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372A -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372A
KR20070042372A KR1020050098223A KR20050098223A KR20070042372A KR 20070042372 A KR20070042372 A KR 20070042372A KR 1020050098223 A KR1020050098223 A KR 1020050098223A KR 20050098223 A KR20050098223 A KR 20050098223A KR 20070042372 A KR20070042372 A KR 20070042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information
loading
container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6617B1 (ko
Inventor
송영윤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6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할 대상화물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가상적재위치를 산출하고, 대상화물에 부착된 무선태그를 통하여 대상화물의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대상화물의 정보에 해당하는 최적의 가상적재위치에 대상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며, 컨테이너 내에 적재함에 있어서 적재위치를 컨테이너 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컨테이너위치무선태그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ciding a loading location with wireless-ta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관한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에 관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에 관한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물정보와 컨테이너 내의 위치정보를 각각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인식하고 이를 소정의 방법에 의한 시뮬레이션으로 설정된 가상적재위치와 연계하여 화물을 컨테이너 내에 정해진 위치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선박, 항공, 차량 등을 이용한 대소화물의 물류산업은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소화물 등의 택배 등을 이용한 서비스업이 물류의 새로운 업종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물류의 양은 끊임없이 증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물류산업은 단순한 양적 증대 뿐만이 아니라 고객서비스 차원의 질적 증대가 요망되고 있으나, 기존의 기반으로는 부족한 면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다량의 적재화물이 혼적되어 운송되는 경우 물품이 잘못 분류되거나, 적재될 컨테이너가 혼동되는 경우 또는 컨테이너 내에 적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오판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 되고 있다.
문서의 기록에 의한 활자매체에 의한 기록방법에만 의존하는 경우 화물에 대한 중량이나 부피 등의 정보가 부정확하고 실제 화물의 적재 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흔히 일어나며 이런 경우 하역시 화물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화물주문업체에서 분실, 화물의 수량부족과 잘못 인도됨 등을 이유로 인수거부가 발생하기도 한다.
적재나 유통과정에서의 적재위치가 불명확하고 또한 이에 대한 책임주체가 불명확하여 잘못 전달되거나 분실되는 경우 책임소재가 불분명해져 양질의 물류서비스뿐만 아니라 소비자보호에 만전을 기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물류산업에서의 적재에 관한 제반의 문제는 적재적소의 인도가 되지 않음에 따른 신용도의 하락 및 시간, 인력 낭비를 가져와 경제적으로 피해를 초래하기도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물의 적재에 대한 계획단계에서 부터 화물의 크기, 중량, 부피, 취급주의도 등과 관련된 화물의 정보를 이용하여 적재위치에 관한 최적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인쇄매체의 문서를 이용하여 화물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화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화물정보무선태그를 이용하여 화물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고, 실제 적재위치를 판단함에 있어서도 컨테이너 내에 설치된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물품의 적재과정에서부터 배송과정, 하역과정 등에서 효율을 극대화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화물적재위치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은, 중앙서버수단이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될 대상화물의 상기 컨테이너 내에 적재될 소정의 위치인 가상위치정보를 상기 대상화물의 화물정보를 이용한 소정의 방법에 의하여 설정하는 가상위치정보설정단계; 상기 중앙서버수단이 상기 대상화물에 부착된 화물정보무선태그의 화물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태그리더로부터 상기 대상화물의 상기 화물정보를 전송받는 화물태그인식단계; 및 상기 중앙서버수단이 상기 화물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가상위치정보인 적재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가상위치정보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구현된 방법을 통하여 화물적재에 관하여 미리 최적의 적재위치를 설정하고, 적재되는 과정에서 화물의 정보를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인식하고, 인식된 화물에 해당하는 최적의 적재위치를 전송함으로써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최적의 적재위치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은, 컨테이너위치검출수단이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기 적재위치치정보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를 검출하는 적재위치검출단계; 및 상기 대상화물의 적재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이 상기 적재위치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에 해당하는 상기 컨테이너 내의 위치에 상기 대상화물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화물적재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컨테이너 내의 위치를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고, 전송받은 적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어 실제 화물을 적재함에 있어서도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물적재인식방법은 상기 대상화물의 적재결과에 관한 결과정보를 전송받는 전송단계; 및 상기 전송받은 결과정보를 저장하는 결과정보저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적재결과에 관한 결과정보를 전송받고 저장하여 상기 화물에 관한 적재결과 및 적재위치에 관한 정보를 하역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결과와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할 대상화물을 이용하여 소정의 컨테이너의 적재율을 산출하여 화물적재에 소요되는 예상시간이나 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은,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될 대상화물의 상기 컨테이너 내에 적재될 소정의 위치인 가상위치정보를 상기 대상화물의 화물정보를 이용한 소정의 방법에 의하여 설정하는 가상적재위치설정부; 상기 대상화물에 부착된 화물정보무선태그로부터 상기 대상화물의 화물정보를 수신하는 화물정보수신부; 상기 화물정보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화물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가상적재위치정보인 적재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적재위치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대상화물의 적재위치에 관한 최적의 적재위치를 설정하고, 화물에 관한 정보를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설정한 최적의 적재위치에 해당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적재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물적재인식시스템은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기 적재위치치정보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를 검출하는 컨테이너적재위치검출부; 및 상기 컨테이너적재위치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에 해당하는 상기 컨테이너 내의 위치에 상기 대상화물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화물적재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대상화물의 적재위치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내의 위치를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판단하고 상기의 위치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화물을 실제 적재함에 있어서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물적재인식시스템은 상기 대상화물의 적재결과에 관한 적재결과정보를 전송받고 저장하는 적재결과수신저장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추가적인 적재결과수신저장부의 구성으로 해당화물이 적재되었는지 여부, 적재된 컨테이너, 적재된 컨테이너 내의 적재위치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상기 저장된 적재결과정보와 상기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할 대상화물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컨테이너의 적재율을 추가적으로 산출하는 시스템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저인터페이스기능이 구현된 화상인증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관한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은 가상적재위치설정부(100), 화물정보수신부(110), 적재위치송신부(120), 컨테이너적재위치검출부(130), 화물적재제어부(140) 및 적재결과수신부(150)를 구비한다.
가상적재위치설정부(100)는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될 대상화물의 상기 컨테이너 내에 적재될 소정의 위치인 가상위치정보를 상기 대상화물의 화물정보를 이용한 소정의 방법에 의하여 설정한다.
적재하여야 할 화물이 다량인 경우 또는 적재공간인 컨테이너가 하나 이상인 경우, 적재대상화물의 종류나 화물의 생산자, 화물의 도착지 또는 수령인 등에 따라 적재대상화물을 분류하여 적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어떤 화물이 어떤 컨테이너에 적재되었는지에 관한 정보와 선택된 컨테이너 내에 어떤 화물이 어느 위치에 선적되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가상적재위치설정부(100)에서 상기 적재될 소정의 위치를 적재할 화물에 관한 정보와 화물이 적재되는 컨테이너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적재화물의 종류, 생산자, 도착지, 수령인, 화물의 크기, 중량, 취급 주의도 등의 정보들을 토대로 어떤 컨테이너에 어떠한 화물을 어느 위치에 선적할 것인지를 시뮬레이션 등을 통하여 최적의 적재위치인 가상위치정보로 설정한다.
즉, 가상적재위치설정부(100)에서는 해당적재화물별로 적재되는 컨테이너에 관한 정보, 해당 컨테이너에 해당화물을 적재하는 컨테이너 내의 위치정보를 설정하게 되며 예를 들어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순번 화물정보 해당 컨테이너 컨테이너 내 위치
1 A 화물 가 컨테이너 (1,1)
2 B 화물 나 컨테이너 (2,2)
3 C 화물 가 컨테이너 (1,3)
상기 표1에 의하면 A화물은 "가" 컨테이너에 적재하도록 하며, "가" 컨테이너 내에 (1,1)에 해당하는 위치를 최적의 적재위치로 가상적재위치정보를 설정하게 된다.
컨테이너 내의 위치인 (1,1)은 컨테이너 내의 위치에 대한 상대적인 정보이며, 컨테이너 내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상기 표1에서는 컨테이너 내의 위치를 2차원적으로 나타내었으나, 컨테이너가 3차원적으로 구획되어져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컨테이너 내의 위치를 3차원적 좌표로도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C화물은 A화물과 동일한 "가" 컨테이너이고, "가" 컨테이너 내의 (1,3)에 해당하는 위치가 설정된 가상위치정보가 된다.
차후, 실제 화물이 적재될 때 가상위치정보에 따른 적재가 되도록 상기에 나타낸 표와 같이 적재하여야 할 모든 대상화물에 관한 적재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고 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모든 적재대상화물에 대한 가상적재위치가 설정된 후, 실제의 적재과정에 이용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화물정보수신부(110)는 상기 대상화물에 부착된 화물정보무선태그로부터 상기 대상화물의 화물정보를 수신한다.
적재대상화물마다 적재대상화물의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는 무선태그인 화물정보무선태그가 부착되어 있으며, 무선태그를 인식하는 무선태그수신장치에 의하여 화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무선태그와 무선태그리더(무선태그수신장치)를 이용하여 화물정보를 획득하므로써 문서 등의 활자기록매체에서 벗어나 전자적으로 실시간 화물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재위치송신부(120)는 화물정보수신부(11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화물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가상적재위치정보인 적재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적재위치송신부(120)는 가상적재위치설정부(100)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상위치정보 중에서 화물정보수신부(110)로부터 전송받은 화물정보에 해당하는 화물의 가상적재위치정보인 적재위치정보를 전송토록 한다. 적재위치송신부(120)에서 전송하는 적재위치정보는 해당화물을 실제적으로 적재하기 위한 운반자, 운반차량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송된 적재위치정보에 의하여 이 후 해당 컨테이너 내의 적재위치에 해당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컨테이너 내의 위치에 관한 정보 등을 판단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컨테이너는 3차원으로 되어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차원적 평면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소정의 넓이를 차지하고 있는 컨테이너 내의 공간을 2차원적으로 구획하고,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준이 되는 소정의 지점(예를 들어 컨테이너 출입문의 좌측 끝 등)을 정하고 이로부터 구획된 공간을 소정의 2차원 좌표(예를 들어 (1,1), (1,2). (1,3).....(3.5))로 나타낼 수 있다. 2차원 좌표로 나타낸 위치를 컨테이너 내에 표시하거나 또는 소정의 약정에 의하여 묵시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상기의 2차원 좌표 등의 컨테이너 내의 구획된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를 구획된 영역의 위치를 표현하는 매개체로서 구획된 영역마다 설치하여 해당 구획 위치를 컨테이너적재위치검출부(130)가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상기 2차원 좌표 등의 위치정보를 판단하도록 구성한다.
컨테이너적재위치검출부(130)는 무선태그리더로 구성되며 무선태그리더가 무선태그의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을 이용하며 상기 적재위치송신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적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를 인식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내의 구획된 위치에 관한 정보는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전송받은 적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를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 중에서 검출한다.
최종적으로 화물적재제어부(140)는 상기 컨테이너적재위치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상기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에 해당하는 상기 컨테이너 내의 위치에 상기 대상화물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초기에 설정한 가상적재위치에 해당화물을 실제로 적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화물적재에 관한 실질적 적재과정은 완료가 된다.
또한, 적재결과수신부(150)는 상기 대상화물의 적재결과에 관한 적재결과정보를 전송받고 저장한다. 적재가 완료된 경우, 적재결과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적재결과정보와 상기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할 대상화물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컨테이너의 적재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 적재결과정보는 실제 해당화물을 적재한 운반자 등에 의하여 입력받아 적재결과수신부(150)로 전송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적재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적재완료여부, 적재정도 여부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효율적인 적재가 되도록 하며, 이를 이용하여 소비자나 하역자에게 적재화물에 대한 유용한 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적재위치정보인식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에 관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의한 흐름도를 참조하면, 우선적으로 화물의 적재에 관한 시뮬레이션, 화물적재위치전송, 정보 저장 등을 제어하는 중앙서버수단에 구비되는 가상적재위치설정부(100)는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될 대상화물의 상기 컨테이너 내에 적재될 소정의 위치인 가상위치정보를 상기 대상화물의 화물정보를 이용한 소정의 방법에 의하여 설정한다(S200).
상기 적재될 소정의 위치를 적재할 화물에 관한 정보와 화물이 적재되는 컨테이너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적재화물의 종류, 생산자, 도착지, 수령인, 화물의 크기, 중량, 취급 주의도 등의 정보들을 토대로 어떤 컨테이너에 어떠한 화물을 어느 위치에 선적할 것인지를 시뮬레이션 등을 통하여 최적의 적재위치인 가상위치정보로 설정한다.
해당화물의 최적의 적재위치를 시뮬레이션으로 정한 뒤에 화물이 적재장소로 들어오면 들어오는 화물이 어떤 화물인지 확인하고 들어오는 화물에 해당하는 적재위치를 전송함으로써 적재적소의 위치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가상위치가 설정된 후, 상기 중앙서버수단에 구비되는 화물정보수신부(110)는 상기 대상화물에 부착된 화물정보무선태그의 화물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태그리더로부터 상기 대상화물의 상기 화물정보를 전송받는다(S210).
상기 화물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중앙서버수단에 구비되는 적재위치송신부(120)는 상기 화물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가상위치정보인 적재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적재위치정보는 해당화물을 컨테이너에 실제로 적재하는 운반자 또는 운반차량 등으로 해당화물의 적재위치를 전송한다(S220).
적재위치가 전송된 후에 컨테이너위치검출수단이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기 적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를 검출한다(S230).
컨테이너위치검출수단은 여러가지가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무선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무선태그리더를 이용한다. 컨테이너 내 구획된 위치에 관한 구획별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를 인식하는 방식에 의하여 전송받은 적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를 검출한다.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 중에서 전송받은 적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를 검출하여 해당화물의 적재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대상화물의 적재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이 상기 적재위치검출단계(S230)에서 검출한 상기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에 해당하는 상기 컨테이너 내의 위치에 상기 대상화물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S240).
상기 제어수단은 컴퓨터 등을 이용하며, 운반자가 소지하거나 운반차량에 장착되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해당화물을 적재하는 주체에게 적재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정해진 최적의 위치에 해당화물을 실제로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앙서버수단에 구비되는 적재결과수신부(150)는 적재가 종료되면 대상화물의 적재결과에 관한 결과정보를 전송받으며(S250). 전송받은 결과정보를 저장한다(S260).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무선태그를 인식하는 방법을 화물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또한 컨테이너 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이용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장 적절한 화물의 적재위치에 관한 설정과정을 통하여 본원발명의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을 구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기술을 특징적으로 표현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화물의 선적에 관한 실질적이고 전반적인 특징적 흐름에 관하여 도 3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에 관한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화물적재위치인식에 따른 전체적이고 실질적인 과정에 의한 구성은 중앙제어시스템(300), 적재대상화물(310), 화물정보무선태그(320), 무선태그리더송수신기(330),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340), 위치송수신장치(350) 및 제어장치(360)를 포함한다.
중앙제어시스템(300)은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할 화물을 대상으로 화물의 부피, 중량, 취급주의도 등과 같은 화물의 정보를 토대로 가장 적합한 적재위치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설정한다.
지게차 등의 화물운반차량이 적재대상화물(310)을 싣고 적재장 등에 들어오는 경우, 적재대상화물(310)에는 적재대상화물에 대한 화물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화물정보무선태그(320)가 부착되어 있다. 부착된 화물정보무선태그(3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무선태그리더송수신기(330)가 설치되어 있는 게이트형 인도인접구조물을 통과하는 경우, 무선태그리더송수신기(330)에 의해 인식되며, 무선태그리더송수신기(330)는 인식된 정보를 중앙제어시스템(300)으로 송신한다.
송신을 받은 중앙제어시스템(300)은 전송받은 화물정보에 해당하는 적재대상화물(310)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한 시뮬레이션 등으로 미리 설정한 최적의 적재위치에 관한 정보를 다시 운반차량 등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송수신장치(350)로 전송한다.
컨테이너 내에는 컨테이너의 각각의 위치별 정보를 담은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위치무선태그가 설치되어 있으며, 위치송수신장치(350)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위치무선태그 중에서 전송받은 적재위치에 관한 정보와 부합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위치무선태그(340)를 검출한다.
제어장치(360)는 상기 위치송수신장치(350)에서 검출한 해당 컨테이너위치무선태그에 적재대상화물(310)을 적재토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화물운송차량의 운행자는 해당화물을 최적의 예상된 적재위치에 적재하게 되고, 적재결과를 중앙제어시스템(300)에 저장토록 하여 하역시 화물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다른 물품과 함께 혼적되더라도 해당화물을 효율적으로 찾고 하역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과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O-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 및 방법에 의할 경우, 한정된 크기의 컨테이너에 많은 화물을 정해진 위치에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고 고객에게 제공하는 상품 적재에 관한 목록을 실제적재와 일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재에 대하여 고객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으며, 적재과정을 실시간으로 통제, 제어할 수 있어 관제기관에서는 적재 작업 진행상황을 계속적 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적재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적재과정에 문제나 오류가 생기는 경우 이에 대한 검출과 해결에 대한 모색이 용이해지며, 적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고 물류에 요구되는 종이 등의 활자매체를 줄여 자원을 절약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비효율적인 적재에 따른 작업 지연과 작업오류, 나아가 수치인의 수치거부 및 해당화물의 적재여부 불투명으로 하역작업시 화물을 찾는 시간낭비 등의 비효율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Claims (9)

  1. 중앙서버수단이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될 대상화물의 상기 컨테이너 내에 적재될 소정의 위치인 가상위치정보를 상기 대상화물의 화물정보를 이용한 소정의 방법에 의하여 설정하는 가상위치정보설정단계;
    상기 중앙서버수단이 상기 대상화물에 부착된 화물정보무선태그의 화물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태그리더로부터 상기 대상화물의 상기 화물정보를 전송받는 화물태그인식단계; 및
    상기 중앙서버수단이 상기 화물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가상위치정보인 적재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가상위치정보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은,
    컨테이너위치검출수단이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기 적재위치치정보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를 검출하는 적재위치검출단계; 및
    상기 대상화물의 적재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이 상기 적재위치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에 해당하는 상기 컨테이너 내의 위치에 상기 대상화물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화물적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은,
    중앙서버수단이 상기 대상화물의 적재결과에 관한 결과정보를 전송받는 전송단계; 및
    중앙서버수단이 상기 전송받은 결과정보를 저장하는 결과정보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저장단계는,
    상기 저장된 화물적재결과와 상기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할 대상 화물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컨테이너의 적재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5.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될 대상화물의 상기 컨테이너 내에 적재될 소정의 위치인 가상위치정보를 상기 대상화물의 화물정보를 이용한 소정의 방법에 의하여 설정하는 가상적재위치설정부;
    상기 대상화물에 부착된 화물정보무선태그로부터 상기 대상화물의 화물정보를 수신하는 화물정보수신부;
    상기 화물정보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화물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가상적재위치정보인 적재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적재위치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은,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기 적재위치치정보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를 검출하는 컨테이너적재위치검출부; 및
    상기 컨테이너적재위치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컨테이너위치정보무선태그에 해당하는 상기 컨테이너 내의 위치에 상기 대상화물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화물적재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은,
    상기 대상화물의 적재결과에 관한 적재결과정보를 전송받고 저장하는 적재결과수신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결과수신저장부는,
    상기 저장된 적재결과정보와 상기 소정의 컨테이너에 적재할 대상화물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컨테이너의 적재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시스템.
  9. 제 1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98223A 2005-10-18 2005-10-18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 KR10115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223A KR101156617B1 (ko) 2005-10-18 2005-10-18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223A KR101156617B1 (ko) 2005-10-18 2005-10-18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372A true KR20070042372A (ko) 2007-04-23
KR101156617B1 KR101156617B1 (ko) 2012-06-14

Family

ID=3817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223A KR101156617B1 (ko) 2005-10-18 2005-10-18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6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83B1 (ko) * 2007-10-18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인식 기반 운송용기 자동 배치방법 및 장치
US8237567B2 (en) 2008-11-07 2012-08-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of loading goods
KR101301151B1 (ko) * 2013-04-29 2013-08-27 주식회사 이도링크 물류 보관공간 물품 위치관리시스템 및 물류 보관공간 물품 위치관리방법
KR20210004764A (ko) * 2019-07-05 2021-01-13 쿠팡 주식회사 적재 작업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240002738A (ko) 2022-06-30 2024-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470A (ko) * 1997-12-22 1999-07-05 성재갑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063933B1 (ko) * 2018-06-27 2020-01-08 씨제이대한통운(주) 차량 배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111A (ko) * 2003-06-18 2004-12-31 주식회사 이엠디지탈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83B1 (ko) * 2007-10-18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인식 기반 운송용기 자동 배치방법 및 장치
US8237567B2 (en) 2008-11-07 2012-08-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of loading goods
KR101301151B1 (ko) * 2013-04-29 2013-08-27 주식회사 이도링크 물류 보관공간 물품 위치관리시스템 및 물류 보관공간 물품 위치관리방법
KR20210004764A (ko) * 2019-07-05 2021-01-13 쿠팡 주식회사 적재 작업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1667470B2 (en) 2019-07-05 2023-06-06 Coupang Corp. Stowing worker user interface
KR20240002738A (ko) 2022-06-30 2024-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617B1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7432B2 (en) Object tracking method and system
US20200234239A1 (en) Cross-dock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99657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eight tracking and monitoring
KR101156617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
US10181112B2 (en) System for determining a relative location of a plurality of items upon a plurality of platforms
US98413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eight tracking and monitoring
WO2020072208A1 (en) Smart terminal facility and method suitable for the handling of cargo containers
CN102147888A (zh) 一种智能仓库管理系统及其方法
US200200995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hipment information
CN107423924A (zh) 一种基于saas的物流货物信息链实况跟踪服务平台
US201800531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transporting cargo
CN109523161A (zh) 基于物联网技术的港口运营管理系统
KR100657817B1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물류작업 자동 처리 시스템
KR100976871B1 (ko) 물류 소통품질 관리 방법, 물류작업 관리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시스템
US11699046B2 (en) Sortable tracking object
US20210073747A1 (en) Reuse material management apparatus, reuse material management system, and reuse material management method
KR20050062328A (ko) 전파 식별 기술을 이용한 운송용기 자동수불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
CN117422355A (zh) 一种物流货运订单协同方法、系统及存储介质
JP2006107367A (ja) 車載装置、センタ装置及びサブセンタ装置
CN117196100A (zh) 一种货运时长的预测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