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812A - 전기 영동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영동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812A
KR20070052812A KR1020050110511A KR20050110511A KR20070052812A KR 20070052812 A KR20070052812 A KR 20070052812A KR 1020050110511 A KR1020050110511 A KR 1020050110511A KR 20050110511 A KR20050110511 A KR 20050110511A KR 20070052812 A KR20070052812 A KR 20070052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phoretic
film
patter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885B1 (ko
Inventor
이상엽
정영식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885B1/ko
Priority to CNB200610145451XA priority patent/CN100510926C/zh
Priority to JP2006309971A priority patent/JP4741451B2/ja
Priority to TW095142595A priority patent/TWI345123B/zh
Priority to US11/601,224 priority patent/US7884993B2/en
Publication of KR20070052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812A/ko
Priority to US12/984,407 priority patent/US808968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6Electrodes
    • G02F1/16766Electrodes for active matr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7Through-hole 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 to the active element through an insulation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having a particular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다수의 화소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에 위치하되,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 1 패턴과, 상기 각 제 1 패턴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패턴을 구비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전기영동필름; 및 상기 전기영동필름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기영동필름과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어, 전압 보전율을 향상시키며,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기 영동 표시 장치, 전압 보전율(voltage holding ratio), 누설전류

Description

전기 영동 표시 장치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제 1 전극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제 1 전극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판 200 : 게이트 절연막
210 : 게이트 전극 230 : 액티브층
240a, 240b : 소스/드레인 전극 300 : 보호막
500. 500' : 제 1 전극 500a : 제 1 패턴
500b : 제 2 패턴 500P : 개구 영역
600 : 전기영동필름 700 : 제 2 전극
본 발명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제 1 전극과 전기영동필름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전류를 줄이며, 전압 보전율(voltage holding ratio)을 개선할 수 있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오늘날, 접거나 말아도 손상되지 않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에 대한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액정표시장치와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은 기존의 평판표시장치를 유연하게 제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와 같은 전자 종이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기존의 평판표시장치에 비해, 전원을 꺼도 화면이 사라지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이로써,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화면을 바꾸고자 할 때만 전원을 가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 종이와 같은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에 한정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b는 상기 도 1a를 I-I'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기판(10)상에 다수의 게이트 배선(11)과 데이터 배선(12)이 서로 교차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게이트 배선(11)과 상기 데이터 배선(12)에 의해 화소영역이 정의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 배선(11)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공통배선(13)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화소영역내에 상기 공통배선(13)과 연결된 캐패시터 하부 전극(14)이 위치한다.
상기 게이트 배선(11)과 데이터 배선(12)의 교차부에는 박막트랜지스터(Tr)가 위치한다. 즉,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은 게이트 전극(21), 액티브층(23), 소스/드레인 전극(24a, 24b)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드레인 전극(24b)과 연장된 채로, 상기 캐패시터 하부 전극(14)과 중첩되어 위치하는 캐패시터 상부 전극(15)이 위치한다.
상기 드레인 전극(2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50)이 위치한다.
상기 제 1 전극(50)상에 전기 영동 필름(60)과 제 2 전극(7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 영동 필름(60)은 전계에 의해 이동하는 전자잉크와 폴리머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전극(50)과 공통전극(70)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상기 전기 영동 필름(60)에 구비되는 상기 전자잉크의 이동에 의해 화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전기영동필름(60)은 절연성을 가지며, 저항체로 작용한다. 이때, 상기 전기영동필름(60)의 면저항은 전압 보전율(voltage holding ratio)에 영향을 미친다. 여기서, 상기 전압 보전율은 신호전압이 인가된 뒤, 다음 신호전압이 인가 될 때까지 전압을 유지함에 있어, 상기 전압을 유지하는 시간율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전압 보전율이 작아지면, 화면의 깜박거림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화상을 오랫동안 유지해야 하는 전자종이인 경우에, 상기 전압 보전율의 특성이 중요하다.
하기 <표 1>은 상기 전기 영동 필름(60)의 면저항에 따른 전압 보전율(voltage holding ratio)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면저항(Ω/㎛2) 109 1010 1011 1015 1021
전압 보전율(%) 6.08 75.4 97 99.7 99.7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전기영동필름(60)의 면저항이 증가할수록, 전압 보전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기영동필름(60)에 도전물질인 제 1 전극(50)이 접촉하면, 저항은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압 보전율이 저하된다. 여기서, 전압 보전율이 낮아지게 되면, 화면의 깜박거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영동필름(60)의 면저항이 감소할 수록, 상기 전기영동필름(60)과 상기 제 1 전극간의 계면에서 누설전류는 증가하게 된다. 이는, 누설전류는 저항에 반비례해서 증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압 보전율을 향상시키며, 전기영동필름과 제 1 전극간의 누설전류를 낮출 수 있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다수의 화소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에 위치하되,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 1 패턴과, 상기 각 제 1 패턴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패턴을 구비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전기영동필름; 및 상기 전기영동필름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다수의 화소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에 위치하되, 적어도 하나의 개구영역을 구비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전기영동필름; 및 상기 전기영동필름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여기서, 도 2a는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를 한정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b는 상기 도 2a를 Ⅱ-Ⅱ'로 취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다수의 화소영역을 구비하는 기판(100)이 위치한다. 상기 기판(100)은 유리,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포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상에 게이트 배선(110)과 데이터 배선(120)이 서로 교차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배선(110)과 데이터 배선(120)에 의해 화소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공통배선(130)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화소영역내에 상기 공통배선(130)과 연장된 캐패시터 하부전극(14)이 위치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 배선(110)과 상기 데이터 배선(120)의 교차부에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Tr)가 위치한다.
자세하게, 기판(100)상에 게이트 전극(210)이 위치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210)은 상기 게이트 배선(110)의 일부분에서 돌기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게이트 전극(210)을 포함하는 기판(100)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200)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200)은 산화실리콘막, 질화실리콘막 또는 이들의 적층막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10)과 대응된 상기 게이트 절연막(200)상에 액티브층(230)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층(230)은 비정질 실리콘과, 불순물이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이 순착적으로 적층되어 각각 형성되는 채널층과 오믹콘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230)의 양단부에 각각 소스/드레인 전극(240a, 240b)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소스전극(240a)은 상기 데이터 배선(120)의 일부분이 돌기된 형태로, 상기 데이터 배선(120)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 절연막상에 상기 드레인 전극(240b)과 연결되며, 상기 캐패시터 하부전극(130)과 중첩되는 캐패시터 상부전극(150)이 위치한다.
이로써, 상기 기판(100)상에 상기 게이트 배선(110)과 상기 데이터 배선(120)의 교차부에 게이트 전극(210), 액티브층(230) 및 소스/드레인 전극(240a, 240b)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Tr)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와 연결된 캐패시터(Cp)가 위치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 및 상기 캐패시터(Cp)를 포함하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상에 보호막(300)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막(300)은 BCB, 아크릴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막(300)은 상기 드레인 전극(240b)의 일부분을 노출하는 콘텍홀이 구비된다.
상기 콘텍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24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극(500)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500)은 후술할 전기영동필름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항체의 전기영동필름에 도전성물질인 제 1 전극(500)과의 접착 면적이 줄어들게 되면, 저항은 커지게 된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영동필름의 저항을 커지게 하여, 전압 보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기영동필름과 상기 제 1 전극간의 계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전류를 줄일 수 있다. 즉, 화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도내에서, 상기 제 1 전극(500)의 면적을 감소시켜, 상기 전기영동필름과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500)은 다수개로 분리된 제 1 패턴(500a)과, 상기 제 1 패턴을 서로 연결된 제 2 패턴(50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패턴(500b)은 상기 드레인 전극(24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 전극(500)은 투명 도전막, 반사 도전막 또는 이들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 도전막은 ITO 또는 IZO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도전막은 Pt, Au, Ir, Cr, Mg, Ag, Ni, Al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500)상에 전기영동필름(600)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영동필름(600)은 전기영동입자(650)와 용매로 형성된 캡슐과, 바인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영동입자는 빛을 흡수하는 블랙입자와 빛을 반사하는 화이트 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랙입자는 음전하로 대전될 수 있으며, 상기 화이트 입자는 양전하로 대전될 수 있다.
상기 전기영동필름(600)상에 제 2 전극(700)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전극(700)은 투명 전극으로서, 외부의 환경에 대해서 내구성 및 내식성이 있는 도 전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테면, 상기 제 2 전극(700)은 ITO 또는 IZ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 1 전극(500)과 상기 제 2 전극(700)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계에 의해, 상기 전기영동필름(600)내에 함유된 전기영동입자가 이동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500)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제 2 전극(700)은 상대적으로 음의 전위를 가지게 된다. 이로써, 음전하로 대전된 블랙입자는 상기 제 1 전극(500)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면에, 양전하로 대전된 화이트입자는 상기 제 2 전극(7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외광이 상기 전기영동표시장치로 조사하게 되면, 상기 화이트 입자에 의해 입사된 외광을 반사하여, 화이트를 구현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 1 전극(500)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제 2 전극(700)은 상대적으로 양의 전위를 가지게 된다. 이로써, 음전하로 대전된 블랙입자는 상기 제 2 전극(700)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면에, 양전하로 대전된 화이트입자는 상기 제 1 전극(5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외광이 상기 전기영동표시장치로 조사하게 되면, 상기 블랙 입자에 의해 입사된 외광은 흡수되어, 블랙을 구현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제 1 전극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1 전극(500)은 수직 스트라이프 형태로 다수개로 분리된 제 1 패턴(500a)과, 상기 제 1 패턴(500a)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패턴(5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웃한 상기 제 1 패턴(500a)간의 간격(d1)은 1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1 패턴(500a)의 길이는 서로 이웃한 상기 제 1 패턴(500a)간의 간격(d1)보다 작거나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파일링(filling)이 되지 않아, 화질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500b)의 너비(W1)는 상술한 보호막에 구비되는 콘텍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콘텍홀에 의해 상기 제 2 패턴(50b)과 상술한 드레인 전극(240b)은 서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로써, 화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도내에서, 상술한 전기영동필름과 상기 제 1 전극(500)간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1 전극(500)은 수평 스트라이프 형태로 다수개로 분리된 제 1 패턴(500a)과, 상기 제 1 패턴(500a)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패턴(5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웃한 상기 제 1 패턴(500a)간의 간격(d2)은 1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1 패턴(500a)의 길이는 서로 이웃한 상기 제 1 패턴(500a)간의 간격(d2)보다 작거나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이상이면, 화질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50b)의 길이(L1)는 상술한 보호막에 구비되는 콘텍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1 전극(500)은 수직 스트라이프 형태로 다수개로 분리된 제 1 패턴(500a)과, 상기 제 1 패턴(500a)과 교대로 배열된 다수개의 제 2 패턴(5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화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서로 이웃한 상기 제 1 패턴(500a)간의 간격(d1)은 10 ㎛이하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패턴(500a)의 길이(L1)는 서로 이웃한 상기 제 1 패턴(500a)간의 간격(d1)보다 작거나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이웃한 상기 제 2 패턴(500b)간의 간격(d2)은 10 ㎛이하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패턴(500b)의 너비(W1)는 서로 이웃한 상기 제 2 패턴(500b)간의 간격(d2)보다 작거나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50b)의 너비(W1)는 상술한 보호막에 구비되는 콘텍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여기서, 도 4a는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를 한정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를 Ⅲ-Ⅲ'로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전극의 형태를 제외하고,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설명의 편의상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기판(100)상에 박막트랜지스터(Tr)와 캐패시터(Cp)가 위치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 및 캐패시터(Cp)를 포함하는 기판(100) 전면에 걸쳐 위치하되,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240b)을 일부분 노출하는 콘텍홀을 구비하는 보호막(300)이 위치한다.
상기 콘텍홀을 통해, 상기 드레이 전극(24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극(500')이 위치한다. 상기 제 1 전극(500')은 상술한 전기영동필름과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제 1 전극(500')은 화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도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영역(500P)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제 1 전극(500')은 종래의 통 전극 구조에 비해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상기 전기영동필름과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500')상에 전기영동필름(600)과 제 2 전극(700)이 순차적으로 위치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성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제 1 전극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1 전극(500')은 수직 스트라이프 형태의 개구 영역(500P)을 다수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 영역(500P)의 길이(L1)는 1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개구 영역(500P)의 길이(L1)가 10 ㎛이상이 되면, 파일링(filling)이 되지 않아, 화질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1 전극(500')은 수평 스트라이프 형태 의 개구 영역(500P)을 다수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 영역(500P)의 너비(W1)는 1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바와 같이, 화질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1 전극(500')은 사각형의 개구 영역(500P)을 다수개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개구 영역을 사각형에 한정하여 도시하였으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 영역의 길이(L1) 및 너비(W1)는 1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바와 같이, 화질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상기 제 1 전극을 상기 전기영동필름과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는 형태로 변경시켜, 상기 제 1전극과 상기 전기영동필름과의 계면에서의 저항을 종래보다 높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전압 보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 1전극과 상기 전기영동필름과의 계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 전류를 줄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영동필름과 접촉하는 제 1 전극의 면적을 줄임에 따라, 전압 보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전기영동필름과 제 1 전극간의 계면에서의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어, 누 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효율성이 뛰어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다수의 화소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에 위치하되,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 1 패턴과, 상기 각 제 1 패턴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패턴을 구비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전기영동필름; 및
    상기 전기영동필름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과 이웃한 제 1 패턴과의 간격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은 수직 또는 수평의 스트라이프(stripe)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패턴과 제 2 패턴이 교차하여 배치된 격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형성하되,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하는 콘텍홀을 구비하는 보호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턴의 너비는 상기 콘텍홀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리,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포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투명 도전막, 반사 도전막 또는 이들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막은 ITO 또는 IZ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도전막은 Pt, Au, Ir, Cr, Mg, Ag, Ni, Al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은 ITO 또는 IZO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전기 영동 필름과의 접촉을 줄이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5. 다수의 화소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에 위치하되, 적어도 하나의 개구영역을 구비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전기영동필름; 및
    상기 전기영동필름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영역은 수직 또는 수평의 스트라이프형, 사각형, 원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영역은 너비 및/또는 길이는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상기 제 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전기 영동 필름과의 접촉을 줄이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KR1020050110511A 2005-11-18 2005-11-18 전기 영동 표시 장치 KR101281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511A KR101281885B1 (ko) 2005-11-18 2005-11-18 전기 영동 표시 장치
CNB200610145451XA CN100510926C (zh) 2005-11-18 2006-11-15 电泳显示器件
JP2006309971A JP4741451B2 (ja) 2005-11-18 2006-11-16 電気泳動表示装置
TW095142595A TWI345123B (en) 2005-11-18 2006-11-17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US11/601,224 US7884993B2 (en) 2005-11-18 2006-11-17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US12/984,407 US8089680B2 (en) 2005-11-18 2011-01-04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511A KR101281885B1 (ko) 2005-11-18 2005-11-18 전기 영동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812A true KR20070052812A (ko) 2007-05-23
KR101281885B1 KR101281885B1 (ko) 2013-07-03

Family

ID=3805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511A KR101281885B1 (ko) 2005-11-18 2005-11-18 전기 영동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884993B2 (ko)
JP (1) JP4741451B2 (ko)
KR (1) KR101281885B1 (ko)
CN (1) CN100510926C (ko)
TW (1) TWI34512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9756B2 (en) 2008-02-19 2010-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140009830A (ko) * 2012-07-13 2014-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광셔터 표시장치
US10996459B2 (en) 2016-09-09 2021-05-04 Lg Chem, Ltd. Transmittance-variable 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8963B2 (ja) * 2008-07-30 2014-10-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2010032835A (ja) * 2008-07-30 2010-02-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CN102645811B (zh) * 2011-11-23 2014-07-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纸有源基板及其制造方法和电子纸显示屏
TWI463234B (zh) * 2012-01-05 2014-12-01 Star Reach Corp 電泳顯示模組及其製造方法
TWI467307B (zh) * 2012-02-10 2015-01-01 E Ink Holdings Inc 電泳顯示面板及其製作方法與電泳顯示裝置
KR101644328B1 (ko) 2014-10-30 2016-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쇄물 처리시스템
CN107153484B (zh) 2017-05-25 2021-04-13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1430A (en) * 1976-12-06 1978-01-31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Electrophoretic image display having an improved switching time
US5216416A (en) 1991-08-19 1993-06-01 Copytele, Inc.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with interleaved local anode
US5893966A (en) * 1997-07-28 1999-04-1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ocessing of semiconductor wafers
JP4468529B2 (ja) * 1999-07-09 2010-05-2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1125149A (ja) * 1999-10-29 2001-05-11 Canon Inc 表示装置
JP3719172B2 (ja) * 2000-08-31 2005-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3021848A (ja) * 2001-07-06 2003-01-24 Sony Corp 表示素子
JP4059034B2 (ja) * 2001-08-20 2008-03-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装置、電子機器、及び該電気泳動装置の製造方法
WO2003027763A1 (fr) 2001-09-19 2003-04-03 Bridgestone Corporation Afficheur d'image, procede d'affichage d'im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afficheur d'image
US7061556B2 (en) * 2001-12-07 2006-06-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using bidirectional two-terminal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EP2363745A1 (en) * 2001-12-10 2011-09-07 Bridgestone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JP4515035B2 (ja) * 2002-03-14 2010-07-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3270675A (ja) * 2002-03-19 2003-09-25 Canon Inc 表示素子
US7038656B2 (en) * 2002-08-16 2006-05-02 Sipix Imaging, Inc.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dual-mode switching
US7548291B2 (en) * 2003-11-12 2009-06-16 Lg Display Lcd Co., Ltd. Re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4120591B2 (ja) * 2004-01-16 2008-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気泳動表示装置
KR20050112878A (ko) * 2004-05-28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영동 표시 장치
CN1961252A (zh) * 2004-05-28 2007-05-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电泳显示面板
KR20060080446A (ko) * 2005-01-05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9756B2 (en) 2008-02-19 2010-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140009830A (ko) * 2012-07-13 2014-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광셔터 표시장치
US10996459B2 (en) 2016-09-09 2021-05-04 Lg Chem, Ltd. Transmittance-variable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10926C (zh) 2009-07-08
JP4741451B2 (ja) 2011-08-03
TWI345123B (en) 2011-07-11
KR101281885B1 (ko) 2013-07-03
TW200720807A (en) 2007-06-01
US7884993B2 (en) 2011-02-08
CN1967365A (zh) 2007-05-23
US20110096389A1 (en) 2011-04-28
US20070115250A1 (en) 2007-05-24
JP2007140526A (ja) 2007-06-07
US8089680B2 (en) 201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885B1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
CN1573491B (zh) 薄膜晶体管阵列板和包含该板的液晶显示器
US10431605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203682B2 (en) Displ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panel having the display substrate
CN103943626B (zh) 一种tft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881075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blocking member
CN101672442A (zh) 背光单元及使用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件
KR102495122B1 (ko) 표시 장치
CN112185994B (zh) 一种显示面板
CN105629591A (zh) 一种阵列基板、其制备方法及液晶显示面板
CN112034656B (zh) 阵列基板和显示装置
CN101304034A (zh) 显示基板、具有其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070056243A (ko) 표시기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표시기판의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CN111045267A (zh) Coa基板及液晶显示面板
CN112859463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I451179B (zh) 畫素結構及其製造方法
CN103116236A (zh) 显示面板
US8780063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314029A (zh) 液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2019007924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4102925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20090117258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CN220324475U (zh) 显示装置
CN114002887B (zh) 阵列基板和显示面板
TWI299416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