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519A - 현상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519A
KR20070053519A KR1020050111395A KR20050111395A KR20070053519A KR 20070053519 A KR20070053519 A KR 20070053519A KR 1020050111395 A KR1020050111395 A KR 1020050111395A KR 20050111395 A KR20050111395 A KR 20050111395A KR 20070053519 A KR20070053519 A KR 20070053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ide plate
developing cartridge
developing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3519A/ko
Publication of KR20070053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은, 일측에 충전개구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 상부 하우징 측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양측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및 제2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는 다수의 걸림후크 및 걸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상, 카트리지, 감광체, 하우징, 측면플레이트, 걸림후크, 제한

Description

현상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DEVELOPING CARTRIDG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HOUSING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현상카트리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현상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의 하부 하우징 및 제2측면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의 상부하우징, 하부 하우징 및 제2측면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정면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의 상부하우징, 하부 하우징 및 제2측면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배면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의 상부하우징, 하부 하우징 및 제1측면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정면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하우징 110 : 하부 하우징
120 : 상부 하우징 130 : 제1측면플레이트
140 : 제2측면플레이트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체 상에 토너를 부착시켜 현상시키는 현상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또는 팩스와 같이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매체에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킨 후, 그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소망하는 이미지를 현상한다. 그리고, 감광매체의 현상된 이미지는 감광매체와 전사롤러 사이의 전사닙(transfer nip)으로 통과하는 인쇄용지로 옮겨진 후 정착부에서 인쇄용지에 고착된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카트리지를 구비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현상카트리지의 일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현상카트리지는, 토너 등과 같은 현상제가 저장된 저장공간(11a)을 구비한 하우징(10) 및 이 하우징(10) 내에 일체로 구비된 현상부로 구성되고, 이 현상부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감광드럼(21), 감광드럼(21)을 일정 전위로 대전하는 대전롤러(22),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23), 및 공급롤러(23)에 의해 공급된 토너를 감광드럼(21)의 정전잠상에 부착시켜 현상하는 현상롤러(24)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의 현상카트리지에 적용되는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현상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1a)을 구비한 하부 하우징(11), 하부 하우징(11)의 상부에 체결구를 통해 부착되는 상부 하우징(12), 및 상부 및 하부 하우징(12, 11)의 양측면에 체결구를 통해 부착되는 좌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3)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3)는 현상부의 감광드럼(21), 대전롤러(22), 공급롤러(23), 및 현상롤러(24) 등의 회전축 양단부를 회전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하우징(10)은 하부 하우징(11)에 상부 하우징(11), 측면플레이트(13)가 체결구(미도시)를 통해 단순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하우징(12)의 일측에는 충전개구(12a)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이 충전개구(12a)는 하부 하우징(11)의 저장공간(11a)과 연통하며, 충전개구(12a)에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캡(미도시)이 끼워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10)은 하부 하우징(11)에 상부 하우징(11), 측면 플레이트(13) 등이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구(미도시)를 통해 단순체결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우징(10)의 분리 및 조립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체결구(미도시)의 제거만으로도 하우징(10)의 분리가 너무 쉽게 이루어지게 되면,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공급롤러(13), 현상롤러(14) 등이 이탈되거나 하우징(10) 내에 저장된 토너의 외부 누출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미세한 분말형태로 이루어진 토너가 인체 특 히 폐기관 등으로 유입된 경우에는 인체에 매우 치명적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현상카트리지는 상부 하우징(12)의 일측에서 충전개구(12a)가 외부로 노출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비록 충전개구(12a) 측에 캡(미도시)이 끼워져 있을 지라도 외부 충격에 의해 연질로 이루어진 캡(미도시)이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토너의 외부 누출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우징의 분리 작업에 일정한 제한성을 부여함으로써 하우징의 분리작업이 너무 쉽게 이루어짐을 방지하여 하우징 내의 토너가 외부로 누출됨을 막을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에 구비된 충전개구를 2중으로 밀폐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충전개구를 통해 토너가 외부로 쉽게 누출됨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현상카트리지는,
토너가 저장된 저장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및
토너를 감광체에 부착하여 현상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일측에 충전개구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
상부 하우징 측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양측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는 다수의 걸림후크 및 걸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측면 플레이트는 그 일측면에 충전개구를 덮는 밀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측면플레이트와 상ㆍ하부 하우징은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결정용 돌기 및 위치결정용 홀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측면 플레이트는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체결구를 통해 부착된 후에 상부 하우징에 의해 일부면이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은,
하부 하우징의 일측면에 제2측면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단계;
제2측면 플레이트가 체결된 하부 하우징에 상부 하우징을 결합하는 제2단계; 및
상ㆍ하부 하우징의 타측면에 제1측면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고;
제2단계에서 하부 하우징의 일측면에 결합된 제2측면플레이트의 일부면은 상 부 하우징에 의해 덮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상카트리지는 토너 등과 같은 현상제가 저장된 저장공간(111)을 구비한 하우징(100) 및 이 하우징(100) 내에 일체로 구비된 현상부를 포함한다. 현상부는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감광드럼(21), 감광드럼(21)을 일정 전위로 대전하는 대전롤러(22),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23), 및 공급롤러(23)에 의해 공급된 토너를 감광드럼(21)의 정전잠상에 부착시켜 현상하는 현상롤러(24)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현상카트리지에 적용되는 현상부는 도 1에 도시되고 설명된 형태에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외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저장공간(111)을 구비한 하부 하우징(110),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체결구(미도시)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상부 하우징(120), 및 상ㆍ하부 하우징(120, 110)의 양측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및 제2 측면플레이트(130, 14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격벽에 의해 저장공간(111) 및 장착부(112)로 구획되고, 저장공간(111)에는 토너, 캐리어 등의 현상제 가 저장되며, 현상제의 교반을 위한 교반기(27)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하부 하우징(110)의 장착부(112)에는 상술한 감광드럼(21), 대전롤러(22), 공급롤러(23), 현상롤러(24) 등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 하우징(12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 일측면에 충전개구(122)가 구비되고, 이 충전개구(122)는 하부 하우징(110)의 저장공간(111)과 연통하며, 이 충전개구(122)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캡(미도시)이 분리가능하게 끼워진다.
상ㆍ하부 하우징(120, 110)은 체결구(미도시)를 통해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ㆍ하부 하우징(120, 110)의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걸림홈 및 걸림후크(128, 118)가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고, 이러한 걸림홈 및 걸림후크(128, 118)에 의해 상ㆍ하부 하우징(120, 110)은 그 분리작업에 일정한 제한이 가해져 쉽게 분리됨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의 상ㆍ하부 하우징(120, 110)은 체결구를 통한 단순 체결구조가 아니고, 걸림홈 및 걸림후크(128, 118) 등과 같은 스냅피팅(snap fitting) 형태의 결합구조를 더 부가함으로써 상ㆍ하부 하우징(120, 110)의 분리작업이 체결구의 해체만으로 너무 쉽게 분리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측면플레이트(130, 140)는 감광드럼(21), 대전롤러(22), 공급롤러(23), 현상롤러(24) 등의 각 회전축을 회전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측면플레이트(130)는 상부 하우징(120)의 충전개구(122)를 덮는 밀폐구 (132)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 밀폐구(132)가 상부 하우징(120)의 충전개구(122)를 폐쇄함으로써, 상부 하우징(120)의 충전개구(122)는 2중으로 밀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충전개구(122) 측에 외부적인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충전개구(122)가 쉽게 파손됨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이 충전개구(122)의 파손으로 인한 토너의 외부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측면플레이트(130)와 상ㆍ하부 하우징(120, 110)의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는 위치결정용 돌기(135) 및 위치결정용 홀(145)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결정용 돌기(135) 및 위치결정용 홈(145)은 제1 측면플레이트(130)의 조립 및 분해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측면플레이트(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체결구(미도시) 등을 통해 결합된 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20)의 일측벽면에 의해 그 상부 일부분(140a)이 커버된다(covered). 즉, 제2측면플레이트(140)는 하부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체결되고, 상부 하우징(120)에 의해 그 일부면이 제한됨으로써 제2 측면플레이트(140)의 분해작업에 일정한 제한이 뒤따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100)의 조립 및 분해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제2측면플레이트(140)를 체결구(미도시)를 통해 결합하고, 그런 다음에 상부 하우징(120)을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 측에 복수의 걸림홈 및 걸림후크(128, 118)을 통해 결합시킨다. 이때, 상부 하우징(120)의 일측벽면은 제2측면플레이트(140)의 상부 일부면(A)을 커버한다.
그런 다음, 상ㆍ하부 하우징(120, 110)의 타측면에 제1측면플레이트(130)를 결합함으로써 그 조립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제1측면플레이트(130)의 밀폐구(132)는 상부 하우징(120)의 충전개구(122)를 밀폐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분해작업은 상술한 작업순서를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ㆍ하부 하우징(120, 110), 제1 및 제2 측면플레이트(130, 140)로 이루어진 하우징(100)이 체결구만을 이용한 단순 체결구조가 아니고, 스냅피팅(128, 118)의 결합구조, 제2측면플레이트(140)의 부분 커버구조 등에 의해 각 부품(110, 120, 130, 140)의 분해작업에 일정한 제한이 가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각 부품(110, 120, 130, 140)의 분해 작업에 일정한 제한이 뒤따르게 됨에 따라 하우징(100) 내에 저장된 토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우징의 분리 작업에 일정한 제한성을 부여함으로써 하우징의 분리작업이 너무 쉽게 이루어짐을 방지하여 하우징 내의 토너가 외부로 누출됨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에 구비된 충전개구를 2중으로 밀폐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충전개구를 통해 토너가 외부로 쉽게 누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토너가 저장된 저장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및 토너를 감광체에 부착하여 현상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충전개구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측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양측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는 다수의 걸림후크 및 걸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는 그 일측면에 충전개구를 덮는 밀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와 상ㆍ하부 하우징은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결정용 돌기 및 위치결정용 홀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체결구를 통해 부착된 후에 상기 상부 하우징에 의해 일부면이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5.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ㆍ하부 하우징 및 상ㆍ하부 하우징의 양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면플레이트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면에 제2측면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단계;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가 체결된 하부 하우징에 상기 상부 하우징을 결합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결합된 상ㆍ하부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면에 결합된 제2측면플레이트의 일부면은 상기 상부 하우징에 의해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
KR1020050111395A 2005-11-21 2005-11-21 현상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 KR20070053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395A KR20070053519A (ko) 2005-11-21 2005-11-21 현상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395A KR20070053519A (ko) 2005-11-21 2005-11-21 현상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519A true KR20070053519A (ko) 2007-05-25

Family

ID=3827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395A KR20070053519A (ko) 2005-11-21 2005-11-21 현상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35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8584A (zh) * 2019-09-19 2019-11-22 珠海市源呈数码科技有限公司 显影盒壳体和显影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8584A (zh) * 2019-09-19 2019-11-22 珠海市源呈数码科技有限公司 显影盒壳体和显影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3792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KR20070000521A (ko) 제어보드를 내장한 토너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1561489B2 (en) Seal for an electrophotograhic image forming device
JP5984502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59924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493070B2 (en) Developer an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2275876B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047852B2 (ja) 画像形成装置
EP1560078A1 (en) Fitting construction for a cartrid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a unit
JP2011237607A (ja) シール機構、現像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KR20170086409A (ko) 카트리지
JP2007086384A (ja)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66639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10874033A (zh) 再制造方法
KR20070053519A (ko) 현상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조립방법
JP2011215434A (ja) 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32760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990031B2 (e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eveloping device
US20140133882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471005B2 (en) Developing cartridge positioning portions for relative positioning of developing roller, supply roller and housing
JP2009115973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100071671A (ko)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JPH096110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08821A (ja) 現像装置、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270936A (ja) ブレード部材の取り付け構造並びにそれを用いた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