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933B1 - 차량 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933B1
KR102063933B1 KR1020180073768A KR20180073768A KR102063933B1 KR 102063933 B1 KR102063933 B1 KR 102063933B1 KR 1020180073768 A KR1020180073768 A KR 1020180073768A KR 20180073768 A KR20180073768 A KR 20180073768A KR 102063933 B1 KR102063933 B1 KR 102063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ck
information
ti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164A (ko
Inventor
이경환
이규복
이용안
최은성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주)
Priority to KR1020180073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9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배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 도크에 접안되는 차량의 번호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번호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도크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와 도크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차량이 접안될 도크를 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배정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도 터미널에 입문하는 택배 차량을 최적의 도크에 배정하여 배송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배정 시스템{Vehicle Allo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물류 터미널 내에서 차량을 배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정보와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작업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차량을 최적의 도크에 배정할 수 있는 차량 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또는 유선방송 등을 이용하는 전자상거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서 각각의 상품들을 안전하며 신속하게 구매자에게 배달하는 문제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택배 업체들은 물품 운송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택배 물품들은 일반적으로 택배 기사가 택배 발송인으로부터 택배 물품을 건네 받는 집화 과정, 집화된 택배 물품을 차량으로 운반하여 허브(Hub)터미널로 이동시키는 수송 과정, 수송 과정을 거쳐 허브터미널로 이동된 택배 물품을 일련의 과정을 거쳐 지역별로 분류하고, 지역별로 분류된 택배 물품을 각 지역의 서브(Sub)터미널로 이동시킨 후, 서브터미널에서 다시 한 번 배송 지역별로 분류하는 분류 과정, 마지막으로 택배 기사가 지역터미널에서 분류된 물품을 택배 수취인에게 전달해주는 배송 과정을 거쳐 수취인에게 배송된다.
특히, 종래에는 택배 차량이 허브터미널 또는 서브터미널에 입문하면, 터미널 입구 및 도크(Dock)에 배치된 작업자가 무전을 통해 입문하는 차량 별로 도크를 배정하고, 해당 택배 차량이 도크에 진입하면 차량 컨테이너을 열어 컨테이너 내에 실린 물품들을 지정된 도크에 하차시키거나 반대로 차량 컨테이너 내로 물품을 승차시키는 방식으로 택배 물품을 이송하였는데, 상기 방식에 따를 경우 물품의 상/하차를 위해 별도의 작업자가 각 차량 별로 도크를 일일이 배정해야만 해서 차량 별 최적의 도크를 배정하거나, 배정된 도크에 차량을 접안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CTV를 통해 터미널에 입문하는 차량을 모니터링하고, 무전기를 이용하여 도크를 배정하고 접안 명령을 하는 방식도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방법의 경우에는 현장에 작업자 배치 없이 CCTV와 무전기로만 각 차량 별로 도크를 배정하다 보니 차량 운전자들이 상, 하차 도크 번호를 혼동하여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여전히 별도의 작업자를 배치하여 모든 차량의 도크를 배정해야만 해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도크 배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종래의 방식들은 비효율적이며, 물류량의 증가로 인해 대두되고 있는 인력 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인력 투입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택배 차량을 최적의 도크에 배정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 10-2009-0051961) “차량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별도의 인력 투입 없이 차량의 위치 정보, 적재율 등의 차량 정보 및 도크에 배치되어 상, 하차 중인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작업 현황 등의 도크 정보를 토대로 차량을 최적의 도크에 배정할 수 있는 차량 배정 시스템을 제공하여 차량 배정 과정에서 발생되는 시간 지연 및 인력 낭비를 최소화함으로써, 종래의 차량 배정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 도크에 접안되는 차량의 번호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수신된 상기 차량 번호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도크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와 도크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차량이 접안될 도크를 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배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차량으로부터 차량 번호, 차량의 위치, 예상 도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터미널 입구에 배치된 비콘을 통해 차량에 부착된 비콘 태크를 인식하여 입문하는 차량 번호, 입문 시간, 해당 차량의 컨테이너 내에 적재된 물품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 터미널 입구에 배치된 스캐너를 통해 입문하는 차량 번호, 입문 시간, 해당 차량의 컨테이너 내에 적재된 물품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삭제
아울러, 상기 도크 정보 수집부는 LPR 방식으로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번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크 정보 수집부는 도크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차량의 접안 여부, 도크 체류 시간,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실시간 물품 적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와 도크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입문한 차량이 각 도크까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 및 대기 시간을 산출하고, 해당 차량을 상기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는 도크에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긴급 배송 물품이 적재된 차량을 우선적으로 도크에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크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실시간 물품 적재량을 토대로 작업 진척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작업 진척율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물품 상, 하차 작업의 지연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차량 배정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 작업자에게 특이 사항을 알리는 알림부 내지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와 도크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차량의 도크 배정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 (a) 차량으로부터 차량 번호, 차량의 위치, 예상 도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 단계; (b)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차량 번호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작업 현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도크 정보 수집 단계; (c) 상기 (a) 차량 정보 수집 단계와 (b) 도크 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입문한 차량이 접안될 도크를 배정하는 도크 배정 단계; 및 (d) 상기 도크 배정 단계에서 배정된 도크를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는 알림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배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a) 차량 정보 수집 단계는 차량 번호, 차량의 위치, 예상 도착 시간, 입문 시간, 해당 차량의 컨테이너 내에 적재된 물품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도크 정보 수집 단계는 차량의 접안 여부,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번호, 차량의 접안 여부, 도크 체류 시간,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실시간 물품 적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c) 도크 배정 단계는 상기 (a) 차량 정보 수집 단계와 (b) 도크 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입문한 차량이 각 도크까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 및 대기 시간을 산출하고, 해당 차량을 상기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는 도크에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배정 시스템은 차량 정보와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컨베이너 내부 작업 정보만으로 차량을 최적의 도크에 배치할 수 있어, 인력 낭비 및 차량의 접안 대기로 인한 시간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배정 시스템은 종래의 작업자에 수작업에 의존하던 차량 배정 시스템과 달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을 도크에 배치함으로써, 차량 배정 과정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차량과 본 발명의 차량 배정 시스템 사이에서 차량 정보 등이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터미널에 입문하는 차량의 입문 시간, 컨테이너 적재량, 차량 번호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카메라부를 통해 도크에 접안된 차량 및 컨테이너 내부 작업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간으로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컨테이너 내부 물품 적재량을 관측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카메라부를 통해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컨테이너 내부 작업자의 숫자, 작업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차량 정보와 컨테이너 내부 작업 정보를 토대로 차량을 최적의 도크에 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정 방법의 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한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래의 터미널 차량 배정 시스템은 허브터미널 또는 서브터미널 내에 별도의 작업자를 배치하고,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터미널에 입문하는 각 차량들을 도크에 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종래와 같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우 차량을 최적의 도크에 배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차량의 대기 시간이 길어져 전체 배송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배송해야 할 물품량의 급격한 증가로 터미널 내에 배치해야 하는 작업자의 수도 증가하여 인력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별도의 작업자 투입 없이도 차량 정보 및 도크에 접안된 차량 컨테이너 내부에서 진행되는 작업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허브 터미널 또는 서브 터미널 내로 입문하는 차량들을 최적의 도크에 배치할 수 있는 차량 배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차량 배정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정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차량과 본 발명의 차량 배정 시스템 사이에서 차량 정보 등이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터미널에 입문하는 차량의 입문 시간, 컨테이너 적재량, 차량 번호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카메라부를 통해 도크에 접안된 차량 및 컨테이너 내부 작업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정보를 제어부(300)로 송신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100); 도크(20)에 접안되는 차량의 번호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번호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어부(300)로 송신하는 도크 정보 수집부(200); 및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100)와 도크 정보 수집부(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차량이 접안될 도크를 배정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차량 배정 시스템(10)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작업자를 투입하지 않고도 차량 정보와 차량 컨테이너 내부 작업 정보를 토대로 차량을 최적의 도크에 배치하여 배송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배정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먼저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100)는 터미널에 입문하는 차량은 물론, 허브 터미널로 이동하는 차량, 서브 터미널로 이동하는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차량으로부터 수집하는 차량 정보는 차량 번호, 현재 위치 정보, 터미널 예상 도착 시간, 터미널 입문 시간, 차량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물품의 수량 등의 정보를 총칭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100)는 차량의 내재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도 2a와 같이 해당 차량의 번호, 현재 차량의 위치, 현재 차량의 위치를 토대로 허브 터미널 또는 서브 터미널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차량 배정 시스템(1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내부 차량 상황, 작업 진척율 등을 고려하여 어플리케이션 또는 차량 네비게이션을 통해 차량 운전자에게 지연 도착 내지 조기 도착 정보를 알릴 수도 있고, 터미널에 인접한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터미널 입문 차선 정보 등을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100)는 터미널에 입문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도 3과 같이 터미널 입구에 배치된 비콘(Beacon, 30)을 이용하여 차량을 도크에 배정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차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각 차량 및 차량의 컨테이너에는 비콘 태크가 부착되어 있고, 터미널 입구에 배치된 비콘(30)은 비콘 태크와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입문하는 차량의 번호, 입문 시간 등의 정보는 물론, 전자 인수증에 기록된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물품의 수량, 긴급 배송이 필요한 물품과 같은 물품 배송 시 주의 사항 등에 대한 정보까지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터미널에 입문하는 차량의 번호에 관한 정보는 비콘(30)과 차량 및 컨테이너에 부착된 비콘 태크 사이의 신호 전달을 통해 수집할 수도 있으나,
다만, 비콘(30)을 통해 입문하는 차량의 번호, 입문 시간, 컨테이너 내에 적재된 물품의 수량 등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 배정 시스템에 일 실시예에 불과하여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실시예로 터미널 입구에 스캐너(Scanner)를 배치하고, 스캐너를 통해 차량 및 차량 컨테이너에 부착된 QR(Quick Response) 태그 내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크에 내재된 차량의 번호, 입문 시간, 컨테이너 내에 적재된 물품의 수량 등에 관한 추가적인 차량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다음으로, 상기 도크 정보 수집부(200)는 도크에 접안된 차량 번호 및 차량 컨테이너의 작업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제어부(300)에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차량 컨테이너의 작업 상황 정보는 차량의 접안 여부, 차량의 도크 체류 시간, 물품 적재량, 작업 인원 및 작업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총칭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도크 정보 수집부(200)는 도 4와 같이 도크(20)에 설치된 카메라부(21)를 활용하여 차량을 도크에 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데, 상기 정보 파악 과정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실시간으로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컨테이너 내부 물품 적재량을 관측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카메라부를 통해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컨테이너 내부 작업자의 숫자, 작업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크 정보 수집부(200)는 ⅰ) 도 5와 같이 카메라부(21)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LPR(License Plate Recogntion) 방식을 통해 도크(20)에 접안된 차량 번호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ⅱ) 차량이 도크(20)에 접안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이 도크(20)에 접안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의 체류 시간까지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ⅲ) 도 6과 같이 카메라부(21)에 의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차량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물품의 수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고, ⅳ) 도 7과 같이 컨테이너 내부 작업자의 숫자, 작업자의 휴식 여부 등 물품 상/하차 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 때, 차량 번호 및 컨테이너 내부 작업 정보를 파악하는 카메라부(21)는 작업 환경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및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면 다른 종류의 카메라를 사용하더라도 무관하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100)와 도크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터미널에 입문하는 차량을 최적의 도크(20)에 배정하는 제어부(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은 차량 정보와 컨테이너 내부 작업 정보를 토대로 차량을 최적의 도크에 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 정보 수집부(100) 및 도크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정보 중에서도 차량 정보 수집부(100)에서 수집한 차량 컨테이너의 물품 적재량과 도크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실시간 물품 적재량을 비교하거나, 도크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차량 최초 접안 시의 물품 적재량과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실시간 물품 적재량을 비교하여, 각 도크(20) 별 작업 진척율(작업 진척율(%) = 최초 물품 적재량 - 실시간 물품 적재량)을 산출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도 8과 같이 산출된 각 도크(20) 별 작업 진척율을 포함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100)와 도크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차량이 터미널에 입문한 시점을 기준으로 각 도크(20)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이동 시간과 도크(20)에 접안된 택배 차량의 상하차 작업이 끝날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는 도크(20)에 해당 차량을 자동적으로 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차량을 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300)는 보다 효율적인 차량 배정을 위하여 ⅰ) 신선도를 유지해야하는 물품, 긴급 배송 물품 등이 적재된 차량이 입문하는 경우에는 다른 차량보다 우선적으로 도크(20) 배정을 할 수 있고, ⅱ)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작업 인원, 휴식 여부에 관한 정보를 반영하여 차량 대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ⅲ) 시간 대비 작업 진척율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작업 진척율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는 도크(20)에 접안된 차량의 물품 상하차 작업이 지연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반영하여 차량 대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작업 환경에 따라 터미널 관리자가 물품 상하차 작업의 지연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값을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차량 배정 시스템(10)은 차량 운전자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 작업자, 터미널 관리자 등에게 터미널 내의 특이 사항을 알리는 알림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림부(400)는 차량 운전자에게 상기 제어부(300)에서 배정한 도크(20)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고, 도크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한 접안된 차량의 번호와 도크(20)에 배정된 차량의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차량 운전자에게 잘못된 도크(20)에 접안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내부 컨베이어 벨트, 소터 등의 고장이 발생된 경우 컨테이너 내부 작업자, 터미널 관리자 등에게 작업을 중지할 것을 알릴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알림부(400)는 소리 또는 빛을 이용하여 터미널 내에 발생한 특이 사항을 알릴 수도 있으나,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 운전자, 내부 작업자, 터미널 관리자 등에게 특이 사항을 알릴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배정 시스템은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100)와 도크 정보 수집부(200)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 터미널에 입문한 차량의 도크 배정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500)를 더 포함하고, 터미널 관리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나타내는 정보를 토대로 터미널 내에 출입하는 차량의 정보, 차량 배정 상태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 관리에 필요한 인력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정 방법에 대하여 살펴 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정 방법의 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정 방법은 차량으로부터 차량 번호, 차량의 위치, 예상 도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 단계(S210);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차량 번호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작업 현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도크 정보 수집 단계(S220); 상기 차량 정보 수집 단계(S210)와 도크 정보 수집 단계(S220)에서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입문한 차량이 접안될 도크를 배정하는 도크 배정 단계(S230); 및 상기 도크 배정 단계(S230)에서 배정된 도크를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운전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는 알림 단계(S240);를 포함한다.
이 때, 차량 정보 수집 단계(S210), 도크 정보 수집 단계(S220), 도크 배정 단계(S230), 알림 단계(S24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차량을 최적의 도크에 배정하기 위해 ⅰ) 상기 차량 정보 수집 단계(S210)는 차량 번호, 차량의 위치, 예상 도착 시간, 입문 시간, 해당 차량의 컨테이너 내에 적재된 물품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고,
ⅱ) 상기 도크 정보 수집 단계(S220)는 차량의 접안 여부,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번호, 차량의 접안 여부, 도크 체류 시간,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실시간 물품 적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도크 배정 단계(S230)는 상기 차량 정보 수집 단계(S210)와 도크 정보 수집 단계(S220)에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입문한 차량이 각 도크까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 및 대기 시간을 산출하고, 해당 차량을 상기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는 도크에 배정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별도의 작업자를 투입하지 않고도 차량 정보 및 컨테이너 내부 작업 정보를 토대로 터미널 내로 입문하는 차량을 최적의 도크로 배정할 수 있는 배정 시스템 및 배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각 차량을 도크에 배정하던 종래와 달리 차량 배정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배송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차량 배정 시스템
20 : 도크
21 : 카메라부
30 : 비콘
100 : 차량 정보 수집부
200 : 도크 정보 수집부
300 : 제어부
400 : 알림부

Claims (17)

  1.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
    도크에 접안되는 차량의 번호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번호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도크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와 도크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차량이 접안될 도크를 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도크 정보 수집부는,
    도크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차량의 접안 여부, 도크 체류 시간,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실시간 물품 적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크 정보 수집부에서 상기 도크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수집한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실시간 물품 적재량을 토대로 작업 진척율을 산출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와 도크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입문한 차량이 각 도크까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 및 대기 시간을 산출하며, 해당 차량을 상기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는 도크에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차량으로부터 차량 번호, 차량의 위치, 예상 도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터미널 입구에 배치된 비콘을 통해 차량에 부착된 비콘 태크를 인식하여 입문하는 차량 번호, 입문 시간, 해당 차량의 컨테이너 내에 적재된 물품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터미널 입구에 배치된 스캐너를 통해 입문하는 차량 번호, 입문 시간, 해당 차량의 컨테이너 내에 적재된 물품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정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크 정보 수집부는,
    LPR 방식으로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번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정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긴급 배송 물품이 적재된 차량을 우선적으로 도크에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정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작업 진척율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물품 상, 하차 작업의 지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정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운전자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 작업자에게 특이 사항을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배정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와 도크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차량의 도크 배정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배정 시스템.
  14. 차량 배정 시스템이 차량을 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차량으로부터 차량 번호, 차량의 위치, 예상 도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 단계;
    (b)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차량 번호 또는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작업 현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도크 정보 수집 단계;
    (c) 상기 (a) 차량 정보 수집 단계와 (b) 도크 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입문한 차량이 접안될 도크를 배정하는 도크 배정 단계; 및
    (d) 상기 도크 배정 단계에서 배정된 도크를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는 알림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도크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차량의 접안 여부, 도크 체류 시간,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실시간 물품 적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도크 정보 수집부에서 상기 도크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수집한 차량 컨테이너 내부의 실시간 물품 적재량을 토대로 작업 진척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a) 단계와 (b) 단계에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입문한 차량이 각 도크까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 및 대기 시간을 산출하고, 해당 차량을 상기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는 도크에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차량 정보 수집 단계는,
    차량 번호, 차량의 위치, 예상 도착 시간, 입문 시간, 해당 차량의 컨테이너 내에 적재된 물품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정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도크 정보 수집 단계는,
    도크에 접안된 차량의 번호를 더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정 방법.
  17. 삭제
KR1020180073768A 2018-06-27 2018-06-27 차량 배정 시스템 KR102063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768A KR102063933B1 (ko) 2018-06-27 2018-06-27 차량 배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768A KR102063933B1 (ko) 2018-06-27 2018-06-27 차량 배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64A KR20200001164A (ko) 2020-01-06
KR102063933B1 true KR102063933B1 (ko) 2020-01-08

Family

ID=6915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768A KR102063933B1 (ko) 2018-06-27 2018-06-27 차량 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041B1 (ko) * 2020-05-19 2020-12-29 선광훈 버스 정보를 안내하는 영상 촬영 장치, 교통 정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296425B1 (ko) 2020-09-28 2021-09-09 김대관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KR102333569B1 (ko) * 2021-04-07 2021-12-02 쿠팡 주식회사 물품 입고 정보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67597B1 (ko) * 2021-12-10 2022-11-16 주식회사 로지스밸리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5101B1 (ko) 2023-05-04 2023-10-05 김현화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617B1 (ko) * 2005-10-18 2012-06-14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
KR101707950B1 (ko) * 2015-05-26 2017-02-17 씨제이대한통운 (주) 차량 접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1961A (ko) 2007-11-20 2009-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1162A (ko) * 2015-12-15 2017-06-2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차량 도크 할당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617B1 (ko) * 2005-10-18 2012-06-14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
KR101707950B1 (ko) * 2015-05-26 2017-02-17 씨제이대한통운 (주) 차량 접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64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933B1 (ko) 차량 배정 시스템
US11443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trailers at receiving facility
US113538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guided vehicle control
US10614411B2 (en) Cross-dock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101907606B1 (ko) 도크 입출하 관리 시스템
CN112389916B (zh) 自动化仓库系统、控制方法、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CN110472915B (zh) 一种货物的运输管理方法及系统
KR102142221B1 (ko) 수출입항만 물류 효율화를 위한 자동스케줄링 및 배정과 배차관리 시스템
KR101869896B1 (ko) 물품 자동분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414895A (zh) 车辆调度系统及方法
CN110910672B (zh) 货车集货卸货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42222B1 (ko) 수출입항만 물류 효율화를 위한 운송관리방법
KR20180008359A (ko)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무인 배송 시스템
CN111815231B (zh) 一种物流平台智能拼车方法及系统
KR102401241B1 (ko) 물류 로봇 관제 시스템
US10289882B2 (en) Cargo handling system
US20200057990A1 (en) Unmanned Residential Product Delivery System
JPH10194411A (ja) 商品在庫管理装置
US20210024227A1 (en) Workload calculation system
CN115630895A (zh) 货物管理方法及装置、搬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10086234A1 (en) Integrated on-demand placarding
CA2573525A1 (en) Materials location system and selecting method of materials receiving locations
EP42791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orting parcels
CN116206395B (zh) 货运场站和在货运场站中管理车辆排队的方法
CN219392713U (zh) 货运场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