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676B1 -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 Google Patents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676B1
KR100300676B1 KR1019980018643A KR19980018643A KR100300676B1 KR 100300676 B1 KR100300676 B1 KR 100300676B1 KR 1019980018643 A KR1019980018643 A KR 1019980018643A KR 19980018643 A KR19980018643 A KR 19980018643A KR 100300676 B1 KR100300676 B1 KR 100300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valve
coupled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937A (ko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전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홍 filed Critical 전기홍
Priority to KR101998001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676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67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 목욕, 샤워를 하면서 생기는 생활하수를 수압으로 압축한 공기의 압력으로 양수하여 재활용하며, 중력 수압 등에 의해 수도꼭지가 사용 직후 폐쇄되면서 많이 절수되게 하고, 생활하수를 양수하여 정화 방출함으로써 하천의 수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발명한 것인데 그 주요 구성은 『자동절수꼭지(1)가 결합된 물통(3)의 상단에 흡기공(4)과 개폐볼(32)이 있는 볼밸브(33)를 결합하고 밀폐된 압축실(9)과 물통(3)사이에 있는 벽면 상단에 개폐볼(5)이 내장된 공지의 볼밸브(6)를 물통(3) 쪽에서 결합하며, 물통(3) 밑에 형성된 나사관(7)의 하단에 수도관(28)을 연결하고, 그 상단에는 L자형관(46)을 결합하되 이 L자형관(46)에 내장된 밸브(49)의 자루(50)에 패킹(47)과 볼트관(48)을 관삽한 다음 볼트관(48)을 L자형관(46)의 나사에 결합하며, 밸브(49)의 자루(50) 끝에 밀대(51)의 고리를 끼우고, 밀대(51)의 나사에 뜸통(52)을 결합하며, 압축실(9)의 바닥 밑에 결합한 개폐볼(11)과 핸들(11')이 있는 개폐밸브(10)의 하단과 생활하수통(24)상단의 외벽면에 형성된 연결관(25)을 배기관(29)으로 연결하며, 생활하수통(24)의 하단 외벽면의 연결관(26)과 뚜껑(27)이 닫힌 정화통(12)의 외벽면 상단에 결합된 선택밸브(18)의 하단을 배수관(31)으로 연결하고, 뚜껑(54)을 닫는 싱크대(21)의 배수관(22)하단에 밀착되는 개폐판(23)을 싱크대(21)밑의 생활하수통(24) 내벽면에 고정시켜서 양수하는 절수꼭지』인데 그 작용효과는 많은 물을 절약하며, 생활하수를 수압 에너지로 양수하여 재활용함으로써 물의 효율을 높이며, 양수된 생활하수를 정화 방출함으로써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본 발명은 세면, 목욕, 샤워, 설거지 등을 하면서 생기는 생활하수를 그 수돗물이 공급될 때의 수압으로 공기를 압축하였다가 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생활하수를 양수한 다음 그대로 재활용하거나 또는 정화 후에 재활용하며, 중력 수압 탄력 등에 의해 수도꼭지가 사용직후 닫지 않아도 저절로 닫히면서 많은 물이 절약되게 하고, 수돗물이 자석 사이로 통과할때, 물에 포함된 자성체를 제거하기 때문에 수돗물의 수질을 개선하며, 생활하수를 양수하여 정화 방출함으로써 하천의 수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발명한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도꼭지는 열어놓게 되면 의도적으로 닫을 때까지 물이 계속 나오기 때문에 많은 물이 낭비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면, 목욕, 샤워, 설거지 등을 하면서 사용되는 수돗물의 생활하수를 재활용하고 싶어도 전력이나 유류를 사용하는 양수기가 없으면 생활하수를 양수할 수 없었으므로 재활용의 불가능은 물론이고, 방출된 생활하수의 전량이 하천의 물을 오염시키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많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도꼭지는 수압, 중력, 탄력 등에 의해 사용직후 자동 폐쇄됨으로써 많은 물을 절약하며, 수돗물이 공급될 때의 수압으로 밀폐된 압축실에 공기를 압축 저장하였다가 그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수돗물의 생활하수를 양수하여 그대로 재활용하거나 또는 깨끗이 정화한 다음 재활용함으로써 물의 효율을 높이며, 수도꼭지마다 발생하는 생활하수를 수압 에너지로 양수하여 깨끗이 정화한 다음 방출하면서 하천의 수질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인데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제2a도는 본 발명 제1도의 AA선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제2b도는 본 발명 제1도의 BB선 종단면도와 작용원리도.
제1도 및 제2a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발명한 한국 특허 제0232376호의 자동절수꼭지(1)나 자동호스를 결합한 물통(3)의 상단에 흡기공(4)이 있는 볼밸브(33)를 결합하고 그 내부에 개폐볼(32)을 내장 시켜서 물통(3)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만 하고 배출할 수 없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밀폐된 압축실(9)과 물통(3)사이의 벽면 상단에는 개폐볼(5)이 내장된 공지의 볼밸브(6)를 도면과 같이 결합하여 물통(3)의 공기가 압축실(9) 쪽으로만 들어가게 구성한다.
물통(3)의 바닥 밑에 형성된 나사관(7) 상단에 L자형관(46)을 나사로 결합하고 이 L자형관(46)의 내부에 자루(50)가 있는 밸브(49)와 패킹(47)을 삽입한 다음, 자루(50)에 관삽한 볼트관(48)을 L자형관(46)의 나사에 결합하여 L자형관(46)과 볼트관(48) 사이로 물이 새지 못하도록 한다.
밸브(49)의 자루(50) 끝에 밀대(51)의 고리를 끼우고 이 밀대(51)의 나사에 뜸통(52)을 결합하여 뜸통(52)의 높낮이를 조정하며, 밀대(51)와 뜸통(52) 및 자루(50)가 물통(3)의 상하벽면에 고정된 보호관(53)의 내부에서 보호되면서 자유롭게 상하운동을 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물통(3)의 내부에 자력(磁力)이 강한 자석(56)을 다수 내장시켜서 자장(磁場)을 형성하여 그 사이로 물이 통과하도록 구성한다.
압축실(9)의 바닥 밑에 개폐볼(11)과 핸들(11')이 있는 공지의 개폐밸브(10)를 결합하고, 개폐밸브(10)하단에 배기관(29)을 연결한다.
정화통(淨化桶)(12)의 내벽면에 배수공(15)이 다수 천공된 배수판(16)을 장착하고 그 위에 생활하수를 깨끗이 정화할 수 있는 공지의 정화제(17)를 내장시킨 다음 뚜껑(27)을 닫는다.
그리고 정화통(12)의 외벽면 상단에 배수관(20)과 개폐용 핸들(19)이 있는 선택밸브(18)를 결합하고 정화통(12)의 하단에는 개폐볼(14)과 핸들(14')이 있는 공지의 개폐밸브(13)를 결합하며 그 끝에 배수관(30)을 연결한다.
정화통(12)의 하단에 본 출원인 발명인 한국특허 제0232376호의 자동호스(40)를 결합 연결한다.
자동호스(40)는 환형턱(43)이 있는 관에 호스(41)를 관삽하고 이 환형턱(43)과 호스(41)를 자동호스(40)의 위에서 삽입하여 그 하한선까지 호스(41)를 잡아당긴 다음 자동호스(40)의 내부에 형성된 환형턱(43)의 상단면에 패킹(44)을 올려놓고 그위에서 밸브(45)의 자루(42)를 삽설하여 밸브(45)의 자루(42)가 호스(41)안에 삽입되도록 한다.
욕조나 세면대, 싱크대(21)의 배수관(22) 하단에는 탄성이 있는 개폐판(23)이 밀착되도록 생활하수통(24) 벽면에 장착하고, 배수관(22)의 상단에는 물이 새지 않도록 뚜껑(54)을 닫는다.
생활하수통(24)의 벽면 상단에 형성된 연결관(25)에는 배기관(29)을 연결하고 생활하수통(24)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관(26)에는 배수관(31)을 연결한다.
수로(水路)를 지그재그로 구성하여 그 길이를 길게 만든 물통(63)의 내부에는 공지의 정화제(64)와 휠터(65)를 내장하며 이들 내장 품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물통(63)의 상단에 다수의 뚜껑(60)(61)(62)을 나사로 결합하여 물이 새지 않게 하고, 물통(63) 상면에 형성된 배수관(8)에 수도관(28)을 연결한다.
물통(3), 압축실(9), 정화통(12), 생활하수통(24), 물통(63)은 분리된 상태로 수로(水路)와 기로(氣路)가 형성되도록 관을 연결해도 되지만 서로 근접할수록 좋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제2a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절수꼭지(1)와 개폐밸브(10)를 닫아서 물통(3)과 압축실(9)이 완전 밀폐된 상태에서 수도관(68)과 물통(63) 및 수도관(28)을 통해 물통(3)으로 수돗물이 공급하였을 때 이 수돗물은 물통(63)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공지의 정화제(64)와 휠터(65)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된 상태에서 물통(3)의 바닥에서부터 물이 고이면서 물통(3)에 있던 공기가 수압에 의해 압축되고, 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3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밸브(33)의 개폐볼(32)은 완전 밀폐된다.
그리고 제3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밸브(6)의 개폐볼(5)이 압축공기에 의해 밀리면서 압축실(9)로 들어가는 압축공기가 압축실(9)안에서 고압으로 저장된다.
물통(3)에 고이는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뜸통(52)이 물의 부력에 의해 부상되면서 밸브(49)가 닫히기 때문에 물이 물통(3)으로 들어갈 수 없게 차단된다.
물통(3)에 물이 고이는 상한선은 뜸통(52)의 높이에 의하여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으며, 그 높이는 밀대(51)에 나사로 결합된 뜸통(52)을 돌려가며 그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물통(3)에 물이 고이게 되면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철분을 비롯한 미세한 자성체가 자석(56)에 부착되면서 자성체가 물에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수질이 개선된다.
제3b도와 같이 자동절수꼭지(1)의 개폐레버(2)를 손이나 그릇을 이용하여표 방향으로 밀어주면 개폐레버(2)의 상단이 들리면서 자루(37)가 들리기 때문에 밸브(35)가 열리면서 물이 나오며 손이나 그릇에 고이게 된다.
필요한 물을 다 받은 다음 개폐레버(2)에서 손이나 그릇을 치우면 작동하였던 모든 부품이 중력과 수압, 탄력 등에 의하여 원상 복귀되며 밸브(35)가 닫히기 때문에 그 순간 물이 멎게 된다.
따라서 물이 나올 필요가 없을 때는 그 순간마다 밸브(35)가 자동으로 닫히면 물이 멎기 때문에 많은 물이 절약된다.
자동절수꼭지(1)를 열어서 물이 나오게 하면 물통(3)의 흡기공(4)으로 공기가 들어가기 때문에 물이 잘 나오게 되는데 이때 나오는 물은 수도관(68)으로 들어온 수돗물이 물통(63)과 물통(3)을 경유하는 동안에 정화제(64), 휠터(65) 및 자석(56)에 의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물었으므로 수질이 개선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자동절수꼭지(1)로 나온 물로 세면, 목욕, 샤워, 설거지, 양치질 등을 하면서 사용된 생활하수는 욕조나 세면대, 싱크대(21) 위에 고여 있다가 뚜껑(54)을 열게 되면 배수관(22) 밑의 개폐판(23)을 밀고 내려가면서 생활하수통(24)에 고이고 개폐판(23)은 그 탄력에 의해 다시 배수관(22)의 하단에 밀착된다.
생활하수통(24)에 고인 생활하수를 양수하기 위하여 개폐볼(11)을 핸들(11')로 돌리면서 개폐밸브(10)를 열면 압축실(9)에 있던 압축공기가 배기관(29)을 통해 생활하수통(24)으로 들어가면서 생활하수의 수면을 누르기 때문에 생활하수가 밀려나면서 배수관(31)을 지나 배수관(20)으로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유류(油類)나 전력 등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수압을 이용하여 압축시킨 압축공기로 양수한 생활하수를 그냥 재활용하려면 배수관(20)으로 나온 물을 그대로 쓰면 된다.
그리고 이 생활하수를 깨끗이 정화한 다음에 재활용하려면 선택밸브(18)의 핸들(19)을 돌려서 생활하수가 정화통(12)의 정화제(17)를 통과하면 생활하수에 포함되어 있던 불순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깨끗이 정화되면서 정화통(12)에 고이게 된다.
정화통(12)의 물을 배수관(30)으로 배수하려면 핸들(14')을 돌리면서 개폐볼(14)을 조작하여 개폐밸브(13)을 열면 된다.
그리고 호스(41)를 들거나표 방향으로 당기면 밸브(45)의 자루(42)가 호스(41)와 같은 방향으로 작동하면서 밸브(45)가 열리며 정화된 물이 호스(41)로 나온다.
양수된 생활하수를 재활용하는 방법은 생활하수의 오염도에 따라 상이하며 그 용도는 다양한데 예를 들면 세면하면서 발생된 생활하수를 양수하였을 때는 그 물로 발을 씻은 다음 걸레를 빨고, 바닥청소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정화통(12)에서 정화된 물이 수세식 양변기로 들어가도록 연결해 두면 대소변의 세척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용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중력, 수압, 탄력 등에 의해 자동 폐쇄되는 자동절수꼭지(1)가 사용직후 폐쇄되기 때문에 많은 물을 절약하며, 전력이나 유류 등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수압으로 압축시킨 압축공기를 축적하였다가 그 압력으로 생활하수를 양수하여 다양하게 재활용함으로써 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생활하수를 양수하여 정화시킨 다음 방출함으로써 하천의 수질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면, 목욕, 샤워, 설거지 등을 하면서 생기는 생활하수(生活下水)를 그 수돗물이 공급될 때의 수압(水壓) 에너지로 공기를 압축하였다가 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생활하수를 양수(揚水)하여 그대로 재활용하거나 또는 정화(淨化)한 다음 재활용하며, 중력 수압 탄력 등에 의해 수도꼭지가 사용직후 닫지 않아도 자동으로 닫히면서 많은 물이 절약되게하고, 수돗물이 자석 사이로 통과할 때, 물에 포함된 자성체를 제거하므로 수돗물의 수질을 개선하며, 생활하수를 양수하여 정화 방출함으로써 하천의 수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발명한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자동절수꼭지(1)가 결합된 물통(3)의 상단에 흡기공(4)과 개폐볼(32)이 있는 볼밸브(33)를 결합하고 밀폐된 압축실(9)과 물통(3)사이의 벽면 상단에 개폐볼(5)이 내장된 볼밸브(6)를 물통(3) 쪽에서 결합하며, 물통(3)의 밑에 형성된 나사관(7)의 하단에 수도관(28)을 연결하고, 그 상단에는 L자형관(46)을 결합하되 이 L자형관(46)에 내장된 밸브(49)의 자루(50)에 패킹(47)과 볼트관(48)을 끼운 다음 볼트관(48)을 L자형관(46)의 나사에 결합하여 그 밖으로 돌출된 밸브(49)의 자루(50)끝에 밀대(51)의 고리를 끼우고, 밀대(51)의 나사에 뜸통(52)을 결합하며, 압축실(9)의 바닥 밑에 결합된 개폐볼(11) 및 핸들(11')이 있는 개폐밸브(10)의 하단과 생활하수통(24)의 상단 외벽면에 형성된 연결관(25)을 배기관(29)으로 연결하며, 생활하수통(24)의 하단 외벽면에 형성된 연결관(26)과 뚜껑(27)이 닫힌 정화통(12)의 외벽면 상단에 결합된 선택밸브(18)하단을 배수관(31)으로 연결하고, 뚜껑(54)을 닫는 싱크대(21)의 배수관(22)하단에 밀착되는 개폐판(23)을 싱크대(21)밑의 생활하수통(24) 내벽면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물통(3)과 보호관(53) 사이에 자석(56)을 다수 내장하고, 정화통(12)이 벽면에 배수공(15)이 다수 천공된 배수판(16)을 장착한 다음 그 위에 정화제(17)를 내장하며, 정화통(12)밑에 결합된 개폐볼(14)과 핸들(14')이 있는 개폐밸브(13)끝에 배수관(30)을 연결하고, 정화통(12)밑에 자동호스(4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KR1019980018643A 1998-05-18 1998-05-18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Expired - Fee Related KR100300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43A KR100300676B1 (ko) 1998-05-18 1998-05-18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43A KR100300676B1 (ko) 1998-05-18 1998-05-18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37A KR19990085937A (ko) 1999-12-15
KR100300676B1 true KR100300676B1 (ko) 2001-11-22

Family

ID=3752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6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0676B1 (ko) 1998-05-18 1998-05-18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656A (ko) * 2001-06-22 2003-01-08 박연수 수압과 기압으로 급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39960A (ko) * 2001-11-15 2003-05-22 박연수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453259B1 (ko) * 2002-07-02 2004-10-15 박연수 수로를 개폐하는 밸브의 레버를 장착하는 방법
CN115108660A (zh) * 2022-07-13 2022-09-27 平安智慧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洗车系统的污水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37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487B1 (ko)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KR100300676B1 (ko)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KR100329838B1 (ko) 생활용수 재활용 장치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CN214614390U (zh) 一种非接触式排水实用拖把池
KR100442447B1 (ko) 양변기용 절수장치
KR100296408B1 (ko) 세면대의오수재활용장치_
KR100505948B1 (ko) 가정폐수 재활용 정화작용 기능기구
KR20010097084A (ko) 슬러지와 유류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432272B1 (ko) 기능성트랩 소재구
CN219240062U (zh) 一种具备污水过滤功能的低噪音洗衣机
CN210766978U (zh) 一种生活用水二次利用的环保卫生洁具
CN2494383Y (zh) 高效家用节水器
KR200240998Y1 (ko) 가정용 오수재생장치
CN212772652U (zh) 一种适用于家庭卫生间的新型节水装置
KR200172008Y1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CN2447400Y (zh) 下水再用式排水装置
KR200318053Y1 (ko) 수세식 변기 세정을 위한 재활용 하수 공급장치
KR200235702Y1 (ko) 화장실 변기 세척을 위한 싱크대 오수 공급 장치
KR20010020980A (ko) 용수 재활용 겸용 양변기장치
CN2740681Y (zh) 家庭生活废水再利用节水装置
KR200280082Y1 (ko) 음식물처리기용 배수관 트랩
KR200321167Y1 (ko) 생활폐수를 재활용하는 욕조세트
KR200266223Y1 (ko)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KR200199547Y1 (ko) 슬러지와 유류를 분리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