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036A -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간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방법,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간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방법,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036A
KR20070042036A KR20050097790A KR20050097790A KR20070042036A KR 20070042036 A KR20070042036 A KR 20070042036A KR 20050097790 A KR20050097790 A KR 20050097790A KR 20050097790 A KR20050097790 A KR 20050097790A KR 20070042036 A KR20070042036 A KR 20070042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real
situ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9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8628B1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7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62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6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의 상황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여 가입자가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황정보 공개를 희망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황정보 공개를 희망하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지정된 조건에 따라 전송된 상황정보를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저장하고 갱신하기 위한 상황정보 갱신부 및 이동통신 단말이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대상 이동통신 단말 번호에 따라 저장된 상황정보를 추출하여, 상황정보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상황정보 검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에서 희망하는 상대 단말의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통화 시도 전 상대방의 현재 상황에 따라 통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통화 완료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황정보, SVD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간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Information about Real-time Circumstance Between Subscriber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110 : 제어부
120 : 인터페이스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가입자 관리부 150 : 상황정보 갱신부
160 : 상황정보 검출부 170 : 위치비교 및 메시지 생성부
30 : 이동통신 단말 370 : 상황정보 관리부
3710 : 정보 수집 모듈 3720 : 데이터 변환 모듈
3730 : 상황정보 업로드 모듈 3740 : 상황정보 다운로드 모듈
3750 : 단말 모드 감시 모듈 3760 : 위치 추적 모듈
3770 : 단말 성능정보 제공 모듈 3780 : 이력 관리 모듈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의 상황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여 가입자가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단말간의 통화 서비스는 단방향 서비스로 제공된다. 즉, 발신자가 호를 시도할 때 착신 단말의 상황을 전혀 알 수 없으며, 호가 시도되고 난 후, 교환기 등에서 착신 단말의 상황을 확인하여 통화중 여부, 전원 오프 여부 등을 알 수 있으며, 통화 가능 상테인 경우 발신 및 착신 단말 간에 호가 접속되도록 하고, 통화 불가능 상태인 경우 각각의 상황에 해당하는 안내멘트를 발신 단말로 송출하여 호가 해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현재는 착신 단말이 통화중인 경우 또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에도 발신측에서 무조건 호를 시도하기 때문에, 호 시도 후 통화 불완료가 확인되는 시점까지 발생하는 불필요한 통화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착신자가 회의 등과 같은 상황으로 착신에 응답할 수 없어 자신의 이 동통신 단말의 모드로 전환해 둔 경우에도, 발신측은 일단 호를 시도하여야만 착신측의 상황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이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조건에 따라 업로드하면 이를 저장하여 두고, 상황정보를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로 대상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희망하는 상대 단말의 상황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타 이동통신 단말로 자신의 상황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정된 조건에 따라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하거나,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정된 조건에 따라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전송받아 반영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황정보 공개를 희망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기 상황정보 공개를 희망하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지정된 조건에 따라 전송된 상황정보를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저장하고 갱신하기 위한 상황정보 갱신부; 및 이동통신 단말이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대상 이동통신 단말 번호에 따라 저장된 상황정보를 추출하 여, 상황정보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상황정보 검출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은 단말의 모드 변화를 확인하는 단말 모드 감시 모듈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모듈; 상기 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정보를 무선 전송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모듈; 및 상기 데이터 변환 모듈에서 포맷 변환된 상황정보를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상황정보 업로드 모듈;을 포함하는 상황정보 관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방법은 상황정보 공개를 허용한 제 1 이동통신 단말이 상황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포맷을 변환한 후, 상기 상황정보를 지정된 전송 조건에 따라 전송 시간 정보와 함께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상황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상황정보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상기 상황정보 및 상기 상황정보 전송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제 2 이동통신 단말이 타 이동통신 단말 상황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이 요청한 대상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추출된 상황정보를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갱신 시간을 비교한 후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 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은 SVD(Simultaneous Voice and Data) 기능을 구비하는 망으로서, SVD는 음성과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황정보를 업로드하는 이동통신 단말(30)과 상황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이동통신 단말(32)로 나누어 설명할 것이며,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이 상황정보 업로드 및 다운로드 기능을 모두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30, 32)과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30)로부터 상황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받아 저장하고, 이동통신 단말(32)이 타 이동통신 단말(30)의 상황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대상 이동통신 단말(30)의 상황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이동통신 단말(30)은 지정된 시간마다, 그리고 이벤트(통화 개시,모드 전환, 전원 오프 등)가 발생할 때마다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 상황정보를 전송하여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32) 또한 지정된 주기로 상황정보를 요청하거나 특정 이벤트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가 입력된 경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망(20)은 이동통신 단말(30, 32)과 무선구간 통신을 수행하고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기지국(BTS, 210), 복수의 기지국 을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SC, 220), 이동통신 단말(30, 32)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MSC, 230), 이동통신 단말(30, 32)의 위치 정보, 부가 서비스 이용 상태 등을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 등록기(HLR, 240), 데이터 코어망(DCN, 260)과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30, 32)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자신의 상황정보 공개를 희망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30)로부터 상황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한편, 이동통신 단말(32)이 타 이동통신 단말(30)의 상황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대상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상황정보 공개를 희망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상황정보 공개를 희망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상 이동통신 단말(30)의 상황정보를 검색하여 이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32)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황정보는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 정보(대기 모드, 통화 모드, 데이터 서비스 이용 모드, 회의중 전환 모드 등)뿐 아니라 위치정보, 단말 성능 정보(화상통화 가능 여부 등), 통화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황정보에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은 GPS 수신기를 구비하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 이동통신망(20) 등의 통신망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20), 데이터베이스(130), 상황정보 공개를 희망하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 번호 등과 같은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및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140),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황정보를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상황정보가 전송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를 갱신하기 위한 상황정보 갱신부(150) 및 이동통신 단말이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대상 이동통신 단말 번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를 조회하여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상황정보 검출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이에 더하여 위치 비교 및 메시지 생성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위치 비교 및 메시지 생성부(170)는 상황정보를 제공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와 상황정보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가 근접해 있는 경우 두 이동통신 단말로 위치가 근접해 있음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이 상황정보를 요청할 때 자신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은 GPS 수신기와 같은 장치에 의해 위치 측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도로서, 이동통신 단말이 상황정보 업로드 및 다운로드 기능을 모두 구비한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은 무선 통신을 위한 일반적인 구성부(듀플렉서(310), 무선 송수신부(320), 주파수 변환부(330), 모뎀칩(340), 메모리(350) 및 입출력 구동부(360)) 외에 상황정보 관리부(370)를 더 포함한다.
상황정보 관리부(370)는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모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 수집 모듈(3710), 정보 수집 모듈(3710)에서 수집한 정보를 무선 전송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한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이동통신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모듈(3720), 데이터 변환 모듈(3720)에서 지정된 조건에 따라 포맷 변환된 상황정보를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 전송하기 위한 상황정보 업로드 모듈(3730) 및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부터 전송되어 데이터 변환 모듈(3720)에서 포맷 변환된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황정보 다운로드 모듈(3740)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데이터 변환 모듈(3720)은 정보 수집 모듈(3710)에서 수집한 상황정보를 TCP/IP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맷 변환된 데이터는 푸쉬(Push) 또는 풀(Pull) 방식에 의해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상황정보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로 대상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TCP/IP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전송하며, 푸쉬/풀 방식 또는 데이터 페이징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정보 수집 모듈(3710)은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대기 모드, 통화 모드, 데이터 서비스 이용 모드, 회의중 전환 모드 등)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한 단말 모드 감시 모듈(3750)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 정보를 수집한다.
이에 더하여, 이동통신 단말은 GPS 수신기 및 위치 측정 기능에 의해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추적 모듈(3760), 단말의 성능 정보(화상 통화 가능 여부, 통화 가능 지역 등)를 확인하는 단말 성능정보 제공 모듈(3770) 및 통화 대상 별 통화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이력 관리 모듈(37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정보 수집 모듈(3710)은 위치 추적 모듈(3760), 단말 성능 정보 제공 모듈(3770) 및 이력 관리 모듈(37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다양한 상황정보를 수집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은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부터 전송받아 상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주소록에 기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 리스트를 지정된 조건에 따라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 전송하여 상황정보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수신된 단말 번호 리스트를 확인하여 상황정보 공개를 희망한 사용자의 상황정보만을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 업로드 및 다운로드는 지정된 시간 주기로, 또는 이동통신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수행할 수 있다.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한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는 이동통신 단말의 주소록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주소록의 타 이동통신 단말 식별정보와 함께 특정 아이콘 또는 문자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11-123-4567이라는 식별정보 옆에 '통화중' 또는 통화중임을 인지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해당 식별정보를 클릭하는 경우 대상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나타내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상대방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대상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 정보 외에 위치정보, 단말 성능정보, 이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제공하는 경우에도 식별정보와 병기하여, 또는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대상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은 상황정보를 업로드하기 위하여 단말 모드 감시 모듈(3750)과 연동하는 정보 수집 모듈(3710), 데이터 변환 모듈(3720), 상황정보 업로드 모듈(3730)을 구비하고, 상황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하여 데이터 변환 모듈(3720) 및 상황정보 다운로드 모듈(3740)을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상술한 도 2 및 도 3을 재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 간에 상황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은 자신의 상황정보 공개를 허용함을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에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황정보 공개를 허용한 제 1 이동통신 단말의 정보 수집 모듈(3710)은 단말모드 감시 모듈(3750)과 연동하여 자신의 현재 모드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저장하며(S10), 더 나아가서는 위치 추적 모듈(3760), 단말 성능정보 제공 모듈(3770) 및 이력 관리 모듈(3780)과 연동하여 현재 위치 정보,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 이동통신 단말별 통화 이력 등을 수집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이동통신 단말은 수집 및 포맷 변환된 상황정보의 갱신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하여(S20), 갱신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수집된 상황정보를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상황정보의 갱신은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만족될 때마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수행할 수 있다.
제 1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황정보를 수신한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의 상황정보 갱신부(150)는 상황정보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상황정보를 저장하며, 이때 상황정보를 전송한 시간을 함께 저장하여 상황정보의 선후 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40).
이와 같이, 제 1 이동통신 단말과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이 연동하여 상황정보를 갱신하고 있는 상황에서,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요청하는 제 2 이동통신 단말이 타 이동통신 단말(자신의 주소록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 리스트를 전송하여 변경된 상황정보를 요청하면(S50),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의 상황정보 검출부(160)는 데이터베이스(130)를 조회하여 제 2 이동통신 단말이 요청한 대상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S60), 이를 제 2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다(S70).
여기에서, 제 2 이동통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상황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제 2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대상 이동통신 단말 번호 중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추출하여 제 2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동통신 단말은 지정된 조건에 따라 상황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또는 제 2 이동통신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요청 할 수 있다.
단계 S70에서 희망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수신한 제 2 이동통신 단말은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한 각 대상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 갱신 시간과, 제 2 이동통신 단말에 기 저장되어 있는 각 대상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 갱신 시간을 비교하고(S80),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한 상황정보가 최신의 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황정보를 갱신한다(S90).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2 이동통신 단말은 제 1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제 1 이동통신 단말로 호를 시도하기 전 제 1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을 확인하여, 제 1 이동통신 단말이 예를 들어 통화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통화를 시도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제 2 이동통신 단말로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70) 이후, 위치 비교 및 메시지 생성부(170)에서 제 2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와 제 2 이동통신 단말이 상황정보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두 이동통신 단말이 지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경우, 두 단말이 근접해 있음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제 1 또는 제 2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이동통신 단말이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 상황정보를 전송할 때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여야 하고, 제 2 이동통신 단말이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 상 황정보를 요청할 때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에서 희망하는 상대 단말의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통화 시도 전 상대방의 현재 상황에 따라 통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통화 완료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근접해 있는 두 이동통신 단말로 근거리에 위치함을 통보하여 통화를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망 사업자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Claims (17)

  1. SVD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황정보 공개를 희망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기 상황정보 공개를 희망하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지정된 조건에 따라 전송된 상황정보를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저장하고 갱신하기 위한 상황정보 갱신부; 및
    이동통신 단말이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대상 이동통신 단말 번호에 따라 저장된 상황정보를 추출하여, 상황정보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상황정보 검출부;
    를 포함하는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황정보 공개를 희망하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가 전송되고, 상황정보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위치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상황정보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과 대상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상황정보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과 대상 이동통신 단말이 지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황정보를 요청 한 이동통신 단말 또는 대상 이동통신 단말로 근접한 위치에 존재함을 통보하기 위한 위치 비교 및 메시지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는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는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 성능 정보, 통화 이력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5. SVD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과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로서,
    단말의 모드 변화를 확인하는 단말 모드 감시 모듈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모듈;
    상기 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정보를 무선 전송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모듈; 및
    상기 데이터 변환 모듈에서 포맷 변환된 상황정보를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상황정보 업로드 모듈;을 포함하는 상황정보 관리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추적 모듈, 단말의 성능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 성능정보 제공 모듈 및 통화 대상별 통화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이력 관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정보 수집 모듈은 상기 위치 추적 모듈, 단말 성능 정보 제공 모듈 및 이력 관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 모듈은 상기 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상황정보를 TCP/IP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 업로드 모듈은 상기 포맷 변환된 상황정보를 푸쉬 또는 풀 방식에 의해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 업로드 모듈은 지정된 시간 주기로 또는 이동통신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포맷 변환된 상황정보를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10.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 모듈은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이동통신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상황정보 관리부는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데이터 변환 모듈에서 포맷 변환된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황정보 다운로드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 다운로드 모듈은 지정된 시간 주기로 또는 이동통신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황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12. SVD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상황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황정보 공개를 허용한 제 1 이동통신 단말이 상황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포맷을 변환한 후, 상기 상황정보를 지정된 전송 조건에 따라 전송 시간 정보와 함께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상황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상황정보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상기 상황정보 및 상기 상황정보 전송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제 2 이동통신 단말이 타 이동통신 단말 상황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이 요청한 대상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추출된 상황정보를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갱신 시간을 비교한 후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는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는 위치정보, 단말 성능 정보, 통화 이력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전송 조건에 따라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설정된 시간 주기가 만족하는 경우 또는, 이동통신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은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또는 제 2 이동통신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상황정보를 요청할 때 위치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로 타 이동통신 단말의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이 상황정보를 요청한 대상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제 2 이동통신 단말과 대상 이동통신 단말이 지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 2 이동통신 단말 또는 대상 이동통신 단말로 근접한 위치에 존재함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방법.
KR1020050097790A 2005-10-17 2005-10-17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간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방법,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0728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790A KR100728628B1 (ko) 2005-10-17 2005-10-17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간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방법,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790A KR100728628B1 (ko) 2005-10-17 2005-10-17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간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방법,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036A true KR20070042036A (ko) 2007-04-20
KR100728628B1 KR100728628B1 (ko) 2007-06-14

Family

ID=3817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790A KR100728628B1 (ko) 2005-10-17 2005-10-17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간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방법,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6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31Y1 (ko) * 2011-12-12 2012-04-04 주식회사 프로이천 필름을 이용하여 테스트하는 프로브카드
KR101324933B1 (ko) * 2012-07-06 2013-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824B1 (ko) * 2000-05-17 2002-1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일 위치 정보 통지 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31Y1 (ko) * 2011-12-12 2012-04-04 주식회사 프로이천 필름을 이용하여 테스트하는 프로브카드
KR101324933B1 (ko) * 2012-07-06 2013-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628B1 (ko)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876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pdated mobile station location estimates to emergency services providers
WO20071113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dle mode service
CN101521875A (zh) 终端功能管理服务器、通信系统以及通信方法
JP2001127803A (ja) 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ゲートウェイサーバ装置、位置情報算出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記録媒体
US20040174981A1 (en) Interactive system, interaction control method, and interaction control program
US20030074412A1 (en)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for the same
EP1769649A1 (en) Automatic position registering method in a mobile phone
KR100728628B1 (ko)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간 실시간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방법,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20010086611A (ko) 이동 콜택시 서비스 방법
JP2002176676A (ja) 情報端末、情報取得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情報取得方法
KR20050077431A (ko) Ptt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
KR100667327B1 (ko) Ussd를 이용한 고객 응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90082733A (ko) 메시지를 기반으로 분실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
EP2372992A1 (en) Incoming message control server and incoming message control method
KR100411136B1 (ko) 발신자 id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5381B1 (ko)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3829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상태 표시방법
KR100802876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목적지 최단거리정보 제공방법
KR100718454B1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KR100601869B1 (ko) 무선 근거리 ap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KR100957636B1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3283640A (ja) 携帯電話端末装置、発信者名称確認プログラム、および電話番号検索システム
KR100687724B1 (ko)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티켓예매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621333B1 (ko) 호 단절 감지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625662B1 (ko)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