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537A - 노견 골재 포설장치 - Google Patents

노견 골재 포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537A
KR20070052537A KR1020050110279A KR20050110279A KR20070052537A KR 20070052537 A KR20070052537 A KR 20070052537A KR 1020050110279 A KR1020050110279 A KR 1020050110279A KR 20050110279 A KR20050110279 A KR 20050110279A KR 20070052537 A KR20070052537 A KR 20070052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plate
laying
hydraulic cylinder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8015B1 (ko
Inventor
안부순
Original Assignee
의왕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왕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의왕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0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015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02Apparatus for preparing and placing the materials and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30Tamping or vibrating apparatus other than rollers ; Devices for ram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 E01C19/34Power-driven rammers or tampers, e.g. air-hammer impacted shoes for ramming stone-sett paving; Hand-actuated ramming or tamping machines, e.g. tampers with manually hoisted dropping weight
    • E01C19/38Power-driven rammers or tampers, e.g. air-hammer impacted shoes for ramming stone-sett paving; Hand-actuated ramming or tamping machines, e.g. tampers with manually hoisted dropping weight with means specifically for generating vibrations, e.g. vibrating plate compactors, immersion vib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견 골재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견골재 휘니셔에 골재 공급 및 포설 다짐장치를 장착시켜, 노견 포장시 노견골재 휘니셔가 골재를 공급하는 기능과 함께 포설 및 다짐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노견 골재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노견 휘니셔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골재 공급 장치와; 상기 노견 휘니셔의 일측에 장착되어 노견에 공급된 골재를 포설하는 동시에 진동 다짐시키는 포설 및 진동 다짐 장치와; 상기 포설 및 진동 다짐 장치의 높이 조절을 위해 승하강시키는 메인 유압실린더로 구성하여, 작업소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요철구간없이 양호한 포설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골재의 이탈이 방지되어 골재의 재투입 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는 노견 골재 포설장치를 제공한다.
노견 골재 포설장치, 골재 공급 장치, 포설 및 진동 다짐장치, 메인 유압실린더

Description

노견 골재 포설장치{Device for pavement roa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견 골재 포설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견 골재 포설장치의 골재적재함의 승하강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견 골재 포설장치의 포설판 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견 골재 포설장치의 포설판에 부착된 진동 다짐판 및 진동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견 골재 포설장치의 메인 유압실린더 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견 골재 포설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골재 공급단계를, 도 6b는 노견에 공급된 골재를 포설하는 동시에 진동 다짐하는 단계를, 도 6c는 노견 포설면에 대하여 진동롤러로 마무리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견 골재 포설장치의 포설판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골재적재함 12 : 체인 구동형 컨베이어
14 : 가이드판 16 : 포설판
16a : 중앙판 16b : 내판
16c : 외판 18 : 턴버클
20 : 메인 유압실린더 22 : 상하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
24 : 전후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 26 : 진동 다짐판
28 : 바이브레이터 30 : 길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32 : 좌판 34 : 우판
36 : 삽입홀 38 : 삽입단
40 : 진동롤러 100 : 골재공급장치
200 : 포설장치 300 : 진동 다짐장치
본 발명은 노견 골재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견골재 휘니셔에 골재 공급 및 포설 다짐장치를 장착시켜, 노견 포장시 노견골재 휘니셔가 골재를 공급하는 기능과 함께 포설 및 다짐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노견 골재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견이란 도로의 유효폭의 양바깥쪽 노면 즉, 도로의 가장자리를 의미하며, 이 노견에 대한 포장은 도로의 본선 포장(도로의 중앙부)이 완료된 후에 진행된다.
기존의 노견 포장 시공은 노견골재를 굴삭기(excavator)나 모터 그레이더(motor grader)를 이용하여 포설한 다음, 최종적으로 진동 롤러로 다져주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노견 포장시, 골재를 굴삭기 등을 이용하여 포설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포설된 면상태가 불량한 문제점이 있다.
즉, 굴삭기 또는 모터 그레이더를 이용하여 골재를 노견로에 부어준 다음 1차로 다져주게 되는 바, 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포설면에 요철구간이 발생하며, 골재 재료의 일부가 노견로에서 이탈됨에 따라 골재를 재투입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노견골재 휘니셔에 골재 공급 및 포설 다짐장치를 장착시켜, 노견 포장시 노견골재 휘니셔가 골재를 공급하는 기능과 함께 포설 기능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소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요철구간없이 양호한 포설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골재의 이탈이 방지되어 골재의 재투입 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는 노견 골재 포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견 휘니셔에 있어서, 상기 노견 휘니셔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골재 공급 장치와; 상기 노견 휘니셔의 일측에 장착되어 노견에 공급된 골재를 포설하는 동시에 진동 다짐시키는 포설 및 진동 다짐 장치와; 상기 포설 및 진동 다짐 장치의 높이 조절을 위해 승하강시키는 메인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견 골재 포설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골재 공급 장치는 노견 휘니셔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소정 체적의 골재적재함과; 상기 골재적재함의 후단부가 전단부를 중심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골재적재함의 배면에 설치되는 슬로프 조절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골재적재함의 앞쪽에 장착되어 골재를 노견쪽으로 이송시키는 체인구동형 컨베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인구동형 컨베이어의 양쪽에는 골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노견쪽으로 골재를 안내해주는 가이드판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포설 장치는 골재를 고르게 펴주는 직사각 판체로서 상기 메인 유압실린더와 결합되는 중앙판과, 이 중앙판의 안쪽 및 바깥쪽에 턴버클에 의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골재의 이탈을 막아주는 내판 및 외판으로 이루어진 포설판과; 상기 메인 유압실린더의 몸체부와 상기 포설판의 중앙판 상단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포설판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상하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노견 휘니셔의 후단 몸체부와 상기 포설판의 중앙판 바깥쪽 배면 위치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포설판의 전후각도를 조절하는 전후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설 장치의 중앙판은 삽입홀을 갖는 좌판과, 이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삽입단을 갖는 우판으로 구성되며, 좌판과 우판간에는 길이 조절용 유압실린더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진동 다짐장치는 상기 포설판의 중앙판 배면 하단끝에 일체로 부착되는 수평판 형태의 진동 다짐판과; 이 진동 다짐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와; 이 바이브레이터에 전원 및 유압을 제공하는 전원/유압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견 골재 포설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노견 휘니셔에 골재 공급 장치, 포설 및 진동 다짐장치를 장착시켜, 노견 포장시 노견골재 휘니셔가 골재를 공급하는 기능과 함께 포설 기능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굴삭기 등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작업소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요철구간없이 양호한 포설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골재가 노견밖으로 이탈되어 골재의 재투입 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본 발명의 노견 골재 포설장치는 크게 골재 공급 장치와, 포설 및 진동 다짐 장치, 그리고 포설 및 진동 다짐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메인 유압실린더로 나누어진다.
상기 골재 공급 장치(100)는 노견 휘니셔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골재를 적재한 후, 골재를 노견으로 이송 공급시키는 장치로서, 노견 휘니셔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골재적재함(10)과, 골재적재함(10)을 들어올리는 슬로프 조절용 유압실린더(미도시됨)와, 골재를 노견으로 이송시키는 체인구동형 컨베이어(12)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덤프트럭으로부터 골재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소정 체적의 골재적재함(10)이 노견 휘니셔의 전단부에 장착되고, 골재적재함(10)의 배면에는 유압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슬로프 조절용 유압실린더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골재적재함(10)의 앞쪽에는 골재를 노견쪽으로 이송시키는 체인구동형 컨베이어(12)가 설치되는 바, 이 체인구동형 컨베이어(12)의 양쪽에는 골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노견쪽으로 골재를 안내해주는 가이드판(14)이 더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공급수단(미도시됨)은 노견 휘니셔에 포함된 장치로서 그 유압라인회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골재적재함(10)에 부어진 골재가 체인 구동형 컨베이어(12)를 따라서 노견쪽으로 공급되며, 이때 첨부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로프 조절용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골재적재함(10)의 후단부가 전단부(바람직하게는 힌지봉에 의하여 고정됨)를 중심으로 들어올려지게 되어 골재적재함(10)내의 잔존 골재까지 체인 구동형 컨베이어(12)상으로 공급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포설 및 진동 다짐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견 골재 포설장치의 포설판 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포설판에 부착된 진동 다짐판 및 진동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메인 유압실린더 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포설 및 진동 다짐장치(200,300)는 노견 휘니셔의 일측(체인 구동형 컨베이어의 출구 바로 뒤쪽)에 장착되어 노견에 공급된 골재를 포설하는 동시에 진동 다짐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포설 장치의 포설판(16)은 골재를 고르게 펴주는 일종의 블레이드(blade)와 같은 장치로서, 골재를 고르게 펴주는 직사각 판체 형상의 중앙판(16a)과, 이 중앙판의 안쪽 및 바깥쪽에 턴버클(18)에 의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골재의 이탈을 막아주는 내판(16b) 및 외판(16c)으로 구성되며, 이 내판(16b)과 외판(16c)은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특히, 상기 중앙판(16a)의 배면에서 그 안쪽부분이 메인 유압실린더(20)와 결착되는 바, 이 메인 유압실린더(20)는 노견 휘니셔의 측면(체인 구동형 컨베이어(12)의 뒤쪽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유압실린더(20)의 구동에 의하여 중앙판(16a)을 포함하는 포설판(16)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져, 포설판(16)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며, 이때 포설판(16)의 높이 조절은 포설되는 골재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량이 정해진다.
또한, 상기 메인 유압실린더(20)의 골격을 이루는 몸체표면과 상기 포설판(16)의 중앙판(16a) 상단간에 상하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22)가 연결 설치되는 바, 이 상하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22)의 작동에 의하여 중앙판(16a)을 포함하는 포 설판(16)의 상하각도가 조절된다.
즉, 상기 상하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22)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포설판(16)의 내판(16b)을 중심으로 그 바깥쪽의 중앙판(16a)과 외판(16c)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노견의 바깥쪽 및 안쪽 포설 두께가 다를 경우, 상기 상하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22)를 작동시켜 포설판(16)의 상하 각도를 조절(포설판의 내판을 중심으로 그 바깥쪽의 중앙판과 외판이 들어올려지는 작동)하게 된다.
또한, 첨부한 도 1 내지 도 4에서 더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노견 휘니셔의 후단 몸체부 소정 위치와 상기 포설판(16)의 중앙판(16a) 바깥쪽 배면 위치간에는 포설판(16)의 전후각도를 조절하는 전후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24)가 연결 설치되는 바, 이 전후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24)의 작동에 의하여 포설판(16)의 중앙판 (16a) 바깥쪽 부분이 전진 또는 후진 작동을 하게 된다.
이에, 노견의 바깥쪽에 골재가 많이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전후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24)를 전진 작동시키는 동시에 포설판(16)의 중앙판(16a) 바깥쪽 부분이 전진하면서 골재를 노견의 안쪽으로 밀어주게 되고, 반대로 노견의 안쪽에 골재가 많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후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24)를 후진 작동시키는 동시에 포설판(16)의 중앙판(16a) 바깥쪽 부분이 후진하게 되어 골재가 노견의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결국 전후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24)는 노견의 폭방향을 따라 골재의 공급량을 고르게 분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 다짐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 및 도 5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진동 다짐장치(300)는 포설판(16)이 골재를 고르게 펴주는 동시에 진동을 가하여 다져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상기 포설판(16)과 일체로 구성된다.
즉, 상기 포설판(16)의 중앙판(16a) 배면에서 그 하단끝에 수평판 형태의 진동 다짐판(26)이 일체로 부착되고, 이 진동 다짐판(26)의 상면에 노견 휘니셔의 진동 및 전원공급수단(미도시됨)과 연결되는 바이브레이터(28)가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포설판(16)이 골재를 고르게 펴주는 동시에 바이브레이터(28)의 구동에 의하여 진동을 하는 진동 다짐판(26)이 골재를 다져주게 됨에 따라, 요철구간없이 매끈한 골재 포설면이 제공되어진다.
한편, 노견의 폭에 따라 상기 포설판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바, 그 구현예는 첨부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일구현예로서, 상기 포설 장치(200)중 포설판(16)의 중앙판(16a)을 삽입홀(36)을 갖는 좌판(32: 내측판)과, 이 삽입홀(36)에 삽입되도록 삽입단(38)을 갖는 우판(34: 외측판)으로 구성하고, 이 좌판(32)과 우판(34)간에는 길이 조절용 유압실린더(30)로 연결한다.
이에, 노견의 폭에 따라 상기 길이 조절용 유압실린더(30)를 작동시켜 좌판(32)의 삽입홀(36)로부터 우판(34)의 삽입단(38)이 인출되게 하거나, 또는 좌판(32)의 삽입홀(36)로 우판(34)의 삽입단(38)이 들어가게 하여, 포설판(16)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노견 골재 포설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한 도 6a는 골재 공급단계를, 도 6b는 노견에 공급된 골재를 포설하는 동시에 진동 다짐하는 단계를, 도 6c는 노견 포설면에 대하여 진동롤러로 마무리 하는 단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골재적재함(10)에 부어진 골재가 체인 구동형 컨베이어(12)를 따라서 노견쪽으로 부어지되, 상기 슬로프 조절용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골재적재함(10)의 후단부가 들어올려지게 되어, 골재적재함(10)내의 잔존 골재까지 체인 구동형 컨베이어(12)를 거쳐 노견쪽으로 공급되며, 결국 노견 휘니셔의 전진주행과 함께 노견상에 골재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견상에 부어진 골재를 포설판(16)이 밀면서 고르게 펴주게 되고, 연이어 포설판(16)에 일체로 부착된 진동 다짐판(26)이 바이브레이터(28)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골재를 다져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골재의 포설 두께에 따라 메인 유압실린더(20)를 구동시켜 포설판(16)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동작과, 노견의 바깥쪽 및 안쪽면의 포설 두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상하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22)를 구동시켜 포설판(16)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동작과, 노견의 바깥쪽과 안쪽에 골재 공급량이 차이가 남을 고려하여 상기 전후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24)를 구동시켜 포설판(16)의 전후각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진행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견상에 골재 포설이 완료된 후, 뒤따르는 진동롤러(40)가 노견 골재에 대한 마무리 진동 다짐을 수행함으로써, 노견 포설 및 다짐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견 골재 포설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1) 노견골재 휘니셔에 골재 공급 및 포설 다짐장치를 장착시켜, 노견 포장시 노견골재 휘니셔가 골재를 공급하는 기능과 함께 포설 및 다짐 기능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노견 포장시 골재 공급, 포설 및 다짐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에 굴삭기 등을 이용한 노견 골재 포설 방법에 비하여 작업소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노견에 대한 골재의 포설 및 진동 다짐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요철구간없이 양호한 포설면을 제공할 수 있어 시공의 품질향상을 기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따른 포설판의 높이조절, 상하 및 전후 각도 조절 기능에 의하여 노견으로 공급된 골재가 노견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존에 골재 이탈에 따른 재투입 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노견 휘니셔에 있어서,
    상기 노견 휘니셔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골재 공급 장치와;
    상기 노견 휘니셔의 일측에 장착되어 노견에 공급된 골재를 포설하는 동시에 진동 다짐시키는 포설 및 진동 다짐 장치와;
    상기 포설 및 진동 다짐 장치의 높이 조절을 위해 승하강시키는 메인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견 골재 포설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재 공급 장치는:
    노견 휘니셔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소정 체적의 골재적재함과;
    상기 골재적재함의 후단부가 전단부를 중심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골재적재함의 배면에 설치되는 슬로프 조절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골재적재함의 앞쪽에 장착되어 골재를 노견쪽으로 이송시키는 체인구동형 컨베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견 골재 포설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인구동형 컨베이어의 양쪽에는 골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노견쪽으로 골재를 안내해주는 가이드판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견 골재 포설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설 장치는:
    골재를 고르게 펴주는 직사각 판체로서 상기 메인 유압실린더와 결합되는 중앙판과, 이 중앙판의 안쪽 및 바깥쪽에 턴버클에 의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골재의 이탈을 막아주는 내판 및 외판으로 이루어진 포설판과;
    상기 메인 유압실린더의 몸체부와 상기 포설판의 중앙판 상단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포설판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상하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노견 휘니셔의 후단 몸체부와 상기 포설판의 중앙판 바깥쪽 배면 위치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포설판의 전후각도를 조절하는 전후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견 골재 포설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설 장치의 중앙판은 삽입홀을 갖는 좌판과, 이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삽입단을 갖는 우판으로 구성되며, 좌판과 우판간에는 길이 조절용 유압실린더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견 골재 포설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다짐장치는 상기 포설판의 중앙판 배면 하단 끝에 일체로 부착되는 수평판 형태의 진동 다짐판과; 이 진동 다짐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와; 이 바이브레이터에 전원 및 유압을 제공하는 전원/유압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견 골재 포설장치.
KR1020050110279A 2005-11-17 2005-11-17 노견 골재 포설장치 KR10073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79A KR100738015B1 (ko) 2005-11-17 2005-11-17 노견 골재 포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79A KR100738015B1 (ko) 2005-11-17 2005-11-17 노견 골재 포설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598U Division KR200409309Y1 (ko) 2005-11-17 2005-11-17 노견 골재 포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537A true KR20070052537A (ko) 2007-05-22
KR100738015B1 KR100738015B1 (ko) 2007-07-13

Family

ID=3827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279A KR100738015B1 (ko) 2005-11-17 2005-11-17 노견 골재 포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11B1 (ko) * 2015-05-04 2016-01-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장의 아스팔트 표층을 재활용하는 아스팔트 포장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234B1 (ko) * 2020-06-29 2021-11-29 이우재 도로의 박층 포장장치 및 박층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360A (ko) * 2002-12-27 2003-01-23 김희덕 도로포장용 재료 포설기 및 그 사용방법
KR200361562Y1 (ko) 2004-04-29 2004-09-14 이태형 건식 소일시멘트 휘니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11B1 (ko) * 2015-05-04 2016-01-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장의 아스팔트 표층을 재활용하는 아스팔트 포장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015B1 (ko) 200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3630B1 (en) Volumetric concrete mixing system, equipment, and method
JP4054031B2 (ja) 複数の舗装材料層を同時に打設するための路面舗装機および舗装方法
US11168460B1 (en) Self-propelled pavement material placing machine and methods for backfilling micro-trenches
JPH0197703A (ja) アスファルト材料の敷設方法および装置
US4027990A (en) Adjustable curber and sidewalk-forming machine
US20170260702A1 (en) Paving machine
JP3834794B2 (ja) 道路等の地面を舗装するための舗装機械
JP2018031229A (ja) 路肩成型装置
JPH11511525A (ja) 道路材料を敷設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779258A (en) Road construction machine
US7901157B2 (en) Vibratory plate compactor with aggregate feed system
KR100738015B1 (ko) 노견 골재 포설장치
FI117670B (fi) Syöttösuppilo, menetelmä syöttösuppilon seinämien lukitsemiseksi ja lukitusväline
KR200409309Y1 (ko) 노견 골재 포설장치
JPH10114910A (ja) 自走式コンクリート仕上げ機械
JP4034127B2 (ja) 舗装材の敷き均し装置
KR100827564B1 (ko) 도로포장용 특장차
JP2006213217A (ja) 搬送材料撒出装置
CN102912713B (zh) 一种现浇路缘石用机具及其使用方法
JP2920457B2 (ja) 道路舗装機
KR20180016746A (ko) 살수차 기능을 겸비한 하이브리드 스프레더
KR20070082396A (ko) 콘크리트의 타설 마감장치
CN209907163U (zh) 桥面混凝土摊铺整平机
JP2002138411A (ja) アスファルト敷均装置及びアスファルト敷均方法
CN203296023U (zh) 渠道铺砂机的摊铺夯实小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