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454B1 -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454B1
KR100718454B1 KR1020050099265A KR20050099265A KR100718454B1 KR 100718454 B1 KR100718454 B1 KR 100718454B1 KR 1020050099265 A KR1020050099265 A KR 1020050099265A KR 20050099265 A KR20050099265 A KR 20050099265A KR 100718454 B1 KR100718454 B1 KR 100718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cell
c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235A (ko
Inventor
박종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454B1/ko
Publication of KR2007004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착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발신 단말에서 통지받기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착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발신 단말로 통지하기 위해 발신 교환기, 착신 교환기, 홈위치 등록기(HLR) 및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신 교환기는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위치한 중계기에 대한 셀(Cell)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착신 단말과의 페이징을 수행하는 페이징 제어부와; 상기 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통화로 설정을 위한 스위칭부와; 상기 셀 정보에 대응하는 셀 코드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셀 코드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기 설정된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셀 판독부와; 상기 셀 정보를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로 저장 관리하기 위한 VLR 업데이트 부; 및 상기 지리정보를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신자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의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고,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화된 위치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발신 단말로 제공하도록 함에 따라, 무선 인터넷의 데이터 호를 사용하지 않고 발신자의 위치를 통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시스템 망을 이용하여 착신자의 위치정보 제공이 가능함에 따라, 시스템 구현상의 설비비용이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착신 단말, 위치정보, 문자정보, 방문자 위치등록기, 홈위치 등록기

Description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SYSTEM FOR DISTPLAYING CALLED PARTY LOCATION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착신 교환기에 대한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발신 단말 103 : 발신 교환기
105 : 착신 교환기 107 : 홈위치 등록기(HLR)
109 : 착신 단말 111 : 메시지 서버
201 : 스위칭부 203 : 페이징 제어부
205 : VLR 업데이트 부 207 : 셀 판독부
209 : 메시지 전송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기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 게는 착신단말과 발신단말과의 통화시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발신단말로 실시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 수의 증가에 따라, 클라이언트(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중심으로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이하, LBS 라 함)가 이동통신장비 업체, 데이터베이스 및 응용 소프트웨어 제조업체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LBS는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는 응용 시스템 및 서비스로 정의될 수 있다. LBS는 기지국 단위로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GPS를 도입해 이용자의 위치를 더욱 세밀하게 파악해 그 위치에 맞는 각종 정보, 지도, 엔터테인먼트 등을 제공하는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LBS를 이용하여 위치 확인 및 추적, 긴급 구조, 사고 대응, 교통정보, 관광 가이드, 현장 티케팅 및 쇼핑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 등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구현되고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을 살펴보면 먼저, 이동중의 위치 정보를 무선망 사업자 서버로 송신하고 무선망 사업자 서버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한 다수의 이동국과 무선망 사업자 서버에 의해 접속되고, 무선망 사업자 서버를 통해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된다.
그리고,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무선망 사업자 서버를 통해 수신된 이동국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이동국 위치정보 관리수단과; 이동국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서비스 요구 사항을 무선망 사업자 서버를 통해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위치정보 관리수단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인접한 하나 또는 다수의 이동국을 추출하기 위한 최단거리 이동국 선택 수단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요구 사항,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위치기반 고객연결 서비스 시스템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고객 연결정보를 생성하고, 무선망 사업자 서버를 통하여 추출된 하나 또는 다수의 이동국으로 고객 연결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고객 연결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점포, 택시 등과 같은 이동 서비스 제공자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를 고객센터 없이 직접 연결하여 줌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이동국에 별도의 제어장치(위치정보 송수신 장치 등)를 탑재하지 않고도 통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 이동국과 서비스를 요청하는 고객을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서비스 요청자와 최단거리에 있는 이동국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위치기반 고객연결 서비스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술된 위치기반 서비스는 실질적으로 이용율이 낮아 상업적 가치의 재고를 야기시키고 있다. 즉, 서비스 구현을 위해 별도의 사업자와 연 동되어 서비스 이용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며, 위치정보의 이용수단이 이동 서비스 사업자에 한정되어 컨텐츠의 활성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이용 부담을 줄이고, 서비스 활성화를 보장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위치정보 발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애칭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비스 구현이 용이하고, 시스템 구현을 위한 별도의 부가 비용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정보 발신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신자의 발신 요청과 더불어 착신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착신자의 긴급 상황에서 착신자의 위치가 발신자에게 빠르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은, 착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발신 단말로 통지하기 위해 발신 교환기, 착신 교환기, 홈위치 등록기(HLR) 및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신 교환기는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착신단말이 위치한 해당 중계기에 대한 셀(Cell) 정보이며, 상기 지리정보는 상기 셀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화된 지리적 명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신 교환기는,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통화 종료 후에도,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로 저장되는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 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착신 교환기에서 생성되는 지리정보를 상기 발신단말로 전송함에 있어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신 교환기는, 상기 착신 단말이 위치한 중계기에 대한 셀(Cell)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착신 단말과의 페이징을 수행하는 페이징 제어부와; 상기 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통화로 설정을 위한 스위칭부와; 상기 셀 정보에 대응하는 셀 코드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셀 코드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기 설정된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셀 판독부와; 상기 셀 정보를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로 저장 관리하기 위한 VLR 업데이트 부; 및 상기 지리정보를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은 착신 단말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검출한 후,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화된 위치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로 통화를 요청할 때, 착신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가 발신 단말의 표시창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착신자의 위치정보는 착신자와 발신자 간 통화과정, 통화 종료 후 또는 착신자의 이동상태에서 발신단말로 통지된다.
도 1은 상술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은 발신단말(101)과 착신단말(109) 간 통화로 설정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발신단말(101)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서버(111)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발신 교환기(103), 착신 교환기(105) 및 홈위치 등록기(107:HLR)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상기 발신단말(101)과 착신단말(109) 간 통화로를 설정하고,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109)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 제어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착신단말(109)이 위치한 해당 중계기에 대한 셀(Cell) 정보이며, 상기 지리정보는 상기 셀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화된 지리적 명칭이다.
한편,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착신단말(109)의 통화종료 상태에서도 지속적인 페이징을 수행하여, 착신단말(109)의 지리적 변위를 검출하고, 상기 지리적 변위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상기 메시지 서버(111)로 통지할 수 있다. 착신 교환기(105)는 지속적인 페이징을 위해,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로 저장되는 착신단말(109)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상기 메시지 서버(111)는 착신 교환기(105)에서 생성되는 지리정보를 상기 발신단말(101)로 전송하며,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리정보는 지역명, 상가명, 도로명 등으로 텍스트화된 메시지 또는 텍스트 및 그래픽화된 메시지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 교환기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신단말(109)이 위치한 중계기에 대한 셀(Cell)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착신단말(109)과의 페이징을 수행하는 페이징 제어부(203)와, 상기 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발신단말(101)과 착신단말(109) 간 통화로 설정을 위한 스위칭부(201)와, 상기 셀 정보에 대응하는 셀 코드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셀 코드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기 설정된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셀 판독부(207)와, 상기 셀 정보를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로 저장 관리하기 위한 VLR 업데이트 부(205)와, 상기 지리정보를 상기 메시지 서버(111)로 전송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부(209)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착신단말(109)과 발신단말(101) 간 통화 종료 후 또는 착신단말(109)의 이동상태에서 상기 착신단말(109)에 대한 지리정보를 상기 발신단말(10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페이징 제어부(203)는 착신단말(109)의 통화 종료 후에도 주기적으로 페이징을 수행하여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의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실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S301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착신 단말(109)은 착신자 위치표시 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등록절차를 제공받는다. 서비스 등록은 상기 착신 단말(109)로 구비된 키 버튼을 이용하여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착신 단말(109)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81"을 입력함으로써, 서비스 등록 설정이 가능할 것이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키 버튼 "*801"을 입력하여 서비스 등록 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
이후, S303 단계에서 상기 발신 단말(101)은 착신 단말(109)과의 통화를 요청한다. 상기 발신 단말(101)의 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103)는 상기 홈위치 등록기(107)로 착신 단말(109)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 따라서, 상기 홈위치 등록기(107)는 착신 교환기(105)로 착신 단말(109)에 대한 위치정보 수집을 지시한다. S305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로 현재 저장된 착신 단말(109)에 대한 VLR 정보를 상기 홈위치 등록기(107)로 전송한다. S307 단계에서, 상기 홈위치 등록기(107)는 상기 VLR 정보를 발신 교환기(103)로 제공하며, 발신 교환기(103)는 상기 VLR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착 신 교환기(105)의 스위칭부(201)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109)과의 통화로를 설정한다.
한편, S309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셀 판독부(207)를 통해 상기 VLR 정보에 대한 착신 단말(109)의 위치 코드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상기 위치 코드와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내부 메모리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지리정보는 착신 단말(109)이 위치한 지역정보로서, 지역명, 상가명, 도로명 등으로 텍스트화된 메시지 또는 텍스트 및 그래픽화된 메시지가 가능하다.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지리정보를 상기 메시지 서버(111)로 전송한다. 메시지 서버(111)는 지리정보에 대응하는 소정 포멧의 위치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101)로 전송한다. 상기 위치안내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가능하며, 착신자의 단말정보 및 지리정보를 포함한다.
S313 단계에서,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상기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9) 간 통화가 종료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발신 단말(101) 및 착신 단말(109) 간 통화가 종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S307 단계로 피드백하여 통화로를 유지한다. 반면, 상기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9) 간 통화가 종료되었을 경우, S315 단계로 진입한다.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상기 발신 단말(101)로부터 착신 단말(109)에 대한 위치를 지속적으로 통지받고자 함을 인지할 경우 즉, 통화 종료 후에도 발신 단말(101)로 착신 단말(109)의 위치정보를 제공받고자 하기 위한 소정의 키 버튼이 입력될 경우,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S317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페이징 제어부(203)를 기동한다.
상기 페이징 제어부(203)는 착신 단말(109)의 통화 종료 상태에서 착신 단말(109)로 페이징을 소정 주기로 실행한다. 이는 착신 단말(109)의 이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착신 단말(109)의 이동변위에 따른 셀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S319 단계에서,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VLR 업데이트 부(205)를 기동하여 현재 착신 단말(109)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로 업데이트 한다. 그리고, S321 단계에서,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소정 주기에 따라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로 업데이트된 위치정보를 상기 지리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메시지 전송부(209)를 통해 상기 메시지 서버(111)로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 서버(111)는 상기 발신 단말(101)로 상기 지리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발신자는 통화상태 또는 통화종료 후에도 착신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한편, 상기 착신 교환기(10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진행함에 있어,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기능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은, 착신자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의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고,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화된 위치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발신 단말로 제공하도록 함에 따라, 무선 인터넷의 데이터 호를 사용하지 않고 발신자의 위치를 통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시스템 망을 이용하여 착신자의 위치정보 제공이 가능함에 따라, 시스템 구현상의 설비비용이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통화상태 또는 통화종료 상태에서도 본 서비스가 지원됨에 따라, 친구, 연인 사이에서 상호 간 위치를 통보받아 위급 상황에서의 주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착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발신 단말로 통지하기 위해 발신 교환기, 착신 교환기, 홈위치 등록기(HLR) 및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신 교환기는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위치한 중계기에 대한 셀(Cell)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착신 단말과의 페이징을 수행하는 페이징 제어부와;
    상기 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통화로 설정을 위한 스위칭부와;
    상기 셀 정보에 대응하는 셀 코드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셀 코드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기 설정된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셀 판독부와;
    상기 셀 정보를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로 저장 관리하기 위한 VLR 업데이트 부; 및
    상기 지리정보를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착신단말이 위치한 해당 중계기에 대한 셀(Cell) 정보이며, 상기 지리정보는 상기 셀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화된 지리적 명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교환기는,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통화 종료 후에도, 상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로 저장되는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 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착신 교환기에서 생성되는 지리정보를 상기 발신단말로 전송함에 있어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5. 삭제
KR1020050099265A 2005-10-20 2005-10-20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KR100718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265A KR100718454B1 (ko) 2005-10-20 2005-10-20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265A KR100718454B1 (ko) 2005-10-20 2005-10-20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235A KR20070043235A (ko) 2007-04-25
KR100718454B1 true KR100718454B1 (ko) 2007-05-14

Family

ID=3817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265A KR100718454B1 (ko) 2005-10-20 2005-10-20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92B1 (ko) * 2006-11-02 2008-03-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위치 분석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736A (ko) * 2001-07-19 2003-01-29 이정연 음성을 이용한 착신 가입자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736A (ko) * 2001-07-19 2003-01-29 이정연 음성을 이용한 착신 가입자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235A (ko)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3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상자의 현상태 표시 및 간편정보전송방법
EP2290907A1 (en) USSD enabled mobile tracking
KR100706345B1 (ko)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18454B1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JPH09172672A (ja) 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
KR100766598B1 (ko)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18802B1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발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및방법
KR20050027332A (ko) 지능망을 이용한 휴대폰 위치확인 시스템
KR100660472B1 (ko) 무선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분실물/실종자 위치추적 시스템
KR100754457B1 (ko) 아이콘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및 시스템
KR1007216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 넘버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082203B1 (ko) 이동 통신 망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87245B1 (ko)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위치정보 송수신 서비스 방법
KR100606091B1 (ko)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메신저/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03886B1 (ko)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58871B1 (ko) 해외 로밍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통보 방법 및시스템
KR100723699B1 (ko) 이동통신망에서 착신전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0716707B1 (ko) 통화에 따른 자신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06569A (ko) 위치정보를 호신호로 접속하는 통신방법
US780152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ignaling system thereof
KR20070062621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28935A (ko) Gps코드 번호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KR101087664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활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1586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532911B1 (ko) 착신자 설정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