드레스전극들(15)은 유전층(12)을 사이에 두고 격벽(23)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유지전극들(32) 및 주사전극들(34)은 어드레스전극들(15)과 전기적으로 이격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호 교차하도록 전면기판(30) 상에서, 제2 방향(도면 의 x축 방향)을 따라 뻗어 형성된다.
이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은 각 방전셀(18) 내에서 서로 대응하여 면 방전 구조의 방전갭을 형성한다. 또한 이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은 제1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배치된다.
이 유지전극(32)은 버스전극(32a)과 투명전극(32b)을 포함하고, 주사전극(34)은 버스전극(34a)과 투명전극(3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투명전극들(32b, 34b)은 전면기판(30)의 내 표면에 x축 방향을 따라 뻗어 형성된다. 이 버스전극들(32a, 34a)은 각각의 투명전극들(32b, 34b)의 내 표면에 x축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다. 이때, 버스전극들(32a, 34a)은 투명전극들(32b, 34b)보다 좁은 선폭을 가진다.
이 버스전극들(32a, 34a)은 우수한 통전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버스전극들(32a, 34a)은 투명전극들(32b, 34b)에 전압을 인가하는 데 소요되는 통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좁은 선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 좁은 선폭을 가지는 버스전극들(32a, 34a)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시, 방전셀(18)에서 발생되는 가시광의 차폐를 최소화한다.
이 투명전극들(32b, 34b)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방전갭은 방전셀(18) 내에서 실질적으로 이 투명전극들(32b, 34b)에 의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2는 도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전면기판(30) 측에는 흑색 라인 패턴(36)이 더 형성된다. 이 흑색 라인 패턴(36)은 외광을 흡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킨다.
또한, 이 흑색 라인 패턴(36)은 전면기판(30)에 다양한 구조 및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전면기판(30)의 내 표면에 흑색 라인 패턴(3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면기판(30)에서 흑색 라인 패턴(36)과 투명전극들(32b, 34b)은 z 축 방향에 대하여 같은 층에 형성된다.
투명전극들(32b, 34b)과 흑색 라인 패턴(36)이 교차되는 부분에서는, 투명전극들(32b, 34b)만 형성되고, 흑색 라인 패턴(36)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도3 참조).
이로 인하여, 개략적으로, 전면기판(30) 측에는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 및 흑색 라인 패턴(36)이 형성 배치되고, 배면기판(10) 측에는 어드레스전극(15)과 격벽(23)이 형성 배치된다.
유전층(38)은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 및 흑색 라인 패턴(36)이 형성된 전면기판(30)의 전면(全面)에 걸쳐 도포된다. 따라서 유전층(38)은 전면기판(30)에 배열되는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 및 흑색 라인 패턴(36)을 매립한다.
이 유전층(38)의 내 표면에는 MgO로 이루어진 보호막(미도시)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및 전극배열을 일부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각 화소(120)에는 2개의 어드레스전극들(15)에 대응된다. 각 화소(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색, 녹색, 청색의 가시광을 각각 발생시키는 3개의 부화소(120R, 120G, 120B)로 구성된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면기판(30)에 구비되는 흑색 라인 패턴(36)은 가시광의 차폐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흑색 라인 패턴(36)은 방전셀(18)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형성된다. 즉 방전셀(18)을 구획하는 격벽(23)은 가시광을 발생시키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흑색 라인 패턴(36)은 콘트라스트 향상과 가시광 차폐의 최소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격벽(23)의 패턴과 유사 내지는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흑색 라인 패턴(36)은 격벽(23)의 선폭과 같은 크기의 선폭 또는 격벽(23)의 선폭보다 작은 크기의 선폭을 가질 수 있다.
1개의 방전셀(18)은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진다. 평면 방향(x-y 평면)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방전셀들(18)은 삼각형으로 배치되는 패턴을 형성한다. 따라서, 흑색 라인 패턴(36)은 1개의 방전셀(18)에 대응하여,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진다. 평면 방향(x-y 평면)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흑색 라인 패턴들(36)은 복수의 방전셀들(18)의 패턴에 대응하여, 삼각형으로 배치되는 패턴을 형성한다.
이 화소(120)를 구성하는 부화소들(120R, 120G, 120B)의 중심들은 삼각형상으로 배치된다. 화소(120)를 구성하는 3개의 부화소들(120R, 120G, 120B) 중에서 2개는 y축 방향으로 나란히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하나의 화소(120)를 구성하는 부화소들(120R, 120G, 120B) 중 적어도 2개는 동일한 어드레스전극(15)에 대응된다. 그리고 이 하나의 화소(120)에는 2개의 주사전극(34)이 대응된다. 즉 하나의 화소(120)를 구성하는 3개의 부화소들(120R, 120G, 120B)은 2개의 어드레스전극(15)과 2개의 주사전극(34)에 의하여 방전 여부가 결정된다.
이 대응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부분에서는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특정 화소(12)를 선택하고, 이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전극(15)과 유지전극(32) 및 주사전극(34)에 대하여 각각 별도의 부호를 사용한다.
즉, y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부화소(120G, 120B)는 하나의 어드레스전극(Am+8)에 대응하고, 나머지 1개의 부화소(120R)는 다른 어드레스전극(Am+7)에 대응한다. 동일한 하나의 어드레스전극(Am+8)에 대응하는 2개의 부화소(120G, 120B)는 서로 다른 색상의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형광체층(25)을 가진다.
또한,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부화소들(120R, 120B)은 하나의 주사전극(Yn+3)에 대응하고, 나머지 1개의 방전셀(18)의 부화소(120G)는 다른 주사전극(Yn+2)에 대응한다. 하나의 주사전극(Yn+3)에 대응하는 2개의 부화소들(120R, 120B)은 서로 다른 색상의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형광체층(25)을 가진다.
이 2개의 주사전극들(Yn+3, Yn+2)에 대응하는 하나의 화소(120)는 유지전극들(Xn+3, Xn+4)에 또한 대응한다. 이 유지전극들(Xn+3, Xn+4)과 주사전극들(Yn+3, Yn+2)은 하나의 화소(120)에서 각각 방전갭을 형성한다.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은 이와 같이 각 화소(12)에 대응하고,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화소들(120)에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 부화소들(120R, 120G, 120B)을 이루는 각 방전셀(18)들은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지고 배열된다. 따라서 이 방절셀들(18)은 4방향으로 변에 의한 경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y축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한 쌍의 방전셀들(18)의 경계의 연장선은 x축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방전셀(18)의 중심을 지난다.
흑색 라인 패턴(36)은 방전셀들(18)의 평면형상의 패턴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각 방전셀들(18)에 대응하는 흑색 라인 패턴(36) 각각은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지고 배열된다. 따라서 이 y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흑색 라인 패턴들(36)의 경계의 연장선은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흑색 라인 패턴들(36)의 중심을 지난다.
하나의 화소(120)를 형성하는 3개의 부화소들(120R, 120G, 120B)의 중심이 삼각형상으로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은 x-y 평면상에서 x축 방향으로 부화소들(120R, 120G, 120B) 중 서로 다른 2가지 화소들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 각각은 3개의 부화소(120R, 120G, 120B)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화소(120)에 대하여 2개씩 배치된다.
여기서 다시,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에 대하여 구별된 부호를 부여하면서 설명한다.
이 주사전극(Yn+3)은 하나의 화소(120)에서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부 화소(120R, 120B)를 지나면서 공통의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다른 주사전극(Yn+2)은 같은 화소(120)에서 1개의 부화소(120G)를 지나면서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주사전극(Yn+2)은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화소(120)의 2개의 부화소(120G, 120B)를 지나면서 상기와 같은 공통의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유지전극(Xn+4)은 주사전극(Yn+3)에 대향하면서 하나의 화소(120)에서 1개의 부화소(120B)에 대응하여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이 유지전극(Xn+4)은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화소(120)의 2개의 부화소(120R, 120G)를 지나면서 상기와 같은 공통의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다른 유지전극(Xn+3)은 하나의 화소(120)에서 나머지 2개의 부화소(120R, 120G)에 대응하여 공통의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이 유지전극(Xn+3)은 y축 방향 양측으로 주사전극(Yn+3)과 다른 주사전극(Yn+2)에 대향한다.
따라서, 주사전극들(34)과 유지전극들(32)은 어드레스전극(15)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각각 한 쌍의 방전셀들(18)을 구동한다.
하나의 화소(120)를 기준으로 보면, 어드레스전극(5)은 2개씩 배치되고, 주사전극(34)도 2개씩 배치된다. 따라서 동일 개수의 화소들(120) 가지면서도 제1 실시예는 종래에 비하여 어드레스전극(15)의 개수를 1/3 감소시킨다.
이 어드레스전극(15)의 개수의 감소는 어드레스전극(15)의 단자 개수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하여 단자부의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어드레스전극(15)의 소비전력이 감소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흑색 라인 패턴(46)의 위치가 다른 차이점을 가진다.
제2 실시예에서, 흑색 라인 패턴(46)은 유전층(38)의 내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흑색 라인 패턴(46)은 방전셀(18)의 평면형상을 결정하는 격벽(23)에 마주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경우에도, 흑색 라인 패턴(46)은 격벽(23)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형성되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면서, 가시광의 차폐를 최소화한다.
제1 실시예는 투명전극들(32b, 34b)을 패터닝 하고, 버스전극(32a, 34a)을 패터닝 하며, 흑색 라인 패턴(36)을 패터닝 한 후, 전체적으로 소성하고, 유전층(38)을 형성하여 또 소성하는 공정을 통하여 전면기판(30)을 제작한다.
이에 비하여, 제2 실시예는 투명전극(32b, 34b)을 패터닝 하고, 버스전극(32a, 34a)을 패터닝 하여, 이들을 먼저 소성하고, 유전층(48)을 형성한 후, 소성하며, 흑색 라인 패턴(46)을 패터닝 한 후, 다시 소성하는 공정을 통하여 전면기판(30)을 제작한다.
제1 실시예는 제2 실시예에 비하여 공정 수가 적은 장점을 가진다. 제2 실시예는 유전층(48)에 흑색 라인 패턴(46)을 형성하므로 투명전극(32b, 34b)과 교차되지 않게 되어 흑색 라인 패턴(46)의 형성 공정이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화소를 구성하는 3개의 부화소 중 2개의 부화소에 하나의 어드레스전극을 대응시켜, 화소 당 어드레스전극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고해상도 구현 시, 수반되는 어드레스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전셀의 패턴에 대응하여 전면기판에 흑색 라인 패턴을 구비하여 외광 흡수율을 증대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지며,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 사이에서 다수로 구획되고, 그 중심이 삼각형상으로 배치되는 방전셀들; 및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뻗어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을 포함하고,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는 복수의 방전셀들 중 적어도 2개의 방전셀들은 1개의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대응하며,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상기 전면기판 측에 형성되는 흑색 라인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흑색 라인 패턴은 상기 전면기판의 내 표면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전셀들은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에 대응하는 각 흑색 라인 패턴은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방전셀들의 경계의 연장선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웃한 상기 방전셀들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열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흑색 라인 패턴들의 경계의 연장선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웃한 상기 흑색 라인 패턴들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열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상기 방전셀들 중 2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어드레스전극에 대응되는 2개의 방전셀들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체층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은 상기 배면기판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이격되고, 상기 전면기판 측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뻗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나란히 배치되는 유지전극들과 주사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는 2개의 상기 어드레스전극들과 2개의 상기 주사전극들이 배치되며,
    상기 하나의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어드레스전극은 나머지 1개의 상기 방전셀에 대응하며,
    상기 하나의 주사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주사전극은 나머지 1개의 상기 방전셀에 대응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들 및 주사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는 버스전극과,
    상기 버스전극보다 넓은 폭으로 상기 버스전극을 따라 뻗어 형성되는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삭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에서, 상기 흑색 라인 패턴과 상기 투명전극은 동일 층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라인 패턴은 상기 격벽의 선폭과 같은 크기의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라인 패턴은 상기 격벽의 선폭보다 작은 크기의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6.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지며,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 사이에서 다수로 구획되고, 그 중심이 삼각형상으로 배치되는 방전셀들;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뻗어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이격되고, 상기 전면기판 측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뻗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나란히 배치되는 유지전극들과 주사전극들; 및
    상기 유지전극들과 상기 주사전극들을 덮으면서 상기 전면기판에 형성되는 유전층을 포함하고,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는 복수의 방전셀들 중 적어도 2개의 방전셀들은 1개의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대응하며,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상기 전면기판 측에 형성되는 흑색 라인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흑색 라인 패턴은 상기 유전층의 내 표면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는 2개의 상기 어드레스전극들과 2개의 상기 주사전극들이 배치되며,
    상기 하나의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어드레스전극은 나머지 1개의 상기 방전셀에 대응하며,
    상기 하나의 주사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주사전극은 나머지 1개의 상기 방전셀에 대응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50082704A 2005-09-06 2005-09-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4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704A KR100684851B1 (ko) 2005-09-06 2005-09-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704A KR100684851B1 (ko) 2005-09-06 2005-09-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851B1 true KR100684851B1 (ko) 2007-02-20

Family

ID=3810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704A KR100684851B1 (ko) 2005-09-06 2005-09-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8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1165A (ja) * 2001-02-15 2002-08-28 Tokyo Yogyo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1165A (ja) * 2001-02-15 2002-08-28 Tokyo Yogyo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3108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11256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22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7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90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7663308B2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5012193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701902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8485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94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9338B1 (ko) 어드레스 전극간 캐패시턴스를 낮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JP200703562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25920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800452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0924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68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94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96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7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07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788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2193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2192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1173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12192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