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997A -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랩 잼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랩 잼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997A
KR20070041997A KR1020050097721A KR20050097721A KR20070041997A KR 20070041997 A KR20070041997 A KR 20070041997A KR 1020050097721 A KR1020050097721 A KR 1020050097721A KR 20050097721 A KR20050097721 A KR 20050097721A KR 20070041997 A KR20070041997 A KR 20070041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roller
jam
wrap
printing paper
wrap j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1997A/ko
Publication of KR2007004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은 인쇄용지를 이송시키면서 가열 및 가압하는 히팅롤러 및 가압롤러; 히팅롤러와 가압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정착 프레임; 인쇄용지가 히팅롤러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랩 잼 방지장치; 및 랩 잼 발생으로 히팅롤러에 감긴 인쇄용지를 제거하는 랩 잼 해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형성장치, 정착유닛, 랩잼, 잼제거, 가이드크로우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랩 잼 제거 방법{Fus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rap jam remove method}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정착유닛의 평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랩 잼 제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정착 프레임 111; 히팅롤러
112; 가압롤러 120; 랩 잼 방지장치
121; 제 1 가이드 크로우 122; 제 1 탄성부재
131; 제 2 가이드 크로우 132; 제 2 탄성부재
140; 배지유닛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랩 잼 제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를 인쇄용지에 정전기적으로 전달한 후, 정착유닛에서 고온 고압으로 가열하여 고착시킨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유닛은 히팅롤러(11), 가압롤러(12), 상기 히팅롤러(11)와 가압롤러(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정착 프레임(10) 및 상기 정착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랩 잼 방지장치(20)를 포함한다.
랩 잼 방지장치(20)는 가이드 크로우(21) 및 탄성부재(22)를 포함한다.
가이드 크로우(21)는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되며, 선단이 히팅롤러에 밀착된다. 탄성부재(22)는 가이드 크로우(21)에 압력을 가하여, 가이드 크로우(21)와 히팅롤러(11)의 접촉을 유지한다. 가이드 크로우(21)는 정착되는 인쇄용지가 히팅롤러(11)에 말리는 이른바 랩 잼(wrap jam)을 방지하고, 히팅롤러(11)에 의해 가열되는 인쇄용지가 배지유닛(3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인쇄용지를 가이드한다.
그런데, 장기간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경우, 정착 중에 비산된 현상제 및 화상오염물질 등에 의해 히팅롤러(11)가 오염되면, 히팅롤러(11)를 오염시킨 물질들이 가이드 크로우(21)에 흡착되면서, 가이드 크로우(21)와 히팅롤러(11)가 충분히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 경우, 급지오류 또는 인쇄오류 등에 의해 인쇄용지가 여백 없이 인쇄되거나, 화상오염이 된 상태로 정착유닛에 진입되면, 진입된 용지가 가이드 크로우(21)와 히팅롤러(11) 사이의 들뜬 공간으로 진입하여 랩 잼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온(대략 섭씨 180℃ 전후)의 히팅롤러에 랩 잼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전문기사의 도움 없이는 잼 제거가 어려우며, 무리하게 제거하려 시도할 경 우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랩 잼 발생시 사용자가 간편하게 이를 제거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랩 잼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은 인쇄용지를 이송시키면서 가열 및 가압하는 히팅롤러 및 가압롤러; 상기 히팅롤러와 가압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정착 프레임; 상기 인쇄용지가 상기 히팅롤러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랩 잼 방지장치; 및 랩 잼 발생으로 상기 히팅롤러에 감긴 인쇄용지를 제거하는 랩 잼 해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랩 잼 방지장치와 랩 잼 해소장치는 히팅롤러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히팅롤러는 랩 잼 발생시 역회전한다.
상기 랩 잼 방지장치와 랩 잼 해소장치 각각은 정착 프레임에 힌지로 설치되는 가이드 크로우; 일단은 상기 가이드 크로우에 연결되고, 타단은 정착 프레임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크로우는 복수 개가 상기 히팅롤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정착유닛의 랩 잼 제거방법은 히팅롤러를 정회전하여 인쇄용지를 정착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계에서 랩 잼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랩 잼 발생시 상기 히팅롤러의 회전방향을 역전시키는 단계; 및 역회전하는 히팅롤러에 감긴 인쇄용지를 랩 잼 해소장치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은 정착 프레임(110)과 랩 잼 방지장치(120) 및 랩 잼 해소장치(130)를 포함한다.
정착 프레임(110)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히팅롤러(111)와 가압롤러(112)를 포함하며, 정착유닛의 골격을 형성한다.
랩 잼 방지장치(120)는 상기 히팅롤러(111)와 밀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히팅롤러(111)가 정방향 회전할 경우, 정착중인 용지가 히팅롤러(111)에 감기는 이른바 랩 잼을 방지한다. 그리고, 랩 잼 제거장치(130)는 상기 랩 잼 방지장치(120)가 랩 잼 발생을 방지에 실패하여, 히팅롤러(111)에 랩 잼이 발생되었을 경우, 히팅롤러(111)에 감긴 인쇄용지를 제거한다. 이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랩 잼 방지장치(120)와 랩 잼 해소장치(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롤러(1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서로 같은 구조를 가진다.
랩 잼 방지장치(120)는 제 1 가이드 크로우(121) 및 제 1 탄성부재(122)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 크로우(121)는 프레임(110)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121')를 가지며, 히팅롤러(111)에 밀착된다. 제 1 가이드 크로우(121)는 내마모성이 우수하 며, 쉽게 오염되지 않는 테플론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가이드 크로우(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히팅롤러(111)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제 1 가이드 크로우(121)는 정착되는 인쇄용지가 히팅롤러(111)에 말리는 이른바 랩 잼(wrap jam)을 방지하는 역할과, 히팅롤러(111)에 의해 가열되는 인쇄용지가 배지유닛(14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용지배출 경로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탄성부재(122)는 제 1 가이드 크로우(121)에 압력을 가하여, 제 1 가이드 크로우(121)와 히팅롤러(111)의 접촉을 유지한다. 이를 위해 제 1 탄성부재(122)의 일단은 제 1 가이드 크로우(121)와 연결되고, 타단은 정착 프레임(110)이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유닛(140)과 같은 다른 부품에 연결된다.
랩 잼 해소장치(130)는 랩 잼 방지장치(120)와 같은 구조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롤러(111)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설치된다. 랩 잼 해소장치(130)는 제 2 가이드 크로우(131) 및 제 2 탄성부재(132)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랩 잼 방지장치(12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의 랩 잼 제거방법을 첨부된 도면과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유닛에 진입된 토너화상이 인쇄된 용지는 히팅롤러(111)와 가압롤러(112)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정착되어 토너화상을 인쇄용지 표면에 고착한다. 한편, 금속재질의 히팅롤러(111)에는 복수 개의 랩 잼 방지장치(120)가 밀착되게 설치되어, 히팅롤러(111)에 의해 가열된 인쇄용지가, 히팅롤러(111)에 감기는 이른바 랩 잼을 방지한다.
작동 초기에는 히팅롤러(111)와 랩 잼 방지장치(120)가 밀착된 채로 인쇄용지의 정착이 이루어지므로, 랩 잼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쇄과정중에, 인쇄용지에 여백 없이 토너화상이 인쇄되거나, 비산된 현상제들이 여백 부분에 부착된 상태로 인쇄될 경우, 히팅롤러(111)와 정착유닛을 통과하는 인쇄용지 사이에는 잘 떨어지지 않으려는 성향이 나타난다. 이 경우, 랩 잼은 발생 되지 않더라도, 히팅롤러(111)가 조금씩 오염되면서, 이 오염물질들이 랩 잼 방지장치(120)와 히팅롤러(111)의 접촉부에 쌓이면서, 랩 잼 방지장치(120)와 히팅롤러(111) 사이를 들뜨게 만든다(S10).
이처럼 랩 잼 방지장치(120)와 히팅롤러(111) 사이에 들뜬 공간부가 형성될 경우, 이 공간부로 인쇄용지가 진입되면서 랩 잼이 발생될 수 있다. 랩 잼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는 히팅롤러(111) 측에 감지센서 등을 설치하여 비정상적으로 인쇄용지가 히팅롤러(111)에 감기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거나, 배출유닛(140) 측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배출유닛(140) 측으로 인쇄용지가 배출되어 나오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다(S20).
상기 S20단계에서 랩 잼이 발생 되었음을 감지하면, 소정의 제어부는 히팅롤러(111)를 역전시킨다(S30).
그러면, 랩 잼 방지장치(120)와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된 랩 잼 해소장치(130)는 히팅롤러(111)에 감긴 용지를 긁어내어, 랩 잼을 해소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롤러(111)에 감긴 용지의 끝단은 히팅롤러(111)에 완전히 밀 착되지 않고 떨어져 있다. 이때, 히팅롤러(111)가 역전하면, 히팅롤러(111)에 감진 인쇄용지는 랩 잼 해소장치(130)의 제 2 가이드 크로우(131)에 의해 히팅롤러(111)로 부터 분리된다(S40).
상기 S40단계에서 히팅롤러(111)에 감긴 인쇄용지가 분리되면,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의 외부 덮개 등을 제거하여, 랩 잼이 발생된 인쇄용지를 직접 제거하거나, 히팅롤러(111)를 포함한 용지 이송롤러들을 구동하여, 배지유닛(140) 측으로 배출한다(S50).
따라서, 사용자가 대처하기 어려운 정착유닛에서 발생된 랩 잼도 전문기사의 도움없이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를 분해하거나 전문기사에게 애프터 서비스를 신청하는 번거로움 없이, 사용자가 간편하게 히팅롤러에 정착중인 용지가 감기는 이른바 랩 잼을 제거할 수 있어 편리하다.

Claims (5)

  1. 인쇄용지를 이송시키면서 가열 및 가압하는 히팅롤러 및 가압롤러;
    상기 히팅롤러와 가압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정착 프레임;
    상기 인쇄용지가 상기 히팅롤러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랩 잼 방지장치; 및
    랩 잼 발생으로 상기 히팅롤러에 감긴 인쇄용지를 제거하는 랩 잼 해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랩 잼 방지장치와 랩 잼 해소장치는 히팅롤러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히팅롤러는 랩 잼 발생시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랩 잼 방지장치와 랩 잼 해소장치 각각은,
    정착 프레임에 힌지로 설치되는 가이드 크로우;
    일단은 상기 가이드 크로우에 연결되고, 타단은 정착 프레임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크로우는,
    복수 개가 상기 히팅롤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정착유닛.
  5. 히팅롤러를 정회전하여 인쇄용지를 정착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계에서 랩 잼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랩 잼 발생시 상기 히팅롤러의 회전방향을 역전시키는 단계; 및
    역회전하는 히팅롤러에 감긴 인쇄용지를 랩 잼 해소장치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랩 잼 제거방법.
KR1020050097721A 2005-10-17 2005-10-17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랩 잼 제거 방법 KR20070041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721A KR20070041997A (ko) 2005-10-17 2005-10-17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랩 잼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721A KR20070041997A (ko) 2005-10-17 2005-10-17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랩 잼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997A true KR20070041997A (ko) 2007-04-20

Family

ID=3817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721A KR20070041997A (ko) 2005-10-17 2005-10-17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랩 잼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19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7289B2 (en) 2020-01-06 2024-04-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Jam prevention of printing media using gap adjus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7289B2 (en) 2020-01-06 2024-04-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Jam prevention of printing media using gap adjus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104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device
JP5268302B2 (ja) 画像形成装置
JP6164246B2 (ja) 画像形成装置
JP5083061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70041997A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랩 잼 제거 방법
JP2008191182A (ja) 画像形成装置
JP6237704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22197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46211A (ja) 印刷装置の輸送用インサートの存在を検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344371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26841B2 (ja) 画像形成装置
JP660202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75992A (ja) 画像形成装置
JP620433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244686B1 (ko) 정착장치
JP441978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58792A (ja) 画像形成装置
JP4591141B2 (ja) 画像形成装置
JP5885698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003934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14807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78243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0120258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7334026A (ja) 定着装置
JP2007206632A (ja) 定着装置の温度制御方法、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