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420B1 - 절수형 싱크대 - Google Patents

절수형 싱크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420B1
KR100225420B1 KR1019970013668A KR19970013668A KR100225420B1 KR 100225420 B1 KR100225420 B1 KR 100225420B1 KR 1019970013668 A KR1019970013668 A KR 1019970013668A KR 19970013668 A KR19970013668 A KR 19970013668A KR 100225420 B1 KR100225420 B1 KR 100225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ving
drain
sink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6810A (ko
Inventor
박영근
Original Assignee
박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근 filed Critical 박영근
Priority to KR1019970013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420B1/ko
Publication of KR1998007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4Odour seals with provisions against loss of water lock
    • E03C1/296Odour seals with provisions against loss of water lock using water-suppl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형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단에 물통을 구비한 싱크대몸체(10)와, 상기 물통(11)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15)을 통한 물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물통(11)의 비상배수구(13)를 통해 전달되는 물의 무게에 의해 작동되는 절수유니트(20)와, 상기 물통(11)의 배수구(12)를 하단에서 차단하여주고 완충쇼바(46)와 상기 싱크대몸체(10) 외측에 구비된 별도의 레버(45)에 의해 개폐되는 차폐판(40)과, 상기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에 섞인 오물을 오수와 분리시켜 배출시키는 탈수유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수형 싱크대
본 발명은 절수형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주의나 귀찮음으로 인해 물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 절수형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는 주방의 거의 대부분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물이 많이 사용되고 여러 가지 젖은 쓰레기가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물이 허비되고 지저분하게 된다. 제1도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싱크대의 주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싱크대몸체(1)에는 물이 일시 담겨지는 물통(2)이 있으며, 상기 물통(2)의 저면 중앙에는 사용한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2)의 내측 상단의 일정 높이에는 비상배수구(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비상배수구(4)는 상기 물통(2)에 물이 상기 비상배수구(4)의 높이에 까지 차게 되면 물을 배수하여 물통(2)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수구(3)에는 별도의 착탈식 뚜껑(5)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뚜껑(5)은 상기 물통(2)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설거지 등을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물통(2)에 물을 채우기 위해서는 상기 뚜껑(5)으로 상기 배수구(3)를 막아 물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거지 등을 끝내고 물을 배수할 때에는 상기 뚜껑(5)을 제거하여 배수구(3)를 통해 물을 배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5)은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되어 주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3)의 내부에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쓰레기가 배수되는 물과 함께 하수구로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름구(미도시)를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싱크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비상배수구(4)는 단지 물이 물통으로부터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밖에는 수행하지 않아 물의 낭비를 보다 면밀하게 방지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부주의로 물을 틀어 놓은 상태가 계속되면, 상기 비상배수구(4)를 통해 물이 하수구로 계속 배출되어 물의 낭비가 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5)은 상기 물통(2)에 물을 일정 정도 채운 상태에서 설거지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 뚜껑(5)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설거지 등을 마친 후에 오수와 오물 그리고 그릇 등이 가득 차있는 상기 물통(2)의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 상기 뚜껑(5)을 배수구(3)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주부들이 귀찮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뚜껑(5)을 배수구(3)로부터 제거한 채로, 물을 계속하여 틀어둔 상태로 설거지 등을 하게 되어 많은 물이 낭비된다. 또한, 이와 같이 뚜껑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배수구(3)를 통해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되고 여러 가지 해충이나 병균이 싱크대에 생기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싱크대에서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구로부터 악취가 역류되거나 해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싱크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싱크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싱크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싱크대의 비상배수구를 통해 절수탱크로 물이 전달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싱크대의 배수바아를 당겨 절수탱크에서 물을 배수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싱크대에서 제3도의 상태에 대응되는 절수밸브의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싱크대에서 절수밸브가 수도관을 차단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싱크대에서 절수밸브를 작동시켜 절수탱크의 물을 배수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싱크대에서 개폐레버를 작동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제10도는 및 제11도는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싱크대에서 압착부가 작동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싱크대몸체 11 : 물통
12 : 배수구 13 : 비상배수구
20 : 절수유니트 21 : 절수밸브
21B : 밸브몸체 22 : 승강관
23 : 패킹 24 : 연결관
25 : 절수레버 30 : 절수탱크
31 : 탄지부재 33 : 플로우트
34 : 풀리 35 : 배수바아
40 : 차폐판 41 : 패킹
45 : 작동레버 46 : 받침판
47 : 완충쇼바 48 : 가이드레일
50 : 탈수유니트 51 : 압축통
52 : 탈수피스톤 53 : 구동기어
54 : 걸름체 56 : 브러시
58 : 개폐판 60 : 오물배출부
61 : 집수트레이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단에 물통을 구비한 싱크대몸체와, 상기 물통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을 통한 물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물통의 비상배수구를 통해 전달되는 물의 무게에 의해 작동되는 절수유니트와, 상기 물통의 배수구를 하단에서 차단하여 주고 완충쇼바와 상기 싱크대몸체 외측에 구비된 별도의 레버에 의해 개폐되는 차폐판과,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에 섞인 오물을 오수와 분리시켜 배출시키는 탈수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싱크대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싱크대는 크개 싱크대몸체(10), 절수유니트(20), 차폐판(40) 및 탈수유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싱크대몸체(10)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미도시)을 구비하고,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절수유니트(20), 차폐판(40), 탈수유니트(50)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그 상단에는 다수개의 물통(11)이 구비된다. 상기 물통(11)에는 그 저면에 배수구(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 일측에는 물통(11)에 일정 이상의 물이 채워지면 물을 배수시켜 물통으로부터의 흘러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비상배수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것 이외의 외형은 일반적인 싱크대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절수유니트(20)는 상기 물통(11)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15)을 통한 물흐름을 제어하고 상시 물통(11)의 비상배수구(13)를 통해 전달되는 물의 무게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절수유니트(2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물통(11)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꼭지(16, 16')와 연결되어 있는 수도관(15)의 일측에는 절수밸브(2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절수밸브(21)의 밸브몸체(22B)가 수도관(15)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밸브몸체(21B)에는 그 내부로 승강관(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관(22)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절수바아(25)와 연결판(26)을 통해 연결되어 함께 승강되는 연결관(24)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절수탱크(30)와 연결되어 있고, 그 내부에 로우프(24W)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밸브몸체(21B)의 내부에는 수도관(15)을 통한 물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패킹(2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패킹(23)의 중앙에는 상기 승강관(22)이 관통설치된다. 이때 상기 패킹(23)의 내면과 상기 승강관(22)의 외면은 서로 밀착되어 누수가 방지되도록 된다. 상기 패킹(23)은 상기 승강관(22)을 따라 승강되면서 수도관(15)을 통한 물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절수바아(25)가 상기 연결판(26)을 통해 패킹(23)과 연결설치된다. 상기 절수바아(25)는 상기 밸브몸체(21B)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패킹(23)과 연결되어 일체로 승강된다.
상기 절수바아(25)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24)의 하단부에는 절수탱크(30)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수탱크(30)는 상기 물통(11)의 비상배수구(13)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모여지는 곳으로 그 상단에는 싱크대몸체(10)에 일단부가 연결된 탄지스프링(31)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탄지스프링(31)은 아래에서 설명될 플로우트 (33)와 함께 절수탱크(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절수탱크(30)의 하단에는 배수공(30')과 상기 배수공(30')을 개폐하는 배수판(32)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수판(32)은 상기 절수탱크(30)의 하단에 스프링(32')으로 상기 배수공(30')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지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수탱크(30)의 저면에는 상기 로우프(24W)가 감겨지는 풀리(34)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우프(24W)의 말단부에는 플로우트(3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플로우트(33)는 상기 절수탱크(30)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부력에 의해 절수탱크(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푸시바아(35)가 싱크대몸체(10)의 내부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푸시바아(35)의 타단부는 상기 절수탱크(30)의 상단을 통해 절수탱크(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푸시바아(35)는 상기 절수탱크(30)의 상승에 따라 상기 배수관(32)을 눌러주어 절수탱크(30)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물통(1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12)의 하단에는 차폐판 (4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차폐판(40)은 상기 배수구(12)를 그 하단으로부터 개폐하여 상기 물통(11)에 물을 채울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배수구(12)를 통해 하수구로 물이 흘러들어 가도록 한다. 상기 차폐관(40)은 싱크대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레버(45)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판(40)의 상면에는 상기 배수구 (12)의 패킹(12')과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4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폐판(40)의 선단부에는 상기 차폐판(40)이 배수구(12)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차폐판(40)을 탄지하여 주는 탄지부재(43)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45)와 연결되어 있는 쪽에는 완충쇼바(47)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완충쇼바 (47)는 상기 차폐판(40)이 상기 작동레버(45)에 의해 개방된 후, 상기 탄지부재(43)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배수구(12)를 차폐할 때 상기 차폐판(40)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즉, 상기 완충쇼바(47)의 역할은 물통(11)에 채워진 물이 충분히 배수구(12)를 통해 배수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 주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46은 받침판이고, 48은 상기 차폐판(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다.
상기 탈수유니트(50)는 상기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에 섞인 오물을 오수와 분리시켜 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탈수유니트(50)는 상기 물통(11)의 배수구(12)나 절수탱크(3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전달하는 전달호퍼(18)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탈수유니트(50)에는 상기 전달호퍼(18)와 연통된 압축통(51)이 구비된다. 상기 압축통(51)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탈수피스톤(5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탈수피스톤(52)은 구동레버(53L)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레버(53L)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기어(5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기어(53)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레크(52')가 상기 압축피스톤(52)의 후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축통(51)의 하면에는 걸름체(5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름체(54)는 오수는 통과시키고 오물을 잔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름체(54)의 하단에는 오물에 의해 걸름체(54)가 막히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브러시(56)가 구비된다. 상기 브러시(56)는 상기 구동기어(53)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기어(53)에 의해 회전되는 피동롤러(55)에 감겨지고 상기 브러시(56)에 체결되어 있는 와이어(57)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러시(56)는 상기 탈수피스톤(52)이 작동될 때 함께 작동되면서 상기 걸름체(54)를 청소하여 준다.
상기 압축통(51)의 말단부에는 개폐판(58)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개폐판(58)은 상기 압축통(51)과 오물배출부(60)를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탈수피스톤(52)과 함께 오물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압축된 오물이 오물배출부(60)로 전달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개폐판(58)은 개폐레버(59L)의 회전에 의해 작동된다. 이를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제1와이어(59')가 개폐레버(59L)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이중롤러(59)의 소롤러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개폐판(58)의 상부와 연결되고, 제2와이어(59)가 상기 이중롤러(59)의 대롤러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개폐판(58)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압축통(51)의 하면에 구비된 걸름체(54)의 하단에는 집수트레이(6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집수트레이(61)는 배수파이프(19)를 통해 하수구와 연통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싱크대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절수유니트(20)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상기 비상배수구(13)에까지 물이 차게 되면, 상기 비상배수구(13)를 통해 물이 절수탱크(3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절수탱크(30)에는 물이 채워지게 되고, 이 물의 무게에 의해 절수탱크(30)가 상기 탄지부재(3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아래로 처지게 된다. 이때, 상기 플로우터(33)는 절수탱크(30) 내부에 채워진 물의 부력에 의해 절수탱크(30)의 내부에서 위로 이동되면서 로우프(24W)를 당겨준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절수탱크(30)가 급격하게 아래 방향으로 처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절수탱크(30)와 연결관(24)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절수바아(25)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수바아(25)와 일체로 승강되는 상기 패킹(23)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관(22)을 따라 하강하여 밸브(21)를 통한 물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수도관(15)을 통해 물이 물통(11)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물낭비가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물통(11)의 물을 다 사용한 후, 다시 수도관(15)을 통해 물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즉, 상기 절수바아(25)를 잡아당겨, 제8도과 같이, 상기 절수밸브(21)의 패킹(23)이 밸브몸체(21B)의 최상단까지 상승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절수바아(25)와 연결관(24)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절수탱크(30)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절수탱크(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푸시바아(35)가 상기 절수탱크(30) 하단의 배수판(32)을, 제4도의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러준다. 따라서 상기 절수탱크(30)의 내부에 차있던 물을 배수공(30')을 통해 배수되고, 상기 절수탱크(30)는 상기 탄지부재(31)의 복원력에 의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위치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차폐판(40)과 절수유니트(20)가 작동되어 물을 배수하고 오물을 탈수하여 제거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상기 차폐판(40)이 항상 상시 물통(11)의 배수구(12)를 차단하여 물이 배수구(12)를 통해 흘러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배수구(12)를 통해 하수구의 악취가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물통(11)에 물을 채워 사용하고 그 오수를 배수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작동레버(45)를 일방향으로 돌려준다. 즉, 제9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45)를 돌려주면, 배수구(12)를 차폐하고 있던 차폐판(40)이 배수구(12)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되면 상기 배수구(12)를 통해 오수가 배수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차폐판(40)은 상기 탄지부재(41)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기 배수구(12)를 차폐하게되는데, 상기 차폐판 (40)이 닫혀지는 속도는 상기 완충쇼바(46)에 의해 조절된다. 즉, 상기 물통(11)에 채워져 있던 물이 모두 배수될 수 있을만큼의 여유를 가지고 배수구(12)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사용자가 물통(11)에 있는 오수에 손을 넣어 배수구(12)를 개방하지 않고 단지 작동레버(45)만을 조작하여 배수를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배수구(12)를 통해 배수된 오수와 오물은 전달호퍼(18)를 통해 압축통(51)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오수는 압축통(51)의 걸름체(54)를 통과하여 집수트레이(61)를 통해 하수구로 전달되고,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은 상기 걸름체(54)에 걸려 남아있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레버(53L)를 돌려주면 상기 탈수피스톤(52)이 상기 압축통 (51)을 따라 이동되면서 압축통(51)내에 남아있던 오물을 상기 개폐판(58)에 대고 압축시켜 탈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러시(56)는 상기 탈수피스톤(52)의 구동을 위한 구동레버(53L)의 작동시에 함께 작동되어 상기 걸름체(54) 하단을 청소하여 걸름체 (54)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이와 같이 하여 탈수가 끝나면 상기 개폐레버(59L)를 구동시켜 상기 개폐판 (58)을 상승시키고 상기 탈수된 오물을,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배출부(60)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오물배출부(60)로 배출된 오물은 별도의 분리수거봉투 (미도시)에 담아 배출하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절수탱크를 구비하여 부주의에 의한 물낭비를 방지하고, 물통의 배수구를 차폐판을 사용하여 그 하단에서 개폐하게 구성하였으므로 귀찮음에 의한 물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판이 항상 상기 배수구를 막아주므로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싱크대에서 발생되는 오물을 탈수하여 오수와 별도로 분리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젖은 음식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단에 물통을 구비한 싱크대몸체와, 상기 물통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을 통한 물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물통의 비상배수구를 통해 전달되는 물의 무게와 부력에 의해 작동되는 절수유니트와, 상기 물통의 배수구를 하단에서 차단하여 주고 완충쇼바와 상기 싱크대몸체 외측에 구비된 별도의 레비에 의해 개폐되는 차폐판과,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에 섞인 오물을 오수와 분리시켜 배출시키는 탈수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싱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유니트는 수도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도관을 통한 물흐름을 제어하는 절수밸브와, 상기 절수밸브의 패킹과 일체로 승강되는 절수바아와, 상기 절수바아와 연동되어 승강되고 하단에 배수판을 구비하고 상기 절수바아와 연결되어 있는 플로우트를 구비하며 탄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절수탱크와, 상기 절수탱크와 상승될 때 상기 배수판을 개방시켜 주는 푸시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싱크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밸브는 상기 수도관의 일측에 구비되는 밸브몸체와, 내부에 상기 플로우트와 연결되어 있는 로우프와 구비되고 상기 절수바아와 연결된 연결관이 승강되는 승강관과, 상기 승강관의 외면에 형합되게 설치되어 상기 절수바아와 연동되어 상기 승강관을 따라 승강되면서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싱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그 선단부 측에 탄지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차폐판이 배수구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지되고, 타측에는 완충쇼바가 연결설치되어 상기 차폐판이 배수구를 차폐할 때 오수가 배수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면서 닫힐 수 있도록 하며, 그 상면에는 패킹이 구비되어 배수구의 패킹과 밀착되어 누수를 차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싱크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유니트는 배수구를 통해 전달된 오수와 오물이 전달되는 압축통과, 상기 압축통의 하면에 구비되어 오수는 통과시키고 오물은 잔류시키는 걸름체와, 상기 걸름체에 의해 걸러진 오물을 압착시켜 탈수시키도록 별도의 구동레버에 의해 구동되는 탈수피스톤과, 상기 탈수피스톤의 작동과 함께 상기 구동레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걸름체에 걸려 있는 오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걸름체를 청소하는 브러시와, 상기 탈수피스톤에 의해 압착된 오물을 오물배출부에서 직접 수거봉투에 담을 수 있도록 별도의 개폐레버와 이중롤러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싱크대.
KR1019970013668A 1997-04-14 1997-04-14 절수형 싱크대 KR100225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668A KR100225420B1 (ko) 1997-04-14 1997-04-14 절수형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668A KR100225420B1 (ko) 1997-04-14 1997-04-14 절수형 싱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810A KR19980076810A (ko) 1998-11-16
KR100225420B1 true KR100225420B1 (ko) 1999-10-15

Family

ID=1950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668A KR100225420B1 (ko) 1997-04-14 1997-04-14 절수형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4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810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1082A (en) Gray water toilet system
CN201406715Y (zh) 节水洗脸盆
JP4659039B2 (ja) 水を使用する家庭用器具における排水導管用の導管換気装置
KR100225420B1 (ko) 절수형 싱크대
CN108451473B (zh) 水槽式清洗机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439371Y1 (ko) 물 절감 좌변기
CN208293687U (zh) 一种清洗盆
KR100300676B1 (ko)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KR100815206B1 (ko) 남성용 순환식 변기 세정장치
KR20100053955A (ko) 세면대 배수트랩용 물저장통 및 이를 구비한 세면대배수구조
KR100225421B1 (ko) 절수형 싱크대
CN220530934U (zh) 一种餐厨垃圾一体化集装箱式提油装备自动提料机构
KR200468665Y1 (ko) 싱크대의 배수구조
KR200453051Y1 (ko) 탈수기능을 가지는 배수트랩
CN213979178U (zh) 一种紧凑型排水装置及水槽
CN216890204U (zh) 一种防倒流的污水处理箱
CN111350244B (zh) 卫生间节水系统
CN108457359B (zh) 一种市政排水沟
CN214877423U (zh) 一种集成式茶水垃圾桶
KR100390189B1 (ko) 여과지의역세척수배출장치
CN218752760U (zh) 用于厨余垃圾收集的三轮车上装及具有其的电动三轮车
CN213268133U (zh) 一种多功能医用手术室洗手池
KR200276647Y1 (ko) 싱크대용 절수통
KR100742213B1 (ko) 세척조의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