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902A - 조립식 덕트플랜지 - Google Patents

조립식 덕트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902A
KR20070050902A KR1020070041503A KR20070041503A KR20070050902A KR 20070050902 A KR20070050902 A KR 20070050902A KR 1020070041503 A KR1020070041503 A KR 1020070041503A KR 20070041503 A KR20070041503 A KR 20070041503A KR 20070050902 A KR20070050902 A KR 20070050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duct
base
cas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6275B1 (ko
Inventor
이준범
Original Assignee
(주)문명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문명에이스 filed Critical (주)문명에이스
Priority to KR1020070041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275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유니트 및 각종 냉난방 기구 등의 케이스에 덕트플랜지의 베이스를 고정한 후 플랜지부를 상기 베이스에 조립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케이스와 덕트플랜지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덕트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인 조립식 덕트플랜지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조립식 덕트플랜지는 덕트가 연결되는 플랜지부와 케이스에 연결되는 베이스로 각각 분리·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면으로는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된 다수개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는 삽입부와 동일한 간격마다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플랜지부를 베이스 내부로 삽입한 후 회전시켜, 삽입부가 돌출부에 걸림·고정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케이스에 덕트플랜지를 조립식으로 설치 및 해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 삽입부의 일끝단부는, 상기 삽입부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어, 조립식 덕트플랜지의 결합 시 돌출부 내측으로 삽입부가 완전히 삽입되면, 고정부가 돌출부 일끝단부에 걸려 더 이상 플랜지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플랜지부가 유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와 베이스 사이로는 고무패킹을 더 구비하여, 조립식 덕트플랜지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플랜지부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랜지부와 외부베이스와 내부베이스로 구성된 조립식 덕트플랜지를 구성함으로써, 덕트와 케이스를 용이하게 연결하고, 덕트와 플랜지부가 연결된 채로 플랜지부와 외부베이스의 해체가 가능하여, 케이스 내부의 청소 또는 수리 등을 용이하게 한다.
환기유니트, 냉난방 기구, 덕트, 케이스, 덕트플랜지

Description

조립식 덕트플랜지 { prefabricated duct flange }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덕트플랜지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덕트플랜지의 조립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덕트플랜지의 정면도.
도4는 도3의 A-A´부분의 단면도.
도5는 도3의 B-B´부분의 단면도.
도6은 도5의 C부분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플랜지부 11: 연결부
12: 삽입부 13: 고정부
20: 외부베이스 21: 돌출부
22: 안착부 30:내부베이스
31: 결합부 23,32: 결합공
40: 고무패킹 50: 케이스
60: 덕트
본 발명은 환기유니트 및 각종 냉난방 기구 등의 케이스에 덕트플랜지의 베이스를 고정한 후 플랜지부를 상기 베이스에 조립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케이스와 덕트플랜지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덕트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는 내부의 오염된 공기의 환기를 위한 환기유니트나, 실내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각종 냉난방 기구 등이 설치된다.
상기 환기유니트 및 냉난방 기구는 열교환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배기팬 등의 각종 장치들이 케이스 내부로 형성되고, 실내·외 배기구 및 실내·외 급기구 등이 연결된 덕트(duct: 공기나 기타 유체가 흐르는 통로)가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 형성된 덕트플랜지(duct flange)에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덕트와 케이스를 연결하는 덕트플랜지는 피스나 리벳 등을 이용한 볼트결합 방식을 통해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덕트플랜지에 플렉시블 덕트 또는 스파이어럴 덕트 등을 연결한 후 밴드 등으로 체결하는 방법으로 케 이스와 덕트가 연결되기 때문에, 환기유니트 및 냉난방 기구의 설치 시 케이스와 덕트의 연결이 불편하고, 케이스 내부의 청소 또는 기재수리 등을 위해 설치된 케이스 내부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각 덕트플랜지에서 덕트를 일일이 분해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스에 덕트플랜지를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조립식 덕트플랜지를 구성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덕트플랜지를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기유니트 및 각종 냉난방 기구 등의 케이스에 덕트플랜지의 베이스를 고정한 후 플랜지부를 상기 베이스에 조립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케이스와 덕트플랜지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덕트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조립식 덕트플랜지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조립식 덕트플랜지는 덕트가 연결되는 플랜지부와 케이스에 연결되는 베이스로 각각 분리·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면으로는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된 다수개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는 삽입부와 동일한 간격마다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플랜지부를 베이스 내부로 삽입한 후 회전시켜, 삽입부가 돌출부에 걸림·고정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케이스에 덕트플랜지를 조립식으로 설치 및 해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 삽입부의 일끝단부는, 상기 삽입부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어, 조립식 덕트플랜지의 결합 시 돌출부 내측으로 삽입부가 완전히 삽입되면, 고정부가 돌출부 일끝단부에 걸려 더 이상 플랜지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플랜지부가 유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와 베이스 사이로는 고무패킹을 더 구비하여, 조립식 덕트플랜지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플랜지부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인 조립식 덕트플랜지를 각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조립식 덕트플랜지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0)와 외부베이스(20)와 내부베이스(30)로 각각 구성되는데, 우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0)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으로는 덕트(60)와 연결되는 연결부(11)가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는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된 삽입부(12)가 6개 형성되며, 상기 각 삽입부(12)의 일끝단부로는 삽입 부(12)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부(13)가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외부베이스(20)는 상기 플랜지부(10)의 밀착·삽입이 가능한 원형을 가지고, 외측 후방으로는 케이스(50)와 볼트로 결합 가능하도록 관통된 결합공(23)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 후방으로는 내벽을 따라 돌출된 안착부(22)가 돌출·형성되고, 내측 전방으로는 상기 삽입부(12)와 동일한 간격마다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부(21)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내부베이스(30)는 전방으로 상기 외부베이스(20) 내부로 밀착·삽입이 가능한 결합부(31)가 돌출되고, 외부베이스(20)에 형성된 결합공(23)과 동일한 위치로 관통된 결합공(32)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플랜지부(10)와 외부베이스(20)와 내부베이스(30)로 구성된 조립식 덕트플랜지의 설치방법은, 도2 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덕트(60)가 연결될 케이스(50)의 내측으로는 내부베이스(30)를 위치시키고, 그 외측으로는 외부베이스(20)를 위치시키는데, 이때, 외부베이스(20)와 내부베이스(30) 사이로는 고무패킹(40)을 구비하여,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무패킹(40)을 안착부(22)의 후방으로 형성된 단턱에 안착시키고, 결합부(31)를 외부베이스(20) 내부로 삽입하여 고무패킹(40)에 밀착시킨 후,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결합공(23)(32)를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케이스(50)의 내외측으로 내부베이스(30)와 외 부베이스(20)를 각각 결합·고정한다.
다음으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1)에 덕트(60)가 연결·고정된 플랜지부(10)를 상기와 같이 케이스(50)에 고정·형성된 외부베이스(20)와 연결하는데, 역시,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0)와 외부베이스(20) 사이로는 고무패킹(40)을 구비하여, 상기 고무패킹(40)을 안착부(22)의 전방으로 형성된 단턱에 안착시키고, 플랜지부(10)를 외부베이스(20) 내측으로 삽입한 후 플랜지부(10)를 회전시키면 돌출부(21)와 안착부(22) 사이로 삽입부(12)가 밀착·삽입되는데, 이렇게 삽입부(12)가 돌출부(21)와 안착부(22) 사이로 완전히 삽입되면, 고정부(13)가 돌출부(21)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아, 삽입부(12)가 돌출부(21)에 걸림하는 방식으로 플랜지부(10)가 외부베이스(2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플랜지부(10)와 외부베이스(20) 사이 및 외부베이스(20)와 내부베이스(30) 사이로 고무패킹(40)이 구비됨으로써, 덕트(60)와 케이스(50)가 연결되는 부분인 조립식 덕트플랜지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플랜지부(10)가 고무패킹(40)에 접하여, 조립식 덕트플랜지의 설치 후 진동 등에 의해 플랜지부(10)가 유동하거나 회전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1) 외측을 따라 돌출된 돌기와 안착부(22) 내측을 따라 형성된 홈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외부베이스(20)와 내부베이스(30)의 결합을 더욱 긴밀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타내듯이 삽입부(12)와 돌출부(21)의 개수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설치 환경에 적합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케이스(50)에 연결된 조립식 덕트플랜지는 설치가 용이하고, 케이스(50) 내부의 청소 또는 기재수리 등을 할 때에는 덕트(60)를 따로 분리하지 않고, 플랜지부(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케이스(50)와 플랜지부(10)를 쉽게 해체하여, 환기유니트 및 각종 냉난방 기구 등의 관리를 더욱 편리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랜지부와 외부베이스와 내부베이스로 구성된 조립식 덕트플랜지를 구성함으로써, 덕트와 케이스를 용이하게 연결하고, 덕트와 플랜지부가 연결된 채로 플랜지부와 외부베이스의 해체가 가능하여, 케이스 내부의 청소 또는 수리 등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케이스(50)와 덕트(60)를 연결하는 덕트플랜지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형태에 일측은 덕트(60)가 연결되는 연결부(11)가 형성되고, 타측은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된 다수개의 삽입부(12)가 형성된 플랜지부(10)와;
    케이스(50) 외측으로 연결되어, 내부로 상기 플랜지부(10)의 밀착·삽입이 가능하고, 내측 전방으로 상기 삽입부(12)와 동일한 간격마다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부(21)가 형성된 외부베이스(20)와;
    케이스(50) 내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베이스(20) 내부로 밀착·삽입이 가능한 결합부(31)가 돌출된 내부베이스(30)로 구성된 조립식 덕트플랜지를 구성함으로써,
    플랜지부(10)를 외부베이스(20) 내부로 삽입한 후 회전시켜, 삽입부(12)가 돌출부(21)에 걸림·고정하도록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덕트플랜지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덕트플랜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삽입부(12)의 일끝단부는,
    삽입부(12)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부(13)가 형성됨으로써,
    플랜지부(10)와 외부베이스(20)의 결합 시 돌출부(21)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삽입부(12)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덕트플랜지.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베이스(20)는,
    내벽을 따라 돌출된 안착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22)의 양 측면으로 고무패킹(40)을 구비함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플랜지부(1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덕트플랜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베이스(20)와 내부베이스(30)는,
    볼트의 삽입이 가능한 다수개의 결합공(23)(32)이 동일한 위치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케이스(50) 내·외부에 외부베이스(20)와 내부베이스(30)를 동시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덕트플랜지.
KR1020070041503A 2007-04-27 2007-04-27 조립식 덕트플랜지 KR100826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03A KR100826275B1 (ko) 2007-04-27 2007-04-27 조립식 덕트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03A KR100826275B1 (ko) 2007-04-27 2007-04-27 조립식 덕트플랜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902A true KR20070050902A (ko) 2007-05-16
KR100826275B1 KR100826275B1 (ko) 2008-04-30

Family

ID=3827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503A KR100826275B1 (ko) 2007-04-27 2007-04-27 조립식 덕트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27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949B1 (ko) * 2007-09-07 2008-04-08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원형덕트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100972048B1 (ko) * 2007-09-15 2010-07-23 김정환 착탈식 다방향 분지관을 구비한 환기 장치
KR20160097462A (ko) * 2015-02-07 2016-08-18 (주)센도리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
KR20160119557A (ko) * 2015-04-06 2016-10-14 주식회사 힘펠 환풍기용 전동댐퍼
KR101678934B1 (ko) * 2015-11-27 2016-11-23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연도 체결구조
KR200490909Y1 (ko) * 2019-05-14 2020-01-21 (주)한솔일렉트로닉스 냉난방기용 연결덕트
KR102090313B1 (ko) * 2019-02-26 2020-03-17 씨엔지디에스주식회사 플렉시블 호스를 덕트에 연결하는 덕트 소켓
KR20220143407A (ko) *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에코닉스 회전 및 이동방지 기능을 갖는 위치결정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862B1 (ko) 2012-12-26 2014-10-14 주식회사 이지하임 덕트용 접속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7335A (ja) 1997-03-24 1998-10-09 Akiyama Seisakusho:Kk ベントキャップ
JP3733750B2 (ja) 1998-07-06 2006-01-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ダクトの接合部構造
JP4160478B2 (ja) 2003-09-05 2008-10-01 リンナイ株式会社 ダクト接続構造
KR20050064821A (ko) * 2003-12-24 2005-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냉방장치용 루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949B1 (ko) * 2007-09-07 2008-04-08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원형덕트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100972048B1 (ko) * 2007-09-15 2010-07-23 김정환 착탈식 다방향 분지관을 구비한 환기 장치
KR20160097462A (ko) * 2015-02-07 2016-08-18 (주)센도리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
KR20160119557A (ko) * 2015-04-06 2016-10-14 주식회사 힘펠 환풍기용 전동댐퍼
KR101678934B1 (ko) * 2015-11-27 2016-11-23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연도 체결구조
KR102090313B1 (ko) * 2019-02-26 2020-03-17 씨엔지디에스주식회사 플렉시블 호스를 덕트에 연결하는 덕트 소켓
KR200490909Y1 (ko) * 2019-05-14 2020-01-21 (주)한솔일렉트로닉스 냉난방기용 연결덕트
KR20220143407A (ko) *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에코닉스 회전 및 이동방지 기능을 갖는 위치결정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275B1 (ko)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275B1 (ko) 조립식 덕트플랜지
KR200342074Y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JP6141292B2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設置構成
US20090107167A1 (en) Air conditioner
US984499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681870B1 (ko) 환기장치
JP2005003345A (ja) 換気兼熱交換装置および空調システム
KR20180121211A (ko) 공기조화기
WO2011089728A1 (ja) 換気端末装置および換気システム
KR20180121162A (ko) 공기조화기
JP7106284B2 (ja) ルーバ、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組立方法
WO2021036564A1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and telescoping air plenum with self-adjusting divider
JP2000274727A (ja) 空気調和機及び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
US20220333814A1 (en) Air conditioner with modular makeup air assembly
US11774133B2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having a plenum for make-up air
KR101028950B1 (ko) 환기장치
US11739953B2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and make-up air assembly
CN217357466U (zh) 一种室内空调器
JP7143975B2 (ja) 空調チャンバ及び空調設備
KR100583940B1 (ko) 건축물 천장 환기시설물
KR20150042073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용 회전유닛
US20220333790A1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and make-up air assembly
KR20170020625A (ko) 전열교환기용 급배기구 조인트 플랜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20100005530A (ko) 공기조화기
KR20230102333A (ko) 천장형 에어컨 급기덕트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