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080A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080A
KR20070053080A KR1020050132062A KR20050132062A KR20070053080A KR 20070053080 A KR20070053080 A KR 20070053080A KR 1020050132062 A KR1020050132062 A KR 1020050132062A KR 20050132062 A KR20050132062 A KR 20050132062A KR 20070053080 A KR20070053080 A KR 2007005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low path
food waste
pressing plat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출
김규환
Original Assignee
정기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출 filed Critical 정기출
Publication of KR2007005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30B9/0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내에 포함된 오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줄여 보다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를 감량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고 하부에는 밸브가 구비된 배수구가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거름망과, 본체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과, 본체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본체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판과, 뚜껑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압착판에 결합되어 압착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압착판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압착판구동수단은, 뚜껑의 상부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실린더의 상측으로 출입되는 유체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피스톤로드에 의해 압착판과 연결되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상측에 연결되어 실린더로의 유체의 출입을 조절하는 유체공급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쓰레기, 본체, 거름망, 뚜껑, 압착판, 압착판구동수단, 실린더, 피스 톤, 유체공급조절기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CANISTER FOR RECEIVING FOOD WASTE}
도 1은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0 :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0, 110 : 본체 11, 111 : 배수구
13, 113 : 밸브 15, 115 : 걸림턱
20, 120 : 거름망 30, 130 : 뚜껑
40, 140 : 압착판 50, 150 : 압착판구동수단
51, 151 : 실린더 53 : 스프링
55, 155 : 피스톤 60, 160 : 유체공급조절기
61 : 조절기본체 63 : 제 1 유로
65 : 제 2 유로 67 : 제 3 유로
70 : 2위치 2방향 밸브 161 : 조절기본체
163 : 제 4 유로 165 : 제 5 유로
167 : 제 6 유로 169 : 제 7 유로
170 : 2위치 4방향 밸브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 내에 포함된 오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줄여 보다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를 감량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음식물쓰레기의 분리수거가 법제화되고, 음식물쓰레기의 수거기간이 정해짐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의 수거시까지 음식물쓰레기를 수집 및 보관함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음식물쓰레기통(200)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종래의 음식물쓰레기통(200)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며 그 하부에 밸브(213)가 설치된 배수구(211)가 형성되는 본체(210)와, 본체(21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의 구멍(221)이 형성된 거름망(220)과, 본체(210)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230)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음식물쓰레기통(200)의 경우에는, 본체(210) 내부에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빠져나오는 오수가 거름망(220)의 구멍들(221)을 통과한 후 본체(210) 바닥에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인 오수는 밸브(213)를 개방할 경우 배수구(2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오수가 자연적으로 빠져나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이 담겨진 채로 오랜 시간동안 방치하여야만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세균들은 집안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더 나아가 본체(210)의 바닥에 오수가 고인 채로 오랜 시간동안 방치될 경우에는 배수구(211)의 가장자리로 오수가 누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더욱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신안출원 20-1997-0031478호에는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오수가 강제적으로 빠져나오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통이 공지되는데, 이 음식물쓰레기통은, 본통의 내부로 배수판과 보조판과 압착판을 차례대로 수납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배수판과 보조판 상에 음식물쓰레기를 담아두고, 압착판을 손으로 잡고 가압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오수를 강제적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의 음식물쓰레기통의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 위에 배치된 압착판을 손으로 잡고 가압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에 노출되었고, 또한 오수가 튐으로써 손이나 몸에 묻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 내에 포함된 오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줄여 보다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를 감량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고 하부에는 밸브가 구비된 배수구가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거름망과, 본체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과, 본체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본체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판과, 뚜껑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압착판에 결합되어 압착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압착판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압착판구동수단은, 뚜껑의 상부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실린더의 상측으로 출입되는 유체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피스톤로드에 의해 압착판과 연결되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상측에 연결되어 실린더로의 유체의 출입을 조절하는 유체공급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유체공급조절기는, 조정노브가 구비되는 조절기본체와, 조절기본체와 실린더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 1 유로와, 조절기본체와 유체공급원을 연결하는 제 2 유로와, 조절기본체와 유체배출관을 연결하는 제 3 유로와, 조절기본체 내에 설치되며 조정노브의 조작에 따라 제 1 유로와 제 2 유로, 또는 제 1 유로와 제 3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2위치 2방향 밸브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고 하부에는 밸브가 구비된 배수구가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거름망과, 본체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과, 본체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본체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판과, 뚜껑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압착판에 결합되어 압착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압착판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압착판구동수단은, 뚜껑의 상부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피스톤로드에 의해 압착판과 연결되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상,하측에 연결되어 실린더로의 유체의 출입을 조절하는 유체공급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유체공급조절기는, 조정노브가 구비되는 조절기본체와, 조절기본체와 실린더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 4 유로와, 조절기본체와 실린더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 5 유로와, 조절기본체와 유체공급원을 연결하는 제 6 유로와, 조절기본체와 유체배출관을 연결하는 제 7 유로와, 조절기본체 내에 설치되며 조정노브의 조작에 따라 제 4 유로와 제 6 유로 및 제 5 유로와 제 7 유로, 또는 제 4 유로와 제 7 유로 및 제 5 유로와 제 6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2위치 4방향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의 상부 외주면에는 "ㄱ" 형상의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뚜껑의 내주면에는 제 1 걸림부에 맞물려지는 "ㄴ" 형상의 제 2 걸림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의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뚜껑의 내주면에 수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의 하부에는 거름망이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거름망에는 걸림턱으로의 안착시 본체의 바닥면에 접하는 다수의 보강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음식물쓰레기를 비울 경우 거름망이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거름망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의 내주면에는 거름망의 회전시 걸림홈이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의 일 실시예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의 조립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고 하부에는 밸브(13)가 구비된 배수구(11)가 설치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거름망(20)과, 본체(10)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30)과, 본체(10)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본체(10)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판(40)과, 뚜껑(30)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압착판(40)에 결합되어 압착판(4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압착판구동수단(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압착판(30)의 압착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배출된 오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밸브(13)가 구비된 배수구(11)가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는 거름망(20)이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걸림턱(15)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비울 경우에 운반을 위한 손잡이와, 이동용 덮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의 걸림턱(15)에는 거름망(20)이 걸려져 설치되는데, 이 거름망(20)은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오수를 분리하는 것으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원판으로 형성되고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오수만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21)이 형성되며,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거름망(20)에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걸림턱(15)으로의 안착시 본체(10)의 바닥면에 접하는 다수의 보강돌기(2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음식물쓰레기를 비울 경우 거름망(20)이 걸림턱(1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25)이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10)의 내주면에는 거름망(20)의 회전시 걸림홈(25)이 결합되는 다수의 걸림돌기(1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의 상부에는 뚜껑(30)이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뚜껑(30)은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켜 음식물쓰레기에 의한 본체 내의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0)에 대한 뚜껑(30)의 탈부착구조는 매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탈부착구조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부 외주면에 "ㄱ"형상의 제 1 걸림부(19)가 다수개 형성되고 뚜껑(30)의 내주면에 제 1 걸림부(19)에 맞물려지는 "ㄴ" 형상의 제 2 걸림부(31)가 형성되거나,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의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뚜껑(30)의 내주면에 수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되거나,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의 상부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클립이 뚜껑(30)의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에 대한 뚜껑(30)의 탈부착구조가 "ㄱ"형상의 제 1 걸림부(19)와 "ㄴ" 형상의 제 2 걸림부(31)로 형성될 경우에는 뚜껑(30)을 본체(10)의 상부에 덮은 후, 제 2 걸림부(31)가 제 1 걸림부(19)에 걸려지도록 뚜껑(30)을 본체(10)에 대해 약간 회전시키면 된다.
전술한 본체(10) 내에는 압착판(40)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본체(10)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게 되는데, 이 압착판(40)은 차후에 설명될 압착판구동수단(50)에 의해 본체(10) 내에서 상하로, 특히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거름망(20)에 지지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가 거름망(20)의 구멍(21)을 통해 빠져나와 본체(10)의 하부에 고이도록 한다.
전술한 뚜껑(30)에는 압착판구동수단(50)이 결합되는데, 이 압착판구동수단(50)은 그 하단에 결합되는 압착판(40)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거름망(20)에 지지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도록 하는 단동 실린더기구로, 뚜껑(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실린더(51)와, 실린더(51)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피스톤(55)을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53)과, 실린더(51)의 상측으로 출입되는 유체와 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피스톤로드(55a)에 의해 압착판(40)과 연결되는 피스톤(55)과, 실린더(51)의 상측에 연결되어 실린더(51) 내로의 유체의 출입을 조절하는 유체공급조절기(60)를 포함한다.
실린더(51)의 상측에는, 유체공급조절기(60)에 의해 공급되거나 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배출되는 유체의 이동통로인 제 1 유로(63)가 결합되며, 피스톤(55)은 제 1 유로(63)를 통해 출입되는 유체에 의한 압력과 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실린더(51)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피스톤(55)의 외주면에는 유체가 새지 못하도록 오링 및 압착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공급조절기(60)는 조정노브(61a)가 구비되는 조절기본체(61)와, 조절기본체(61)와 실린더(51)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 1 유로(63)와, 조절기본체(61)와 유 체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는 제 2 유로(65)와, 조절기본체(61)와 유체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는 제 3 유로(67)와, 조절기본체(61) 내에 설치되며 조정노브(61a)의 조작에 따라 제 1 유로(63)와 제 2 유로(65), 또는 제 1 유로(63)와 제 3 유로(67)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2위치 2방향 밸브(70)를 포함한다.
유체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제공되는 유체는 압축공기발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 수돗물 또는 유압유 등 다양한 유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가 상수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수돗물일 경우에, 유체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은 하수관일 수 있다.
2위치 2방향 밸브(70)는 일측으로 제 1 유로(63)와 연통되고 타측으로 상호 이격된 제 2 유로(65) 및 제 3 유로(67)와 연통되는 유로절환실(71)과, 유로절환실(71)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몸체(73)와, 조정노브(61a)의 회전에 연동되어 밸브몸체(73)가 제 1 유로(63)와 제 2 유로(65), 또는 제 1 유로(63)와 제 3 유로(67)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밸브몸체(73)를 이동시키는 연동기구(75)를 포함한다.
연동기구(75)는, 조정노브(61a)와 축결합되는 캠(75a)과, 캠(75a)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롤러(75b)와, 유로절환실(71) 내부 타측에서 롤러(75b)와 밸브몸체(73)를 연결하는 로드(75c)를 포함한다. 또한, 유로절환실(71) 내부 일측에는 밸브몸체(73)에 탄성바이어스를 가하는 스프링(7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의 전체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10)로부터 뚜껑(30)을 분리한 후 본체(10) 내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면, 음식물쓰레기는 거름망(20) 상에 지지되어 쌓이게 되며,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이 완료되면 본체(10)에 뚜껑(30)을 결합시킨다.
음식물쓰레기가 본체(10) 내부에 충분히 모아질 경우, 유체공급조절기(60)의 조정노브(61a)를 "압착"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조정노브(61a)에 의하여 캠(75a)이 회전되고, 캠(75a)의 외주면에 밀착된 롤러(75b)는 밸브몸체(73)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유로(63)와 제 2 유로(65)를 연결하게 되고, 이 경우에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제 2 유로(65)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제 1 유로(63)를 통하여 실린더(51)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유체는 피스톤(55)에 유체압을 작용시켜 피스톤(55)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렇게 하방으로 이동된 피스톤(55)은 압착판(4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그 결과 피스톤로드(55a)에 결합된 압착판(40)이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면서 그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를 강제로 빠져나오게 한다. 빠져나온 오수는 거름망(20)을 통하여 몸체(10)의 바닥으로 떨어져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여진 오수는 밸브(13)를 열어서 배수구(11)를 통하여 배수시키면 된다.
한편, 압착판(40)을 몸체(10)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유체공급조절기(60)의 조정노브(61a)를 "분리" 방향으로 돌리면 되는데, 이 경우 조정노브(61a)에 의하여 캠(75a)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밸브몸체(73)에 가해졌던 가압력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유로절환실(71) 내부의 스프링(77)은 밸브몸체(73)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스프링(77)에 의해 이동된 밸브몸체(73)는 제 1 유로(63)와 제 3 유로(67)를 연결함으로써 실린더(51) 내부에 유입되었던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경우, 실린더(51) 내부의 스프링(53)은 피스톤(55)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실린더(51) 내부의 유체는 제 1 유로(63)와 제 3 유로(67)를 차례로 관통하여 유체배출구로 배출된다.
즉, 유체공급조절기(60)의 조정노브(61a)를 "압착" 또는 "분리"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실린더(51)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또는 실린더(51)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압착판구동수단(50)이 작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를 사용할 경우 외부에서 조정노브(61a)만 회전시킴으로써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시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악취나 세균 발생의 주원인이 되는 오수를 강제로 분리시킬 수 있고, 이러한 오수는 밸브(13)를 열어 배수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에는 발생되는 악취를 줄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세균 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고 하부에는 밸브(113)가 구비된 배수구(111)가 설치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거름망(120)과, 본체(110)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 되는 뚜껑(130)과, 본체(110)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본체(110)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판(140)과, 뚜껑(130)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압착판(140)에 결합되어 압착판(14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압착판구동수단(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10), 거름망(120), 뚜껑(130) 및 압착판(14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의 본체(10), 거름망(20), 뚜껑(30) 및 압착판(40)의 구성과 동일하여, 전술한 본체(10), 거름망(20), 뚜껑(30) 및 압착판(40)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는 중복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뚜껑(130)에는 압착판구동수단(150)이 결합되는데, 이 압착판구동수단(150)은 그 하단에 결합되는 압착판(140)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거름망(120)에 지지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도록 하는 복동 실린더기구로, 뚜껑(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실린더(151)와, 실린더(15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피스톤로드(155a)에 의해 압착판(40)과 연결되는 피스톤(155)과, 실린더(155)의 상,하측에 연결되어 실린더(155)로의 유체의 출입을 조절하는 유체공급조절기(160)를 포함한다.
유체공급조절기(160)는, 조정노브(161a)가 구비되는 조절기본체(161)와, 조절기본체(161)와 실린더(151)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 4 유로(163)와, 조절기본체(161)와 실린더(151)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 5 유로(165)와, 조절기본체(161)와 유체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는 제 6 유로(167)와, 조절기본체(161)와 유체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는 제 7 유로(169)와, 조절기본체(161) 내에 설치되 며 조정노브(161a)의 조작에 따라 제 4 유로(163)와 제 6 유로(167) 및 제 5 유로(165)와 제 7 유로(169), 또는 제 4 유로(163)와 제 7 유로(169) 및 제 5 유로(165)와 제 6 유로(167)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2위치 4방향 밸브(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7 유로(169)는 제 4 유로(163) 또는 제 5 유로(165)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유체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제 4 유로(163) 또는 제 5 유로(165)에 연통되도록 분기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위치 4방향 밸브(170)는 일측으로 상호 이격된 제 4 유로(163) 또는 제 5 유로(165)와 연통되고 타측으로 상호 이격된 제 6 유로(167) 및 제 4 유로(169)와 연통되는 유로절환실(171)과, 유로절환실(171)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몸체(173)와, 조정노브(161a)의 회전에 연동되어 밸브몸체(173)가 제 4 유로(163)와 제 6 유로(167) 및 제 5 유로(165)와 제 7 유로(169), 또는 제 4 유로(163)와 제 7 유로(169) 및 제 5 유로(165)와 제 6 유로(167)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밸브몸체(173)를 이동시키는 연동기구(175)를 포함한다.
연동기구(175)는, 조정노브(161a)와 축결합되는 캠(175a)과, 캠(175a)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롤러(175b)와, 유로절환실(171) 내부 타측에서 롤러(175b)와 밸브몸체(173)를 연결하는 로드(175c)를 포함한다. 또한, 유로절환실(171) 내부 일측에는 밸브몸체(173)에 탄성바이어스를 가하는 스프링(17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의 전체 작 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110)로부터 뚜껑(130)을 분리한 후 본체(110) 내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면, 음식물쓰레기는 거름망(120) 상에 지지되어 쌓이게 되며,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이 완료되면 본체(110)에 뚜껑(130)을 결합시킨다.
음식물쓰레기가 본체(110) 내부에 충분히 모아질 경우, 유체공급조절기(160)의 조정노브(161a)를 "압착"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조정노브(161a)에 의하여 캠(175a)이 회전되고, 캠(175a)의 외주면에 밀착된 롤러(175b)는 밸브몸체(173)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4 유로(163)와 제 6 유로(167) 및 제 5 유로(165)와 제 7 유로(169)를 연결하게 되고, 이 경우에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제 6 유로(167)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제 4 유로(163)를 통하여 실린더(151)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유체는 피스톤(155)에 유체압을 작용시켜 피스톤(155)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됨과 동시에 실린더(151)의 하측에 수용된 유체는 제 5 유로(165)와 제 7 유로(169)를 통해 유체배출구로 배출되고, 이렇게 하방으로 이동된 피스톤(155)은 압착판(14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그 결과 피스톤로드(155a)에 결합된 압착판(140)이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면서 그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를 강제로 빠져나오게 한다. 빠져나온 오수는 거름망(120)을 통하여 몸체(110)의 바닥으로 떨어져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여진 오수는 밸브(113)를 열어서 배수구(111)를 통하여 배수시키면 된다.
한편, 압착판(140)을 몸체(110)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유체공급조절기(160)의 조정노브(161a)를 "분리" 방향으로 돌리면 되는데, 이 경우 조정노브(161a)에 의하여 캠(175a)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밸브몸체(173)에 가해졌던 가압력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유로절환실(171) 내부의 스프링(177)은 밸브몸체(173)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스프링(177)에 의해 이동된 밸브몸체(173)는 제 4 유로(163)와 제 7 유로(169) 및 제 5 유로(165)와 제 6 유로(167)를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이 경우에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제 6 유로(167)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제 5 유로(165)를 통하여 실린더(151)의 하측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유체는 피스톤(155)에 유체압을 작용시켜 피스톤(155)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됨과 동시에 실린더(151)의 상측에 수용된 유체는 제 4 유로(163)와 제 7 유로(169)를 통해 유체배출구로 배출된다.
즉, 유체공급조절기(160)의 조정노브(161a)를 "압착" 또는 "분리"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실린더(151)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또는 실린더(151)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압착판구동수단(150)이 작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를 사용할 경우 외부에서 조정노브(161a)만 회전시킴으로써 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시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악취나 세균 발생의 주원인이 되는 오수를 강제로 분리시킬 수 있고, 이러한 오수는 밸브(113)를 열어 배수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에는 발생되는 악취를 줄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세균 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오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줄임과 동시에 세균 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오수를 제거하여 감량한 상태로 음식물쓰레기를 분리수거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수송비용이나 소각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고 하부에는 밸브가 구비된 배수구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거름망;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상기 본체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판; 및
    상기 뚜껑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압착판에 결합되어 상기 압착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압착판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착판구동수단은, 상기 뚜껑의 상부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의 상측으로 출입되는 유체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피스톤로드에 의해 상기 압착판과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의 유체의 출입을 조절하는 유체공급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조절기는, 조정노브가 구비되는 조절기본체와, 상기 조절기본체와 상기 실린더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 1 유로와, 상기 조절기본체와 유체공급원 을 연결하는 제 2 유로와, 상기 조절기본체와 유체배출관을 연결하는 제 3 유로와, 상기 조절기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조정노브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제 2 유로, 또는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제 3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2위치 2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고 하부에는 밸브가 구비된 배수구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거름망;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상기 본체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판; 및
    상기 뚜껑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압착판에 결합되어 상기 압착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압착판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착판구동수단은, 상기 뚜껑의 상부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피스톤로드에 의해 상기 압착판과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상,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의 유체의 출입을 조절하는 유체공급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조절기는, 조정노브가 구비되는 조절기본체와, 상기 조절기본체와 상기 실린더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 4 유로와, 상기 조절기본체와 상기 실린더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 5 유로와, 상기 조절기본체와 유체공급원을 연결하는 제 6 유로와, 상기 조절기본체와 유체배출관을 연결하는 제 7 유로와, 상기 조절기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조정노브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4 유로와 상기 제 6 유로 및 상기 제 5 유로와 상기 제 7 유로, 또는 상기 제 4 유로와 상기 제 7 유로 및 상기 제 5 유로와 상기 제 6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2위치 4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 외주면에는 "ㄱ" 형상의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걸림부에 맞물려지는 "ㄴ" 형상의 제 2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거름망이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에는 상기 걸림턱으로의 안착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접하는 다수의 보강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음식물쓰레기를 비울 경우 상기 거름망이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거름망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거름망의 회전시 상기 걸림홈이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50132062A 2005-11-19 2005-12-28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53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1052 2005-11-19
KR1020050111052 2005-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080A true KR20070053080A (ko) 2007-05-23

Family

ID=3827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062A KR20070053080A (ko) 2005-11-19 2005-12-28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30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0296A (zh) * 2014-12-19 2016-07-13 李柏臻 一种家用厨余垃圾处理装置
CN106267961A (zh) * 2016-09-20 2017-01-04 揭阳海润田生物科技有限公司 用海鱼生物发酵生产鱼蛋白氨基酸液肥的固液分离系统
KR102333309B1 (ko) * 2020-09-17 2021-12-01 구경신 가축분뇨 고형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0296A (zh) * 2014-12-19 2016-07-13 李柏臻 一种家用厨余垃圾处理装置
CN106267961A (zh) * 2016-09-20 2017-01-04 揭阳海润田生物科技有限公司 用海鱼生物发酵生产鱼蛋白氨基酸液肥的固液分离系统
CN106267961B (zh) * 2016-09-20 2018-06-29 揭阳海润田生物科技有限公司 用海鱼生物发酵生产鱼蛋白氨基酸液肥的固液分离系统
KR102333309B1 (ko) * 2020-09-17 2021-12-01 구경신 가축분뇨 고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336B1 (ko) 배수트랩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5308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8716043U (zh) 一种排水垃圾桶
KR20160003461U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70053081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EP2104544A1 (en) Distributor for domestic water filters
KR200246248Y1 (ko) 동재질을 이용한 하수구 정화 장치
KR20041076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1914943U (zh) 一种垃圾干湿分离机用排水装置
KR101307611B1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KR100300676B1 (ko)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KR200331013Y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2053362B1 (ko) 교체방식 절수형 플래시밸브
JP4281964B2 (ja) 浄化槽
KR20070053082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718089Y (zh) 双水源坐便器冲便装置
CN207862046U (zh) 一种可除臭的兽医用污水处理设备
CN209797609U (zh) 一种残渣废水油污自动分离系统
CN208532451U (zh) 一种城市道路污水处理装置
CN207645929U (zh) 一种雨水过滤装置
KR20050035628A (ko) 가변 개폐구조를 갖는 평면 설치용 덮개
KR100225420B1 (ko) 절수형 싱크대
KR200252510Y1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제거를 위한 용기
HU208852B (en) Floor drain for collecting industrial, particularly food-induustrial clumpy di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