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461U -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461U
KR20160003461U KR2020150001977U KR20150001977U KR20160003461U KR 20160003461 U KR20160003461 U KR 20160003461U KR 2020150001977 U KR2020150001977 U KR 2020150001977U KR 20150001977 U KR20150001977 U KR 20150001977U KR 20160003461 U KR20160003461 U KR 201600034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sewage
drain
drain trap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899Y1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2020150001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899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8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배출되는 하수에 의해 배수유도통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집을 비워 실내 바닥에 물을 버리지 않아도 배수트랩의 내부에 잔류 하수가 증발되지 않고 배수관의 악취 및 해충이 실내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의하면; 배수관(P)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중앙에는 통-결합구(110)가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배수트랩 본체(100)와;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410)는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의 통-결합구(110) 상단 내벽에 나사 결합식으로 조립되고, 하단부(420)는 통-결합구(110) 하측의 내부 중앙으로 연장되어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유도통(400)과; 밑면(320)과 벽면(310)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배수트랩 본체(100)의 통-결합구(110) 하단부에 벽면(310) 상단부가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벽면(310) 중앙부위에는 복수개의 배수창(330)이 천공되며, 배수창(330) 높이보다 낮은 공간에 일정높이의 하수가 채워져 잔류하는 하수잔류통(300)과; 상단은 하수잔류통(300)의 상단부에 걸려 지지되고 하단은 통-결합구(110)의 하단 내벽에 걸려 지지되어, 배출 하수의 하중에 의해 하수잔류통(300)의 밑면(320)이 배수유도통(400)의 하단부(4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수잔류통(300)을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5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A DRAINING TRAP}
본 고안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배수관으로 물을 빠져나가게 안내하면서 배수관의 악취는 유입되지 않게 하는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 주택, 아파트 등 공동주택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는 배출되는 각종 하수를 집수 처리할 수 있도록 집수조가 설치되며, 각 가정의 욕실 또는 베란다 등의 바닥과 집수조는 배수관(배수 파이프)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관에는 생활 주변의 화장실, 욕조 등과 같이 많은 양의 물과 오물이 함께 내려감으로써 냄새(악취)가 역류할 수 있는데, 냄새(악취)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화장실(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 배수트랩이다.
종래 배수트랩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P)의 직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통결합구(2)가 천공된 배수트랩 본체(1)와, 이 배수트랩 본체(1)의 통결합구(2)에 하부로 연장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부에 일정높이의 물이 채워져 잔류하는 배수잔류통(3)과, 배수트랩 본체(1)의 통결합구(2)에 하부로 연장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부는 배수잔류통(3) 내부공간에 이격되게 수용되는 배수유도통(4)과, 배수트랩 본체(1)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전역에 걸쳐 배수홀(5a)이 천공된 거름커버(5)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물은 거름커버(5)의 배수홀(5a)들을 통해 배수트랩 본체(1) 중앙부로 모이면서 배수유도통(4)을 경유하며, 계속하여 배수잔류통(3)의 벽면에 천공된 배수창(3a)을 통해 배수관(P)으로 빠져나간다(도 1의 화살표 방향 참조). 배수 과정에서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은 거름커버(5)에서 1차로 걸러지고 배수유도통(4)과 배수잔류통(3) 내부에서도 걸러진다. 그리고 배수잔류통(3) 바닥에는 일정높이의 물이 채워져 배수유도통(4) 하단이 항상 잠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배수관(P)으로부터의 냄새(악취) 역류가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배수트랩 구조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잔류통(3)에 잔류하던 오수가 증발하게 되면 배수관(P)의 냄새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즉, 배수잔류통(3)은 실내와 직접 연통되기 때문에 장기간 집을 비워 화장실 바닥에 물을 버리지 않으면 배수잔류통(3) 바닥의 잔류 오수가 증발하게 되며, 오수가 증발된 배수잔류통(3)은 배수관(P)과 실내를 직접 연통시켜 에어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배수관(P)의 역한 냄새(악취)가 배수잔류통(3)과 배수유도통(4)을 통해 실내로 역류하며(도 2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를 통해 냄새 이외에도 해충이 들어오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출 하수의 하중에 의해 배수유도통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집을 비워 실내 바닥에 물을 버리지 않아도 배수트랩의 내부에 잔류 하수가 증발되지 않으며 배수관의 악취 및 해충이 실내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수관이 설치된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어 배수를 안내하면서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이; 상기 배수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중앙에는 통-결합구가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배수트랩 본체와;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상기 배수트랩 본체의 통-결합구 상단 내벽에 나사 결합식으로 조립되고, 하단부는 상기 통-결합구 하측의 내부 중앙으로 연장되어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유도통과; 밑면과 벽면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트랩 본체의 통-결합구 하단부에 벽면 상단부가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벽면 중앙부위에는 복수개의 배수창이 천공되며, 상기 배수창 높이보다 낮은 공간에 일정높이의 하수가 채워져 잔류하는 하수잔류통과; 상단은 상기 하수잔류통의 상단부에 걸려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통-결합구의 하단 내벽에 걸려 지지되어, 배출 하수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수잔류통의 밑면이 상기 배수유도통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수잔류통을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수잔류통의 밑면 중앙이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의하면; 배출 하수의 하중에 의해 하수잔류통의 밑면이 배수유도통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장기간 집을 비워 실내 바닥에 물을 버리지 않아도 배수트랩의 하수잔류통에 잔류하는 오수가 증발되지 않으며 배수관의 악취 및 해충이 실내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즉,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코일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잔수가 채워진 하수잔류통이 승강하여 배수유도통의 하단부를 폐쇄함으로써 실내와 배수관측의 직접적인 연통을 차단하며, 이것에 의해 배수관의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의하면; 하수잔류통의 밑면 중앙이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배출 하수가 원활하게 빠져나가는 것은 물론이며 하수잔류통의 승강시에도 배수유도통의 하단을 견실하게 폐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수트랩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배수트랩에서 배수관 내부 악취가 실내로 역류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 - Ⅳ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내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구성을 구성 분해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동작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6은 배출 하수에 의해 배수유도통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7은 배수유도통이 닫힌 상태를 보인 것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동작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구성 설명>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은 배수관이 설치된 욕실(화장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배수를 안내하면서 냄새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통-결합구(110)가 하부로 연장되게 이루어진 배수트랩 본체(100)와, 이 배수트랩 본체(100)의 상부를 덮는 거름커버(200)와,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의 통-결합구(110)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조립되어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유도통(400)과,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의 통-결합구(110) 하단에 상단부가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벽면(310)부에는 배수창(330)이 천공된 하수잔류통(300)과, 배수되는 하수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수잔류통(300)의 밑면(320)이 상기 배수유도통(400)의 하단부(4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수잔류통(300)을 상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500)을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배수트랩 본체(100)는 배수관(P)이 설치된 욕실(화장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매입되어 배수관(P)과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것은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의 가장자리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커버재(120)로 덮여 있다. 또한, 배수트랩 본체(100)의 상면은 배수가 용이하도록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져 있으며, 배수트랩 본체(100)의 중앙에는 통-결합구(110)가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통-결합구(110)는 배수관(P)에 수용 배치되게 되며, 이의 상단 내벽에는 배수유도통(400)의 착탈 결합을 위해 암나사(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결합구(110)의 개방된 하단부에는 내향플랜지(1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코일스프링(50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30'은 배수트랩 본체(1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단차턱으로, 이의 내측으로 거름커버(200)가 흔들림없이 견실하게 안착 될 수 있다.
거름커버(200)는 배수트랩 본체(100)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역에 걸쳐서 배수홀(210)들이 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흘려진 물은 거름커버(200)의 배수홀(210)들을 통해 배수관(P)측으로 유입되며, 유입과정에서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이 일차로 걸러지게 된다. 이러한 거름커버(200)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이루어지며, 배수트랩 본체(100) 상면의 단차턱(130) 내측에 배치된다.
배수유도통(400)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결합구(110) 상단 내벽에 상단부(410)가 나사 결합식으로 조립되며, 이의 하단부(420)는 하수잔류통(300)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배수유도통(400)의 하단(420)은 하수잔류통(300)의 배수창(330) 보다 아래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어서, 물은 배수유도통(400)의 하단부(420)를 U형태로 돌아서 배수창(330)으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를 통해 머리카락과 같은 오염물이 걸러질 수 있으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수잔류통(300) 저부에 잔류하는 물에 의해 냄새 역류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유도통(400)에 걸린 오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수유도통(400)을 풀리는 방향으로 돌려 빼낼 수 있다.
하수잔류통(300)은 상부가 개방되고 벽면(310)과 밑면(320)을 갖는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수트랩 본체(100)의 통-결합구(110) 하단부에 상단부가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하부로 연장된다. 하수잔류통(300)의 상단부에는 외향플랜지(340)가 마련되는데, 이를 통해 통-결합구(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코일스프링(500)을 견실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하수잔류통(300)의 벽면(310)에는 밑면(320)에서부터 일정한 높이로 복수개의 배수창(330)이 천공되어 있어서, 배수가 진행되면서도 일정높이의 하수가 채워져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배수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으면 잔류하는 하수를 통해 배수관(P)측의 냄새 역류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수잔류통(300)은 코일스프링(50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올라가 밑면(320)이 배수유도통(400)의 하단부(420)를 폐쇄할 수 있는 구조인데, 이는 하수잔류통(300) 저부에 고인 하수의 증발을 방지하면서 배수관(P)측의 냄새 역류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하수잔류통(300)의 밑면(320) 중앙은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코일스프링(500)은 상단이 하수잔류통(300)의 상단부(외향플랜지;340)에 걸려 지지되고 하단은 통-결합구(110)의 하단 내벽(내향플랜지;112)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하수잔류통(300)의 밑면(320)이 배출되는 하수의 하중에 의해 배수유도통(400)의 하단부(4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수잔류통(300)을 상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즉, 하수잔류통(300) 밑면(320)은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코일스프링(5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가 배수유도통(400)의 하단(420)과 접하여 이를 폐쇄하게 된다. 반면에, 배수가 이루어지면 하수의 하중이 코일스프링(50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하수잔류통(300)을 아래로 눌러 배수유도통(400)의 하단(420)이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배출되는 하수는 배수유도통(400)과 하수잔류통(300)의 배수창(330)을 통해 배수관(P)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하수잔류통(300)의 개폐 동작은 이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욕실이나 베란다 등에서 바닥에 물을 버리면, 배수되는 하수는 거름커버(200)의 배수홀(210)들을 통해 배수트랩 본체(100) 중앙부로 모이면서 배수유도통(400)으로 빠져나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유도통(400)으로 하수가 유입되면 이의 하중에 의해 코일스프링(500)를 압축시키면서 하수잔류통(300)이 하강하여 배수유도통(400)의 하단부(420)를 개방한다. 따라서 하수는 하수잔류통(300)의 벽면(310)에 천공된 배수창(330)을 통해 배수관(P)으로 빠져나간다. 하수잔류통(300)의 밑면(320) 중앙은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상이기 때문에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가 완료되어 배수유도통(400)의 물이 대부분 빠져나가면 코일스프링(5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수잔류통(300)은 다시 올라가 밑면(320)이 배수유도통(400)의 하단(420)과 접하여 이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배수관(P)과 실내의 연통이 근본적으로 차단됨으로써, 배수관(P)측의 역한 냄새가 역류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배수유도통(400) 하단부가 차단되기 때문에, 하수잔류통(300) 저부에 잔류하는 하수 역시 증발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어 배수관(P)측의 냄새 역류를 차단할 수 있다.
100..배수트랩 본체 110..통-결합구 111..암나사
112..내향플랜지 120..커버재 130..단차턱
200..거름커버 210..배수홀 300..배수잔류통
310..벽면 320..밑면 330..배수창
340..외향플랜지 400..배수유도통 410..상단
420..하단 500..코일스프링 P..배수관

Claims (2)

  1. 배수관(P)이 설치된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어 배수를 안내하면서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배수관(P)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중앙에는 통-결합구(110)가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배수트랩 본체(100)와;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410)는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의 통-결합구(110) 상단 내벽에 나사 결합식으로 조립되고, 하단부(420)는 상기 통-결합구(110) 하측의 내부 중앙으로 연장되어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유도통(400)과;
    밑면(320)과 벽면(310)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의 통-결합구(110) 하단부에 벽면(310) 상단부가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벽면(310) 중앙부위에는 복수개의 배수창(330)이 천공되며, 상기 배수창(330) 높이보다 낮은 공간에 일정높이의 하수가 채워져 잔류하는 하수잔류통(300)과;
    상단은 상기 하수잔류통(300)의 상단부에 걸려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통-결합구(110)의 하단 내벽에 걸려 지지되어, 배출 하수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수잔류통(300)의 밑면(320)이 상기 배수유도통(400)의 하단부(4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수잔류통(300)을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5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잔류통(300)의 밑면(320)은 중앙이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20150001977U 2015-03-30 2015-03-30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482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977U KR200482899Y1 (ko) 2015-03-30 2015-03-30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977U KR200482899Y1 (ko) 2015-03-30 2015-03-30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61U true KR20160003461U (ko) 2016-10-10
KR200482899Y1 KR200482899Y1 (ko) 2017-03-14

Family

ID=5713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977U KR200482899Y1 (ko) 2015-03-30 2015-03-30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8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206U (ko) * 2017-06-05 2017-09-13 이상윤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CN112049224A (zh) * 2020-09-01 2020-12-08 曾松凤 一种脚踏开关式防蚊虫滋生的浴室用地漏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928B1 (ko) * 2018-11-21 2020-02-11 유인섭 악취차단 및 역류방지 장치
KR20230076364A (ko)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돌돔 테두리 배수 기능 및 이물질 수집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46Y1 (ko) * 2001-07-10 2001-12-24 양재호 이중차단 기능의 배수트랩
KR200308485Y1 (ko) * 2002-12-23 2003-03-26 이은하 배수트랩
KR200472503Y1 (ko) * 2013-01-14 2014-05-02 이상윤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46Y1 (ko) * 2001-07-10 2001-12-24 양재호 이중차단 기능의 배수트랩
KR200308485Y1 (ko) * 2002-12-23 2003-03-26 이은하 배수트랩
KR200472503Y1 (ko) * 2013-01-14 2014-05-02 이상윤 배수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206U (ko) * 2017-06-05 2017-09-13 이상윤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CN112049224A (zh) * 2020-09-01 2020-12-08 曾松凤 一种脚踏开关式防蚊虫滋生的浴室用地漏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899Y1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2075928B1 (ko) 악취차단 및 역류방지 장치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472503Y1 (ko) 배수트랩
KR20200106629A (ko) 배수트랩
KR102081750B1 (ko) 하수구용 배수 트랩
KR20170003207U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210000079U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0954145B1 (ko) 점검구 전환이 가능한 오수받이
KR20170003206U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0490200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트랩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20090132690A (ko) 하수처리의 위생구조물
KR100886962B1 (ko) 트랩 및 상기 트랩이 구비되는 트렌치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100712963B1 (ko) 배수관용 소음 및 역유입 방지장치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CN214219913U (zh) 新型干湿一体式同层排水地漏
KR200218248Y1 (ko) 집수정
KR100580865B1 (ko) 건축용 개량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