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101B1 -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 Google Patents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101B1
KR102585101B1 KR1020230058439A KR20230058439A KR102585101B1 KR 102585101 B1 KR102585101 B1 KR 102585101B1 KR 1020230058439 A KR1020230058439 A KR 1020230058439A KR 20230058439 A KR20230058439 A KR 20230058439A KR 102585101 B1 KR102585101 B1 KR 102585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
pair
frame
members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관
Original Assignee
김현화
김대관
김태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화, 김대관, 김태양 filed Critical 김현화
Priority to KR102023005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65G69/287Constructional features of deck or surround
    • B65G69/2876Safety or protection means, e.g. ski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7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rotates around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ga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택배 차량에 화물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크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 상기 한 쌍의 고정지부재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주부재; 상기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 사이에 개방된 도크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주부재에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재;를 마련하여 택배 차량에 화물의 입출고 시 도크에서 작업자가 낙하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크에 설치된 안전 난간을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켜 화물 도크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Door with safety railing on the dock for courier cargo}
본 발명은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 차량에 배송하고자 하는 택배 화물의 승하차 시 도크로부터 작업자가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있으며, 상부로 치켜 세워 개폐 가능하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누구나 쉽게 열고 닫기에 불편이 없고, 90°로 회전시켜 작업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개폐시키는 도어로 설치되는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터미널의 경우 화물차량의 입출 시 운송화물정보, 운송자 정보 등의 확인을 통해 출입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거치게 되며, 이러한 절차는 운송화물을 증빙하는 정보가 기재된 문성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화물의 입출 시 시간이 지체될 수 있다.
또한, 하차 또는 출하(상차) 처리 시에도 하차 또는 출하될 화물의 내역을 수작업으로 확인한 후 작업 가능한 도크를 배정하고 하차 또는 출하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인터넷 또는 유선방송 등을 이용하는 전자상거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서 각각의 상품들을 안전하며 신속하게 구매자에게 배달하는 문제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택배 업체들은 물품 운송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택배 물품들은 일반적으로 택배 기사가 택배 발송인으로부터 택배 물품을 건네받는 집화 과정, 집화된 택배 물품을 차량으로 운반하여 허브(Hub)터미널로 이동시키는 수송 과정, 수송 과정을 거쳐 허브터미널로 이동된 택배 물품을 일련의 과정을 거쳐 지역별로 분류하고, 지역별로 분류된 택배 물품을 각 지역의 서브(Sub)터미널로 이동시킨 후, 서브터미널에서 다시 한 번 배송 지역별로 분류하는 분류 과정, 마지막으로 택배 기사가 지역터미널에서 분류된 물품을 택배 수취인에게 전달해주는 배송 과정을 거쳐 수취인에게 배송된다.
특히, 종래에는 택배 차량이 허브터미널 또는 서브터미널에 입문하면, 터미널 입구 및 도크(Dock)에 배치된 작업자가 무전을 통해 입문하는 차량 별로 도크를 배정하고, 해당 택배 차량이 도크에 진입하면 차량 컨테이너을 열어 컨테이너 내에 실린 물품들을 지정된 도크에 하차시키거나 반대로 차량 컨테이너 내로 물품을 승차시키는 방식으로 택배 물품을 이송하였는데, 상기 방식에 따를 경우 물품의 상/하차를 위해 별도의 작업자가 각 차량별로 도크를 일일이 배정해야만 해서 차량 별 최적의 도크를 배정하거나, 배정된 도크에 차량을 접안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특허 제10-2296425호로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는 화물터미널의 도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안전난간 겸용 도어에 의해 작업자가 도크 아래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난간고정부재의 중간난간프레임이 3개로 이루어져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강성이 약하고, 작업자가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개폐 시 손잡이가 없어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개폐 동작이 힘겹게 이루어지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296425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907606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100635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0-000116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송하고자 하는 화물을 화물 차량에 승하차 시 화물차가 없을 시 부주의로 작업자가 도크 아래로 떨어지는 낙하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크의 선단에 안전 난간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도크 아래로 떨어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크에 설치된 안전난간 겸용 도어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개폐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크에 설치된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강성을 높여 작업자 및 화물 등이 접촉하게 되더라도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는 택배 차량에 화물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크(10)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상기 한 쌍의 고정지부재(110)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주부재(130); 상기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사이에 개방된 도크(10)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재(170);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가 수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19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주부재(130)는 상기 고정지주부재(110)의 지주(112)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고정플레이트(131); 상기 지주(112)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플레이트(132);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131)와 상기 상부고정플레이트(132)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프레임(133); 상기 사각프레임(1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받침플레이트(134); 상기 사각프레임(1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받침플레이트(135);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내측에 고정되는 회전프레임(136)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에는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각각 손잡이(12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중 하나에는 걸쇠(122)가 설치되며, 상기 다른 수직프레임(171)에는 상기 걸쇠(122)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걸림판(1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단에는 상기 도크(10)와 접촉 시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바닥완충구(177)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완충구(177)의 저면에는 상기 도크(10)의 바닥면으로부터 밀리지 않게 상기 도크(10)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고정핀(17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는 택배 차량에 화물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크(10)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상기 한 쌍의 고정지부재(110)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주부재(130); 상기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사이에 개방된 도크(10)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재(170);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가 수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190);를 포함하며,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는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일면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난간고정대(151);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일면 중간에 설치되는 중간난간고정대(152);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일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난간고정대(153); 상기 하부난간고정대(1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61); 상기 중간난간고정대(1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프레임(162); 상기 상부난간고정대(15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6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에는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각각 손잡이(12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중 하나에는 걸쇠(122)가 설치되며, 상기 다른 수직프레임(171)에는 상기 걸쇠(122)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걸림판(1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단에는 상기 도크(10)와 접촉 시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바닥완충구(177)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완충구(177)의 저면에는 상기 도크(10)의 바닥면으로부터 밀리지 않게 상기 도크(10)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고정핀(17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는 택배 차량에 화물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크(10)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상기 한 쌍의 고정지부재(110)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주부재(130); 상기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사이에 개방된 도크(10)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재(170);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가 수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19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71);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하부난간고정대(151)에 대응되게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난간고정대(172);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중간난간고정대(152)에 대응되게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중간난간고정대(173);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상부난간고정대(153)에 대응되게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난간고정대(174)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에는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각각 손잡이(12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중 하나에는 걸쇠(122)가 설치되며, 상기 다른 수직프레임(171)에는 상기 걸쇠(122)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걸림판(1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단에는 상기 도크(10)와 접촉 시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바닥완충구(177)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완충구(177)의 저면에는 상기 도크(10)의 바닥면으로부터 밀리지 않게 상기 도크(10)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고정핀(17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는 택배 차량에 화물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크(10)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상기 한 쌍의 고정지부재(110)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주부재(130); 상기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사이에 개방된 도크(10)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재(170);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가 수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19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재(190)는 회전프레임(136)의 상면에 고정되는 안내프레임(191); 상기 안내프레임(191)과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상부프레임(163)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193); 상기 안내프레임(191)과 상기 회전프레임(193)에 설치되는 고정볼트(195); 상기 회전프레임(193)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고정볼트(195)에 설치되는 스프링(196)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에는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각각 손잡이(12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중 하나에는 걸쇠(122)가 설치되며, 상기 다른 수직프레임(171)에는 상기 걸쇠(122)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걸림판(1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단에는 상기 도크(10)와 접촉 시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바닥완충구(177)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완충구(177)의 저면에는 상기 도크(10)의 바닥면으로부터 밀리지 않게 상기 도크(10)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고정핀(17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는 택배 차량에 화물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크(10)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상기 한 쌍의 고정지부재(110)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주부재(130); 상기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사이에 개방된 도크(10)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재(170);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가 수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19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주부재(130)는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의 상승 시 상기 난간고정부재(150)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가 원활하게 상승되게 하고, 상기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의 하강 시 상기 난간고정부재(150)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가 원활하게 하강되도록 지주(112)의 내측에 설치되는 웨이트(116); 상기 고정지주부재(110)의 내측지주(113) 상면에 설치되는 롤러(118);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상부프레임(163)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20); 상기 웨이트(116)와 상기 고정브래킷(120)에 양단이 결속되고, 상기 롤러(118)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119)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에는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각각 손잡이(12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중 하나에는 걸쇠(122)가 설치되며, 상기 다른 수직프레임(171)에는 상기 걸쇠(122)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걸림판(1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단에는 상기 도크(10)와 접촉 시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바닥완충구(177)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완충구(177)의 저면에는 상기 도크(10)의 바닥면으로부터 밀리지 않게 상기 도크(10)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고정핀(17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에 의하면, 택배 차량에 화물의 입출고 시 도크에서 작업자가 낙하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크에 설치된 안전 난간을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켜 화물 도크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에 의하면, 화물 차량에 배송하고자 하는 택배 화물의 승하차 시 도크로부터 작업자가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있으며, 상부로 치켜 세워 개폐 가능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누구나 쉽게 열고 닫기에 불편이 없고, 90°로 회전시켜 작업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개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에 의하면, 난간고정대가 4개로 이루어져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안전난간 겸용 도어가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난간고정부재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난간고정부재의 개폐를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으며, 고정핀이 끼움구멍에 결합되어 안전난간 겸용 도어가 흔들리지 않게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회전지주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회전지주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입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와이어 안내유닛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와, 상기 한 쌍의 고정지부재(110)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주부재(130)와, 상기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사이에 개방된 도크(10)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와,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재(17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는 운송하고자 하는 택배 화물의 입출고가 이루어지는 화물 도크(10)에 설치되는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과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와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대칭되게 설치되므로,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과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을 구성하는 고정지주부재(110), 회전지주부재(130), 난간고정부재(150), 수직프레임부재(170) 및 록킹부재(190)의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지주부재(110)는 도크(10)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도크(10)의 상면에는 바닥플레이트(111)가 고정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111)의 상면에는 지주(112)가 고정된다.
이들 지주(112)는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와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도크(10)에는 수직프레임부재(170)의 하단에 설치된 고정핀(178)이 끼워질 수 있게 끼움구멍(1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멍(11)에는 고정핀(178)이 끼워지고, 이에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는 지주(112)와 끼움구멍(11)에 끼워진 고정핀(178)에 의해 견고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지주부재(110)의 일면에는 도어(100, 200)에 대응되게 각각 회전지주부재(130)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회전지주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회전지주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회전지주부재(130)는 상기 고정지주부재(110)의 지주(112)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고정플레이트(131)와, 상기 지주(112)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플레이트(132)와,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131)와 상기 상부고정플레이트(132)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프레임(133)과, 상기 사각프레임(1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받침플레이트(134)와, 상기 사각프레임(1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받침플레이트(135)와,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내측에 고정되는 회전프레임(136)으로 이루어진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난간의 회전지주부재(130) 및 난간고정부재(15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회전지주부재(130)는 한 쌍의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와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안전난간(100, 200)의 지주(112)의 일면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하부고정플레이트(131)는 지주(1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고정플레이트(132)는 지주(112)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들 하부고정플레이트(131)와 상부고정플레이트(132) 사이에는 사각프레임(133)이 설치되며, 상기 사각프레임(1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저면에는 하부받침플레이트(134)가 설치되고,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상면에는 상부받침플레이트(135)가 설치된다.
즉,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131)와 사각프레임(133) 사이에는 하부받침플레이트(134)가 설치되고, 하부고정플레이트(132)와 사각프레임(133) 사이에는 상부받침플레이트(135)가 설치되어 상기 사각프레임(133)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내부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회전프레임(136)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일면에는 난간고정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는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일면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난간고정대(151)와,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일면 중간에 설치되는 중간난간고정대(152)와,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일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난간고정대(153)와, 상기 하부난간고정대(1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61)와, 상기 중간난고정대(1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프레임(162)와, 상기 상부난간고정대(15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63)을 포함한다.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일면에는 난간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부난간고정대(151), 다수의 중간난간고정대(152) 및 상부난간고정대(153)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난간고정대(151)는 사각프레임(133)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중간난간고정대(152)는 사각프레임(133)의 중간 높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난간고정대(153)는 사각프레임(133)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각 난간대(151, 152 153)는 각각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사각프레임(154)과, 상기 사각프레임(154)의 저면에 설치되는 보강리브(155)와, 상기 사각프레임(154)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난간고정대(151)의 사각프레임(154)은 중간난간고정대(152)의 사각프레임(154)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난간고정대(152)의 사각프레임(154)은 하부고정난간대(151)의 사각프레임(154)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중간난간고정대(152)의 사각프레임(154)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며, 4개의 난간고정대(151, 152, 153)의 길이는 난간고정대(151, 152, 153)를 접었을 때 서로 겹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또 상기 상부고정난간대(153)의 사각프레임(154)은 중간난간고정대(152)의 사각프레임(154)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사각프레임(154)의 저면에는 각각 보강리브(155)가 설치되고, 상기 사각프레임(154)의 저면에는 일면이 개방된 고정프레임(156)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56)의 양측에는 난간을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시킬 수 있도록 각각 회전구멍(157)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구멍(157)에는 프레임(161, 162, 163)을 회전시킬 수 있게 고정볼트(158)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난간고정대(151)에는 난간을 구성하는 하부프레임(16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2개의 중간난간고정대(152)에는 서로 다른 길이의 2개의 중간프레임(16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난간고정대(153)에는 상부프레임(16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들 프레임(161, 162, 163)의 양측에는 각각 회전구멍(164)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61, 162, 163)의 타측에는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와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가 서로 밀접하게 설치되도록 수직프레임부재(170)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7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71)과,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하부난간고정대(151)에 대응되게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난간고정대(172)와,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중간난간고정대(152)에 대응되게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2개의 중간난간고정대(173)와,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상부난간고정대(153)에 대응되게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난간고정대(174)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1)의 수직프레임(171) 일면에는 하부난간고정대(151)와 대응되는 하부난간고정대(172)가 설치되고, 중간난간고정대(152)와 대응되는 2개의 중간난간고정대(173)가 설치되며, 상부난간고정대(153)와 대응되는 상부난간고정대(174)가 설치된다.
이들 고정난간대(172, 173, 174)는 전술한 난간고정대(151, 152, 153)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각프레임(154) 및 고정프레임(156)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의 수직프레임부재(170)에는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상부탈착프레임(176)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탈착프레임(176, 도 2 참조)은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의 수직프레임부재(170)의 상면에 탈착되게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탈착프레임(176)은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의 난간고정부재(150)와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의 난간고정부재(150)를 결합시키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은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의 고정지주부재(110), 회전지주부재(130), 난간고정부재(150), 수직프레임부재(170)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의 수직프레임부재(170) 저면에는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의 수직프레임부재(170)가 탈착되게 하부탈착프레임(175)이 설치된다. 이는 상부탈착프레임(176)과 함께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의 수직프레임부재(170)와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170)의 수직프레임부재(170)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에 상기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와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는 하부탈착프레임(175) 및 상부탈착프레임(176)에 각각 결합되어 임의로 개방되지 않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난간은 난간고정부재(150)의 난간고정대(151, 152, 153)와 수직프레임부재(170)의 난간고정대(172, 173, 174)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주(112) 사이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프레임(161, 162, 163) 또는 수직프레임부재(170)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프레임(161, 162, 163)은 양측의 회전구멍(164)에 결합된 난간고정대(151, 152, 153)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난간대(172, 173, 174)는 프레임(161, 162, 163)의 회전구멍(16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프레임(161, 162, 163)은 수직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프레임(161, 162, 163)에 결합된 수직프레임부재(170)는 프레임(161, 162, 163)의 상부에 수평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회전프레임(136)의 상단에는 프레임(163)을 고정시키는 록킹부재(19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가 수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190)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190)는 회전프레임(136)의 상면에 고정되는 안내프레임(191)과, 상기 안내프레임(191)과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상부프레임(163)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193)과, 상기 안내프레임(191)과 상기 회전프레임(193)에 설치되는 고정볼트(195)와, 상기 회전프레임(193)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고정볼트(195)에 설치되는 스프링(196)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190)의 안내프레임(191)은 회전프레임(136)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프레임(191)의 일측에는 상부프레임(163)이 자연스럽게 인입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진 안내경사면(192)이 형성된다.
또 상기 안내프레임(191)의 상면에는 회전프레임(19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프레임(193)에는 상부프레임(163)이 이탈되지 않게 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돌기(194)가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안내프레임(191)과 회전프레임(193)의 일측에는 고정볼트(195)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트(195)에는 회전프레임(193)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을 갖는 스프링(196)이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190)는 프레임(161, 162, 163) 및 수직프레임부재(170)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63)은 안내프레임(191)의 안내경사면(192)을 따라 회전되어 회전프레임(193)의 록킹돌기(194) 내측으로 이동되어 록킹된다.
이때 상기 회전프레임(193)은 상부프레임(163)이 끼워질 때 외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프레임(193)은 상부프레임(163)이 끼워진 다음 스프링(196)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61, 162, 163)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도크(10)의 내측으로 회전된다. 즉, 택배 차량에 화물을 싣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하기 위하여 난간고정부재(150) 및 수직프레임부재(17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와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를 회전시킴으로써 도크(10)에 밀착된 택배 차량에 화물을 편리하게 승하차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상기 지주(112)는 난간고정부재(15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주(112)는 내측지주(113)와 외측지주(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지주(113)는 외측지주(114)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단면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지주(114)는 화물용 도크에 기 설치된 기둥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외측지주(114)는 화물용 도크를 지지하는 기둥이며, 상기 내측지주(113)는 기둥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측지주(113)의 하부에는 웨이트(116)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방구(115)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구(115)는 웨이트(116)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웨이트(116)의 중량을 필요에 따라 가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지주(113)의 내측에는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를 보다 편리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웨이트(116)가 설치된다.
상기 내측지주(113)의 상면에는 단면상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롤러브래킷(117)이 설치되고, 상기 롤러브래킷(117)에는 롤러(11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웨이트(116)와 상부프레임(163)에는 와이어(119)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119)의 일단은 웨이트(116)에 결속되고, 상기 와이어(119)의 타단은 고정브래킷(120)에 결속된다.
상기 고정브래킷(120)은 상부프레임(163)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래킷(120)에는 와이어(119)가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의 저면에는 바닥완충구(177)가 설치된다. 상기 바닥완충구(177)는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이 지면에 닿을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일면에는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가 도크(10)의 외측으로 회전 및 개방되지 않도록 회전방지앵글(137)이 설치된다.
즉,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일면에는 안전난간(100, 200)이 도크(10)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개방되지 않게 회전방지앵글(137)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방지앵글(137)은 사각프레임(13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전면에는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를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 손잡이(121)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121)는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와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121)는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설치되거나 중간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전면에는 2개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를 록킹 상태로 유지시키는 걸쇠(122)가 설치되고, 상기 걸쇠(122)에 록킹 및 해제되는 걸림판(1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닥완충구(177)의 저면에는 도크(10)에 형성된 끼움구멍(11)에 결합되는 고정핀(178)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178)은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를 도크(10)에 안전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와이어 안내유닛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8은 지주(112)에 설치되어 웨이트(116)의 승강을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유닛(124)을 도시한 것으로, 도 18(a)는 지주(112)에 와이어 안내유닛(124)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8(b)는 와이어 안내유닛(124)의 분해 입체도이다.
상기 지주(112)에는 와이어 안내유닛(124)을 설치할 수 있는 볼트구멍(112a)이 형성되고, 볼트구멍(112a)은 와이어 안내유닛(124)을 원하는 높이에 설치할 수 있게 일정 높이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구멍(112a)에는 고정브래킷(125)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래킷(125)에는 와이어브래킷(12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회전구멍(126)이 형성되고, 고정브래킷(125)이 지주(112)에 설치될 수 있게 고정구멍(127)이 형성된다.
또 상기 와이어브래킷(178)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브래킷(128)에는 회전구멍(126)에 대응되는 관통구멍(128a)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브래킷(128)에는 와이어(119)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회전 가능한 아이들롤러(129)가 설치된다.
즉, 상기 와이어(119)는 아이들롤러(129)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119)는 난간고정부재(150)의 승강 시 웨이트(119)를 하강시키며, 난간고정부재(150)의 하강 시 웨이트(119)를 상승시킬 수 있게 아이들롤러(129)를 따라 슬라이딩 된다.
작업자는 화물차량의 컨테이너(미도시)에 화물을 승하차 하기 위하여 지주(112)와 지주(122) 사이에 설치된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안전난간 겸용 도어의 개방은 난간고정부재(150) 또는 손잡이(121)를 잡고서 상승시킴에 따라 회전구멍(164)을 중심으로 프레임(161, 162, 163) 및 수직프레임부재(170)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내측지주(113)의 내측에는 웨이트(11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웨이트(116)는 중량에 의해 하강되면서 난간고정부재(15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승된 난간고정부재(150)의 상부프레임(163)은 록킹부재(190)의 록킹돌기(194)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와 같이 난간고정부재(150)가 회전되면서 상승되어 도크(10)의 지주(112)와 지주(112) 사이를 개방시키게 된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난간고정부재(150)는 회전지주부재(130)를 중심으로 도크(10)의 내측, 작업장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안전난간 겸용 도어를 회전시켜 개방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사각프레임(133)에는 회전방지앵글(13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는 도크(10)의 외측, 화물차량이 주차된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된다. 이에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는 작업장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며, 상승 회전된 난간고정부재(150)는 화물차량의 컨테이너와 지주(112) 사이를 폐쇄시킨다.
즉, 화물차량의 컨테이너(미도시)와 지주(112) 사이에는 소정의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난간고정부재(150)가 컨테이너와 지주(112) 사이를 폐쇄시켜 작업자의 추락 등에 따른 낙하사고 등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화물의 승하차 작업이 완료된 다음에는 록킹부재(190)에 록킹되어 있는 난간고정부재(150)를 빼내어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 및 난간고정부재(150)의 중량에 의해 웨이트(116)가 상승된다. 이에 따라 수직프레임부재(170)는 웨이트(116)의 중량에 의해 서서히 하강된다.
또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의 저면에는 바닥완충구(17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직프레임부재(170)이 작업장의 바닥면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소음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바닥완충구(177)의 저면으로 돌출된 고정핀(178)은 도크(10)의 끼움구멍(11)에 끼워진 상태로 폐쇄되므로,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가 흔들리지 않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난간 겸용 도어는 화물용 도크에 설치되어 택배차량의 컨테이너에 화물의 승하차 시 작업자가 도크(10)의 하부로 떨어지는 낙하사고를 방지하는 안전난간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도크(10)를 개방시키는 도어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화물용 도크의 지주(112) 사이에는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와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200)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 설치되므로 안전난간 역할을 하게 되며, 도크(10)를 개폐시키는 도어 역할을 하게 된다.
또 화물용 도크(10)에 설치되는 지주는 화물차량의 컨테이너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안전난간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개방된다. 이때 화물차량의 컨테이너와 지주(112) 사이에는 소정의 폭만큼 개방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 안전난간(100, 200)이 화물차량의 컨테이너와 지주(112) 사이를 막아주게 되는 도어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도크
100: 제1 안전난간 겸용 도어 200: 제2 안전난간 겸용 도어
110: 고정지주부재 111: 바닥플레이트
112: 지주 113: 내측지주
114: 외측지주 115: 개방구
116: 웨이트 117: 롤러브래킷
118: 롤러 119: 와이어
120: 고정브래킷 121: 손잡이
122: 걸쇠 123: 걸림판
124: 와이어 안내유닛 125: 고정브래킷
126: 회전구멍 127: 고정구멍
128: 와이어브래킷 128a: 관통구멍
129: 아이들롤러
130: 회전지주부재 131: 하부고정플레이트
132: 상부고정플레이트 133: 사각프레임
134: 하부받침플레이트 135: 상부받침플레이트
136: 회전프레임 137: 회전방지앵글
150: 난간고정부재 151: 하부난간고정대
152: 중간난간고정대 153: 상부난간고정대
154: 사각프레임 155: 보강리브
156: 고정프레임 157: 회전구멍
158: 고정볼트
161: 하부프레임 162: 중간프레임
163: 상부프레임 164: 회전구멍
170: 수직프레임부재 171: 수직프레임
172: 하부난간고정대 173: 중간난간고정대
174: 상부난간고정대 175: 하부탈착프레임
176: 상부탈착프레임 177: 바닥완충구
178: 고정핀
190: 록킹부재 191: 안내프레임
192: 안내경사면 193: 회전프레임
194: 록킹돌기 195: 고정볼트
196: 스프링

Claims (5)

  1. 택배 차량에 화물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크(10)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상기 한 쌍의 고정지부재(110)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주부재(130);
    상기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사이에 개방된 도크(10)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재(170);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가 수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19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주부재(130)는 상기 고정지주부재(110)의 지주(112)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고정플레이트(131); 상기 지주(112)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플레이트(132);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131)와 상기 상부고정플레이트(132)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프레임(133); 상기 사각프레임(1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받침플레이트(134); 상기 사각프레임(1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받침플레이트(135); 상기 사각프레임(133)의 내측에 고정되는 회전프레임(136)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에는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각각 손잡이(12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중 하나에는 걸쇠(122)가 설치되며, 상기 다른 수직프레임(171)에는 상기 걸쇠(122)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걸림판(1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단에는 상기 도크(10)와 접촉 시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바닥완충구(177)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완충구(177)의 저면에는 상기 도크(10)의 바닥면으로부터 밀리지 않게 상기 도크(10)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고정핀(17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2. 택배 차량에 화물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크(10)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상기 한 쌍의 고정지부재(110)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주부재(130);
    상기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사이에 개방된 도크(10)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재(170);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가 수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190);를 포함하며,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는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일면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난간고정대(151);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일면 중간에 설치되는 중간난간고정대(152);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일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난간고정대(153); 상기 하부난간고정대(1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61); 상기 중간난간고정대(1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프레임(162); 상기 상부난간고정대(15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6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에는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각각 손잡이(12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중 하나에는 걸쇠(122)가 설치되며, 상기 다른 수직프레임(171)에는 상기 걸쇠(122)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걸림판(1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단에는 상기 도크(10)와 접촉 시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바닥완충구(177)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완충구(177)의 저면에는 상기 도크(10)의 바닥면으로부터 밀리지 않게 상기 도크(10)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고정핀(17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3. 택배 차량에 화물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크(10)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상기 한 쌍의 고정지부재(110)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주부재(130);
    상기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사이에 개방된 도크(10)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재(170);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가 수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19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71);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하부난간고정대(151)에 대응되게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난간고정대(172);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중간난간고정대(152)에 대응되게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중간난간고정대(173);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상부난간고정대(153)에 대응되게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난간고정대(174)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에는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각각 손잡이(12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중 하나에는 걸쇠(122)가 설치되며, 상기 다른 수직프레임(171)에는 상기 걸쇠(122)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걸림판(1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단에는 상기 도크(10)와 접촉 시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바닥완충구(177)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완충구(177)의 저면에는 상기 도크(10)의 바닥면으로부터 밀리지 않게 상기 도크(10)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고정핀(17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4. 택배 차량에 화물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크(10)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상기 한 쌍의 고정지부재(110)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주부재(130);
    상기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사이에 개방된 도크(10)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재(170);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가 수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19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재(190)는 회전프레임(136)의 상면에 고정되는 안내프레임(191); 상기 안내프레임(191)과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상부프레임(163)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193); 상기 안내프레임(191)과 상기 회전프레임(193)에 설치되는 고정볼트(195); 상기 회전프레임(193)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고정볼트(195)에 설치되는 스프링(196)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에는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각각 손잡이(12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중 하나에는 걸쇠(122)가 설치되며, 상기 다른 수직프레임(171)에는 상기 걸쇠(122)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걸림판(1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단에는 상기 도크(10)와 접촉 시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바닥완충구(177)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완충구(177)의 저면에는 상기 도크(10)의 바닥면으로부터 밀리지 않게 상기 도크(10)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고정핀(17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5. 택배 차량에 화물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크(10)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상기 한 쌍의 고정지부재(110)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주부재(130);
    상기 한 쌍의 고정지주부재(110) 사이에 개방된 도크(10)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재(170);
    상기 회전지주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난간고정부재(150)가 수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난간고정부재(150)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19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주부재(130)는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의 상승 시 상기 난간고정부재(150)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가 원활하게 상승되게 하고, 상기 안전난간 겸용 도어(100, 200)의 하강 시 상기 난간고정부재(150)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가 원활하게 하강되도록 지주(112)의 내측에 설치되는 웨이트(116); 상기 고정지주부재(110)의 내측지주(113) 상면에 설치되는 롤러(118);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상부프레임(163)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20); 상기 웨이트(116)와 상기 고정브래킷(120)에 양단이 결속되고, 상기 롤러(118)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119)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70)에는 상기 난간고정부재(15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수직프레임(171)의 상부에 각각 손잡이(12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중 하나에는 걸쇠(122)가 설치되며, 상기 다른 수직프레임(171)에는 상기 걸쇠(122)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걸림판(1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71)의 하단에는 상기 도크(10)와 접촉 시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바닥완충구(177)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완충구(177)의 저면에는 상기 도크(10)의 바닥면으로부터 밀리지 않게 상기 도크(10)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고정핀(17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KR1020230058439A 2023-05-04 2023-05-04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KR102585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439A KR102585101B1 (ko) 2023-05-04 2023-05-04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439A KR102585101B1 (ko) 2023-05-04 2023-05-04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101B1 true KR102585101B1 (ko) 2023-10-05

Family

ID=8829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439A KR102585101B1 (ko) 2023-05-04 2023-05-04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10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054Y1 (ko) * 2005-12-01 2006-03-03 한라산업(주) 방화문
KR20120008001U (ko) * 2011-05-16 2012-11-26 (주)신일산업 상하로 개폐되는 안전도어가 설치된 비계
KR101907606B1 (ko) 2017-08-22 2018-10-12 화이트윙시스템(주) 도크 입출하 관리 시스템
KR20190100635A (ko) 2018-02-21 2019-08-29 정효은 택배화물 분류시스템
KR20200001164A (ko) 2018-06-27 2020-01-06 씨제이대한통운 (주) 차량 배정 시스템
KR102296425B1 (ko) 2020-09-28 2021-09-09 김대관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KR20210121712A (ko) * 2020-03-31 2021-10-08 (주)다정하이테크 트랩형 노면 경전철 도로용 안전 난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054Y1 (ko) * 2005-12-01 2006-03-03 한라산업(주) 방화문
KR20120008001U (ko) * 2011-05-16 2012-11-26 (주)신일산업 상하로 개폐되는 안전도어가 설치된 비계
KR101907606B1 (ko) 2017-08-22 2018-10-12 화이트윙시스템(주) 도크 입출하 관리 시스템
KR20190100635A (ko) 2018-02-21 2019-08-29 정효은 택배화물 분류시스템
KR20200001164A (ko) 2018-06-27 2020-01-06 씨제이대한통운 (주) 차량 배정 시스템
KR20210121712A (ko) * 2020-03-31 2021-10-08 (주)다정하이테크 트랩형 노면 경전철 도로용 안전 난간
KR102296425B1 (ko) 2020-09-28 2021-09-09 김대관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9882B2 (en) Cement industry gangway
US6824338B2 (en) Air transport modular container system
US9487148B2 (en) Cargo truck multi-stage extendable personnel platform with foldable guardrail
US11618488B2 (en) Foldabl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same
US20020005150A1 (en) Airlift pallet for container roll-in/out platform (CROP)
US4116135A (en) Sliding screen closure for rail cars
CN110198899B (zh) 可折叠的联运集装箱
JP2012530016A (ja) 輸送システム
KR102296425B1 (ko)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US7168119B1 (en) Aircraft passenger boarding bridge having a chute for transport of baggage between boarding bridge and ground level
CN109153541B (zh) 用于在建筑物中运输物体的运输装置和容器
US20120006618A1 (en) Cement industry gangway and safety cage
KR102585101B1 (ko)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US20220266976A1 (en) Aircraft security doo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door handling
US20070258784A1 (en) Air cargo container extension unit
CN107672956A (zh) 双层可折叠的框架箱
KR101033457B1 (ko) 접이식 경사로 용 판이 구비된 운반 대차
KR200444904Y1 (ko)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KR102371025B1 (ko) 개폐형 안전펜스
CN211944686U (zh) 一种集装箱
KR20070122117A (ko)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US7128355B1 (en) Side access truck rack and system
JPH0924838A (ja) 薄形矩形物等搬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362348B1 (ko) 화물차용 계단 조립체의 구조
US6629581B2 (en) Maintenance cart for aircraft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