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220A -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220A
KR20070047220A KR1020060106344A KR20060106344A KR20070047220A KR 20070047220 A KR20070047220 A KR 20070047220A KR 1020060106344 A KR1020060106344 A KR 1020060106344A KR 20060106344 A KR20060106344 A KR 20060106344A KR 20070047220 A KR20070047220 A KR 20070047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ember
driving
moving
driv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5445B1 (ko
Inventor
히로히사 스에요시
타다토미 소우가와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4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21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using intermittent driving, e.g. step motors, piezoleg motors
    • H02N2/025Inertial sliding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공정의 삭감에 의한 코스트 다운, 판스프링의 소성변형의 저감에 의한 구동성능의 오차 억제 및, 낙하충격에 의한 부품의 분해 및 비산방지를 가능하도록 한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압전소자(14)와, 압전소자(14)의 일단에 고정된 구동마찰부재(16) 및, 구동마찰부재(16)에 마찰에 의해 걸려진 이동부재(18)로 구성되어, 압전소자(14)를 신축시킴으로써 이동부재(18)를 구동마찰부재(16)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구동장치(10)로서, 이동부재(18)를 구동마찰부재(16)에 밀어붙이기 위한 판스프링(32)이 이동부재(18)와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구동장치 {DRIVE UNIT}
도 1은, 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판스프링이 홀더에 기울어지게 인서트성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2개의 완부를 가진 판스프링을 이용한 구동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판스프링의 기부에 가는 부분을 설치한 구동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a와 도 5b는, 홀더의 슬라이드부에 금속재료가 설치된 구동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 예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 - - - 구동장치 12 - - - - 추
14 - - - - 압전소자(전기기계 변환소자)
16 - - - - 구동마찰부재 18 - - - - 이동부재
20 - - - - 렌즈 22 - - - - 홀더
24 - - - - 홈부 25 - - - - 오목부
26 - - - - 슬라이드 마찰부재 32 - - - - 판스프링(압압부재)
32a - - - - 완부 32b - - - - 가는 부분
34 - - - - 금속재료
본 발명은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압전소자(壓電素子) 등의 전기기계 변환소자(electromechanical conversion element)를 이용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렌즈의 구동이나 정밀스테이지 구동(precision stage drive)에 사용되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동장치(60)가 알려져 있다. 이 구동장치(60)는 구동장치(60)가 조립되는 장치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원주상(圓柱狀)의 추(62)와, 이 추(62)에 신축방향(伸縮方向)의 일단(一端)이 예컨대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예컨대 원주상의 압전소자(전기기계 변환소자;64)와, 이 압전소자(64)의 신축방향 타단에 예컨대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예컨대 원주봉상(圓柱棒狀) 부재인 구동마찰부재(66)와, 이 구동마찰부재(66)에 마찰력에 의해 걸려지는 이동부재(68)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부재(68)는 광학부재인 렌즈(70)를 보유지지하는 수지성형품인 홀더(72)를 포함하고 있다. 홀더(72)는 그 측부에 형성된 대략 V자 모양의 홈부(74) 내에 구동마찰부재(66)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구동마찰부재(66)에는, 홀더(72)의 홈부(74) 내에 받아들여진 부분에서, 예 컨대 SUS판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마찰부재(76)가 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마찰부재(76)는, 구동마찰부재(66)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만곡된 만곡부(78)와, 이 만곡부(78)의 양쪽에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된 4각형상의 돌기부(80)로 되어 있다. 이 돌기부(80)가 홀더(72)의 홈부(74)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형성된 오목부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드 마찰부재(76)가 홀더(72)에 대해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 마찰부재(76)는 L자 모양으로 절곡된 판스프링(압압부재;82)에 의해 밀어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판스프링(82)의 단부는, 나사(84)에 의해 홀더(72)에 고정되어 있다. 이 판스프링(82)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구동마찰부재(66)는, 홀더(72)의 홈부(74)와 슬라이드 마찰부재(76)의 만곡부(78)에 의해 사이에 끼인 상태로 압압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재(68)는 구동마찰부재(66)에 대해 마찰에 의해 걸려져 있게 된다. 한편, 홀더(72)에 대한 판스프링(82)의 부착방법은, 나사 조임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스냅 조임으로 부착되어도 좋다.
다음에는, 상기 구성으로 된 구동장치(6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은 구동회로로부터 압전소자(64)에 전압이 인가되면, 압전소자(64)는 축방향으로 신축 진동하게 된다. 예컨대 오름이 급하고 내림이 완만한 구형파(矩形波) 전압이 인가된 경우, 압전소자(64)는 급하게 늘어났다가 완만하게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신축동작이 구동마찰부재(66)에 전달되어, 구동마찰부재(66)는 급하게 이동해서 완만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구동마찰부재(66)가 급하게 이동할 때, 이동부재(68)의 관성력에 의해 이동부재(68)는 그 장소에 머물 려고 하기 때문에, 홀더(72)의 홈부(74)와 구동마찰부재(66)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생기게 된다. 다음, 구동마찰부재(66)가 완만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때, 이동부재(68)는 상기 미끄러짐을 생기게 하지 않고서 구동마찰부재(66)와 함께 이동한다. 이와 같은 신축 진동이 되풀이됨으로써, 이동부재(68)는 압전소자(64)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는 역의 원리로, 예컨대 오름이 완만하고 내림이 급한 구형파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이동부재(68)는 압전소자(64)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의 기술로는 일본국 특개평8-149860호 공보를 들 수가 있다.
그런데,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동장치(60)를 조립하는 경우, 판스프링(82)을 홀더(72)에 나사로 조여 고정시켜야만 하고, 슬라이드 마찰부재(76)를 조립할 필요가 있어, 조립에 품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또, 조립할 때에 판스프링(82)을 소성변형(塑性變形)시켜버리는 일도 있는바, 이 경우에는 장치 사이에서 마찰력에 오차가 생겨, 구동성능이 달라지는 요인으로도 되고 있다. 그리고, 낙하충격에 의해 부품이 분해되어 비산(飛散)될 가능성도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공정의 삭감에 의한 코스트 다운, 판스프링의 소성변형의 저감에 의한 구동성능의 오차 억제 및, 낙하충격에 의한 부품이 분해되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기계 변환소자와, 이 전기기계 변환소자의 일단에 고정된 구동마찰부재 및, 이 구동마찰부재에 마찰에 의해 걸려진 이동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신축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구동마찰부재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구동장치로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구동마찰부재에 밀어붙이기 위한 압압부재가 상기 이동부재와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슬라이드 이동부와 구동마찰부재와 접하는 슬라이드 마찰부재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구동마찰부재는 원주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슬라이드부는 대략 V자 모양 홈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마찰부재는 원주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마찰부재는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외주면을 따른 만곡부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상기 압압부재는 슬라이드 마찰부재를 구동마찰부재에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압압부재와 슬라이드 마찰부재는 기계적으로 위치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상기 압압부재는 구동마찰부재와 직접 접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압압부재의 당접부는, 구동마찰부재의 외주면 형상에 따른 만곡부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압압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편지지(片支持)된 판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수지제 홀더를 갖되, 상기 홀더와 압압부재가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압압부재는 홀더에 인서트(insert)성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드 마찰부재와 슬라이드 이동부를 가진 홀더를 갖되, 상기 슬라이드 마찰부재와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외주부에 접촉하는 상기 홀더의 슬라이드 이동부가 모두 금속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상기 압압부재는 축부재인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축방향에 관해 비틀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압압부재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호 떨어짐과 더불어 상기 축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적어도 2개의 완부(腕部)를 갖도록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2개의 완부는,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축방향에서의 상기 압압부재의 폭의 1/2 이상을 절결시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상기 압압부재는, 접촉부보다 가늘게 형성된 기부를 갖도록 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기부는,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축방향에서의 상기 압압부재의 폭을 1/2 이상 절결해서 형성되도록 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는바, 즉 전기기계 변환소자와, 이 전기기계 변환소자의 일단에 고정된 구동마찰부재 및, 이 구동마찰부재에 마찰에 의해 걸려진 이동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신축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구동마찰부재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구동장치로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구동마찰부재에 밀어붙이기 위한 압압부재가 상기 이 동부재와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가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피동체를 보유지지하는 홀더를 갖고, 상기 압압부재는 상기 홀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금속재료로 된 슬라이드 이동부를 갖고, 상기 압압부재는 축부재인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축방향에 관해 비틀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10)의 분해사시도로서, 그 조립상태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대체로 같다.
구동장치(10)는, 구동장치(10)가 조립되는 장치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원주상의 추(12)와, 이 추(12)에 신축방향의 일단이 예컨대 접착에 의해 고정된 예컨대 원주상의 압전소자(전기기계 변환소자;14)와, 이 압전소자(14)의 신축방향의 타단에 예컨대 접착에 의해 고정된 예컨대 원주봉상 부재인 구동마찰부재(16)와, 이 구동마찰부재(16)에 마찰력에 의해 걸려지는 이동부재(18)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부재(18)는, 광학부재인 렌즈(20)를 보유지지하는 수지(예컨대 PPS(Pholyphenylene Sulfide), 액정폴리머 등) 성형품인 홀더(22)를 포함하고 있다. 홀더(22)는, 그 측부에 형성된 대략 V자 모양의 홈부(24) 내에 구동마찰부재(16)를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홀더(22)를 수지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이동부재(18)의 무게와 제조비용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구동마찰부재(16)에는, 홀더(22)의 홈부(24) 내에 받아들여진 부분에서, 예 컨대 SUS판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마찰부재(26)가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마찰부재(26)는, 구동마찰부재(16)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만곡된 만곡부(28)와, 이 만곡부(28)의 양쪽에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된 4각형상의 돌기부(30)로 되어 있다. 이 돌기부(30)가 홀더(22)의 홈부(24)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형성된 오목부(25)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드 마찰부재(26)가 홀더(22)에 대해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 마찰부재(26)는, L자 모양으로 절곡된 판스프링(압압부재;32)에 의해 밀어붙여져 있다. 금속판으로 된 판스프링(32)은, 수지성형품인 홀더(22)에 대해 예컨대 인서트성형에 의해 삽입고정됨으로써 일체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32)이 상기 홀더(22)에 의해 편지지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32)이 한쪽으로 치우쳐 밀어붙이는 힘을 바로잡고 홀더(22)에 대해 본래의 자세에서 벗어나려는 오차를 바로잡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판스프링(32)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구동마찰부재(16)는, 홀더(22)의 홈부(24)와 슬라이드 마찰부재(26)의 만곡부(28) 사이에 끼인 상태로 압압되고, 그에 따라 이동부재(18)는 구동마찰부재(16)에 대해 마찰에 의해 걸려지게 된다.
슬라이드 마찰부재(26)의 표면에는 작은 돌기(27)가 형성되고, 판스프링(32)에는 작은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27)와 구멍(33)이 끼워맞춰짐으로써, 판스프링(32)에 대해 슬라이드 마찰부재(26)가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는바, 그에 의해 슬라이드 마찰부재(26)의 판스프링에 대한 위치의 수정을 생략할 수가 있어서, 구동장치(10)의 조립이 쉬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장치(10)의 동작은, 종래의 예로서 설명한 구동장치(60)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동장치(10)에 의하면, 인서트성형에 의해 판스프링(32)을 이동부재(18)와 일체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판스프링(32)의 조립공정을 생략할 수가 있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함과 더불어, 낙하충격에 의해 판스프링(32)이 이동부재(18)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구동장치(10)에서는, 판스프링(32)이 슬라이드 마찰부재(26)를 매개로 구동마찰부재(16)를 밀어붙이도록 하였으나, 슬라이드 마찰부재(26)를 생략하고 판스프링(32)을 구동마찰부재(16)에 직접 접촉시켜, 판스프링(32)이 슬라이드 마찰부재를 겸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드 마찰부재(26)를 생략할 수가 있어, 더욱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조립도 쉬워지게 된다. 더구나, 조립공정에서 판스프링(32)을 손으로 넓혀 슬라이드 마찰부재(26)를 조립할 때 판스프링(32)을 소성변형시켜버려 마찰력 및 구동성능의 오차의 요인으로 되고 있었으나, 슬라이드 마찰부재(26)를 생략함으로써 그와 같은 사태도 줄어들게 된다.
그런데, 판스프링(32)을 인서트성형으로 이동부재(18)와 일체부재로 한 경우,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서트성형시에 판스프링(32)이 이동부재(18)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버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립된 경우에, 판스프링(32)이 구동마찰부재(16;슬라이드 마찰부재(26)가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마찰부재(26))에 대해 한쪽 편만 닿는 것 과 같은 상태로 되어, 판스프링(32)의 압압력이 불안정해지게 된다. 그 결과, 구동마찰부재(16)에 대한 이동부재(18)의 마찰력이 장치 사이에서 흩어지게 되어 구동성능이 나빠지는 요인으로 된다.
그리하여, 판스프링(32)이 기울어져 고정되기 때문에 압압력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스프링(32)이 축부재인 구동마찰부재(16)의 축방향에 관해 비틀려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스프링(32)은 구동마찰부재(16)의 축방향으로 떨어지고, 상기 축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2개의 완부(32a)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들의 완부(32a)는, 구동마찰부재(16)의 외주면을 대략 따르도록 중앙부가 대략 V자 모양으로 절곡(折曲)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32)에 2개의 완부(32a)를 설치함으로써,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더(22)에 대해 판스프링(32)이 기울어져 고정된 경우에도, 구동마찰부재(16)에 조립되었을 때에 그 축방향에 관해 2개의 완부(32a) 사이에서 비틀림이 생기게 되어,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든 완부(32a)도 구동마찰부재(16)에 밀착해서 대략 균등한 압압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가 있다. 그에 따라, 장치 사이에서 마찰력 및 구동성능이 달라지는 것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완부(32a)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스프링(32)의 기부에 구동마찰부재(16)와의 접촉부보다 가는 부분(32b)을 형성함으로써, 판스프링(32)이 구동마찰부재(16)의 축방향에 관해 비틀려질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구동마찰부재(16)에 접촉하는 판스프링(32)의 부분은, 구동마찰부재(16)의 외주면을 대략 따르도록 대략 V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홀더(22)에 대해 판스프링(32)이 기울어져 고정된 경우에도, 구동마찰부재(16)에 조립되었을 때에 그 축방향에 관해 판스프링(32)이 가는 부분(32b)에서 비틀려짐으로써, 구동마찰부재(16)에 밀착해서 대략 균등한 압압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가 있다. 그에 따라, 장치 사이에서 마찰력 및 구동성능이 달라지는 것이 줄여질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판스프링(32)의 2개의 완부(32a) 및 도 4에 도시된 판스프링(32)의 가는 부분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판스프링(32)의 양호한 비틀림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구동마찰부재(16)의 축방향에서의 판스프링(32)의 폭의 적어도 1/2 이상이 절결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구동장치(10)에서는, 홀더(22)가 수지재료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마찰부재(16)와 접촉하는 홈부(24)의 내면도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마찰부재(16)와의 슬라이드부로 되는 홀더(22)의 홈부(24)의 내면을 금속재료(34)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금속재료는, 홀더(22)의 성형시에 인서트해서 일체로 설치하여도 좋고, 다른 방법(접착도금 등)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동마찰부재(16)와의 슬라이드 이동부를 수지재료보다 강성이 높은 금속재료로 구성함으로써, 구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32)에 완부(32a) 또는 가는 부분(32b)을 형성한 경우는, 판스프링(32)이 슬라이드 마찰부재를 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판스프링(32)은 슬라이드 마찰부재(26)와 함께 사용되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해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로 해서 충분히 설명하였지만,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라면 여러 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의 변경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의하면, 예컨대 인서트성형으로 압압부재를 이동부재와 일체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압압부재의 조립공정을 생략할 수가 있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낙하충격에 의해 압압부재가 이동부재로부터 빠지는 일도 없게 된다.
또, 압압부재가 슬라이드 마찰부재를 겸하도록 해서 슬라이드 마찰부재를 생략하면, 더욱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조립이 쉬워지게 된다. 더구나, 조립공정에서 압압부재를 손으로 넓혀지도록 해서 슬라이드 마찰부재를 조립할 때 압압부재를 소성변형시켜버려 마찰력 및 구동성능의 오차의 요인으로 되고 있었으나, 슬라이드 마찰부재를 생략함으로써 그와 같은 사태도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압압부재가 축부재인 구동마찰부재의 축방향에 관해 비틀려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압압부재를 이동부재와 일체부재로 구성했을 때 압압부재에 다소의 기울어짐이 생기더라도, 상기 축방향으로 구동마찰부재에 대략 균등한 압압력을 작용시킬 수가 있어, 마찰력 및 구동성능의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18)

  1. 전기기계 변환소자와, 이 전기기계 변환소자의 일단에 고정된 구동마찰부재 및, 이 구동마찰부재에 마찰에 의해 걸려진 이동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신축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구동마찰부재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구동장치로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구동마찰부재에 밀어붙이기 위한 압압부재가 상기 이동부재와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부와 상기 구동마찰부재와 접하는 슬라이드 마찰부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마찰부재가 원주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슬라이드부는 V자 모양 홈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마찰부재가 원주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마찰부재는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외주면을 따른 만곡부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가 슬라이드 마찰부재를 구동마찰부재에 압압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와 슬라이드 마찰부재가 기계적으로 위치결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가 구동마찰부재와 직접 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의 당접부가, 구동마찰부재의 외주면 형상에 따른 만곡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가,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편지지된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수지제 홀더를 갖고, 상기 홀더와 압압부재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가 홀더에 인서트성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드 마찰부재와 슬라이드 이동부를 가진 홀더를 갖되, 상기 슬라이드 마찰부재와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외주부에 접촉하는 상기 홀더의 슬라이드 이동부가 모두 금속재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가 축부재인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축방향에 관해 비틀려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호 떨어짐과 더불어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적어도 2개의 완부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완부는,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축방향에서의 상기 압압부재의 폭의 1/2 이상이 절결되어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가, 그 기부가 접촉부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축방향에서의 상기 압압부재의 폭을 1/2 이상 절결해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8. 전기기계 변환소자와, 이 전기기계 변환소자의 일단에 고정된 구동마찰부재 및, 이 구동마찰부재에 마찰에 의해 걸려진 이동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신축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구동마찰부재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구동장치로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구동마찰부재에 밀어붙이기 위한 압압부재가 상기 이동부재와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가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피동체를 보유지지하는 홀더를 갖고, 상기 압압부재는 상기 홀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금속재료로 된 슬라이드 이동부를 갖고, 상기 압압부재는 축부재인 상기 구동마찰부재의 축방향에 관해 비틀려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KR1020060106344A 2005-11-01 2006-10-31 구동장치 KR100835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18145A JP2007129795A (ja) 2005-11-01 2005-11-01 駆動装置
JPJP-P-2005-00318145 2005-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220A true KR20070047220A (ko) 2007-05-04
KR100835445B1 KR100835445B1 (ko) 2008-06-04

Family

ID=3799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344A KR100835445B1 (ko) 2005-11-01 2006-10-31 구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96601A1 (ko)
JP (1) JP2007129795A (ko)
KR (1) KR100835445B1 (ko)
TW (1) TWI3172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1679A (ja) * 2005-10-28 2007-05-17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部材駆動装置
KR20080093880A (ko) * 2007-04-17 2008-10-22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구동 장치
KR20080093882A (ko) * 2007-04-17 2008-10-22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구동 장치
KR20080093885A (ko) * 2007-04-18 2008-10-22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구동 장치
KR20080094572A (ko) * 2007-04-19 2008-10-23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구동 장치
US7956513B2 (en) * 2007-04-20 2011-06-07 Mitsumi Electric Co., Ltd. Method of driving a driving device
US7759634B2 (en) * 2007-04-24 2010-07-20 Mitsumi Electric Co., Ltd. Position detec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etection accuracy
JP4972788B2 (ja) * 2007-09-12 2012-07-11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係合部材、レンズ駆動機構および撮像装置
JP4844769B2 (ja) * 2008-11-06 2011-12-2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駆動装置
WO2011055504A1 (ja) * 2009-11-04 2011-05-12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駆動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11211827A (ja) * 2010-03-30 2011-10-20 Konica Minolta Opto Inc 駆動装置
KR101782999B1 (ko) * 2011-06-21 2017-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장치
JP6481242B2 (ja) * 2014-10-29 2019-03-13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9723A (en) * 1994-03-29 1996-12-31 Minolta Co., Ltd. Driving apparatus using transducer
US5786654A (en) * 1995-06-08 1998-07-28 Minolta Co., Ltd. Movable stage utilizin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US6218767B1 (en) * 1996-01-08 2001-04-17 Canon Kabushiki Kaisha Vibration device
US6140750A (en) * 1997-04-14 2000-10-31 Minolta Co., Ltd. Actuator usin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and apparatus employing the actuator
JP3184117B2 (ja) * 1997-05-23 2001-07-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超音波モータ及び超音波モータ付き電子機器
JP4459317B2 (ja) * 1998-08-07 2010-04-2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超音波モータおよび超音波モータ付電子機器
JP4144171B2 (ja) * 2000-09-14 2008-09-03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気−機械変換素子を用いた駆動装置
JP4154851B2 (ja) * 2000-10-31 2008-09-2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駆動装置
JP2003324979A (ja) * 2002-05-02 2003-11-14 Sony Corp 駆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29795A (ja) 2007-05-24
TWI317201B (en) 2009-11-11
TW200719572A (en) 2007-05-16
US20070096601A1 (en) 2007-05-03
KR100835445B1 (ko)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445B1 (ko) 구동장치
US7564168B2 (en) Driving device
US9827593B2 (en) Ultrasonic motor
JP2015126692A5 (ko)
JP6021830B2 (ja) リニア超音波モータ
JP2007049878A (ja) アクチュエータ
US7868520B2 (en) Driving apparatus
JP2007049873A (ja) アクチュエータ
JP3141714B2 (ja) 電気機械変換素子を使用した駆動装置
US10924037B2 (en) Vibration motor that prevents resonance of contact me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JP6388396B2 (ja) 振動波モータを備えた駆動装置
US9933593B2 (en) Driving apparatus and optical device
US10333432B2 (en) Vibration type actuator and ultrasonic motor
US20050212384A1 (en) Driving apparatus
JP6882036B2 (ja) 振動波モータ及び振動波モータを有する撮像装置
JP6949905B2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6347806B2 (ja) モータ、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JPH07274543A (ja) 電気−機械変換素子を使用した駆動装置
JP2005354868A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00028890A (ja) 駆動装置
JP2010284056A (ja) 振動型駆動装置
JP2006508860A (ja) 弾性材料からなる固定部材
US20220334403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5354867A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09204928A (ja) 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