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606A -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606A
KR20070041606A KR1020077004991A KR20077004991A KR20070041606A KR 20070041606 A KR20070041606 A KR 20070041606A KR 1020077004991 A KR1020077004991 A KR 1020077004991A KR 20077004991 A KR20077004991 A KR 20077004991A KR 20070041606 A KR20070041606 A KR 2007004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inner layer
elevator
strands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737B1 (ko
Inventor
다케노부 혼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73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복수의 강철 와이어를 꼬아서 합친 복수의 내층 스트랜드(strands)를 포함하는 내층 로프와, 내층 로프의 외주를 피복하는 수지제 내층 피복체와, 내층 피복체의 외주부에 배치하여 복수의 강철 와이어가 합쳐져 있는 복수의 외층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외층을 가진다. 엘리베이터용 로프와 접촉하는 구동시브(driving sheave)의 로프홈(rope groove)의 접촉면은 고마찰 수지재로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용 로프, 내층 스트랜드, 내층 로프, 내층 피복체, 로프홈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ROPE FOR ELEVATOR AND ELEVATOR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낸 개략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층마다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구동시브(drive sheave), 카 현수시브(car suspension sheave), 균형추 현수시브, 카 안내풀리 및 균형추 안내풀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로프홈(rope groove)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층마다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사용되고, 카(car)를 현수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로프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로프의 조기 마모와 단선(wire breakage)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프 직경의 40배 이상의 직경을 가진 시브(sheaves)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시브의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로프의 직경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로프의 직경을 감소시키면, 카에 적재하는 수하물(baggage) 또는 승강하는 승객의 하중 변동에 의해 카가 진동하기 쉽고, 또한 그 시브에서의 로프의 진동이 카에 전달될 우려가 있다. 또, 로프의 개수가 증가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 구동시브의 직경을 감소시키면 구동마찰력이 저하되어 카의 중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강도, 긴 사용수명 및 높은 마찰을 유지하면서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와, 그 로프를 사용한 콤팩트한 레이아웃(compact layout)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복수의 강철 와이어(steel wire)가 합쳐져 있는 복수의 내층 스트랜드(inner layer strands)를 가진 내층 로프와, 그 내층 로프의 외주를 피복하는 수지제 내층 피복체와, 내층 피복체 외주부에 설치하여 복수의 강철 와이어가 합쳐져 있는 복수의 외층 스트랜드를 가진 외층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로프홈(rope groove)이 설치되어 있는 구동시브를 가진 구동장치와, 로프홈 내에 삽입시켜 구동시브의 주위에 감아 거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와,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현수시켜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시키는 카(car) 및 균형추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복수의 강철 와이어가 합쳐져 있는 복수의 내층 스트랜드를 포함한 내층 로프와, 내층 로프의 외주를 피복하는 수지제 내층 피복체와, 내층 피복체의 외주에 설치시켜 복수의 강철 와이어가 합쳐져 있는 복수의 외층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외층을 가지며, 로프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와의 접촉면은 마찰이 높은 수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31) 내의 상부에서는 지지대(32)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대(32) 상에는 박형(thin) 구동장치(33)가 탑재되어 있다. 구동장치(33)는 모터(34)와, 모터(3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35)를 가진다. 또, 구동장치(33)는 구동시브(35)의 회전축이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시브(35)에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엘리베이터용 로프(36)가 감아 걸려있도록 한다. 각각의 엘리베이터용 로프(36)는 지지대(32)에 접속된 제1 단부(36a)와 제2 단부(36b)를 가진다.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제1 단부(36a)와 구동시브(35) 사이에는 카(37)가 현수되어있다. 카(37)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용 로프(36)가 감아걸려있는 한 쌍의 카 현수시브(38)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제2 단부(36b)와 구동시브(35) 사이에는 균형추(39)가 현수되어 있다. 균형추(39)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용 로프(36)가 감겨걸려있는 한 쌍의 균형추 현수시브(40)가 설치되어있다. 카(37)와 균형추(39)는 엘리베이터용 로프(36)를 통하여 구동장치(35)에 의해 승강로(3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31) 내의 상부에는 구동시브(35)로부터 연장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36)를 카(37)에 안내하는 카 안내풀리(41)가 배치되어있다. 또, 승강로(31) 내의 상부에는 구동시브(35)로부터 연장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36)를 균형추(39)에 안내하는 균형추 안내풀리(42)가 배치되어있다.
구동장치(33), 카 안내풀리(41)및 균형추 안내풀리(42)는 수직투영면 내에서 카(37)와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카 안내풀리(41)와 균형추 안내풀리(42)의 직경은 엘리베이터용 로프(36) 직경의 15배 이상, 20배 이하로 되어있다.
또, 승강로(31) 내에는 카(37)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카 가이드레일(43)과, 균형추(3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44)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가이드레일(43, 44)을 생략하였다.
다음에,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용 로프(36)를 층마다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내층 로프(1)는 코어 로프(2)와, 그 코어 로프(2)의 외주부에 설 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내층 스트랜드(inner layer strands)(3)를 가진다. 코어 로프(2)는 복수개의 코어 스트랜드(4)를 가진다. 코어 스트랜드(4) 각각은 복수개의 강철 와이어(5)를 서로 꼬아 합쳐져서 구성되어 있다. 코어 스트랜드(4)는 서로 합쳐지고, 내층 스트랜드(3)는 코어 스트랜드(4)와 역방향으로 꼬아져 있다.
내층 스트랜드(3)는 복수개의 강철 와이어(6)를 서로 꼬아서 구성되어 있다. 내층 스트랜드(3)의 단면 구조는 워링톤(Warrington)형(JIS G 3525)이다. 내층 로프(1)의 직경은 구동시브(35) 직경의 1/27 이하로 설정되어있다. 내층 로프(1)의 외주에는 수지제 내층 피복체(7)가 코팅되어 있다. 내층 피복체(7)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수지로 되어 있다.
내층 피복체(7)의 외주부에는 외층(8)이 설치되어 있다. 외층(8)은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9)를 가진다. 각각의 외층 스트랜드(9)는 중심에 배치시킨 중심 와이어(10)와, 중심 와이어(10)의 외주에 배치되어있는 6개의 외주 와이어(11)에 의해 구성되어있다. 또, 외층 스트랜드(9)는 내층 스트랜드(3)와 반대방향으로 꼬아져 있다.
전체의 와이어(5, 6, 10, 11)의 직경은 구동시브(35) 직경의 1/400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도 5는 도 1의 구동시브(35), 카 현수시브(38), 균형추 현수시브 (40), 카 안내풀리(41) 및 균형추 가이드풀리(42)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로프홈(rope groove)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구동시브(35), 카 현수시브(38), 균형추 현수시브(40), 카 안내풀 리 (41) 및 균형추 안내풀리(42)의 외주부에는 엘리베이터용 로프(36)가 삽입되어있는 로프홈(45)의 접촉면이 고마찰 수지재(수지제 라이닝)(4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마찰 수지재(46)의 재료로는 마찰계수 0.2 이상의 재료,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수지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중심부에 강철 내층 로프(1)가 배치되고, 또 내층 로프(1)의 외주에는 내층 스트랜드(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외층 스트랜드(9)가 내층 로프(1)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직경을 억제하면서 강철 와이어(5, 6, 10, 11)의 패킹(packing) 밀도를 높일수 있고,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강도를 높일수 있다.
또, 내층 로프(1)와 외층(8) 사이에는 수지제 내층 피복체(7)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층 스트랜드(3)와 외층 스트랜드(9)가 서로 직접 접촉하여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모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또 완충작용에 의한 굽힘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용 로프(36)를 접촉하는 로프홈(45)의 접촉면은 고마찰 수지재(46)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브(35, 38, 40, 41, 42)와의 직접 접촉에 의해 외층 스트랜드(9)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외층 스트랜드(9)의 와이어(10, 11)가 시브(35, 38, 40, 41, 42)에 대하여 눌려짐으로써 발생하는 굽힘응력도 완화시킬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시브(35, 38, 40, 41, 42)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전체적인 강도를 한층 높일 수 있으며, 시브(35, 38, 40, 41, 42)를 저 가로 구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로프홈(45)에 고마찰 수지재(46)를 제공함으로써, 구동시브 (35)의 직경을 감소시켜도 충분한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용 로프(37)와 구동시브(35)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카(37)의 중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구동시브(35)등에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접촉각을 증가시키기 위해 안내풀리를 추가할 필요가 없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고마찰 수지재(46)는 마찰계수가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여, 충분한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마찰계수가 0.2이상이면, 고마찰 수지재(46)는 폴리우레탄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비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수지는 연질에서 경질까지의 폴리우레탄수지를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으나, 엘리베이터용 로프(36)가 시브(35, 38, 40, 41, 42)의 표면에서 미소하게 슬립핑(slipping)되는 현상 등에 대한 내마모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경도 85∼98를 가진 경질의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경도가 90 이상인 폴리우레탄 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 사용환경에서 발생하는 가수분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에스테르계수지보다 에테르계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로프홈(45)에 고마찰 수지재(46)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외주를 고마찰 수지재로 피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공이 용이하다.
더 나아가서, 내층 피복체(7) 재료로서, 엘리베이터용 로프(36)가 시브(35, 38, 40, 41, 42)에서 굴곡될 때 자유롭게 슬라이딩(sliding)이 용이한 재료를 선택 함으로써 굽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내층 피복체(7)는 내층 스트랜드(3)의 와이어(6) 사이와 외층 스트랜드(9)의 와이어(11) 사이에서 눌려져 변형되지 않는 경도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재료로는 저마찰의 경질폴리에틸렌재가 적합하다.
또, 내층 피복체(7)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나일론, 실리콘,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층 피복체(7)를 사용함으로써 강철 내층 로프(1)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수명의 단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층 스트랜드(9)는 중심 와이어(10)와 6개의 외주 와이어(11)를 포함하는 단순한 7개의 와이어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배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내층 스트랜드(3)의 단면 구조가 워링톤(warrington)형 와이어이며, 밀봉형 또는 충전형 와이어가 아닌 워링톤형이기 때문에, 극단적으로 가느다란 와이어 (6)를 사용하지 않고도 마모에 의한 와이어(6)의 단선(breakge)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사용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내층 스트랜드(3)의 와이어(6)는 교차배열(cross lay)이 아니라, 평행배열(parallel lay)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외주부에 위치한 와이어(6)의 수를 그 내측에 위치한 와이어(6)의 수와 동일하게 또는 2배로 함으로써, 와이어(6)는 변형없이 밸런스가 양호하게 배치할 수 있고, 와이어(6)의 마모를 더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 다층 구조를 가진 엘리베이터용 로프(36)에서는 부하에 의한 장력과 시 브에 의한 시간 경과에 따르는 반복적인 굽힘에 의해, 꼬여짐복귀(twisting returns) 방향의 회전토크가 내부에서 발생하여, 각 층의 하중부담 밸런스가 붕괴되어 절단강도와 사용수명을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내층 스트랜드(3)를 코어 스트랜드(4)에 역방향으로 꼬고, 외층 스트랜드(9)를 내층 스트랜드(3)와 역방향으로 꼼으로써, 내부의 회전토크 밸런스를 유지시킬 수 있고, 로프 전체의 꼬여짐복귀토크(twisting return torque)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유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로프(36)를 직경이 작은 시브(35, 38, 40, 41, 42)에 감아 걸 경우, 시브(35, 38, 40, 41, 42)와 외층 스트랜드(9) 사이의 접촉압력이 증가하여, 시브(35, 38, 40, 41, 42)와 외층 스트랜드(9)의 마모와 파열(tean)이 현저하게 증가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직경의 20배 직경을 가진 시브에 적용할 경우 외층 스트랜드(9)의 개수를 12개 이상(도 3에서는 19개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엘리베이터용 로프(36) 직경의 15배 직경을 가진 시브에 적용할 경우, 외층 스트랜드(9)의 개수를 16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여, 시브와 외층 스트랜드(9) 사이의 접촉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시브와 외층 스트랜드(9)의 마모와 파열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시브는 특히 고가의 재료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 시브를 저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로프홈의 표면이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장력과 시브에 의한 굽 힘응력의 반복회수에 의해 사용수명이 결정되어, 로프 표면의 와이어로부터 단선(wire breakage)이 먼저 발생한다. 그러나, 로프홈(45)에 고마찰 수지재(46)를 제공하는 경우, 시브와의 접촉압력이 감소되므로 로프 표면보다 오히려 그 내부의 와이어가 굽힘 피로에 의해 우선적으로 더 파손되기 쉽다.
이와 같은 굽힘 피로에 의한 수명회수는 발명자의 시험연구소에 의하면 다음 식에 의해 나타낸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용수명 계산식
시브와 접촉하는 와이어가 단선되는 계산식
사용수명회수 Nc = 10.0 × k × 1.05 D/d
로프내부의 와이어가 단선되는 계산식
수명회수 Nn = 19.1 × k × 1.05 D/d
여기서, k는 로프구조와 로프강도에 의해 결정되는 계수이다.
여기서, 수명회수 Nn을 D/d=40 일때의 Nc값과 같도록 하는데 필요로 하는 D/d 값을 구하면 26.7로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적용될 수 있는 조건, 즉 D/d=40일 때와 동일한 수명을 확보하도록 하면 내층 로프(1)의 직경을 시브직경의 1/27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내층 로프(1)의 직경의 27배 이상의 직경을 가진 시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 상기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모든 와이어(5, 6, 10, 11)의 직경이, 적용되는 시브직경의 1/400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적용되는 시브의 직경을 감소 시켜도 굽힘 피로 수명의 손실이 없다.
또한, 외층(8)이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외주 와이어(11)의 단선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육안 확인에 의해, 단선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탐상장치(flaw detecting device)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강도가 높고 수명이 길며 고마찰의 엘리베이터용 로프(36)를 사용함으로써 카 안내풀리(41)와 균형추 안내풀리(42)의 직경이 엘리베이터용 로프(36) 직경의 15배 내지 20배에서도 충분한 로프수명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31)의 높이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카 안내풀리(41)와 균형추 안내풀리(42)를 카(37) 상방의 공간에 배치할 수 있고, 승강로(31)의 횡단면적을 확대할 필요가 없다.
또, 카 안내풀리(41)와 균형추 안내풀리(42)의 직경은, 실제적으로 운전 빈도가 많지 않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로프 직경의 15배 이상, 복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20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분한 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승강로(31)의 높이치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안내 풀리(41, 42)의 직경을 로프직경의 30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안내 풀리(41, 42)의 직경을 로프의 직경의 15배 내지 20배의 범위로 설정할 경우, 승강로(31)의 높이치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안내 풀리(41, 42)의 직경을 구동장치(33)의 설치높이 범위 내로 설정할 경우, 승강로(31)의 높이치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내층 로프(23)는 코어 로프(24)와, 그 코어 로프(24)의 외주부에 설치되어있는 복수의 내층 스트랜드(25)를 가진다. 코어 로프(24)는 복수의 코어 스트랜드(26)를 가지며, 각각의 코어 스트랜드(26)는 복수의 강철 와이어(27)를 서로 꼬아서 구성한다.
내층 스트랜드(25)는 복수의 강철 와이어(28)를 서로 꼬아서 구성한다. 내층 스트랜드(25)의 와이어(28)의 단면은 내층 스트랜드(25)를 외주로부터 압축함으로써 변형된다. 코어 스트랜드(26)의 와이어(27)의 단면은 외주로부터 코어 스트랜드(26)를 압축함으로써 변형된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내층 스트랜드(25)와 코어 스트랜드(26)를 제조할 때, 마무리 직경보다 5%정도 더 크게 트위스팅(twisting)한 다음, 그 마무리 직경의 다이(die)를 통하여, 와이어 서로를 점이 아닌 면 또는 선으로 접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와이어(27, 28)의 패킹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와이어(27) 사이와 와이어(28) 사이의 접촉압력을 감소시켜 와이어(27, 28)의 마모를 억제시킨다. 또, 내층 스트랜드(25)와 코어 스트랜드(26)의 배열붕괴(disarray)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층 스트랜드(9)의 와이어(10, 11)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도, 외층 스트랜드(9)를 외주로부터 압축시켜 변형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층마다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층 스트랜드(3), 코어 스트랜드(4) 및 외층 스트랜드(9)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꼬아져 있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사용할 경우, 스트랜드(3, 4, 9)를 동일한 방향으로 꼬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하중이 작용할 때 또는 반복 굽힘에 의해 트위스팅(twisting)이 풀어질 때에도 스트랜드(3, 4, 9)의 하중분담이 불균일하게 되기가 어려워져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 나타낸 다층구조의 로프는 시간경과에 따르는 피로에 의해 각각의 층의 하중부담률이 변화하는 특성이 있다. 여기서, 로프의 구조에 의해서도 상이하지만, 우선적으로 손상이 진행되는 층의 강도부담률을 감소시킨다. 즉, 한쪽 층의 강도를 20∼80%로 설정함으로써 전체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하기 전에 가장 약한 층의 이상을 검지 하여 로프를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굽힘응력이 가장 커지는 가장 약한 층인 외층 스트랜드(9)의 강도를 합산한 강도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전체 강도의 20%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외층 스트랜드(9)가 단선될 경우에도 내층 로프(1)만으로 80% 가까운 잔류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내층 로프(1)의 코어 스트랜드(4)가 피복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이형 가공 되지 않는 경우에, 외층 스트랜드(9)보다 수명이 짧은 구조의 경우에는 내층 로프(1)의 강도를 전체 강도의 20%로 하여 외층 스트랜드(9)를 프리폼가공(preform)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중심부에 강철 내층 로프(1)가 배치되고, 또 내층 로프(1)의 외주에는 내층 스트랜드(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외층 스트랜드(9)가 내층 로프(1)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직경을 억제하면서 강철 와이어(5, 6, 10, 11)의 패킹(packing) 밀도를 높일수 있고,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강도를 높일수 있다.
또, 내층 로프(1)와 외층(8) 사이에는 수지제 내층 피복체(7)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층 스트랜드(3)와 외층 스트랜드(9)가 서로 직접 접촉하여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모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또 완충작용에 의한 굽힘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용 로프(36)를 접촉하는 로프홈(45)의 접촉면은 고마찰 수지재(46)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브(35, 38, 40, 41, 42)와의 직접 접촉에 의해 외층 스트랜드(9)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외층 스트랜드(9)의 와이어(10, 11)가 시브(35, 38, 40, 41, 42)에 대하여 눌려짐으로써 발생하는 굽힘응력도 완화시킬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시브(35, 38, 40, 41, 42)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전체적인 강도를 한층 높일 수 있으며, 시브(35, 38, 40, 41, 42)를 저 가로 구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로프홈(45)에 고마찰 수지재(46)를 제공함으로써, 구동시브 (35)의 직경을 감소시켜도 충분한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용 로프(37)와 구동시브(35)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카(37)의 중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구동시브(35)등에 엘리베이터용 로프(36)의 접촉각을 증가시키기 위해 안내풀리를 추가할 필요가 없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3)

  1. 코어 로프와, 상기 코어 로프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강철 와이어가 서로 꼬아져 있는 복수의 내층 스트랜드(inner layer strand)를 가진 내층 로프,
    상기 내층 로프의 외주를 피복하는 수지제 내층 피복체, 및
    상기 내층 피복체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강철 와이어를 꼬은 12개 이상의 외층 스트랜드(outer layer strand)로 구성된 외층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2. 로프홈(rope groove)이 형성된 구동시브(drive sheave)를 가진 구동장치,
    상기 로프홈 내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시브에 감아 건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상기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현수되고,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카(car) 및 균형 추를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코어 로프와, 상기 코어 로프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강철 와이어를 꼬은 복수의 내층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내층 로프,
    상기 내층 로프의 외주를 피복하는 수지제 내층 피복체, 및
    상기 내층 피복체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강철 와이어를 꼬은 12개 이상의 외층 스트랜드로 구성된 외층을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용 로프와 접촉하는 상기 로프홈의 접촉면은 고마찰 수지재 (high friction resin material)로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마찰 수지재의 마찰계수는 0.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04991A 2007-02-28 2002-11-12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44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4991A KR100744737B1 (ko) 2007-02-28 2002-11-12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4991A KR100744737B1 (ko) 2007-02-28 2002-11-12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826A Division KR20040071180A (ko) 2002-11-12 2002-11-12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606A true KR20070041606A (ko) 2007-04-18
KR100744737B1 KR100744737B1 (ko) 2007-08-01

Family

ID=3817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991A KR100744737B1 (ko) 2007-02-28 2002-11-12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7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9975A (en) * 1980-04-24 1981-11-20 Tokyo Shibaura Electric Co Sieve for elevator
JPS6418190A (en) * 1987-07-13 1989-01-20 Hitachi Software Eng Graphic data recording system for graphic processor
JP2876140B2 (ja) * 1990-02-27 1999-03-31 東京製綱株式会社 動索用ワイヤロープ
JPH0594589A (ja) * 1991-10-02 1993-04-16 Tokyo Electric Co Ltd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H0710478A (ja) * 1993-06-29 1995-01-13 Tokyo Seiko Co Ltd 高強度ワイヤロープ
IT1305058B1 (it) * 1998-12-18 2001-04-10 S R A Saldatrici Rotative Auto Apparecchiatura per il controllo e la stiratura a vapore di manufattia maglia
FI118732B (fi) 2000-12-08 2008-02-29 Kone Corp Hissi
ES2302816T3 (es) * 2001-06-21 2008-08-01 Kone Corporation Asc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737B1 (ko)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8607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エレベータ装置
US7036298B2 (en) Rope for elev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ope
TWI420009B (zh) 合成纖維纜索及其製造方法、具有此合成纖維纜索之升降設備及升降機用支承驅動構件
JP4327959B2 (ja) 合成繊維ロープ
JP4312719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
KR20040071180A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WO2001068973A1 (en) Rope, and elevator using the same
JP5976116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2000192378A (ja) より合成繊維ロ―プ
EP2634130A1 (en) Rope for elevator
EP1820765A1 (en) Rope for elevator and elevator
KR101635468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벨트
JP6077941B2 (ja)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
JP4202950B2 (ja) ワイヤロ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昇降装置
KR100744737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30777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63114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2014507348A (ja) エレベータの懸吊装置および/または駆動装置
EP2511219A1 (en) Rope for elevator
EP1508544A1 (en) Elevator device
KR20060096090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