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269A - Clothing with shape retainability - Google Patents

Clothing with shape retain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269A
KR20070051269A KR1020077003121A KR20077003121A KR20070051269A KR 20070051269 A KR20070051269 A KR 20070051269A KR 1020077003121 A KR1020077003121 A KR 1020077003121A KR 20077003121 A KR20077003121 A KR 20077003121A KR 20070051269 A KR20070051269 A KR 20070051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cloth
garment
wir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로시 우치보리
세쓰야 니시가미
Original Assignee
시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9407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67901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94080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4398B2/en
Application filed by 시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1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2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7/00Cuffs
    • A41B7/08Stiffeners f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니트 소재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된 의복이라도, 의복의 입체적 형상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킨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하는 보형성을 갖는 의복의 구조를 제안한다. 의복에 변형이 가능하고 형상 유지가 가능한 와이어(20)를 부착하였다. 와이어(20)는, 와이어(20)의 단부를 접어 꺾어 수지제 튜브(21)를 씌워 단부를 처리한 세라믹제 와이어로 하였다. 또한, 와이어(20)는 셔츠(10)의 몸통(11), 소매(12), 또는 바지(25)의 옷자락 부분에서는 통 형상의 단면 형상을 따라 환상(環狀)으로 부착하고, 셔츠(10)의 옷깃(13) 또는 포켓(15)에서는 그 주연부의 형상을 따라 부착하였다.Even a garment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a knitted material, a structure of a garment having a shape retaining shape which can maintain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garment freely is proposed. The garment was attached with a wire 20 that can be deformed and maintained in shape. The wire 20 was made of a ceramic wire in which the end of the wire 20 was folded and covered with a resin tube 21 to treat the end. In addition, the wire 20 is annularly attached along the cylindrical cross-sectional shape at the torso 11, the sleeve 12, or the hem portion of the pants 25 of the shirt 10, and the shirt 10 In the collar 13 or the pocket 15 of), it adhered along the shape of the periphery.

Description

보형성을 갖는 의복{CLOTHING WITH SHAPE RETAINABILITY}Clothing with shape retention {CLOTHING WITH SHAPE RETAINABILITY}

본 발명은, 의복을 입체적으로 정형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의복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garment for three-dimensionally shaping the garment and maintaining the state.

부인용 속옷에는, 속옷의 형상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나 신체 형상의 보정을 위해 형상 기억 재료로 구성된 와이어를 속옷에 내장한 것이 있다.Some women's underwears have wires made of shape memory materials in their underwear for stabilizing their shape and for correcting their body shape.

또한, 부인용 속옷에 한정되지 않고, 의복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의복이나 장식구 등에도 형상을 안정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In addition, it is known to provide a structure for stabilizing or maintaining the shape not only for women's underwear but also for clothes, ornaments, etc.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clothes.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0-31402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목 둘레 전체로부터 후두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의복의 옷깃부를 귀 전체로부터 후두부에 걸쳐서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하고, 옷깃부를 세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형상 기억 합금제 와이어나 금속제 와이어를 심재(芯材)로 내장하고 있다.For example,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314023, in order to protect the back of the head from ultraviolet rays from the entire neck circumference, the collar portion of the garmen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covered from the entire ear to the back of the head, and the collar portion is upright. In order to keep it, the shape memory alloy wire and the metal wire are embedded as a core material.

또한, 일본 등록 실용신안 제308912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보형 부재로서 목도리의 내부에 형상 기억 합금제 와이어 또는 금속제 와이어를 부착하여, 목도리의 입체적 형상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키고 그 형상을 유지 가능하게 하여 디 자인적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Japanese Utility Model No. 3089123, a shape memory alloy wire or a metal wire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hawl as a prosthetic member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shawl can be changed freely and the shape can be maintained. To increase the design value.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Problem that invention is going to solve>

특히, 니트 소재 등 비교적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의복에서는, 의복의 입체적 형상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키고 소재의 독자적인 촉감을 유지한 채로 그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예를 들면, 니트 소재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된 의복에서는 옷깃을 세우거나 소매를 걷을 수는 있어도, 소재의 성질상, 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In particular, in a garment made of a relatively soft material such as a knitted material, it is difficult to freely change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garment and to maintain the shape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feel of the material. For example, in a garment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a knitted material, it is difficult to maintain its shape in view of the nature of the material even if the collar or the sleeve can be walk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니트 소재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된 의복이라도, 의복의 입체적 형상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보형성을 갖는 의복의 구조를 제안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ructure of a garment having a shape retention that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where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garment is changed freely, even a garment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a knitted material.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an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re as follows.

즉, 청구항 1은 의복에 변형이 가능하고 형상 유지가 가능한 부재를 부착한 보형성을 갖는 의복이다.That is, Claim 1 is a garment which has the shape retention which attached the member which can deform | transform and maintain a shape to the garment.

청구항 2는 변형이 가능하고 형상 유지가 가능한 부재를 의복의 몸통, 소매, 옷자락, 옷깃 또는 포켓에 부착한 것이다.Claim 2 attaches a deformable and shape-retaining member to the body, sleeve, hem, collar or pocket of a garment.

청구항 3은 상기 변형이 가능하고 형상 유지가 가능한 부재를 수지제 와이어 또는 세라믹제 와이어로 한 것이다.Claim 3 makes the said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the shape maintenance possible member made from a resin wire or a ceramic wire.

청구항 4는 상기 수지제 와이어 또는 세라믹제 와이어의 단부를 접어 꺾어 통 형상 부재를 씌워 단부 처리를 한 것이다.Claim 4 folded the edge part of the said resin wire or the ceramic wire, and covered the cylindrical member, and performed the edge process.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as described below.

청구항 1에 있어서는, 니트지와 같이 부드러워 형태가 망가지기 쉬운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의복을 입체적으로 정형하고 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일단, 의복의 형태가 망가지더라도, 용이하게 다시 정형하여 양호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In Claim 1, even if it is comprised from the cloth which is soft like a knitted paper, and a form is easy to be broken, a garment can be three-dimensionally shape | formed and can hold | maintain the state. In addition, even if the form of a garment is broken once, it can form easily and can form a favorable state easily.

청구항 2에 있어서는, 부드러워 형태가 망가지기 쉬운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옷자락을 걷은 상태로 정형하고 그것을 유지할 수 있다.In Claim 2, even if it is comprised by the cloth which is soft and a form tends to be broken, it can shape a hem in the state rolled and can hold it.

청구항 3에 있어서는, 금속제 와이어와 비교하여 녹슬지 않아 세탁에도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자유자재로 굴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복 변형하여도 취성(脆性) 변화가 작은 이점이 있어 바람직하다.In Claim 3, compared with a metal wire, it does not become rust and can withstand washing | cleaning, and also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nd freely freely and also has a small brittleness change even after repeated deformation, and it is preferable.

청구항 4에 있어서는, 의복을 구성하는 옷감에 내장되는 와이어의 단부가 옷감을 찢고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Claim 4, the edge part of the wire incorporated in the cloth which comprises a garment can be prevented from tearing out a clo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으로서의 옷깃이 달린 셔츠를 도시하는 도면.1 shows a shirt with a collar as a gar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2는 옷깃이 달린 셔츠에 내장된 와이어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2 shows the placement of wire embedded in a shirt with a colla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으로서의 티셔츠를 도시하는 도면.3 shows a t-shirt as a gar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4는 티셔츠에 내장된 와이어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4 shows an arrangement of wires embedded in a t-shirt.

도 5는 줄무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tripe portion.

도 6은 와이어를 도시하는 도면.6 shows a wire;

도 7은 와이어를 의복에 부착하는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The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form which attaches a wire to clothing.

도 8은 의복에 와이어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wires are attached to clothes.

도 9는 와이어를 부착한 옷깃 부분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collar portion to which a wire is attached.

도 10은 와이어를 부착한 포켓 부분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1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pocket portion to which a wire is attached.

도 11은 와이어를 부착한 소매 부분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1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sleeve portion to which a wire is attach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으로서의 바지를 도시하는 도면.12 illustrates pants as gar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3은 절개 모양을 형성한 셔츠를 도시하는 도면.Fig. 13 is a view showing a shirt formed with an incision shape.

도 14는 절개 모양의 확대도.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cision shape.

도 15는 절개 모양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1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n incision shape.

도 16은 절개 모양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Fig. 16 is a diagram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n incision shape.

도 17은 도안을 분단하는 절개 모양을 형성한 셔츠를 도시하는 도면.FIG. 17 is a view showing a shirt formed with a cut shape dividing a pattern; FIG.

도 18은 소매와 몸통에 걸쳐 형성된 절개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18 shows an incision shape formed over the sleeve and torso.

도 19는 소매와 몸통에 걸치는 절개 모양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n incision shape over the sleeve and the torso.

도 20은 분단된 라인 형상으로 형성된 절개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20 is a view showing an incision formed in the shape of a segmented line.

도 21은 분단된 라인 형상의 절개 모양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Fig. 21 is a diagram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cut line having a divided line shape.

도 22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절개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Fig. 22 is a view showing an incision shape formed in a cross shape.

도 23은 십자 형상의 절개 모양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Fig. 2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ross-sectional incision shape forming method.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ign>

10 셔츠10 shirt

11 몸통11 torso

12 소매12 sleeve

13 옷깃13 lapels

14 옷깃 트임14 lapel opening

15 포켓15 pockets

20 와이어20 wire

21 튜브21 tubes

다음으로,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으로 옷깃이 달린 셔츠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옷깃이 달린 셔츠에 부착된 와이어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으로 티셔츠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티셔츠에 내장된 와이어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hirt with a collar as a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layout of the wire attached to the shirt with a collar,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t-shirt with cloth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FIG. 4 shows the arrangement of wires embedded in the t-shirt.

도 5는 줄무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tripe portion.

도 6은 와이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와이어를 의복에 부착하는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의복에 와이어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wire,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orm in which a wire is attached to clothes,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is attached to clothes.

도 9는 와이어를 부착한 옷깃 부분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와이어를 부착한 포켓 부분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와이어를 부착한 소매 부분 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collar portion to which a wire is attached,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pocket portion to which a wire is attached,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sleeve portion to which a wire is attach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으로 바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pants with a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보형성을 갖는 의복에서는, 니트지와 같이 부드러워 입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한 천으로 구성되더라도, 그 천의 촉감을 해치지 않으면서 의복을 정형하고 그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In the garment having the shape ret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made of a cloth that is soft and hard to maintain a three-dimensional shape like a knitted paper, the garment can be shaped and maintained without impairing the touch of the cloth.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형성을 갖는 의복의 일례로서 니트지의 셔츠(10)를 도시하고 있다. 셔츠(10)는 옷깃이 달린 셔츠로서, 셔츠(10)의 몸통(11)에는 소매(12)가 봉합되어 있고, 또한, 몸통(11)에는 옷깃(13)과 포켓(15)과 포켓 플랩(15a)이 봉합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니트지이고 옷깃이 없는 티셔츠(40)도 보형성을 갖는 의복으로 할 수 있다.In Fig. 1, a shirt 10 of knitted paper is shown as an example of a garment having a shape ret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rt 10 is a shirt with a collar. The body 11 of the shirt 10 is sealed with a sleeve 12, and the body 11 has a collar 13, a pocket 15, and a pocket flap ( 15a) is seal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the T-shirt 40 which is knit paper and does not have a collar can also be a garment having a shape retention.

단, 보형성을 갖는 의복은, 셔츠로 한정되지 않고 바지나 재킷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머플러나 스카프, 가방 등의 복식 잡화에 본 발명의 보형성을 갖는 의복의 구조를 응용시켜 보형성을 갖는 복식 잡화로 할 수도 있다.However, clothing having a shape retention can be made of not only a shirt but also pants or a jacket. Moreover, it can also be set as the fashion goods with shape retention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the clothing which has the shape retention of this invention to fashion goods, such as a muffler, a scarf, and a bag.

또한, 의복을 구성하는 천의 소재도 니트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외의 소재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cloth constituting the garment is not limited to knit paper, but may be other materials.

한편,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츠(10·40)는 줄무늬의 니트지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or FIG. 3, the shirt 10 · 40 is made of striped knitted paper.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무늬는 천을 짜는 실의 색을 변화시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주옷감(17)과 부옷감(16)의 적어도 복수의 종류(무늬·색)의 천을 봉합시킴으로써 입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As shown in Fig. 5, the stripes are not formed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yarn for weaving, but are three-dimensionally by sewing at least a plurality of types (patterns and colors) of the main cloth 17 and the sub cloth 16. It is being formed.

주옷감(17)의 안쪽에서 주옷감(17)과 주옷감(17)의 사이에, 줄무늬의 폭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 부옷감(16)이 꿰매져 있다. 주옷감(17·17)의 단부(17a·17a)는 감쳐지지 않고 자른 채로 의복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주옷감(17)의 단부(17a)는 니트지의 특성상, 바깥쪽으로 말려 올라가 줄무늬의 상하의 전환 부분에 입체적인 라인이 형성된다.Inside the main cloth 17, between the main cloth 17 and the main cloth 17, a sub cloth 16 having a width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tripes is sewn. The ends 17a and 17a of the main cloth 17 · 17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arment while being cut off without being concealed. The end portion 17a of the main cloth 17 is rolled out to form a three-dimensional line at the upper and lower transition portions of the strip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itted paper.

셔츠(10)에는, 보형성을 구비하기 위해, 즉, 의복의 입체적 형상을 자유자재로 변화시켜 그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변형이 가능하고 형상 유지가 가능한 와이어(20·20…)가 부착되어 있다.The shirt 10 can be de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and maintain its shape in order to provide the shape retention, that is, to freely change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garment and maintain the shape. Is attached.

예를 들면, 도 2 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옷깃이 달린 셔츠(10)에서는 옷깃(13)과, 옷깃 트임(옷깃이 벌어진 부분)(14), 소매(12)의 하부, 몸통(11)의 하부, 포켓(15)의 테두리, 포켓 플랩(15a)의 테두리에 와이어(20·20…)가 부착되고, 티셔츠(40)에서는 소매(12)의 하부, 몸통(11)의 하부에 와이어(20·20…)가 부착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shirt 10 with a collar, as shown in FIG. 2 or FIG. 4, the collar 13, the collar opening (collar part) 14, the lower part of the sleeve 12, the torso ( A wire 20 · 2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11, the edge of the pocket 15, and the edge of the pocket flap 15a, and in the t-shirt 40, the bottom of the sleeve 12 and the bottom of the body 11 are attached. The wires 20 · 20 are attached.

상기 와이어(20)는, 금속제 와이어, 수지제 와이어, 세라믹제 와이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라믹제 와이어를 채용하고 있다. 세라믹제 와이어는, 금속제 와이어와 비교하여 녹슬지 않아 세탁에도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자유자재로 굴곡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복 변형하여도 취성(脆性) 변화가 작은 이점이 있다.As the wire 20, a metal wire, a resin wire, a ceramic wire, or the like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a ceramic wire is adopted. Compared with metal wires, ceramic wires do not rust and can withstand washing. Furthermore, ceramic wires can be freely bent and have a small brittle change even after repeated deformation.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20)의 양단(20a·20a)은 접어 꺾이고, 접어 꺾여진 부분은 수지제 튜브(21·21)에 삽입되어 열용착된다. 이에 따라, 의복 을 구성하는 옷감에 내장되는 와이어(20)의 단부가 옷감을 찢고 나오지 않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both ends 20a and 20a of the wire 20 are folded and the folded part is inserted in the resin tube 21 · 21 and thermally welded. Accordingly, the end portion of the wire 20 embedded in the cloth constituting the garment does not tear off the cloth.

상기 와이어(20)는 의복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안쪽에 부착된다.The wire 20 is attached to the inside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arment.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복의 바깥쪽을 구성하는 주옷감(17)의 안쪽에 별도 옷감(19)을 봉합하여 주머니를 형성하고, 이 주머니의 내부에 와이어(20)을 삽입시킴으로써 의복에 와이어(20)를 부착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 separate fabric 19 is sewn to the inside of the main fabric 17 constituting the outer side of the garment to form a bag, and the wire 20 is formed inside the bag. By inserting, the wire 20 can be attached to a garment.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의 줄무늬의 부옷감(16) 안쪽에 별도 옷감(19)을 대어 부옷감(16)과 별도 옷감(19)의 사이에 주머니를 형성하고, 여기에 와이어(20)를 삽입시킴으로써 의복에 와이어(20)를 부착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a separate fabric 19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sub cloth 16 of the stripe of cloth to form a pocket between the sub cloth 16 and the separate cloth 19, The wire 20 is attached to the garment by inserting the wire 20 therein.

한편, 와이어(20)는 의복의 천에 대해 고착되거나 천에 짜여 넣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소의 허용 범위를 갖고 이동할 수 있도록 의복에 부착된다. 이는 의복이 니트지 등의 신축하는 천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니트지의 신축에 의해 와이어(20)가 내장된 부분에 부자연스러운 당김이나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wire 20 is not attached to or woven into the fabric of the garment, but attached to the garment so that it can move with a somewhat acceptable range. This is because the garment is made of a stretch fabric such as knitted paper, so that unnatural pulling or wrinkles do not occur in the portion where the wire 20 is built by the stretching of the knitted paper.

단, 와이어(20)의 부착 형태는, 상기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천에 와이어(20)를 다소의 허용 범위를 갖고 이동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고정시키거나, 주옷감(17) 단부의 접어 꺾은 부분에 와이어(20)를 삽입시킬 수 있다.However, the attachment form of the wire 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but the wire 20 is partially fixed to the fabric so that the wire 20 can move with a somewhat acceptable range, or the folded portion of the main cloth 17 end. The wire 20 can be inserted into the.

셔츠(10)의 옷깃(13) 근방에 있어서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옷깃(13)의 주연과 옷깃 트임(14)의 주연에 와이어(20)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옷깃(13)을 세운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옷 깃(13)의 일부를 굽히거나 옷깃 트임(14)을 주름지게 하거나 셔츠를 입체적으로 정형하여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vicinity of the collar 13 of the shirt 10, as shown in FIG. 9A, the wire 20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collar 13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collar opening 14. Thereby, as shown in FIG. 9B, the collar 13 can be kept uprigh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end a portion of the collar 13, to wrinkle the collar opening 14, or to shape the shirt in three dimensions to maintain the state.

셔츠(10)의 포켓(15) 부분에서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켓(15)의 개구의 주연과 포켓 플랩(15a)의 주연에 와이어(20)가 부착된다. 이에 따라,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켓(15)을 몸통(11)으로부터 들뜨게 하여 입체적으로 정형하고, 또한, 포켓 플랩(15a)을 상방으로 휜 상태로 입체적으로 정형하여 이들의 입체적으로 정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pocket 15 part of the shirt 10, as shown to FIG. 10A, the wire 20 is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pocket 15, and the periphery of the pocket flap 15a.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0B, the pocket 15 is lifted from the trunk 11 to be stereoscopically shaped, and the pocket flap 15a is stereoscopically shaped in a state in which the pocket flap 15a is lifted upward, and these three-dimensionally shaped. It can keep the state.

셔츠(10)의 소매(12) 부분에서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매(12)의 하부에 소매 길이에 걸쳐서 복수의 와이어(20)가 부착된다. 와이어(20)는 소매통의 형상을 따라 환상(環狀)으로 부착된다. 단, 소매 몸통의 방향을 따라 복수 개를 마련할 수 있지만, 의복을 입은 상태에서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매통의 형상을 따라 환상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매(12)를 걷은 상태로 입체적으로 정형하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sleeve 12 portion of the shirt 10, as shown in FIG. 11A, a plurality of wires 20 ar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leeve 12 over the length of the sleeve. The wire 20 is annularly attached along the shape of the sleeve. However, although a plurality of pieces can be provid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sleeve body, it is preferable to attach them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shape of the sleeve in order not to impede the activity in the state of wearing clothes. Thereby, as shown in FIG. 11B, the sleeve 12 can be three-dimensionally shaped and maintained in the state which walked.

한편, 보형성을 갖는 의복으로서의 바지(25)에서는,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지(25)의 옷자락에 복수의 환상의 와이어(20)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니트지와 같이 부드러운 천으로 구성된 바지(25)라도,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옷자락을 걷은 상태로 입체적으로 정형하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nts 25 as the garment having the shape retention, as shown in FIG. 12A, a plurality of annular wires 20 are attached to the hem of the pants 25. As a result, even the pants 25 made of soft cloth such as knitted paper can be three-dimensionally shaped and held in a state where the hem is rolled, as shown in Fig. 12B.

전술한 바와 같이, 의복에 와이어(20)를 부참함으로써, 니트지와 같이 부드러워 형태가 망가지기 쉬운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의복을 입체적으로 정형하여 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게다가, 풀먹임과 같이 천의 표면에 처리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천이 갖는 촉감을 해치지 않는다.As mentioned above, by joining the wire 20 to the garment, even if the cloth is made of a cloth which is soft and fragile like a knit paper, the garment can be three-dimensionally shaped and maintained. In addition, since the surface of the cloth is not treated like grass paste, the texture of the cloth is not impaired.

또한, 시간이 경과하여도, 와이어(20)가 갖는 보형성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의복의 정형된 입체적인 형태는 유지된다. 또한, 일단 의복의 형태가 망가지더라도 와이어(20)가 있으므로, 특수한 기기나 용구, 약제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다시 정형하여 양호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retention of the wire 20 does not change even as time passes, the stereoscopic shape of the garment is maintained. In addition, even if the shape of the garment is broken once, since there is a wire 20,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gain to form a good state without requiring a special device, tool, or drug.

그리고, 도 13에서는, 절개 모양의 옷감으로 이루어지는 제품의 일례로서 편지(編地)(니트·메리야스 등)의 셔츠(10)를 도시하고 있다. 단, 절개 모양의 옷감을 적용하는 제품은 셔츠, 바지나 재킷 등의 의복에 한정되지 않고, 머플러, 스카프나 가방 등의 복식 잡화 등 천 제품에 널리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츠(10)에는 줄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셔츠(10)의 줄무늬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나 직물 실의 색을 변화시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주옷감(17)과 부옷감(16)의 적어도 복수의 종류(무늬·색)의 옷감을 봉합시킴으로써 입체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라인 형상의 절개 모양(3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FIG. 13, the shirt 10 of the letter (knit meriyasu etc.)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product which consists of cut | disconnected cloth. However, the product applying the incision-shaped cloth is not limited to clothes such as shirts, pants or jackets, and can be widely applied to cloth products such as fashion goods such as mufflers, scarves and bags. As shown in FIG. 13, stripes are formed on the shirt 10. As shown in FIG. 14, the stripes of the shirt 10 are not formed by changing the color of a print or a fabric thread, but at least a plurality of types (patterns and colors) of the main cloth 17 and the sub-cloth 16. ) Is formed by a plurality of line-shaped cutouts 30...

주옷감(17)의 안쪽에는 줄무늬의 폭 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 부옷감(16)이 봉합되어, 주옷감(17)과 주옷감(17) 사이의 절개(32)로부터 부옷감(16)이 옷감의 바깥쪽에 나타나고 있다. 주옷감(17)에 절개(32)를 형성함으로써 생기는 주옷감(17)의 절개연(17a)은, 감치지 않고 자른 채로 의복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옷감(17)의 절개연(17a)은 편지의 특성상 말려 올라가, 이것이 옷감의 바깥쪽에 나타나 줄무늬의 상하 전환 부분에 입체적인 라인이 형성된다. 주 옷감(17)의 절개연(17a)이 말려 올라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이에 따라, 주옷감(17)과 부옷감(16)의 전환 부분은 직선이 아니라 곡선 형상으로 옷감의 바깥쪽에 나타나게 된다.Inside the main fabric 17, a sub-fabric 16 having a width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tripe is sewn so that the sub-text 16 is cut from the cut 32 between the main fabric 17 and the main fabric 17. Appearing on the outside of the cloth. The cutting edge 17a of the main cloth 17 formed by forming the cut 32 in the main cloth 17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arment without being cut off. As a result, the cutting edge 17a of the main cloth 17 is rolled up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 and this appears on the outer side of the cloth to form a three-dimensional line at the top and bottom switching portions of the stripes. It is natural that the cutting edge 17a of the main cloth 17 curls up, so that the switching portions of the main cloth 17 and the sub cloth 16 appear on the outer side of the cloth in a curved shape instead of a straight line.

주옷감(17)의 직물은 편지이며, 천축(sheeting), 리브 스티치(rib stitch), 펄 스티치(purl stitch), 핀턱(pin tuck), 라벤 스티치(Rahben stitch), 랙크드 스티치(racked stitch), 하프 카디건 리브 스티치(half cardigan rib stitch), 풀 카디건 리브 스티치(full cardigan rib stitch), 얼라우 스티치(allow stitch), 자카드 스티치(Jacquard stitch), 레이스, 인터샤(intarsia), 플레이팅(plating), 기모(napping) 무늬 등의 편지로 할 수 있다.The fabric of the main cloth 17 is a letter, sheeting, rib stitch, pearl stitch, pin tuck, Raben stitch, racked stitch , Half cardigan rib stitch, full cardigan rib stitch, full stitch, allow stitch, jacquard stitch, lace, intarsia, plating ), A napping pattern, or the like.

한편, 부옷감(16)의 직물은 편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직포지나 부직포지로 할 수 있다. 주옷감(17)과 부옷감(16)의 직물에 차이를 둠으로써, 옷감에 색 무늬뿐만이 아니라 질감이 상이한 절개 모양(30)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oven fabric of the nonwoven fabric 16 is not limited to a letter, but can be a woven or nonwoven fabric. By ma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in fabric 17 and the sub fabric 16, the cut 30 can be formed not only in color but also in texture.

다음으로, 옷감에 절개 모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도 15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forming an incision in the cloth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lowchart of FIG. 15.

우선,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옷감(17)의 안쪽에 부옷감(16)을 봉합한다(S11). 주옷감(17)에 형성하려고 하는 절개(32)의 주위를 꿰맴으로써 주옷감(17)과 부옷감(16)이 봉합됨에 따라, 주옷감(17)의 바깥쪽에 나타나는 스티치(31)가 형성된다. 스티치(31)에는, 주옷감(17)과 동일 색의 실을 이용해도 되고, 주옷감(17)과 상이한 색의 실을 이용하여 장식 스티치(31)로 할 수도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6A, the secondary fabric 16 is sealed inside the main fabric 17 (S11). As the main fabric 17 and the secondary fabric 16 are sewn by sewing the periphery of the incision 32 to be formed in the main fabric 17, a stitch 31 appearing on the outside of the main fabric 17 is formed. . For the stitch 31, a thread of the same color as the main cloth 17 may be used, or a decorative stitch 31 may be used using a thread of a different color from the main cloth 17.

한편, 도 13에 도시하는 셔츠(10)에 절개 모양(30)을 만드는 경우는, 셔 츠(10) 형상을 한 셔츠(모양을 만들면 완성품이 되는 것)의 구성 옷감을 주옷감(17)으로 하여 셔츠의 구성 옷감의 이면에 부옷감(16)을 꿰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cision 30 is made in the shirt 10 shown in FIG. 13, the constituent fabric of the shirt 10 in the form of the shirt 10 is made into the main cloth 17. The secondary fabric 16 is sewn on the back of the constituent fabric of the shirt.

계속해서, 후술하는 고정 스티치(31a)를 절개 모양(30)에 형성하지 않는 경우(S12)는,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옷감(17)에 칼집을 내거나 잘라내어 주옷감(17)에 절개(32)를 형성한다(S13).Subsequently, in the case where the fixed stitch 31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not formed in the cut shape 30 (S12), as shown in Fig. 16B, the main cloth 17 is cut or cut and cut into the main cloth 17. An incision 32 is formed (S13).

절개(32)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절개(32)에 의해 생기는 주옷감(17)의 절개연(17a)으로부터 스티치(31)까지의 사이에 소정의 폭(이하, "말아올린폭"이라고 함)만큼 주옷감(17)이 남겨진다. 즉, 스티치(31)로부터 말아올린폭을 남기고 주옷감(17)을 잘라내어 절개(32)를 형성하고, 이 절개(32)의 주연(주옷감(17)의 절개연(17a))으로부터 말아올린폭만큼 외측에 스티치(31)가 위치하게 된다.In forming the cut 32, a predetermined wid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rolled up width") between the cut edge 17a and the stitch 31 of the main cloth 17 produced by the cut 32 As long as the main cloth 17 is left. That is, the main cloth 17 is cut out to form an incision 32, leaving the width rolled up from the stitches 31, and rolled up from the periphery of the incision 32 (the cutting edge 17a of the main cloth 17). The stitch 31 is positioned outside by the width.

주옷감(17)의 절개연(17a)은 풀림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처리(예를 들면, 감치거나 접착 고정하는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자른 채로 둔다. 그리고, 잘라진 주옷감(17)의 절개연(17a)을 방축 가공하면(S15), 옷감에 절개 모양(30)이 형성된다.The cutting edge 17a of the main cloth 17 is left uncut without performing a treatment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loosening (for example, a treatment to be wound or glued). Then, when the cutting edge 17a of the cut main cloth 17 is shrink-proofed (S15), the cutout 30 is formed on the cloth.

상술한 바와 같이, 절개(32)를 주옷감(17)에 형성함으로써 생기는 주옷감(17)의 절개연(17a)은, 감치지 않고 자른 채로 두므로, 절개(32)를 형성하여 주옷감(17)의 절개연(17a)을 줄어들게 함으로써,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치(31)로부터 절개연(17a)까지의 주옷감(17)(주옷감(17)의 말아올린폭에 해당되는 부분)은 옷감의 바깥쪽으로 말려 올라간다. 절개연(17a)이 말려 올라가는 것은 강제적으로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천의 특성을 살린 것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되어, 주옷감(17)과 부옷감(16)의 전환 부분은 직선이 아니라 곡선으로서 옷감의 바깥쪽 에 나타나 굴곡을 이루는 줄무늬가 형성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utting edge 17a of the main cloth 17 formed by forming the cut 32 on the main cloth 17 is left uncut and cut, so that the cut 32 is formed to form the main cloth ( By reducing the cutting edge 17a of the 17), as shown in FIG. 16B, it corresponds to the rolled up width of the main fabric 17 (main fabric 17) from the stitch 31 to the cutting edge 17a. Part) curls up to the outside of the fabric. It is natural that the cutting edge 17a curls up because it is not forcibly processed but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th, so that the transition portions of the main cloth 17 and the sub cloth 16 are not straight but curved, but on the outside of the cloth. It appears to form curved stripes.

이와 같이 주옷감(17)의 절개연(17a)의 말려 올림은, 절개 모양(30)을 개성적이고 참신한 것으로 하는 장식의 일부가 되어 절개 모양(30)의 옷감에 헐렁한 감각을 자아내게 할 수 있다. 또한, 절개연(17a)의 풀림 방지 처리가 불필요하므로, 작업 공정이 적고 작업이 간단해진다.In this way, the curling of the cutting edge 17a of the main cloth 17 becomes a part of the decoration that makes the cutting shape 30 unique and novel, and can give a loose feeling to the cloth of the cutting shape 30. . In addition, since the loosening prevention process of the cutting edge 17a is unnecessary, the work process is small and the work is simplified.

한편, 말아올린폭은, 절개(32)의 범위를 절개 모양(30)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동일한 절개 모양(30)의 말아올린폭은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아올린폭을 거의 일정하게 함으로써, 옷감의 표면에 나타나는 주옷감(17)의 절개연(17a)이 말려 올라간 볼륨을 거의 일정하게 하여 미감을 높이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ed width is appropriately adjusted to the range of the incision 32 according to the cut shape 30, and the rolled width of the same cut shape 30 is preferably made almost uniform. . By making the rolled up width substantially constant, the volume of the cut edge 17a of the main cloth 17 appearing on the surface of the cloth is rolled up so as to make the volume almost constant and increase the aesthetics.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셔츠(10)에 절개 모양(30)을 넣는 경우는, 전술한 스티치(31)에 둘러싸인 주옷감(17)에 선 형상의 칼집을 내어 이것을 절개(32)로 한다. 단, 셔츠에 형성되는 줄무늬의 폭이 클 때에는, 스티치(31)로 둘러싸인 주옷감(17)을 스티치(31)로부터 거의 일정한 말아올린폭을 남기고 띠 형상으로 잘라내어 이것을 절개(32)로 한다.For example, when the incision 30 is put into the shirt 10 shown in FIG. 13, a linear sheath is cut out on the main cloth 17 surrounded by the stitches 31 described above, and this is cut into the incision 32. do. However, when the width of the stripes formed on the shirt is large, the main cloth 17 surrounded by the stitches 31 is cut out into a strip shape leaving a substantially constant rolled-up width from the stitches 31 to form a cut 32.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절개 모양(30)에서는, 모양을 넣으면 완성품이 되는 것(도 13에 도시하는 셔츠(10)라면 셔츠의 형상을 한 것)의 구성 옷감을 주옷감(17)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안이 프린트된 셔츠의 구성 옷감의 도안 부분에, 도안을 분단시키는 줄무늬를 절개 모양(30)에서 형성할 수 있다. 줄무늬의 줄과 줄 사이에 하나의 단락의 도안을 넣 는 것이 아니라 도안을 입체적인 줄무늬로 분단함으로써, 도안과 줄무늬를 같은 범위에 모두 눈에 뜨이게 공존시킬 수 있다.In the cut-out form 30 formed as mentioned above, when the pattern is put, the constituent cloth of what becomes a finished product (if the shirt 10 shown in FIG. 13 is shaped like a shirt) is made into the main cloth 17. . As a resul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a stripe for dividing the pattern can be formed in the cutout 30 on the pattern portion of the constituent cloth of the shirt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By dividing the pattern into three-dimensional stripes rather than inserting a single paragraph pattern between the stripes and lines of the stripes, the patterns and stripes can coexist visibly in the same range.

또한,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츠의 소매와 몸통의 봉합 솔기를 통과하는 라인 형상의 절개 모양(30)을 형성하는 것도 간단하다. 이 경우,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츠의 형상을 한 셔츠의 구성 옷감을 주옷감(17)으로 하고, 그 소매(12)와 몸통(11)에 걸쳐 연속하는 부옷감(16)을 꿰매어 형성하려고 하는 절개(32)의 주위에 스티치(31)를 실시한다. 그리고,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치(31)로 둘러싸인 부분의 주옷감을 스티치(31)로부터 말아올린폭을 남기고 잘라내 절개(32)를 형성하고, 절개연(17a)을 방축 가공하면, 말아올린폭으로서 남겨진 스티치(31)로부터 절개연(17a)까지의 주옷감(17)이 바깥쪽으로 말려 올라가 절개 모양(30)이 형성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8, it is also easy to form the line-shaped cutout 30 which passes through the seam of the sleeve and the trunk of a shir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9A, the constituent cloth of the shirt which made the shape of the shirt is made into the main cloth 17, and the secondary fabric 16 which is continuous over the sleeve 12 and the torso 11 is sewn, The stitch 31 is performed around the incision 32 to be formed. And as shown in FIG. 19B, when cutting off the main fabric of the part enclosed by the stitch 31, leaving the width rolled up from the stitch 31, the incision 32 is formed and the cutting edge 17a is pre-shrunk-processed, The main cloth 17 from the stitch 31 left as the rolled up width to the cutout 17a is rolled outward to form a cutout 30.

한편, 전술의 절개 모양(30)에서 형성될 수 있는 모양은 연속하는 라인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단된 라인 형상의 절개 모양(30)을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that can be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incision 30 is not limited to a continuous line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0, the divided line cut shape 30 may be formed.

이 경우, 옷감에의 절개 모양(30)의 형성 방법에 대해 도 15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2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옷감(17)의 안쪽에 부옷감(16)을 꿰매어 형성하려고 하는 절개(32)의 주위에 스티치(31)를 실시한다(S11).In this case, the method of forming the cutout 30 on the clot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15. First, as shown in FIG. 21A, the sub-cloth 16 is placed inside the main cloth 17. FIG. The stitch 31 is performed around the incision 32 which is about to sew (S11).

계속해서, 도 2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치(31)로 둘러싸인 부분에, 고정 스티치(31a)를 형성한다(S14).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 형상의 고정 스티치(31a)를 실시하고 있지만, 다각형이나 원, 점 등의 스티치(31)로 할 수도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1B, the fixed stitch 31a is formed in the portion surrounded by the stitch 31 (S14).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fixed stitch 31a of x shape is given, it can also be set as the stitch 31, such as a polygon, a circle, and a point.

마지막으로, 도 2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치(31)와 고정 스티치(31a)로 둘러싸인 주옷감(17)을 스티치(31)로부터 말아올린폭을 남기고 잘라내어 이것을 절개(32)로 한다(S13). 이와 같이 절개(32)를 형성하고, 이 절개(32) 주위에 위치하는 절개연(17a)을 방축 가공하면(S15), 스티치(31)로부터 절개연(17a)까지의 주옷감(17)이 바깥쪽으로 말려 올라가 분단된 라인 형상의 절개 모양(30)이 형성된다.Finally, as shown in FIG. 21C, the main cloth 17 surrounded by the stitch 31 and the fixed stitch 31a is cut out leaving the width rolled up from the stitch 31 to form the cut 32 (S13). . In this way, when the incision 32 is formed and the cutting edge 17a positioned around the incision 32 is shrink-proofed (S15), the main cloth 17 from the stitch 31 to the cutting edge 17a is formed. Rolled up to the outside is divided into a line-shaped cut shape 30 is formed.

또한, 전술한 절개 모양(30)에서 형성될 수 있는 모양은 라인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쐐기 십자 형상의 절개 모양(30)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ape that can be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incision 30 is not limited to the line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2, you may form the wedge cross-shaped cutout 30. As shown in FIG.

이 경우, 도 2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옷감(17)의 안쪽에 부옷감(16)을 꿰매어 형성하려고 하는 절개(32)의 주위에 스티치(31)를 실시한다. 계속해서,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치(31)에 둘러싸인 주옷감(17)을 스티치(31)로부터 말아올린폭을 남기고 잘라내어 절개(32)를 형성하면, 곧 스티치(31)로부터 절개(32)의 절개연(17a)까지의 주옷감(17)이 바깥쪽으로 말려 올라가 쐐기 십자 형상의 절개 모양(30)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다각형, 원, 하트, 클로버 등의 여러 가지 형상의 절개 모양(30)을 옷감에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3A, the stitch 31 is performed around the incision 32 which tries to sew and form the secondary fabric 16 inside the main fabric 17. FIG.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3B, when the main cloth 17 surrounded by the stitches 31 is cut off leaving the width rolled up from the stitches 31 to form the cut 32, the cuts are immediately cut from the stitches 31 ( The main cloth 17 to the incision edge 17a of the 32) is rolled out to form a wedge cross shape 30.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various shapes of cutouts 30 such as polygons, circles, hearts, and clover can be formed on the fabric.

이상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절개 모양 형성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절개 모양을 형성하면, 자유로운 형상의 절개 모양(30)을 간단하게 옷감에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cision shape is formed by performing the incision shape forming method, a free shape incision shape 30 can be easily formed on the cloth.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절개 모양(30)은, 주옷감(17)에 형성된 절개(32)를 통해 부옷감(16)이 옷감의 바깥쪽에 나타나고, 절개(32)의 주연에는 주옷 감(17)의 절개연(17a)과 스티치(31) 사이에 남겨진 말아올린폭이 말려 올라감으로써 입체적 라인이 형성되고 있다. 즉, 주옷감(17)과 부옷감(16)에 의한 옷감의 전환과 옷감의 전환 부분에 형성된 입체적 라인으로 절개 모양(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옷감의 전환 부분에 형성된 입체적 라인은, 곡선 형상의 자연스러운 것으로, 주옷감(17)과 부옷감(16)이 직선적으로 분단되는 것이 아니라 곡선적으로 완만하게 전환되듯이 느껴지기 때문에, 디자인의 헐렁한 감각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out form 30 formed in this way has the secondary fabric 16 appearing on the outer side of the cloth via the incision 32 formed in the main cloth 17, and the main cloth 17 at the periphery of the incision 32 The three-dimensional line is formed by rolling up the rolled up width left between the cut edge 17a and the stitch 31. That is, the incision 30 is formed by the three-dimensional line formed in the switching part of the cloth by the main cloth 17 and the sub-cloth 16, and the switching part of the cloth. And the three-dimensional line formed in the transition part of the cloth is natural in a curved shape, and since the main cloth 17 and the secondary fabric 16 are not linearly divided but feel like being converted into a smooth curve, The baggy feeling can be further enhanced.

그런데, 종래, 청바지 등의 직포지로 이루어지는 의복에 있어서, 옷감의 절개연을 감치지 않고 자른 채로 옷감의 표면에 노출시켜 풀어진 절개연을 장식의 일부로 하는 복식 디자인이 알려져 있다. 또한, 티셔츠 등의 편지로 이루어지는 의복에서, 겨드랑이나 소매 등의 봉합 부분을 바깥쪽으로 노출시켜 감겨 올라간 절개연을 장식의 일부로 하는 복식 디자인이 알려져 있다.By the way, conventionally, in the garment which consists of woven fabrics, such as jeans, the duplex design which makes a part of the decoration cut open by exposing it to the surface of the cloth and cut | discovered without covering the cutting edge of a cloth is known. Moreover, in the garment which consists of letters, such as a T-shirt, the double-fashioned design which makes the incision part which wound up and wound up by exposing the suture part, such as an armpit and a sleeve, outward is known as a part of the decoration.

이들 절개연을 장식의 일부로 하는 복식 디자인은, 헐렁한 감각을 자아내어 주로 젊은이들에게 널리 이용되고 있다.The double design, which makes these incisions a part of the decoration, creates a loose feeling and is widely used mainly by young people.

또한, 종래, 옷감의 일부를 잘라내고 잘라낸 부분으로부터 다른 옷감을 노출시키는 장식 기술이 알려져 있다.Moreover, the decoration technique which cuts a part of cloth and exposes another cloth from the part which cut out conventionally is known conventionally.

예를 들면, 일본 실용공개 평5-60314호 공보에서는, 잘라낸 옷감의 개구로부터 다른 옷감을 노출시켜, 입체감 있는 모양을 옷감에 구성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시트 본체(천 등)에 모양 형성용의 개구를 마련하고, 이 개구의 이면측에 모양이 만들어짐과 동시에 충전물이 충전되어 입체적 요철이 형성된 모양 조각을 부착하여, 모양 조각의 입체 형상을 시트 본체의 개구로부터 들여다 보여지 도록 하고 있다.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5-60314 proposes a method of exposing another cloth from the opening of the cut cloth to configure a three-dimensional pattern on the cloth. Here, the sheet body (cloth, etc.)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forming a shape, a shape is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opening, a filling is filled, and a shape piece in which three-dimensional irregularities are formed is attached, and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shape piece is attached. Is to be seen from the opening of the sheet body.

그리고, 상기 일본 실용공개 평5-60314호 공보에서는, "모양 조각이 시트 본체의 이면측에 부착됨에도 불구하고, 시트 본체의 개구의 테두리는 볼록한 모양 조각에 덮이는 상태가 되어 눈에 띄지 않아 외관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강조되고 있다. 즉, 개구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옷감의 절개연은 장식이 아니라 단순히 옷감이 전환되는 경계로서 존재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5-60314, "In spite of being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sheet main body,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sheet main body is covered with a convex shape piece and is inconspicuous. The appearance is improved ". In other words, the cutting edge of the cloth locat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is not merely a decoration but merely a boundary to which the cloth is switched.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주옷감의 안쪽에 부옷감을 봉합함으로써 잘라내려고 하는 부분을 둘러싸는 스티치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스티치에 둘러싸인 주옷감을 스티치로부터 소정의 말아올린폭을 남기고 잘라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절개 모양 형성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자유로운 형상의 절개 모양을 간단하게 옷감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형성된 절개 모양은, 주옷감에 형성된 절개를 통해서 부옷감이 옷감의 바깥쪽에 나타나고, 절개의 주연에는 주옷감에 남겨진 말아올린폭이 말려 올라감으로써 입체적 라인이 형성된다. 또한, 주옷감의 절개연의 풀림 방지 처리가 불필요하므로, 작업 공정이 적고 작업이 간단하다.Therefore, as mentioned above, the process of forming the stitch which surrounds the part which is going to cut out by sewing a secondary fabric inside of a main fabric, and the process of cutting out the main fabric enclosed by the said stitch leaving a predetermined rolled-up width from a stitch By using an incision shape forming method comprising a, a free shape incision can be easily formed on the cloth. In addition, the formed incision shape, the sub-texture appears on the outer side of the cloth through the incision formed in the main cloth, the three-dimensional line is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incision by the rolled up width left on the main cloth. Moreover, since the loosening prevention process of the cutting edge of main cloth is unnecessary, work process is few and operation is easy.

상기 주옷감을 편지로 하고, 상기 부옷감을 편지, 직포지 또는 부직포지 중 어느 하나로 함으로써, 주옷감에 남겨진 말아올린폭이 말려 올라가 입체적 라인이 형성된다. 또한, 주옷감과 부옷감의 전환 부분에 형성된 입체적 라인은, 곡선 형상의 자연스러운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주옷감은, 절개 모양을 넣으면 완성품이 되는 것의 구성 옷감이므로, 옷감에 넣어진 도안을 분단하는 절개 모양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의복 등의 봉합 부분에 연속하는 절개 모양을 간단하게 형 성할 수 있다.By making the main cloth into a letter and the non-woven cloth into any one of a letter, a woven fabric or a nonwoven fabric, the rolled-up width left on the main fabric is rolled up to form a three-dimensional line.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line formed in the switching part of a main cloth and a secondary cloth becomes a natural thing of a curved shape. Moreover, since the said main fabric is a constituent cloth of what will become a finished product when a cut shape is put in, it becomes possible to form the cut shape which divides the pattern put into the cloth, and also makes it easy to cut the shape which is continuous to the suture parts, such as clothes. Can be formed.

주옷감에 형성된 절개와, 상기 절개의 주연으로부터 소정의 말아올린폭만큼 외측에 실시된 스티치와, 상기 절개를 통해 주옷감의 표면에 나타나는 부옷감과, 상기 말아올린폭이 말려 올라감으로써 절개 모양의 옷감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주옷감의 절개연이 말려 올라가는 것은 절개 모양을 개성적이고 참신한 것으로 하는 장식의 일부가 되어, 절개 모양의 옷감에 헐렁한 감각을 자아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옷감을 편지로 하고, 상기 부옷감을 편지, 직포지 또는 부직포지 중 어느 하나로 함으로써, 주옷감에 남겨진 말아올린폭이 말려 올라가면서 생긴 입체적 라인은 곡선상의 조작하지 않은 것이 되어, 헐렁한 감각을 자아낼 수 있다.An incision formed in the main fabric, a stitch made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incision by a predetermined roll width, a sub-textile appearing on the surface of the main fabric through the incision, and the rolled width are rolled up to form an incision. By constructing the cloth, the curling of the cutting edge of the main cloth becomes part of the decoration that makes the incision shape unique and novel, and can give a loose feeling to the incision cloth. In addition, by making the main cloth into a letter and the non-woven cloth into any one of a letter, a woven fabric, or a nonwoven fabric, the three-dimensional line formed by the curling of the rolled-up width left on the main fabric becomes uncurved and loose. I can feel a sense.

본 발명에 따른 보형성을 갖는 의복은 셔츠, 바지, 재킷 등은 물론 머플러, 스카프, 가방 등의 복식 잡화에도 응용 가능하다.Clothing having the shape ret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shirts, pants, jackets, etc., as well as fashion goods such as mufflers, scarves, bags.

Claims (4)

의복에 변형이 가능하고 형상 유지가 가능한 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성을 갖는 의복.A garment having prosthesis, comprising a member that is deformable and retains shape to the garment. 변형이 가능하고 형상 유지가 가능한 부재를 의복의 몸통, 소매, 옷자락, 옷깃 또는 포켓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성을 갖는 의복.A garment having prosthesis, wherein a deformable and shape-retain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trunk, sleeve, hem, collar, or pocket of the garm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변형이 가능하고 형상 유지가 가능한 부재를 수지제 와이어 또는 세라믹제 와이어로 한 보형성을 갖는 의복.The garment which has the shape retaining shape which made the said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the shape maintainable member a resin wire or a ceramic wir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수지제 와이어 또는 세라믹제 와이어의 단부를 접어 꺽어 통 형상 부재를 씌워 단부 처리를 한 보형성을 갖는 의복.The garment which has the shape retention which end-processed by folding the edge part of the said resin wire or the ceramic wire, and covering the cylindrical member.
KR1020077003121A 2004-07-15 2005-07-12 Clothing with shape retainability KR2007005126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8966 2004-07-15
JPJP-P-2004-00208966 2004-07-15
JPJP-P-2005-00094080 2005-03-29
JPJP-P-2005-00094079 2005-03-29
JP2005094079A JP3767901B2 (en) 2004-07-15 2005-03-29 Shirt with cutout horizontal stripes
JP2005094080A JP3784398B2 (en) 2005-03-29 2005-03-29 Clothes with shape reten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269A true KR20070051269A (en) 2007-05-17

Family

ID=3578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121A KR20070051269A (en) 2004-07-15 2005-07-12 Clothing with shape retainabilit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57369A1 (en)
EP (1) EP1779740A4 (en)
KR (1) KR20070051269A (en)
WO (1) WO2006009020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477B1 (en) * 2007-02-26 2008-01-07 김연임 White shirts
KR200485096Y1 (en) * 2016-07-22 2017-11-27 김남열 Cloths inserted shape fixing wire
KR20210002472U (en) * 2020-04-29 2021-11-08 더인터맥스(주) A Placket Having an Inserted Wire for Varying a Neck Line
KR102436217B1 (en) * 2022-05-25 2022-08-25 주식회사 더제이앤 Children's dress with improved f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1324B2 (en) * 2005-04-01 2011-01-04 Catherine Chetelat Anti-creep waist-clothing
US20060218698A1 (en) * 2005-04-05 2006-10-05 Toyne Kathleen M Pant leg stabilizer
US20070277293A1 (en) * 2006-05-30 2007-12-06 Koepp Kyong S Stay for changing designs of wearable items
KR20090125199A (en) * 2007-04-26 2009-12-03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Venting apparatus with no-catch mechanism
US8201276B2 (en) * 2008-10-31 2012-06-19 Astar Listings, LLC Protection device, system and/or method
US9021617B2 (en) 2008-10-31 2015-05-05 Astar Listings, LLC Protection device, system and/or method
US20100319103A1 (en) * 2009-06-23 2010-12-23 Smith Carolyn W Sleepwear having a skirt
US20110056001A1 (en) * 2009-09-04 2011-03-10 Missett Kathy A Pocket flap
US20110289650A1 (en) * 2010-05-05 2011-12-01 David Michael Arrona Shirt collar form
US8850615B2 (en) 2010-06-08 2014-10-07 Nike, Inc. Thermal energy dissipating garment with scalloped vents
WO2012114209A1 (en) * 2011-02-25 2012-08-30 Amarcod Industria Abbigliamento S.R.L. Garment for the neuro-musculo-skeletal assistance
US10959471B2 (en) * 2015-02-10 2021-03-30 Romer Millinery Turban
US10681939B2 (en) * 2018-05-17 2020-06-16 Michael DeSimone Stabilized garment cuff
USD930331S1 (en) * 2018-06-28 2021-09-14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Upper torso garment
CN214317295U (en) * 2021-01-22 2021-10-01 游慧云 Burden-reducing vest bag
US11259574B1 (en) * 2021-08-17 2022-03-01 Capped Out Media Apparatus for weighted apparel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344A (en) * 1886-10-19 Stiffening for corsets
US443023A (en) * 1890-12-16 Stiffener for shirt-collars
US379882A (en) * 1888-03-20 Garment-stay
US2583225A (en) * 1952-01-22 murphy
US724011A (en) * 1902-10-09 1903-03-31 George Jackson Hudson Garment.
US1019339A (en) * 1911-07-11 1912-03-05 Michael M Mcdermott Stiffening device for garments.
US2599636A (en) * 1948-03-15 1952-06-10 Allan H Hull Shirt collar attachment
US2595133A (en) * 1948-09-08 1952-04-29 William M Golden Garment stay
US2702907A (en) * 1952-05-17 1955-03-01 Berniker Frederick Boning stay
FR1020640A (en) * 1952-09-03 1953-02-09 Bra
US3088120A (en) * 1960-09-12 1963-05-07 Arthur Imerman Undergarment Co Flarable garment combination
US3133289A (en) * 1962-07-26 1964-05-19 Frank K Lipschutz Cap with removable stiffener elements
US3213465A (en) * 1962-10-30 1965-10-26 Stanley W Ludwikowski Rainwear
US3357028A (en) * 1965-06-14 1967-12-12 Constance A Laniado Garment stay
FR2140798A5 (en) * 1971-06-08 1973-01-19 Tareau Georges
US4133316A (en) * 1977-06-23 1979-01-09 S & S Industries, Inc. Brassiere frame
JPH0261910U (en) * 1988-10-21 1990-05-09
US5233704A (en) * 1991-09-26 1993-08-10 Booher Ruth E Scarf or other band-like apparel member
JPH06220701A (en) * 1993-01-25 1994-08-09 M Bai M:Kk Interlining for collar
JP3001742B2 (en) * 1993-02-15 2000-01-24 マルコ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cloth-like composite reinforcing member
US5626267A (en) * 1993-08-11 1997-05-06 Peruski; Robert Garment shaping tape and method
JP2656460B2 (en) * 1995-06-20 1997-09-24 株式会社ダッチェス Wire bone insertion structure
FR2740302A1 (en) * 1995-10-26 1997-04-30 Jammes Manuel Bathing or sports garment for either sex which is more comfortable to wear
US5893171A (en) * 1997-05-30 1999-04-13 Ries; Margaret A. Nursing cover-up
US5904607A (en) * 1997-06-19 1999-05-18 Abadi; Jacob Cleavage enhancement brassiere
JP2001020116A (en) * 1999-07-08 2001-01-23 Furukawa Techno Material Co Ltd Composite interlining material for clothes and its production
US6341504B1 (en) * 2001-01-31 2002-01-29 Vivometrics, Inc. Composite elastic and wire fabric for physiological monitoring apparel
AU2003221825A1 (en) * 2002-04-05 2003-10-27 Vikram Sharma Tubular knit fabric and system
JP4235397B2 (en) * 2002-04-10 2009-03-11 渡辺化成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shape stabilizer
JP2004183111A (en) * 2002-11-29 2004-07-02 Kuraray Co Ltd Wire for cloth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477B1 (en) * 2007-02-26 2008-01-07 김연임 White shirts
KR200485096Y1 (en) * 2016-07-22 2017-11-27 김남열 Cloths inserted shape fixing wire
KR20210002472U (en) * 2020-04-29 2021-11-08 더인터맥스(주) A Placket Having an Inserted Wire for Varying a Neck Line
KR102436217B1 (en) * 2022-05-25 2022-08-25 주식회사 더제이앤 Children's dress with improved f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9740A4 (en) 2008-04-30
US20070157369A1 (en) 2007-07-12
WO2006009020A1 (en) 2006-01-26
EP1779740A1 (en)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1269A (en) Clothing with shape retainability
JP3718793B2 (en) How to provide clothing
US5605060A (en) Circularly knit bodysuit and a blank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1112399B1 (en) method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knitted goods
JP4820409B2 (en) Stretch-proof knitted colla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outerwear with the collar
JP2000345465A (en) Formation of unevenness on fabric of clothing
US20050115281A1 (en) Hosiery-type garments and method of making
US8161574B2 (en) Apparel with raised course crease
CN107447352A (en) A kind of tubular 3D weaving methods of flat machine and its knit and can wear product
JP3784398B2 (en) Clothes with shape retention
KR200101021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ducing tubular knitwear items provided with one or more complete openings or braces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JP3124196U (en) Women&#39;s top
JP2019044286A (en) Tailored ja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11919B1 (en) Coat string
JP2006144194A (en) Inner wear
JP406607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ive-finger type stockings and five-finger type stockings
JP2006169648A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and clothes composed of knitted fabric
JP2001303301A (en) Business shirt
JP2006124908A5 (en)
CN216821861U (en) Dress with adjustable waist
JP2006124908A (en) Clothes having shape-keeping property
JPH10110304A (en) Clothes having hip-up function
ITCO20000003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AUTOMATIC PRODUCTION OF CONFORMED TUBULAR KNITTED ITEMS AND RESULTING PRODUCTS
JPS5819134Y2 (en) Japanese-style jacket
KR101883572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Porous Seamless Type of a Knitting Clothing Fabric and the Knitting Clothing Fabric Produced by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