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8892A -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8892A
KR20070048892A KR1020050105944A KR20050105944A KR20070048892A KR 20070048892 A KR20070048892 A KR 20070048892A KR 1020050105944 A KR1020050105944 A KR 1020050105944A KR 20050105944 A KR20050105944 A KR 20050105944A KR 20070048892 A KR20070048892 A KR 20070048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ification
data
input
classification system
class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768B1 (ko
Inventor
정재석
Original Assignee
(주)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윕스 filed Critical (주)윕스
Priority to KR102005010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7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다단계 분류체계를 무제한으로 생성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분류체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다중 분류할 수 있는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데이터를 분류체계별로 분류하는 분류시스템을 구비하고, 분류할 분류대상 데이터들을 입력받는 단계, 분류체계를 생성하기 위해 분류체계 생성화면을 송출하는 단계, 다단계로 이루어진 분류체계를 생성하는 단계,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화면을 송출하는 단계,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된 데이터들을 분류하는 단계, 각 분류체계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다단계 분류체계를 무제한으로 생성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분류체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 분류체계, 다단계 분류

Description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DATA CLASS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기존의 탐색기 구조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시스템의 구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복분류 가능 여부 및 중간단 입력 가능 여부 제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류 데이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분류시스템 101: 분류입력수단
102: 분류제어수단 103: 분류수단
104: 저장수단 105: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데이터 분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계 분류체계를 무제한으로 생성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분류체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다중 분류할 수 있는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류체계란 분류 기호 및 그것에 대응하는 용어를 사용하여 문헌 또는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표현하는 체계를 말하여, 필요하면 가나다순 또는 알파벳순의 색인에 의해 분류한 주제에 접근하기 쉽게 한다.
특허의 경우, 특허 분석을 위해서는 특허 데이터를 분류하여야 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의 분류체계를 생성한 후, 각 하위 분류체계에 해당 데이터를 삽입한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하나의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각도로 분류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존에 제공되는 하나의 분류체계로는 부족함이 있다.
이와 같은 특허 기술 분류에 대한 일례가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보 10-0490725호(기술 분류형 특허 맵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기술 분류형 특허 맵 DB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PM 기술 분류 시스템 및 기술 분류형 PM DB를 구비하여 PM 기술 분류 시스템을 이용하고 인터넷을 통해 PM 관련 서버에 각각 접속하여 얻은 PM 관련 정보와, PM 기술 분류 시스템을 운용하는 운용자에 의해 스스로 제작된 PM 관련 정보를 생성한 후, PM 기술 분류 시스템은 생성된 PM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칼럼 간에 하위기술연 결점과 상위기술연결점을 세부 기술 분류형으로 연결하고, 최하위기술분류 칼럼에 서지 사항 중 한가지 항목 이상 구비되도록 분류하여 기술 분류형 PM DB에 저장하여, 기존의 서버로부터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를 일일이 읽어보고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할 때, 같은 작업을 반복 수행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과거에 만든 데이터와 병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술 분류형 특허 맵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 정보의 분류에 대한 일례가 일본 특허 공개공보 2004-152243호(특허 정보의 분류, 분석 및 표시 처리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N 개의 각축에 배열되는 복수의 특허 정보의 늘어섬 열을 가지는 N 차원의 매트릭스에 있어서, N 개의 각축의 각각의 특허 정보의 늘어섬 열 (때)마다 있는 하나의 특허 정보를 각각 선택한 때에, N 개분의 해당 있는 하나의 특허 정보의 전부에 일의적으로 대응하는 특허 정보 수납부에, 해당 선택한 N 개분의 해당 있는 하나의 특허 정보의 전부에 대해, 분류, 분석의 대상이 되는 특허 정보 및 해당 특허 정보와 한 쌍에 관련시켜 지는 특허 번호 등의 특허 정보를 N 개의 각축 (때)마다 각각 조합하고 해당 특허 정보 사이가 일치한 경우로 제한하고, 상기 특허 정보와 한 쌍에 관련시켜 지는 특허 번호 등을 상기의 대응하는 특허 정보 수납부에 수납하는 데이터 처리를 행하고, 또한 N 차원의 매트릭스에 있어서 각각 축의 특허 정보의 교점으로서 형성되는 전부 특허 정보 수납부에 대해 동일한 수납 처리를 일시에 행하는 특허 정보의 분류, 분석 및 표시 처리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보 2004-0041293호와 2002-342447호에 있어서는 하나의 분류체계만을 제공해서 실제 실무에 이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단계 분류체계를 무제한으로 생성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분류체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분류할 수 있는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분류체계 내의 여러 하위 분류에 중복으로 분류하여 분류를 유동적으로 할 수 있는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단계 분류시 최하위단 입력 또는 중간단 입력이 가능하여 어디에 분류해야할지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데이터는 추후에 다시 분류할 수 있도록 중간단에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은 다수의 데이터를 분류체계별로 분류하는 분류시스템을 구비하는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있어서, 분류할 분류대상 데이터들을 입력받는 단계, 분류체계를 생성하기 위해 분류체계 생성화면을 송출하는 단계, 다단계로 이루어진 분류체계를 생성하는 단계,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화면을 송출하는 단계,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된 데이터들을 분류하는 단계, 각 분류체계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체계 또는 분류결과는 자동으로 저장하고, 상기 다단계 분류체계는 무제한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동일한 데이터를 분류체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다중 분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간단 입력은 다단계 분류시 최하단 또는 중간단에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복분류는 하나의 최상위 분류체계에 종속된 여러 하위 분류에 중복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는, 중간단 입력과 중복분류가 가능한 경우에는 모든 단의 여러 해당 분류에 분류하는 단계, 중간단 입력은 가능하나 중복분류는 불가능한 경우에는 모든 단의 하나의 해당 분류에만 분류하는 단계, 중간단 입력은 불가능하나 중복분류는 가능한 경우에는 최하단의 여러 해당 분류에 분류하는 단계, 중간단 입력과 중복분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최하단의 하나의 해당 분류에만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분류체계 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는 분류하고자 하는 분류를 선택하면 이 분류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해당 분류로 자동분류되어 선택된 분류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간단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데이터들을 분류한 후에 미분류 데이터 송출 요청을 받으면 미분류 데이터와 분류된 데이터를 구분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데이터의 내용이 업데이트되면 분류체계에 분류한 데이터의 내용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분류시스템(10)은 데이터를 분류하고자하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분류하기 위해 이용하는 프린터,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류시스템(10)은 그 성능에서 다소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본 분야에서 통상으 로 사용되는 공지 기술이므로 구체적 설시는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분류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분류체계를 및 요구사항을 입력받는 분류입력수단(101),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분류제어수단(102), 입력된 데이터를 분류하는 분류수단(103), 분류체계와 분류결과 및 작업의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수단(104), 분류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05)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105)는 그 성능에서 다소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본 분야에서 통상으로 사용되는 공지 기술이므로 구체적 설시는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기존의 탐색기 구조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시스템의 구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복분류 가능 여부 및 중간단 입력 가능 여부 제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류 데이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데이터를 분류하기 위해 분류시스템(10)에 접속된 후, 데이터베이스(105)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분류하고자 하는 분 류대상을 입력받는다(ST 2010). 다음으로, 분류체계를 생성하기 위해 분류체계 생성화면을 송출하여(ST 2020) 사용자로부터 분류체계를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류입력수단(101)에 의해 다단계 분류체계를 생성하는데 '기술분류', 'IPC별 분류' 등의 상위 분류를 생성하고(ST 2021), '기본장치', '입력장치', 'H04', 'H01' 등의 각 상위 분류별로 하위 분류를 생성한다(ST 2022). 생성하는 다단계 분류체계는 무제한으로 생성 가능하며, 동일한 데이터를 분류체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다중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류체계의 구조는 윈도우 탐색기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으나, 형태만 비슷할 뿐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기존의 탐색기(도 4a)는 분류가 설정된 상태에서 문헌 정보가 각각 들어가는 구조이나, 본 발명에 따른 분류체계(도 4b)의 구조는 문헌 중심에 문헌 정보에 여러 분류 정보가 추가되는 구조이다. 그 구체적인 차이는 아래와 같다.
기존의 탐색기 본 발명
문헌 내용 변경 시, 해당 문헌만 변경됨 문헌의 내용 변경 시, 모든 분류 체제의 내용도 자동 업데이트됨
복사본을 여러 분류에 저장 복사본이 아닌 문헌 원문 링크
분류 정보 삭제 시, 해당 문헌 내용도 삭제 분류 정보 삭제 시, 분류 정보만 삭제됨 문헌 정보는 삭제되지 않음
분류가 없으면 문헌 정보가 존재할 수 없음 분류 정보가 없어도 문헌 정보가 존재 가능
다음으로,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성된 분류에 대하여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화면을 송출하여(ST 2030),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를 입력받는다(ST 2031). 여기서, 중간단 입력 은 다단계 분류시 최하단 또는 중간단에 입력할 수 있는 기능으로 어디에 분류해야 할지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데이터를 추후에 다시 분류할 수 있도록 해주며, 중복분류는 하나의 최상위 분류체계에 종속된 여러 하위 분류에 중복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능으로 여러 분류에 포함될 수 있도록 유동적으로 분류할 수 있게 해준다.
분류수단(103)은 입력된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하는데, 분류제어수단(102)이 중간단 입력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ST 2040),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ST 2041, ST 2045) 그에 따라 제어한다. 그 결과 중간단 입력과 중복분류가 가능한 경우에는 모든 단의 여러 해당 분류에 분류하고(ST 2046), 중간단 입력은 가능하나 중복분류는 불가능한 경우에는 모든 단의 하나의 해당 분류에만 분류하고(ST 2047), 중간단 입력은 불가능하나 중복분류는 가능한 경우에는 최하단의 여러 해당 분류에 분류하며(ST 2042), 중간단 입력과 중복분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최하단의 하나의 해당 분류에만 분류한다(ST 2043). 이때, 데이터는 해당 분류에 직접 입력하거나, 해당 분류를 선택하면 이 분류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자동분류되어 입력된다. 분류체계 및 분류결과는 저장수단(104)에 자동으로 저장한다(ST 2044, ST 2048).
중간단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제어된 경우, 분류가 완료된 후에 사용자로부터 미분류 데이터 송출 여부를 확인하여(ST 2050), 송출 요청을 받으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분류 데이터와 분류된 데이터를 구분하여 송출한다(ST 2051).
모든 분류가 완료된 후 사용자로부터 분류된 데이터 송출 여부를 확인하여(ST 2060), 송출 요청을 받으면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분류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송출한다(ST 2061).
데이터베이스(105)에 저장된 원본 데이터의 내용이 업데이트되면 각각의 분류체계에 분류하여 저장수단(104)에 저장한 분류결과 데이터의 내용도 자동으로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분류하기 위해 분류시스템(10)에 접속된 후, 데이터베이스(105)에서 분류하고자 하는 분류대상 데이터들을 선택받아 입력받는다(ST 2010). 다음으로, 분류체계를 생성하기 위해 분류체계 생성화면을 송출하여(ST 2020) 사용자로부터 분류체계를 입력받는다. 분류입력수단(101)에 의해 '기술분류'와 'IPC별 분류'인 상위 분류를 생성하고(ST 2021), '기술분류'에는 '기본장치', '멀티미디어장치', '다기능장치구조'인 하위 분류를 생성하고(ST 2022), '기본장치'에는 'DISPLAY', '저장장치', '입력장치', '송수신부' 등을, '멀티미디어장치'에는 '카메라모듈', '사운드', '디지털신호처리' 등을 다시 하위 분류로 생성한다(ST 2022). 'IPC별 분류'에는 'H04', 'H01', 'G06' 등을 하위 부류로 생성한다(ST 2022).
다음으로, 생성한 분류에 대하여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화면을 송출하여(ST 2030), 중간단 입력은 불가능하고 중복분류는 가능하다고 입력받는다(ST 2031). 중간단 입력은 불가능하나 중복분류는 가능하 므로 분류제어수단(102)에 의해 제어되어 각 데이터에 대하여 최하단의 여러 해당 분류에 분류수단(103)이 분류한다(ST 2042). 분류된 결과는 저장수단(104)에 자동으로 저장한다(ST 2044).
분류가 완료된 후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장치'의 미분류 데이터 송출 요청을 받아(ST 2050), '입력장치'의 미분류 데이터와 분류된 데이터를 구분하여 송출한다(ST 2051). 미분류 데이터 송출은 중간단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제어되었으므로 가능하다. 또, 사용자로부터 '디지털신호처리'에 분류된 데이터 송출 요청을 받아(ST 2060), '디지털신호처리'에 분류된 데이터를 송출한다(ST 2061).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의하면, 다단계 분류체계를 무제한으로 생성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분류체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분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의하면, 동일한 분류체계 내의 여러 하위 분류에 중복으로 분류하여 분류를 유동적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의하면, 다단계 분류시 최 하위단 입력 또는 중간단 입력이 가능하여 어디에 분류해야 할지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데이터는 추후에 다시 분류할 수 있도록 중간단에 입력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Claims (7)

  1. 다수의 데이터를 분류체계별로 분류하는 분류시스템을 구비하는 분류체계 관리 방법에 있어서,
    분류할 분류대상 데이터들을 입력받는 단계,
    분류체계를 생성하기 위해 분류체계 생성화면을 송출하는 단계,
    다단계로 이루어진 분류체계를 생성하는 단계,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화면을 송출하는 단계,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된 데이터들을 분류하는 단계,
    각 분류체계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체계 또는 분류결과는 자동으로 저장하고, 상기 다단계 분류체계는 무제한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동일한 데이터를 분류체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다중 분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체계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단 입력은 다단계 분류시 최하단 또는 중간단에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체계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분류는 하나의 최상위 분류체계에 종속된 여러 하위 분류에 중복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체계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중간단 입력 또는 중복분류의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는,
    중간단 입력과 중복분류가 가능한 경우에는 모든 단의 여러 해당 분류에 분류하는 단계,
    중간단 입력은 가능하나 중복분류는 불가능한 경우에는 모든 단의 하나의 해당 분류에만 분류하는 단계,
    중간단 입력은 불가능하나 중복분류는 가능한 경우에는 최하단의 여러 해당 분류에 분류하는 단계,
    중간단 입력과 중복분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최하단의 하나의 해당 분류에만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체계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류체계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는 분류하고자 하는 분류를 선택하면 이 분류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해당 분류로 자동분류되어 선택된 분 류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체계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단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데이터들을 분류한 후에 미분류 데이터 송출 요청을 받으면 미분류 데이터와 분류된 데이터를 구분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체계 관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데이터의 내용이 업데이트되면 분류체계에 분류한 데이터의 내용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체계 관리 방법.
KR1020050105944A 2005-11-07 2005-11-07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 KR100736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44A KR100736768B1 (ko) 2005-11-07 2005-11-07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44A KR100736768B1 (ko) 2005-11-07 2005-11-07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892A true KR20070048892A (ko) 2007-05-10
KR100736768B1 KR100736768B1 (ko) 2007-07-09

Family

ID=3827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944A KR100736768B1 (ko) 2005-11-07 2005-11-07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76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677B1 (ko) 2007-03-28 2008-10-1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다중 분류체계를 이용한 통제어 및 분야명 자동 할당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37814A3 (en) * 2009-05-25 2011-0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viding by-viewpoint patent map and system thereof
WO2019112367A1 (ko) * 2017-12-08 2019-06-13 주식회사 사이냅데이터 다중 분류 트리 방식 기반의 정보 관리 방법
KR20200011028A (ko) * 2018-07-23 2020-01-3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분류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03156A1 (en) * 2020-03-25 2021-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ynamic quantization in storage devices using machine learning
US11928080B2 (en) 2020-12-08 2024-03-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interoperability for data hubs based on active metadata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369B1 (ko) 1998-05-23 2006-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의 자동 분류방법 및 분류데이터의 검색/분석방법
KR100321793B1 (ko) 1998-12-29 2002-03-08 이계철 문서자동분류시스템에서의다중범주할당방법
US6609124B2 (en) 2001-08-13 2003-08-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ub for strategic intelligence
JP2003141129A (ja) * 2001-11-07 2003-05-16 Just Syst Corp 文書分類装置、文書分類方法、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677B1 (ko) 2007-03-28 2008-10-1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다중 분류체계를 이용한 통제어 및 분야명 자동 할당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37814A3 (en) * 2009-05-25 2011-0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viding by-viewpoint patent map and system thereof
US8583679B2 (en) 2009-05-25 2013-1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viding by-viewpoint patent map and system thereof
WO2019112367A1 (ko) * 2017-12-08 2019-06-13 주식회사 사이냅데이터 다중 분류 트리 방식 기반의 정보 관리 방법
KR20200011028A (ko) * 2018-07-23 2020-01-3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분류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03156A1 (en) * 2020-03-25 2021-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ynamic quantization in storage devices using machine learning
US11928080B2 (en) 2020-12-08 2024-03-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interoperability for data hubs based on active metadata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768B1 (ko) 2007-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230B1 (ko)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의 문구 식별
US73700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nd sorting data
JP4129819B2 (ja) データベース検索システム及びその検索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653448B (zh) 搜索数据源的系统和方法
JP5710851B2 (ja) 影響分析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0405366C (zh) 用于为一组搜索结果生成精细化类别的系统和方法
CN101366024B (zh) 用于处理数据搜索请求的方法和系统
JP5241370B2 (ja) テーブル分類装置、テーブル分類方法及びテーブル分類プログラム
JP3760057B2 (ja) 複数文書データベースを対象とした文書検索方法および文書検索サービス
KR100736768B1 (ko) 데이터 분류체계 관리 방법
US70105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defined data object hierarchy
ZA200503578B (en) Adaptively interfacing with a data repository
JP2006172446A (ja) 複合データアクセス
US8812552B2 (en) Computer database with adaptive storage space architecture
Liu et al. Moving block sequence and organizational evolutionary algorithm for general floorplanning with arbitrarily shaped rectilinear blocks
US8112458B1 (en) User segmentation user interface
KR20010104871A (ko) 검색결과의 자동분류 기능을 갖는 인터넷 사이트 검색서비스 시스템
JP2005316699A (ja) コンテンツ公開システム、コンテンツ公開方法、及びコンテンツ公開プログラム
RU2433467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структуры агрегированных данных и способ поиска данных посредством структуры агрегированных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управления базами данных
JP4136594B2 (ja)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JP4287464B2 (ja) システム基盤構成策定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方法
KR20050074058A (ko) 인터넷상에서 기사를 자동분류하여 타 웹사이트에자동송출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9212517A (ja) 情報代行検索方法及び装置
CN115795521A (zh) 访问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40280385A1 (en) Hierarchical inters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