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187A -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 - Google Patents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187A
KR20070045187A KR1020077000537A KR20077000537A KR20070045187A KR 20070045187 A KR20070045187 A KR 20070045187A KR 1020077000537 A KR1020077000537 A KR 1020077000537A KR 20077000537 A KR20077000537 A KR 20077000537A KR 20070045187 A KR20070045187 A KR 20070045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hemotherapy
patients
dono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야스 야스다
무쓰오 야마야
가쓰토시 나카야마
히데타다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도호쿠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도호쿠다이가쿠 filed Critical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도호쿠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07004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암에 대해서 뛰어난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한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항암제의 작용 증강제는, 일산화질소 공여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학요법 적용이 가장 어려운 암의 하나이고, 수술이 적용되지 않는 진행암에 대해서는, 아직 유효한 치료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있는 비소세포 폐암에 대해서 뛰어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ANTICANCER EFFECT ENHANCER}
본 발명은, 암에 대해서 뛰어난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한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에 관한 것이다.
수년동안 항암제의 연구 개발이 정력적으로 이루어져 온 결과, 오늘날, 각종 항암제가 여러 가지 유형의 암에 대한 화학요법에서 이용되어, 치료 효과를 얻고 있는 것은 주지된 바와 같다. 그러나, 모든 유형의 암에 대해서 유효한 항암제는 존재하지 않고, 항암제에 의한 암의 치료 효과에는 한계가 있는 것 또한 주지된 바이다.
항암제에 의한 암의 치료 효과에 한계가 있는 점의 한 요인으로서, 고형암(solid cancer) 내부의 저산소 상태가 그 치료에 대한 저항성에 관여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Matthews NE, Adams MA, Maxwell LR, Gofton TE, Graham CH. Nitric oxide-mediated regulation of chemosensitivity in cancer cells. J. Natl . Cancer Inst ., 2001: 93: 1879-1885)에서, 몇몇 종류의 암의 세포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저산소 상태가 암세포의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항진시키는 것이 나타나고 있다. 이 문헌에 의하면, 항암제를 암세포주의 배지와 혼합할 경우, 암세포가 저산소 상태에 노출된 노목식(normoxic) 조건에 노출되는 경우에 비하여, 비록, 항암제에 직접 노출되더라도, 생존률이 2배 또는 그 이상 높다는 것이 자명하다. 또한, 저산소 상태는, 내인성의 일산화질소 (NO) 생산을 억제하는 것으로 암세포의 항암제 저항성을 증강하고, 외인성의 NO공여제를 투여하는 것으로, 저산소에 의한 항암제 저항성이 개선되는 것이 분명하다. 이 외에, 비특허 문헌 2(Jordan BF, Misson PD, Demeure R, Baudelet C, Beghein N. Gallez B. Changes In tumor oxygenation/perfusion induced by the NO donor, Isosorbide dinitrate, In comparison with carbogen: monitoring by EPR and MRI. Int . J. Radiation Oncology Biol . Phys ., 2000;48:565-570)에는, NO공여제인 2질산이소소르비드는, 혈류의 증가에 의해서 암내부 산소 분압을 개선하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 3(Liang BC. Effects of hypoxia on drug resistance phenotype and genotype in human glioma cell lines, J. Neurooncol ., 1996;29:149-155)에는, 신경교종(glioma) 세포주가 저산소 상태에 있을 때,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보임을 나타내고 있다. 비특허 문헌 4(Sanna K, Rofstad EK. Hypoxia-induced resistance to doxorubicin and methotrexate in human melanoma cell lines in vitro. Int . J. Cancer, 1994; 58: 258-262)에서, 인간 흑색종 세포주를 저산소 상태에 두었을 때,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보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이들 보고에 따르면, 비록 항암제가 단지 암세포에 대량 분포될 때조차도, 종양조직내의 저산소 상태가 개선되지 않으면, 암세포의 사멸은 가속화되지 않는다. 비특허 문헌 1 및 2는, NO공여제가 고형암내의 저산소 상태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들 보고중 어떠한 것도, NO가 실제로 인간 임상 의약에 있어서 암에 대한 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증가시킴을 입증하지는 못하였다. 오히려, NO가 종양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그 진행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시사하는 보고가 많이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5(Gallo 0, Masini E, Morbidelli L, Franchi A 등, Role of nitric oxide in angiogenesis in head and neck cancer. J. Natl . Cancer Inst ., 1998; 90: 587-596)에서, 인간의 두경부암 조직에서 NO생산에 관여하는 NO 합성효소(NOS)가 검토되었으며, 림프절로 전이가 진행된 암의 경우, 림프절로의 전이가 양성인 군에서, NOS의 발현양이 높고, 림프절내 혈관 밀도가 높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 문헌에서는, 또한, 인간 두경부암 유래의 암조직에 대해 NO의 종양 혈관신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토끼의 각막을 사용한 조사가 수행되었다. 이에 따르면, NOS 저해제인 L-NAME가 투여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종양 혈관신생이 유의있게 감소되고, 암의 진행이 억제됨을 시사하였으며, 이것은, NO가 종양 혈관신생을 통하여 암조직의 증가 및 진행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특허문헌 6(Edwards P, Cendab JC, Topping DB, Moldawer LL, Mackay S, Copeland EM, Lind DS. Tumor cell nitric oxide inhibits cell growth in vitro, but stimulates tumorigenesis and experimental lung metastasis in vivo. J. Surg. Res ., 1996; 63: 49-52)에서는, EMT-6 세포(마우스의 유방암 세포주)를 사용하여 LPS/IFN-γ의 자극에 의해 NO의 생산이 촉진된 배양세포를 사용한 실험을 수행시, 종양세포의 생장이 억제된 반면, 같은 세포가 BALB/c 마우스로 이식되어, LPS/IFN-γ에 의해 자극받을 경우, 종양 조직 및 폐의 전이가 대조군에 비하여 2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실험 결과는 배양세포(in vitro 실험) 및 동물 실험(in vivo 실험) 사이에 완전히 반대의 결과가 나왔음을 의미한다. 비특허문헌 7(Ambs S, Merriam WG, Ogunfusika MO, Bennett WP, Ishibe N, et al. p53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gulate tumor growth of N0S2-expressing human carcinoma cells. Nature Med ., 1998; 4: 1371-1376)에서, 혈관신생 및 암진행에 대한 NO의 영향을 동물 실험에서 조사하였는데, 여기서 NO 합성을 일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NOS 유전자가 도입된 인간 암세포주를 흉선을 갖지 않은 누드 마우스에 이식하였다. 이때, 암억제 유전자 p53의 활성의 유/무와의 관련성을 조사한 바, p53활성을 갖는 암세포주(야생형 p53)가 누드 마우스에 이식된 종양 조직에서는, 내생의 NO가 종양세포의 생장을 억제한 반면, p53활성이 거의 없는 암세포주(돌연변이 p53)가 누드 마우스에 이식된 종양 조직에서는, 내생의 NO가 VEGF 발현 및 혈관신생을 촉진함을 나타냈다. 비특허문헌 8(DC Jenkins, IG Charles, LL Thomsen, DW Moss, LS Holmes, SA Baylis, P Rhodes, K Westmore, PC Emson, S Moncada. Roles of Nitric Oxide in Tumor Growth. Proc . Natl . Acad . Sci . USA, 1995; 92: 4392-4396)에서는, 인간 유방암과 부인과의학 분야의 암에 있어서, NO 생산 및 암생장이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비특허문헌 9(Lala PK, Chakraborty C. Role of nitric oxide in carcinogenesis and tumour progression. Lancet Oncol ., 2001; 2: 149-156)에서는, NOS 유도형이 결장, 폐, 인후 종양의 p53 돌연변이에 관여하고, NO가 시클로옥시게나제-2(COX-2)의 활성화를 통하여 종양의 생장을 촉진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들 보고에 따르면, 인간의 임상의약에 있어서, 항암제에 의한 암의 치료를 확립하는 데에, NO의 사용이, 암의 증가 또는 진행과 같이, 환자에 역효과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암에 대한 NO의 작용과 관련하여, NO가 암을 억제하는 쪽으로 관여한다고 언급하는 보고 및 NO가 암을 악화시키는 쪽으로 관여한다고 언급하는 보고들은, 많은 수 과학적 증거에 의해 지지되고, 따라서 이에 대한 과학적 평가는 혼돈의 상태에 있다. 더욱이, 비특허문헌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양세포를 사용한 실험과 동물 실험 사이에 완전히 상반된 실험결과들이 존재함은 결코 드믄일이 아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은, 배양세포를 사용한 실험에서, 저산소 상태에 의해 유도되는 항암제에 대한 암세포주의 저항성이 NO공여제에 의해 개선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비록 이러한 발견이 미래의 연구에 대해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분명히 가치가 있긴 하지만, 이러한 발견으로부터, NO공여제가 암조직을 축소시키는 작용을 하거나, 또는 항암제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결론을 지을 가능성은 없다. 더욱이, 인간의 임상의약에서, NO공여제가 항암제의 효과를 증진시킨다는 결론을 이끄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허문헌 1(일본공개 2004-508279호 A 공보)에서는, 암 세포에 혈액을 보내는 혈관의 항암제에 대한 투과성을 높이는 것으로, 항암제를 암에 선택적으로 송달하는 방법으로서, 칼륨 채널 활성화 물질로서의 NO공여제를 투여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심지어 동물실험에서 조차도, 암조직에 대한 항암제의 작용에 있어서 NO공여제가 촉진작용을 한다는 실질적인 입증없이, NO공여제가, 혈관을 통한 투과성의 증가에 의해, 단지 암조직으로 항암제의 전달을 증가 시키므로서만 항 암제의 효과를 증진시킨다는 비약된 결론은, 암에 대한 NO의 작용에 관한 과학적 평가가 상기한 바와 같이 혼돈의 상태에 있는 현상태하에서는 전혀 확신할 수 없다. 특허문헌 1은 NO공여제가 실제 인간 임상의약에서 항암제의 효과 증진을 유도한다는 결론과는 거리가 멀다. 사실, 특허문헌 1에는, 이 방법에 따라 암의 치료 효과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동물 실험의 데이터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암에 대해서 뛰어난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한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동물실험에서 조차도, 암조직에 NO공여제를 투여하므로서 어떠한 효과가 생길지에 대하여 결론내려지지 않은 현상황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NO공여제가, 화학요법 적용이 가장 어려운 암의 하나로 여겨지는 비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에 대한 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극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에 대한 배경중의 하나는, NO공여제로 처리된, 협심증(angina pectoris) 또는 오래된 심근경색증(old myocardial infarction) 환자에서의 과거 임상연구이다. 이것은, NO공여제를 사용하지 않고 하기 MVP 치료를 받는 군(대조군; 연령: 65±9; 남성비율: 76%)에서 보다,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에 대해 화학요법(MVP 치료)을 받고 있는 군(NO가 함께 사용된 군; 연령: 67±8; 남성비율: 80%)에서, 화학요법에 의한 반응비율이 훨씬 더 높다는 데이터 분석의 근거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오즈비(odds ratio)=30.6, 95% CI 3.5-270.4, p < 0.0001,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 상기 데이터에서, NO가 병용된 군의 반응비율은 90%(CR: 20%, 2/10; PR: 70%, 7/10; NC: 10%, 1/10; PD: 0%, 0/10)인 반면, 대조군의 반응비율은 23%(CR: 0%, 0/44; PR: 23%, 10/44; NC: 50%, 22/44; PD: 27%, 12/44)이었다(판정방법에 대하여는, 하기의 실시예 참조).
본 발명은, 상기의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 및 특징에 따르면, NO공여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특징 이외에, 본 발명의 제 2 태양 및 특징에 따르면, 치료 대상이 되는 암은 고형암이다.
상기 제 2 특징 이외에, 본 발명의 제 3 태양 및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형암은 비소세포 폐암이다.
상기 제 3 특징 이외에, 본 발명의 제 4 태양 및 특징에 따르면, 상기 NO공여제는 유기 니트레이트(nitrate)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암에 대해서 뛰어난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한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일산화질소(NO)공여제란, 생리 조건하에서 NO를 방출할 수 있는 약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질산에스테르인 유기 니트레이트(nitrate) 화합물이 이 범주에 포함된다. 그 대표예로서는,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NTG), 펜타에리스리틸4니트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nitrate, PETN), 2질산이소소르비드(isosorbide dinitrate, ISDN), 1질산이소소르비드(isosorbide mononitrate, ISMN) 등을 들 수 있다.
NO공여제를 병용하는 것에 의해서 효과가 증강되는, 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항암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5-플루오르우라실(5-fluorouracil), 메소트레세이트(methotrexate), 독시플루리딘(doxifluridine), 테가퍼(tegafur), 시타라빈(cytarabine) 및 젬시타빈(gemcitabine)으로 예시되는 대사길항제;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티오테파(thiotepa), 카보쿠온(carboquone) 및 염산니무스틴(nimustine hydrochloride)로 예시되는 알킬화제; 마이토마이신(mitomycin), 염산독소루비신(doxorubicin hydrochloride), 염산아무루비신(amurubicin hydrochloride), 염산피라루비신(pirarubicin hydrochloride), 염산에피루비신(epirubicin hydrochloride), 염산아클라루비신(aclarubicin hydrochloride), 염산미토잔트론(mitoxantrone hydrochloride), 염산블레오마이신 (bleomycin hydrochloride) 및 황산페플로마이신(peplomycin sulfate)로 예시되는 항암성 항생 물질; 도세탁셀(docetaxel), 파클리탁셀(paclitaxel), 빈크리스틴 (vincristine), 빈데신(vindesine) 및 비노렐빈(vinorelbine)으로 예시되는 미소관 작용제(microtubule-acting agents);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보플라틴 (carboplatin) 및 네다플라틴(nedaplatin)으로 예시되는 백금 제재; 이리노테칸 (irinotecan), 염산노기테칸(nogitecan hydrochloride)으로 예시되는 토포이소머라제 저해제; 에토포시드(etoposide)로 예시되는 알카로이드계 항암제 등을 들 수 있다.
NO공여제는, 예를 들면, 표준화학 요법을 실시하는 환자에 대해, 화학요법 개시 5∼2일전(바람직하게는 3일전)으로부터 투여를 개시하여, 화학요법 기간중에는 투여를 계속하고, 화학요법을 종료하는 시점에서 투여를 중지한다. NO공여제의 제제(dosage)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내성의 발현의 위험성을 고려하면, 혈중농도의 제어가 용이한 경구제제나 경피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투여량은, 예를 들면, NO공여제의 본래적인 용도인 협심증의 치료에 있어서의 투여량에 준하여 실시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니트로글리세린을 이용하는 경우, 정제 등에 의한 경구투여로 1∼50mg/일(1일 2분회 투여), 연고(plaster) 등에 의한 경피투여로 1∼50mg/일(1일 1회 적용) 투여하면 좋다. 2질산이소소르비드를 이용하는 경우, 경구투여로 10∼100mg/일(1일 2분회 투여), 경피투여로 10∼100mg/일(1일 1회 적용) 투여하면 좋다. 한편, 이상의 기재는, NO공여제를 항암제와의 합제의 형태로 투여하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치료 대상이 되는 암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화학요법의 대상이 되는 암이면 어떠한 암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두경부암, 위암, 결장암, 직장암, 간암, 담낭담관암, 췌장암, 폐암, 유방암, 방광암, 전립선암, 자궁경부암 등의 고형암이나, 악성 임파종, 백혈병 등의 혈액암을 들 수 있다.
도 1은, 화학치료요법 동안, NO공여제 처리{NO(+)}(연속선) 및 NO공여제 미처리{NO(-)}(점선)한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환자에서 의 생존율 곡선을 나타낸다. P값은, 로그-순위 검정법(log-rank test)에 의해 계산되었다.
도 2는, C57BL6 마우스(대조군, n=6; C, NO공여제군, n=6; N, 화학요법군, n=6; CTX, 및 NO + 화학요법군, n=6; N+CTX)에서, 폐암모델(Murine Lewis lung carcinoma; LLC 세포)에 있어서의 종양 부피 성장을 나타낸다. 종양 부피는 0.5×{종양길이(mm)}×{종양너비(mm)}2로서 계산되었다. P값은, 스튜던트 t검정법 (student t-test)에 의해 계산되었다.
도 3은, BALB/c 마우스(대조군, n=6; C, NO공여제군, n=6; N, 화학요법군, n=6; CTX, 및 NO + 화학요법군, n=6; N+CTX)에서, 결장암모델(쥐(Murine) 결장암 세포주; colon 26 세포)에 있어서의 종양 부피 성장을 나타낸다. 종양 부피는 0.5×{종양길이(mm)}×{종양너비(mm)}2로서 계산되었다. P값은, 스튜던트 t검정법 (student t-test)에 의해 계산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서 어떠한 한정이 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의 치료요법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예기되는 무작위 제어 시험으로, 항암제와 NO공여제 병용 효과에 대한 연구
대상
외과 수술이 불가능한 65명의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NSCLC) 환자는 다음의 5 범주에 맞는 자를, 본 연구에 모집하였다:
(a) 병기 ⅢB 또는 병기 IV; (b) 기존에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요법 경험이 없음; (c) 양호한 퍼포먼스 스테이터스(performance status): 동부협동종양학그룹(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스케일에 따라 0∼2의 퍼포먼스 스테이터스; (d) 뇌전이 없음; (e) 충분한 신장기능, 간기능, 혈액기능 및 심장기능을 갖음.
상기 65명의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중, 31명의 환자는 편평표피암(ⅢB기 19명, Ⅳ기 12명), 29명의 환자는 선암(ⅢB기 9명, Ⅳ기 20명), 5명의 환자는 대세포암(ⅢB기 4명, Ⅳ기 1명)이었으며, 모든 환자는 화학요법동안 NO공여제와 함께 또는 NO공여제 없이 항암제를 투여받도록 무작위 지정되었다.
상기 65명의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중, 32명의 환자에 대해서는 NO공여제의 병용 치료요법(니트로글리세린 경피제제, 니트로덤 TTS®, 25mg/1body 매일, 또는 2질산이소소르비드 경구제제, 니트롤 R®, 40mg/1body 매일과 같이, 2종류의 투여군으로 분류, 화학요법의 각 코스의 개시전 3일과 항암제 투여종료 사이)으로 치료하였다. NO공여제 처리군에서, 32명의 환자중 21명은 MVP, 시스플라틴(CDDP)+비노렐빈(VNR)+미토마이신(CDDP 80mg/m2 day 1, VNR 25mg/m2 day 1 및 8, 미토마이신 8mg/m2 day 1, 매 21일마다)로 처리하고, 32명의 환자중 6명은 CDDP+도세탁셀 (DOC)(CDDP 80mg/m2 day 1, DOC; 75mg/m2 day 1, 매 21일마다)로 처리하고, 32명의 환자중 5명은 CDDP+VNR(CDDP 80mg/m2 day 1, VNR 25mg/m2 day 1 및 8, 매 21일마다)로 처리하였다. 진행성 NSCLC 환자 65명중 다른 33명은, NO공여제의 병용없는 화학요법으로 처리하였다. NO공여제의 병용없는 군에 있어서, 33명 환자중 18명은 MVP, CDDP+VNR+미토마이신(CDDP 80mg/m2 day 1, VNR 25mg/m2 day 1 및 8, 미토마이신 8mg/m2 day 1, 매 21일마다)로 처리하고, 33명의 환자중 8명은 CDDP+DOC(CDDP 80mg/m2 day 1, DOC; 75mg/m2 day 1, 매 21일마다)로 처리하고, 33명의 환자중 7명은 CDDP+VNR(CDDP 80mg/m2 day 1, VNR 25mg/m2 day 1 및 8, 매 21일마다)로 처리하였다. arm A 및 arm B 2군의 환자의 특징에 대해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특징
Figure 112007002079425-PCT00001
MVP=미토마이신C+비노렐빈+시스플라틴, CDDP=시스플라틴, DOC=도세탁셀, VNR=비노렐빈.
*표시된 2인자는 만-위트니 U 검정법(Mann-Whitney U test)으로 통계평가됨.
다른 인자는 카이제곱검정법(Chi-square test)으로 평가됨.
방법
NO공여제는, 화학요법 개시 3일전부터 투여를 개시하여, 화학요법 기간중에 는 투여를 계속하고, 화학요법을 종료하는 시점에서 투여를 중지했다. 화학감수성(chemosensitivity)에 대한 NO공여제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항암제 치료의 전후에 흉부 CT(computed tomography)를 시행하여 종양크기를 비교했다. 또한, 흉부의 CT스캔 및 갈륨-67 시트르산염 신티그램(scintigram)을 사용하여, 폐암의 절기(nodal staging)를 결정하였다. 뇌, 복부 및 뼈의 전이는, 뇌와 복부의 CT스캔 및 뼈의 테크네튬-99m 신티그램(Technetium-99m scintigram)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치료 반응성에 있어서, 완전 완쾌반응(complete response, CR)은 모든 알려진 질환이 적어도 2주 이상 계속하여 소실한 상태로 관찰된 것을 의미한다. 부분 완쾌반응(partial response, PR)은 적어도 4주 이상 2번 관찰 동안 측정된 손상 전체 종양의 크기가 50% 이상 감소한 것을 의미한다. 불변(no change, NC)은, 전체 종양크기의 50% 감소가 확립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하고, 또한 하나 이상의 측정가능한 손상크기에 있어 25% 이상 증가가 없음을 의미한다. 진행형 질환(progressive disease, PD)은, 하나 이상의 측정가능한 손상크기 또는 새로운 손상의 외형에 있어 25% 이상 증가를 의미한다. 환자들은, PR 또는 CR을 경험할 때, 반응자들로 분류되었다. NC 또는 PD 환자들은 비반응자로서 분류되었다. 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율은, 반응자 + 비반응자의 수에 대한 반응자의 수로 계산되었다. 생존 분석은 화학요법의 개시 제 1일째를 기산일로 하고, 그 날부터 대상 환자가 사망한 날까지의 기간, 혹은 관찰 기간 종료시에 환자가 생존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날까지의 기간을 기본으로 해석을 행하였다.
화학요법에 대한 치료 반응성에 관련된, 각 요인의 기여도를 단변량 해석(카이제곱검정) 및 다변량 해석(로지스틱 회귀 분석)에 의해서 해석했다. 환자의 생명 예후에 관련된 각 요인의 기여도를 Cox 회귀 분석에 의해서 해석했다. 생존율은 Kaplan-Meier법에 의해 구하고, 항암제 및 NO공여제 병용처리한 환자군과 항암제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환자군 사이의 생존 곡선의 p값은 로그-순위 검정법에 의해서 구했다. 유의값은 p<0.05에서 허용되었다.
기술용어 해설 (No.1)
ECOG 퍼포먼스 스테이터스(PS):
등급 ECOG
0 증상이 없고 사회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제한을 받지 않고 발병전과 동등하게 행동할 수 있다.
1 경도의 증상이 있고, 육체 노동은 제한을 받으나, 보행, 경노동이나 좌업은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벼운 가사, 사무 등.
2 보행이나 몸돌보기는 할 수 있지만, 경노동은 할 수 없다. 깨어있는 시간중의 약 50% 이상은 일어나 있다.
3 제한된 몸돌보기 정도는 할 수 있고, 깨어있는 시간중의 50% 이상은 누워 있거나 또는 앉아 있다.
4 완전히 불능. 몸돌보기도 못하고, 종일 누워 있거나 또는 앉아 있어야 한다.
5 사망
* Am J Clin Oncol 5: 649-655, 1982
기술용어 해설(No.2)
브링크만 인덱스(Brinkman Index, BI) : 흡연 습관의 지표로서, 1일 소비되는 담배(cigarettes)수(담배의 상자수) × 흡연 기간(년)
결과
반응군 및 비반응군의 환자의 특질에 대하여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Kaplan-Meier 분석에 의해 계산되는, NO공여제로 처리한 군과 NO공여제로 비처 리한 군에 대한 생존곡선을 도 1에 나타낸다.
[표 2] 다변량 분석에 의해 평가된 화학 감수성에 대한 위험요소 분석
Figure 112007002079425-PCT00002
CR=complcte response, PR=partial response, NC=no change, PD=p regressive disease, NO~nitric oxide, MVP=mitomycin C+vinorclbine+cisplatin, CDDP=cispIatin, DOC=docetaxeI, VNR=vinorelbine.
다변형 분석은,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수행됨.
[표 3] NO공여제와 항암제 사이의 관계, 및 임상연구에 있어서의 화학 감수성.
Figure 112007002079425-PCT00003
연령, 성, 퍼포먼스 스테이터스, 흡연이력, 폐암의 병기 및 화학요법의 프로토콜에 있어서, 항암제와 NO공여제를 병용처리한 진행성 NSCLC 환자와 항암제로만 처리한 환자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표 1). 표 2 및 3으로부터 명백하듯이, 항암제와 NO공여제 병용이 화학치료 반응율에 현저히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즉, 화학요법만으로는 반응율이 39%(33환자중 13환자)에 머문 것에 비해, NO공여제를 병용한 화학요법에서는 반응율이 81%(32환자중 26환자)로 훨씬 많이 개선되었다[오즈비(odds ratio)=6.7, 95% CI:2.2-20.7, p=0.0006, 카이제곱검정](표 2). 진행성 NSCLC 환자에서, NO공여제의 사용(p<0.01)은 항암제에 대한 양 성 반응과 상당히 관련이 있었다(로지스틱 회귀 분석)(표 2). Kaplan-Meier 분석은 항암제와 NO공여제를 병용한 환자의 생존기간이 항암제만을 사용한 환자에서 보다 훨씬 더 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p<0.05)(로그-순위 검정). 이러한 결과(표 2 및 3)는, 니트로글리세린과 2질산이소소르비드와 같은 NO공여제의 사용이 IIIB기 또는 IV기의 진행성 NSCLC 환자에서, 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
NO공여제의 병용 없이 항암제만으로 처리된 환자와 비교하여, 항암제와 NO공여제의 병용은, 진행성 NSCLC 환자에서 전체의 생존율 및 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율의 개선에 대해 큰 추가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진행성 NSCLC는 수술할 수 없는 암이고, 비록 가장 최신의 제3세대 항암제라 하더라도 항암제에 대한 반응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진행성 NSCLC, 편평표피암, 선암, 대세포암의 치료는,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남아있다. 반대로, 소세포 폐암에 있어서 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율은 약 70∼80%이고, NSCLC에서 보다 훨씬 더 높다. 세계의 많은 나라에서는, 위암 환자가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데 비해서, 폐암 환자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폐암 환자의 상당수는, 비소세포 폐암이다. 따라서, 진행성 NSCLC에서, 현재 존재하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인 새로운 섭생법이 즉시 확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발명은 NSCLC 뿐 아니라, 다른 종류의 진행성 고형암에 대한 반응율을 개선하는 데에 상당히 의의가 깊은 것이라고 할 것이다.
실시예 2 : NO공여제인 니트로글리세린의 병용은, 쥐의 폐암 모델에 있어서의 화학 감수성을 개선한다.
방법
폐선암세포인, 쥐 루이스 폐암(murine Lewis lung carcinoma, LLC)세포를 도호쿠 대학 생의학 연구 세포자원센터(Tohoku University Cell Resource Center for Biomedical Research)로부터 입수하여, 세포성장이 실험하기에 충분할 때까지 DMEM + 10% 소혈청(fetal bovine serum)에 배양하였다. 이 LLC 세포를 인산염 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2×105세포/100㎕의 농도로 한 후, 6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Charles River Japan, Inc. (도쿄, 일본) 및 Clea Japan, Inc. (도쿄, 일본)로부터 입수)의 오른쪽 늑하부(Hypochondrium) 피하에 접종하였다(2×105세포/100㎕/마우스). 마우스를 특정 무균 상태하에 두고, 살균 음식 및 물을 제공하였다. 이식된 종양이 약 100mm3의 종양부피로 성장하였을 때, 동물들을 똑같이 4군으로 나누었다(대조군, n=6; C, NO공여제군, n=6; N, 치료요법군, n=6; CTX, 및 NO + 화학요법군, n=6; N+CTX). 종양의 부피는 0.5×{종양 길이(mm)}×{종양 너비 (mm)}2로 계산하였다. 대조군에서, 100㎕의 PBS를 복강내 주사법(i.p.)으로 일주일에 4번(일요일, 월요일, 수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투여하였으며, 100㎕의 PBS를 혈관내 주사법(i.v.)으로 일주일에 2번(월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복강내 주사 30분 이후, C57BL6 마우스에 더 투여하였다. 실험은 2주동안 수행되었다. NO 공여제군에서, PBS로 희석된 0.02mg/kg의 니트로글리세린 100㎕를 복강내 주사법 (i.p.)으로 일주일에 4번(일요일, 월요일, 수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마우스에 투여하였으며, 100㎕의 PBS를 혈관내 주사법(i.v.)으로 일주일에 2번(월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니트로글리세린 용액의 복강내 주사 30분 이후, 상기 마우스에 더 투여하였다. 실험은 2주동안 수행되었다. 화학요법군에서, 100㎕의 PBS를 복강내 주사로 일주일에 4번(일요일, 월요일, 수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마우스에 투여하였으며, PBS에 용해된 3.5mg/kg의 시스플라틴 용액 100㎕을 혈관내 주사법 (i.v.)으로 일주일에 2번(월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PBS의 복강내 주사 30분 이후, 상기 마우스에 더 투여하였다. 실험은 2주동안 수행되었다. NO + 화학요법군에서, PBS로 희석된 0.02mg/kg의 니트로글리세린 100㎕를 복강내 주사법(i.p.)으로 일주일에 4번(일요일, 월요일, 수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마우스에 투여하였으며, PBS에 용해된 3.5mg/kg의 시스플라틴 용액 100㎕을 혈관내 주사법(i.v.)으로 일주일에 2번(월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니트로글리세린 용액의 복강내 주사 30분 이후, 상기 마우스에 더 투여하였다. 실험은 2주동안 수행되었다. 시스플라틴과 니트로글리세린을 Nippon Kayaku Co., Ltd(도쿄, 일본)으로부터 입수하였다. 쥐 (murine)의 종양부피 및 마우스 체중의 측정은 마우스에 주입개시후 매 2틀째 수행하였다.
결과
종양부피 성장곡선을 도 2에 나타내었다. NO + 화학요법군에서, 9일후, 화학요법군에 비하여 쥐(murine)의 종양부피의 유의있는 감소가 관찰되었다. 반면, 대 조군 뿐만 아니라 NO공여제군은, 화학요법군과 NO + 화학요법군에 비하여 빠른 종양성장을 나타내었다.
이들 데이터는, 특히 화학요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운 고형암에 있어서 화학감수성의 개선에 대한 이들의 뛰어난 효과때문에,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로서 NO공여제의 새로운 상용화의 가능성이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3 : NO공여제인 니트로글리세린의 병용은, 쥐의 결장암 모델에 있어서의 화학 감수성을 개선한다.
쥐(murine) 결장암세포인 Colon 26세포를 도호쿠 대학 생의학 연구 세포자원센터(Tohoku University Cell Resource Center for Biomedical Research)로부터 입수하여, 세포성장이 실험하기에 충분하게 될때까지 RPMI1640 + 10% 소혈청(fetal bovine serum)에 배양하였다. 이 Colon 26세포를 인산염 완충식염수(PBS)로 2×105세포/100㎕의 농도로 한 후, 6주령 암컷 BALB/c 마우스(Charles River Japan, Inc. (도쿄, 일본) 및 Clea Japan, Inc. (도쿄, 일본)로부터 입수)의 오른쪽 늑하부 피하에 접종하였다(2×105세포/100㎕/마우스). 마우스를 특정 무균 상태하에 두고, 살균 음식 및 물을 제공하였다. 이식된 종양이 약 100mm3의 종양부피로 성장하였을 때, 동물들을 똑같이 4군으로 나누었다(대조군, n=6; C, NO공여제군, n=6; N, 치료요법군, n=6; CTX, 및 NO + 화학요법군, n=6; N+CTX). 종양의 부피는 0.5×{종양 길이(mm)}×{종양 너비(mm)}2로 계산하였다. 대조군에서, 100㎕의 PBS를 복강내 주 사법(i.p.)으로 일주일에 4번(일요일, 월요일, 수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투여하였으며, 100㎕의 PBS를 혈관내 주사법(i.v.)으로 일주일에 2번(월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복강내 주사 30분 이후, BALB/c 마우스에 더 투여하였다. 실험은 2주동안 수행되었다. NO공여제군에서, PBS로 희석된 0.02mg/kg의 니트로글리세린 100㎕를 복강내 주사법(i.p.)으로 일주일에 4번(일요일, 월요일, 수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마우스에 투여하였으며, 100㎕의 PBS를 혈관내 주사법(i.v.)으로 일주일에 2번(월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니트로글리세린 용액의 복강내 주사 30분 이후, 상기 마우스에 더 투여하였다. 실험은 2주동안 수행되었다. 화학요법군에서, 100㎕의 PBS를 복강내 주사로 일주일에 4번(일요일, 월요일, 수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마우스에 투여하였으며, PBS에 용해된 3.5mg/kg의 시스플라틴 용액 100㎕을 혈관내 주사법(i.v.)으로 일주일에 2번(월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PBS의 복강내 주사 30분 이후, 상기 마우스에 더 투여하였다. 실험은 2주동안 수행되었다. NO + 화학요법군에서, PBS로 희석된 0.02mg/kg의 니트로글리세린 100㎕를 복강내 주사법(i.p.)으로 일주일에 4번(일요일, 월요일, 수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마우스에 투여하였으며, PBS에 용해된 3.5mg/kg의 시스플라틴 용액 100㎕을 혈관내 주사법(i.v.)으로 일주일에 2번(월요일 및 목요일에 각각 1회) 니트로글리세린 용액의 복강내 주사 30분 이후, 상기 마우스에 더 투여하였다. 실험은 2주동안 수행되었다. 시스플라틴과 니트로글리세린을 Nippon Kayaku Co., Ltd(도쿄, 일본)으로부터 입수하였다. 쥐(murine)의 종양부피 및 마우스 체중의 측정은 마우스에 주입개시후 매 2틀째 수행하였다.
결과
종양부피 성장곡선을 도 3에 나타내었다. NO + 화학요법군에서, 6일후, 화학요법군에 비하여 쥐(murine)의 종양부피의 유의있는 감소가 관찰되었다. 반면, 대조군 뿐만 아니라 NO공여제군은, 화학요법군과 NO + 화학요법군에 비하여 빠른 종양성장을 나타내었다.
이들 데이터는, 폐암 뿐만 아니라 결장암에 있어서 화학감수성의 개선에 대한 이들의 뛰어난 효과때문에, 항암제와 NO공여제의 병용은 NO공여제의 새로운 상용화의 가능성이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암에 대해서 뛰어난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한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를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가진다.

Claims (4)

  1. 일산화질소 공여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 대상이 되는 암이 고형암인,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암이 비소세포 폐암인,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산화질소 공여제가 유기 니트레이트 화합물인,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
KR1020077000537A 2004-06-10 2005-06-10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 KR20070045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73174 2004-06-10
JP2004173174 2004-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187A true KR20070045187A (ko) 2007-05-02

Family

ID=3497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537A KR20070045187A (ko) 2004-06-10 2005-06-10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80039521A1 (ko)
EP (1) EP1778215B1 (ko)
JP (2) JP4729503B2 (ko)
KR (1) KR20070045187A (ko)
CN (1) CN101001623B (ko)
DE (1) DE602005018222D1 (ko)
ES (1) ES2338022T3 (ko)
WO (1) WO20051204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31298T3 (es) 2005-05-27 2019-11-14 Univ North Carolina Chapel Hill Partículas de liberación de óxido nítrico para agentes terapéuticos de óxido nítrico y aplicaciones biomédicas
JP2010024170A (ja) * 2008-07-17 2010-02-04 Hiroshi Maeda 抗悪性腫瘍剤の腫瘍組織への局所送達増強剤
US20100098733A1 (en) * 2008-10-16 2010-04-22 Novan, Inc. Nitric oxide releasing particles for oral care applications
US8518031B2 (en) * 2008-10-31 2013-08-2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or administering frozen particles
US20100111831A1 (en) * 2008-10-31 2010-05-06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rface abrasion with frozen particles
US20100111857A1 (en) * 2008-10-31 2010-05-06 Boyden Edward 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rface abrasion with frozen particles
US20100111841A1 (en) * 2008-10-31 2010-05-06 Searete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rface abrasion with frozen particles
US8603495B2 (en) * 2008-10-31 2013-12-1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biological remodeling with frozen particle compositions
US9050317B2 (en) * 2008-10-31 2015-06-09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delivery with frozen particles
US20100111835A1 (en) * 2008-10-31 2010-05-06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delivery with frozen particles
US8788212B2 (en) 2008-10-31 2014-07-22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biological remodeling with frozen particle compositions
US20100111836A1 (en) * 2008-10-31 2010-05-06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delivery with frozen particles
US9072799B2 (en) * 2008-10-31 2015-07-0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rface abrasion with frozen particles
US9060931B2 (en) * 2008-10-31 2015-06-23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frozen particle adhesives
US8788211B2 (en) * 2008-10-31 2014-07-22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Method and system for comparing tissue ablation or abrasion data to data related to administration of a frozen particle composition
US9056047B2 (en) 2008-10-31 2015-06-16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frozen particle adhesives
US8731841B2 (en) * 2008-10-31 2014-05-2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delivery with frozen particles
US8568363B2 (en) * 2008-10-31 2013-10-29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Froz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iercing a substrate
US8793075B2 (en) * 2008-10-31 2014-07-29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delivery with frozen particles
US9072688B2 (en) * 2008-10-31 2015-07-0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delivery with frozen particles
US8762067B2 (en) * 2008-10-31 2014-06-2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blation or abrasion with frozen particles and comparing tissue surface ablation or abrasion data to clinical outcome data
US9050070B2 (en) * 2008-10-31 2015-06-09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rface abrasion with frozen particles
US9060926B2 (en) * 2008-10-31 2015-06-23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delivery with frozen particles
US8731840B2 (en) * 2008-10-31 2014-05-2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delivery with frozen particles
US8721583B2 (en) * 2008-10-31 2014-05-13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rface abrasion with frozen particles
US9060934B2 (en) * 2008-10-31 2015-06-23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rface abrasion with frozen particles
US20100111834A1 (en) * 2008-10-31 2010-05-06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delivery with frozen particles
US8603494B2 (en) * 2008-10-31 2013-12-1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compartmentalized frozen particles
US8725420B2 (en) * 2008-10-31 2014-05-13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rface abrasion with frozen particles
EP2467173B8 (en) 2009-08-21 2019-06-19 Novan, Inc. Wound dressings, methods of using the same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CA3062005C (en) 2009-08-21 2022-02-15 Novan, Inc. Topical gels comprising nitric oxide-releasing polysiloxane macromolecules and uses thereof
EP2488591A1 (en) * 2009-10-13 2012-08-22 Novan, Inc. Nitric oxide-releasing coatings
CN102107009A (zh) * 2009-12-25 2011-06-29 奇复康药物研发(苏州)有限公司 天然药物组分和一氧化氮供体的混合复方药物及其用途
US8591876B2 (en) 2010-12-15 2013-11-26 Novan, Inc. Methods of decreasing sebum production in the skin
EP2681286B1 (en) 2011-02-28 2018-08-15 Novan, Inc. Nitric oxide-releasing s-nitrosothiol-modified silica 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5842367B2 (ja) * 2011-04-07 2016-01-13 ニプロ株式会社 抗癌剤増感剤
US20140088034A1 (en) * 2011-05-11 2014-03-27 Stc.Unm NITRIC OXIDE/cGMP PATHWAY INHIBITION OF VLA-4 RELATED CELL ADHESION
CN103130815B (zh) * 2013-02-07 2015-10-07 浙江工业大学 一种单硝酸异山梨酯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5125934A1 (ja) 2014-02-20 2015-08-27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抗癌剤の抗腫瘍効果の増強剤
WO2015133522A1 (ja) 2014-03-04 2015-09-11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大腸癌の治療剤、及び大腸癌患者の予後の予測方法
EP3936145A1 (en) * 2014-07-31 2022-01-12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A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immunotherapy-drug combinations using a network approach
CN107823644B (zh) * 2017-11-07 2021-03-02 福州大学 一种no供体化合物在制备抑制富含巯基分子的肿瘤细胞的侵袭和转移能力药物中的应用
CN109498818B (zh) * 2018-05-25 2021-08-31 福州大学 一种产生NO的pH敏感脂质体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85178B2 (en) * 1993-10-08 1998-01-15 United States Of America,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he Use of nitric oxide-releasing compounds as hypoxic cell radiation sensitizers
AU2195297A (en) * 1996-02-20 1997-09-02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Combinations of pkc inhibitors and therapeutic agents for treating cancers
IT1282686B1 (it) * 1996-02-26 1998-03-31 Nicox Sa Composti in grado di ridurre la tossicita' da farmaci
AU2001234602A1 (en) 2000-01-26 2001-08-07 Cedars-Sinai Medical Center Method for using potassium channel agonists for delivering medicant to an abnormal brain region and/or a malignant tumor
US7678391B2 (en) * 2000-04-26 2010-03-16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ing nitric oxide mimetics against a malignant cell phenotype
US20020173538A1 (en) * 2000-06-30 2002-11-21 Ming-Shi Shiao Method for sensitizing cancer cells to cancer therapies with a mevalonate-reducing compound
JP2005527510A (ja) * 2002-03-06 2005-09-15 セレジー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癌の治療において一酸化窒素模倣体を使用するための製剤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44190A (ja) 2011-07-28
ES2338022T3 (es) 2010-05-03
CN101001623B (zh) 2010-11-17
EP1778215A1 (en) 2007-05-02
US20090137683A1 (en) 2009-05-28
JP2008501630A (ja) 2008-01-24
JP4729503B2 (ja) 2011-07-20
US20080039521A1 (en) 2008-02-14
WO2005120493A8 (en) 2007-03-22
CN101001623A (zh) 2007-07-18
EP1778215B1 (en) 2009-12-09
WO2005120493A1 (en) 2005-12-22
DE602005018222D1 (ko) 2010-01-21
US8410175B2 (en)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5187A (ko) 항암제의 효과 증강제
JP2008501630A6 (ja) 抗癌剤の効果増強剤
Dillon et al. PATRIOT: A phase I study to assess the tolerability, safety and biological effects of a specific ataxia telangiectasia and Rad3-related (ATR) inhibitor (AZD6738) as a single agent and in combination with palliative radi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solid tumours
Pauwels et al. Combined modality therapy of gemcitabine and radiation
Kaira et al. A phase II study of amrubicin, a synthetic 9-aminoanthracycline, in patients with previously treated lung cancer
Ajani et al.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of sequential paclitaxel and bryostatin-1 (NSC 339555) in patients with untreated,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junction adenocarcinoma
Gridelli et al. Sorafenib in combination with erlotinib or with gemcitabine in elderly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a randomized phase II study
US20230072294A1 (en) Compositions, methods, systems and/or kits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neoplasms
NO333972B1 (no) Kombinasjoner av epotilonanaloger og kjemoterapeutiske midler for behandling av proliferative sykdommer
JP2018177808A (ja) 抗癌療法
Lee et al. Belotecan, new camptothecin analogue, is active in patients with small-cell lung cancer: results of a multicenter early phase II study
EP3445347B1 (en) Chemotherapy improvements with idronoxil
CN102753176B (zh) 含有cdc7抑制剂和抗癌药的治疗组合物
Mason et al. Biology-based combined-modality radiotherapy: workshop report
Pershing et al. Treatment with the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 L-NAME provides a survival advantage in a mouse model of Kras mutation-positive,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io et al. Pemetrexed in combination with oxaliplatin as a first-line 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multi-institutional phase II study
Meyer et al. A phase Ib/IIa trial to evaluate the CCK2 receptor antagonist Z-360 in combination with gemcitabine in patients with advanced pancreatic cancer
US11890292B2 (en) Compositions, methods, systems and/or kits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neoplasms
William Jr et al. Phase I trial of motexafin gadolinium in combination with docetaxel and cisplatin for the treatment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Jeremić et al. Concurrent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in locally advanced (Stage III) non-small-cell lung cancer: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with 600 patients
Leighl et al. A phase I/II study of GTI-2040 plus docetaxel as second-line treatment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a study of the PMH phase II consortium
JP2014513698A (ja) がん治療保護のためのヒ素の使用
Hussaini et al. Oxaliplatin Induced Severe Hypoxemia, Chills and Hypersensitivity Reaction
Pergolizzi et al. Induction chemotherapy to weekly paclitaxel concurrent with curative radiotherapy in stage IV (M0) unresectable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a dose escalation study
Alexander 2012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nd american society of hypertension: 27th annual scientific meeting and ex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