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368A - 교체가능한 어댑터 부재를 구비한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교체가능한 어댑터 부재를 구비한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368A
KR20070041368A KR1020060099490A KR20060099490A KR20070041368A KR 20070041368 A KR20070041368 A KR 20070041368A KR 1020060099490 A KR1020060099490 A KR 1020060099490A KR 20060099490 A KR20060099490 A KR 20060099490A KR 20070041368 A KR20070041368 A KR 20070041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end cap
vehicle
adapter member
protecti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다벤포트
마이크 우하지
카스텐 메이어
헤르베르트 발터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510049989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5049989B4/de
Priority claimed from US11/251,621 external-priority patent/US7392834B2/en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41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교체가능한 어댑터 부재를 구비한 보호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권취기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기능부는 권취회전축으로부터 감거나 풀 수 있는 가요성 평면구조체를 구비하고, 개개의 차량을 차량내부공간 내에 형태맞춤식으로 또는 구동적으로 배치하기 위해서 차량 말단측으로 상기 권취기능부의 말단 캡에 설치할 수 있는 어댑터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공간에 사용된다.

Description

교체가능한 어댑터 부재를 구비한 보호장치{Protection device having replaceable adapter element}
도 1은 권취기능부 및 말단측으로 설치된 어댑터 부재를 구비한 보호장치의 사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보호장치의 사시 분해도이며,
도 3은 상기 분해도시된 보호장치의 말단 영역의 사시 단면 확대도이며,
도 4는 말단 캡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말단 캡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어댑터 부재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조립상태의 보호장치의 말단 영역의 절개 사시 단면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권취회전축에 대해 감거나 풀 수 있는 가요성 평면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차량의 보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보호장치는 차량의 내부공간에 사용되는데, 특히, 짐칸부를 승객칸부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안전-분리망, 상기 짐칸부의 시야보호물 또는 햇빛보호물 및/또는 차량 유리의 햇빛보호물로 사용된다.
DE 29 41 711 C2에 차량의 뒷짐칸을 덮기 위한 가리개(shade) 또는 블라인드 (blind)로 구현된 보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블라인드는 회전축을 동일축으로 둘러싸는 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에 고정된 평면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과 상기 롤러 사이에 삽입된 토션 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의 말단 영역에는 캡(cap)들이 고정되며, 상기 캡은 상기 차량의 고정된 지지부에 걸기 위해서 제공된다. 상기 차량의 뒷짐칸에 고정하기 위해서, 위에서 언급한 종래기술, 즉, 상기 블라인드를 뒷문 또는 뒷좌석의 뒷쪽에 고정하기 위한 종래기술이 제안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하나의 캡을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밀 수 있으므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차량의 뒷짐칸 내의 상응하는 수용부에 맞물려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식으로 서로 다른 차량 위에 적합화할 수 있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보호장치에 의하여 해결된다. 상기 보호장치에 있어서, 권취기능부가 구비되고, 상기 권취기능부는 권취회전축으로부터 감거나 풀 수 있는 가요성 평면구조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권취기능부는 개개의 차량을 차량내부공간 내에 형태맞춤식으로 또는 구동적으로 배치하기 위해서 차량 말단측으로 상기 권취기능부의 말단 캡에 설치할 수 있는 어댑터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권취회전축은 상기 말단 캡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말단 캡은 외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지지단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단면부는 구동력을 어댑터 부재로 전달하기 위해서 형태맞춤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단단하게 상기 권취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는 상기 말단 캡은 상기 평면구조체에 작용하는 힘과 회전모멘트를 직접 상기 어댑터 부재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안내 평면, 안내 브릿지 또는 안내 홈으로 구현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두 개의 지지단면부로 상기 말단 캡을 형성함으로써, 힘과 회전모멘트를 상기 어댑터 부재로 형태맞춤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단면부를 상기 말단 캡의 외주방향으로, 즉, 상기 권취회전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슬리브(sleeve) 표면의 형태로 신장되는 평면단면부 위에 배치함으로써, 바람직한 힘과 모멘트 전달을 보장할 수 있다.
형태맞춤식으로 상기 말단 캡 위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평면구조체에 대한 힘과 모멘트를 상기 말단 캡의 지지단면부에 상응하게 구현된 지지면을 지나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어댑터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권취기능부에 구조적으로 간섭하지 않고서 보호장치를 서로 다른 차량에 적합화할 수 있다. 오히려, 상기 보호장치를 차량 개별적으로, 상기 차량에 적합화된 어댑터 부재를 상기 말단 캡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각각의 차량에 존재하는 여건에 적합화할 수 있으므로, 상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권취기능부를 보다 많은 수의 차량에 대해서 변경없이 사용가능하게 된다. 적합화가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의 길이 및/또는 폭과 관련하여 필요 하다면, 예를 들어, 차량제조자의 모델 계열 내에서, 차량측에서 보면,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 내에 권취기능부를 로킹하는 것과 같은 상기 보호장치의 기타 기능들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단면부는, 실질적으로 폐쇄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U자 형태인 말단 캡의 횡단면을 상기 권취회전축의 회전축에 법선인 평면에 형성한다. U자 형태의 횡단면을 사용하여 상기 말단 캡을 위한, 대응적이며 안정적인 횡단면 기하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U자 형태의 횡단면의 두 개의 U-섕크(shank)는 안정화를 위해서 브릿지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므로, 폐쇄된 윤곽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말단 캡의 횡단면을 통하여, 굽어지거나 편평하게 구현된 상기 U자 형태 윤곽의 평면을 사용하여 힘과 회전모멘트를 상기 어댑터 부재에 형태맞춤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말단 캡에 대한 경사 모멘트는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단면부에 의하여 상기 어댑터 부재로 전달된다. 상기 어댑터 부재는 차량의 짐칸 내에 로킹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보면 상기 힘과 회전모멘트를 상기 짐칸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말단 캡은 상기 권취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신장된, 상기 어댑터 부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 브릿지를 포함한다. 특히, 실질적으로 상기 말단 캡의 U자 형태의 횡단면 위로 두드러지게 돌출하는 상기 안내 브릿지를 사용하여, 상기 어댑터 부재를 상기 권취회전축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말단 캡과 어댑터 부재 사이의 경사 모멘트를 전달하기 위한 부가적인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브 릿지는 상기 어댑터 부재와, 상기 말단 캡에 설치가능한 카세트 하우징 사이의 간?격 홀더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 부재와 카세트 하우징 사이의 상대이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원하지 않은 소음이 방지된다. 상기 어댑터 부재는 조건적으로 상기 안내 브릿지에 의하여, 상기 카세트 하우징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기계적인 접촉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말단 캡은 상기 어댑터 부재를 밀어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어댑터 부재에 배치된 멈춤쇠(detent)가 삽입되는 상기 안내 홈의 도움으로, 힘과 회전모멘트 전달을 가능케하는 보조적인 지지단면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홈은, 상기 어댑터 부재의 원하지 않은 이격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가능한 어댑터 부재의 경로제한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권취기능부는, 스프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를 감거나 풀기 위해서 형성되며, 상기 권취기능부는 스프링 장치를 상기 권취위치에서 바이어스를 유지하기 위한 멈춤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권취기능부는 상기 보호장치의 독자적으로 기능하는 소조립부품(subassembly)을 나타낸다. 이러한 소조립부품은 상기 단면위치까지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 내에서 로킹하기 위해서, 상기 보호장치를 위해 필요한 이미 모든 기능성을 포함한다. 이는, 특히, 상기 권취기능부가 완전히 감겨진 가요성 평면구조체에서도 그리고 상기 어댑터 부재가 없을 경우에도 상기 스프링 장치의 바이어스를 보장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를 순서대로 감는 것 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 바이어스는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의 감겨진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기능부는 독자적인 소조립부품으로 예비설치가능하며 작동준비상태에 있으며 상기 어댑터 부재를 간단히 장착함으로써 차량 개별적으로 완전히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권취회전축은 동일축으로 배치된 권취스핀들과 회전가능하게 실제로 연결하기 위한 말단측으로 설치된 축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말단 캡은 상기 권취스핀들의 말단 단면부에 단단히 연결된다. 특히 상기 권취회전축에 단단히 연결되며 권취스핀들에 대해서 상기 권취회전축의 회전을 위한 슬라이드 축으로 작용하는 축 커넥터는 간단한 방식으로 상기 권취회전축을 상기 권취스핀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가능케한다. 상기 말단 캡을 상기 권취스핀들의 말단단면부에 단단히 연결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장치로부터 상기 권취스핀들로 작용된 것으로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의 권취모멘트 또는 회전모멘트를 외부를 향해 발생하는 상기 말단 캡을 지나 상기 보호장치를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 내에 고정하는 데까지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축 커넥터는 상기 스프링 장치의 말단영역을 위한 수용부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축 커넥터는 이중기능에 도달하게 되는데, 즉, 상기 축 커넥터는 상기 스프링 장치로부터 상기 권취회전축으로 전달될 회전모멘트의 전달 및 상기 권취회전축을 상기 권취스핀들에 배치하는 데에 사용된다. 따라서, 특히 간단하고, 비용절약적이며 중량이 최적화된 보호장치가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장치에서는 권취스핀들, 스프링 장치 및 권 취회전축 사이의 적합한 힘의 흐름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축 커넥터는 방사상으로 신장된, 순환하는 링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링 밴드는 상기 권취회전축의 내경보다 크게 구현된 직경을 갖는다. 상기 링 밴드의 도움으로, 상기 축 커넥터를 상기 권취회전축에 설치시 상기 권취회전축에 대해서 사전정의된 상기 축 커넥터의 위치를 수용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상기 링 밴드를 적절히 형성할 때 상기 권취회전축의 정면 말단면의 소모적인 가공, 예를 들어, 날카로운 모서리를 깎아내는 가공을 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정면 말단면이 상기 순환하는 링 밴드에 의하여 덮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축 커넥터는 상기 권취회전축에 형태맞춤식으로 수용하기 위해서 형성된 멈춤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축 커넥터를 상기 권취회전축에 바람직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회전축에는 상기 멈춤수단에 상응하게 형성된 수용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멈춤수단은, 예를 들어, 멈춤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멈춤쇠는 특히, 상기 축 커넥터에 탄력적인 고정 몸체 조인트(joint)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상응하는 멈춤 기하형태를 상기 권취회전축 내에 뒤에서 맞물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말단 캡은,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에 구비된 형태안정적인 도출 측면부를 위한 접합부로 형성되므로,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가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장치의 바이어스가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특히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로부터 측면으로 돌출한 멈춤영역으로 제공되는 상기 형태안정적인 도출 측면부는 상기 감는 위치에서 상기 권취기능부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 캡을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스핀들에 대한 상기 권취회전축의 또다른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순서에 맞는 감는 과정에 필요한 상기 스프링 장치의 바이어스가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말단 캡은, 상기 권취기능부가 설치후에 이미 어댑터 부재없이 그리고 차량의 내부공간에 설치하지않고 작동준비되며 설치중에 가해진 상기 스프링 장치의 바이어스 힘이 상실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는 이동가능하게 말단 캡에 설치된다. 상기 교체가능한 어댑터 부재의 이동가능한 설치에 의하여,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차량의 내부 공간 내에 상기 보호장치를 형태맞춤식으로 또는 구동적으로 로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 부재는 언로킹 위치로부터 로킹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밀 수 있다. 상기 말단 캡에 대한 상기 어댑터 부재의 이동은 선형 및/또는 회전동작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 부재가 회전모멘트를 상기 권취스핀들 및 상기 차량 사이로 전달하기 위해서도 구비되어야 하는 경우에, 선형동작이 특히 바람직하다. 회전 또는 선형동작과 회전의 결합은 특히 신뢰성있는 상기 어댑터 부재 또는 상기 보호장치를 내부공간 내에 특히 신뢰성있게 로킹하는 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말단 캡과 상기 어댑터 부재 사이에는 스프링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장치에 저장된 로킹 에너지에 의하여, 상기 어댑터 부재는 상기 말단 캡에 대해서 로킹위치로 놓여져 거기에 고정될 수 있다. 언로킹과정을 위해서, 상기 어댑터 부재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바이어스와 반대로 언로킹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간단한 방식으로 상기 보호장치를 상기 차량에 신뢰성있게 로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권취회전축의 중간축 방향의 말단 캡에 대한 상기 어댑터 부재는 서로 맞물리는 멈춤 홈을 통하여 선형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말단 캡에 안내되고 축방향으로 형태맞춤식으로 제한된다. 상기 말단 캡에 대해서 어댑터 부재를 선형이동가능하게 안내함으로써, 상기 보호장치와 상기 차량 사이의 공차의 조정(tolerance offset)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보호장치는 자체의 길이로, 즉, 상기 권취회전축의 중간축 방향으로 특히 상기 차량의 짐칸의 폭에 적합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어댑터 부재는 상기 중간축의 방향으로 상기 말단 캡에 대해서 이동된다. 상기 멈춤 홈은 상기 말단 캡에 대한 상기 어댑터 부재의 정확한 정렬도 보장한다. 어댑터 부재와 말단 캡 사이의 선형동작의 축방향의 형태맞춤식 제한에 의하여, 상기 어댑터 부재는 원하지 않은 방식으로 상기 말단 캡으로부터 하강되지 않고 신뢰성있게 이동가능하게 상기 말단 캡에 고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멈춤 홈은, 상기 어댑터 부재 및 상기 말단 캡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홀 및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은 특히 슬롯 또는 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를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멈춤쇠는 탄력적인 설(tongue)부 또는 상기 어댑터 부재 또는 상기 말단 캡의 형태안정적인 단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댑터 부재와 말단 캡 사이의 마찰이 적은 선형안내가 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홀에 맞춰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에도 유효한 상기 말단 캡 및/또는 상기 어댑터 부재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어댑터 부재에는 두 개의 멈춤쇠가 구비되며 상기 말단 캡에는 두 개의 상응하는 홀이 상기 멈춤 홈을 형성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는 교체가능하게 말단 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장치를 상기 차량에 로킹하는 데에 사용되는 상기 어댑터 부재는 특히 손상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어댑터 부재는 도구를 사용하지않고 교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멈춤 홈, 특히, 상기 멈춤쇠는 말단 캡과 어댑터 부재 사이의 멈춤 연결이 수동 동작에 의하여 해결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말단 캡 사이에 설치가능한, 상기 권취회전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덮개부가 형태맞춤식으로 또는 구동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말단 캡에 설치가능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는 도구를 사용하지않고 상기 말단 캡에 연결가능하거나 상기 말단 캡(4)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형태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보호장치를 요구에 따라 광학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권취회전축 및 그 위에 수용된 가요성 평면구조체를 차폐하는 데에 사용된다. 카세트 하우징으로도 특징지워질 수 있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보호장치의 모든 동작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힘이 없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는 특히 플라스틱 부재로도, 특히, 압출성형된 플라스틱 측면 부 또는 금속 부재로도, 특히, 강철 형태부 또는 선상 압출부재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는 서로 다른 차량에 특히 바람직하며 간단한 적합화를 위해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말단 캡에 연결될 수 있거나 상기 말단 캡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호장치를 간단히 설치하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 장치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동일축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쇠 슬리브(sleeve)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스프링 장치는 특히, 상기 권취회전축에 대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을 동일축으로 배치할 때, 상기 보호장치를 특히 콤팩트하게 형성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상기 가요성 구조체를 감거나 푸는 동작중에 그리고 감거나 풀린 상태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바람직한 소음동작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코일 스프링에는 동일축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쇠 슬리브, 특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감쇠 슬리브가 배치된다. 상기 감쇠 슬리브는 진동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대이동을 감소하기 위해서 구비되며 따라서 상기 보호장치의 소음차단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권취기능부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에 의하여 충돌에 안전하게 차량 내부공간에 로킹(locking)할 수 있게 형성된다. 따라서, 전복시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차량이 심하게 지체될 때, 내부공간 내의 물체가 상기 보호장치를 상기 내부공간 밖으로 언로킹하도록 유발하지 않는 것이 보장됨으로써, 상기 보호기능이 의문시될 것이다. 충돌에 안전한 로킹은, 특히, 상기 어댑터 부재가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 내의 수용부에 대해서 그리고 상기 말단 캡에 대해서 각각 충분한 안내 길이를 가지며 자체의 형성으로 충돌시 발생되는 힘에 대해서 배치되는 경우에 보장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말단 캡,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 상기 권취회전축 및 상기 권취스핀들의 치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세트 하우징은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에 구비된 형태안정적인 도출 측면부를 위한 멈춤수단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도출 측면부는 상기 말단 캡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 짧게 실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세트 하우징은 상기 권취회전축을 적어도 거의 완전히 둘러싸거나 단지 단면적으로만 상기 권취회전축 주위에로 신장될 수 있다. 상기 말단 캡을 상기 권취스핀들에 단단히 결함하고 상기 말단 캡으로부터 상기 어댑터 부재로 형태맞춤식으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카세트 하우징은 상기 힘으로부터 자유롭게 진행되며 형태 및 제조비용과 관련하여 최적으로 개개의 적용경우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은 특히, 부유하면서 상기 말단 캡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카세트 하우징은 약간의 동작으로 상기 말단 캡에 배치된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을 상기 도출 측면부의 멈춤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카세트 하우징은 상기 말단 캡의 간격보다 짧게 구현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보호장치에서 넓은 짐칸을 차폐해야하는 관심의 대상으로, 상기 짐칸은 말단측으로, 도출 스트립을 작동위치에 걸어야 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칸에 의하여 또는 트렁크의 덮개문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가요성 평면 구조체를 특히, V자 형태 또는 T자 형태로 형성하게 되며, 상기 도출 스트립은 상기 짐칸의 넓은 영역 내에 배치된 말단 캡의 최소 간격보다 짧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에 의해서만, 상기 도출 스트립은 정지위치에서 형태맞춤식으로 수용되며 따라서, 상기 권취회전축은, 상기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바이어스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는 또다른 회전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 및 특징은 특허청구범위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명부에 나타나며, 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보호장치(1)는 권취기능부(2) 및, 말단측으로 상기 권취기능부(2)의 말단 캡(4)에 배치된 어댑터 부재(5)를 포함한다. 상기 권취기능부(2)는 권취회전축(7)을 포함한다. 상기 권취회전축(7)은 축 커넥터(9)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권취스핀들(8)에 위치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덮개면으로 구현된 가요성 평면 구조체로 구비된다. 감는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서, 상기 권취스핀들(8)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된 권취 스프링(6)이 구비된다. 상기 권취 스프링(6)은 L자 형태의 스프링 말단 영역(10)과 함께 형태맞춤식으로 상기 축 커넥터(9)의 수용 홈(11)에 수용된다. 상기 권취 스프링(6)은 도시되지 않은 고정 리벳(rivet)에 의하여 위치고정적으로 상기 권취스핀들(8)에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말단 캡(4)은 리벳(12)을 사용하여 위치고정적으로 상기 권취스핀들(8)의 말단 영역에 고정된다.
상기 말단 캡(4) 사이에는 형태맞춤식으로 실질적으로 L자 형태로 각진, 플라스틱 부재로 구현된 카세트 하우징(13)이 배치된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13)은 상기 말단 캡(4) 위에 세워지며 거기에 형태맞춤식으로 로킹된다. 상기 권취스핀 들(8)을 사용한 상기 말단 캡(4) 사이의 힘 전달에 적합한 연결을 위해 구비된, 독자적으로 기능하는 권취기능부(2)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카세트 하우징(13)은 실질적으로 장식기능 및 상기 권취회전축(7)을 덮기 위한 보호기능에 접근한다. 만약 있다면, 상기 카세트 하우징(13)에 의한 상기 말단 캡(4) 사이의 힘 전달이 단지 근소한 크기로만 수행된다.
상기 어댑터 부재(5)는 각각 압력 스프링(14)에 의하여 상기 말단 캡(4)에 대해서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멈춤 홈으로 구현되며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될 로킹 장치에 의하여, 도 1에 도시된 정지위치와 도시되지 않은 작동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말단 캡(4)에 위치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6)은 동일축으로 배치된 두 개의 감쇠 슬리브(15, 16)를 구비한다. 상기 감쇠 슬리브(15, 16)는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를 감거나 푸는 과정에서 그리고 상기 보호장치(1)의 정지 또는 작동상태에서 소음차단을 위해 작용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말단 캡(4)은 일련의 기능구조체를 포함하는데, 이는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어댑터 부재(5)로 향한 상기 말단 캡(4)의 정면측에는 수용 커넥터(17)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 커넥터(17)는 상기 어댑터 부재(5)의 방향으로 신장되며 상기 권취스핀들(8) 및 상기 압력 스프링(14)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권취스핀들(8)은 상기 수용 커넥터(17)의 홀에 삽입되며 중간종축(18)과 대각선으로 정렬된 리벳(12)에 의해 형태맞춤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압력 스프링(14)은 상기 수용 커넥터(17)와 동심으 로 외주에 배치되며 말단 내벽에 의하여 상기 말단 캡(4)의 정면측 위에 배치된다. 상기 말단 캡(4)의 상측에는 상기 카세트 하우징(13)의 형태맞춤식 수용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13)은 압출성형된 플라스틱 측면부로 구현되며 상기 말단 캡(4)을 단면적으로 포함한다. 이동 안내부(19)는 안내 브릿지(35)에 의해 제한된, 안내 슬롯(20)으로 구현된 홀을 포함한다. 상기 홀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며 상기 어댑터 부재(5)의 방향으로 웨지(wedge) 단면부(21)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말단 캡(4)의 상측으로부터 두드러지게 돌출하는 상기 안내 브릿지(35)의 외측에는, 상응하게 구현된 슬롯을 구비한 상기 카세트 하우징(13)이 형태맞춤식으로 수용된다. 상기 안내 브릿지(35)는 상기 어댑터 부재(5)의 간격 홀더로도 사용된다. 즉, 상기 간격 홀더는 상기 안내 브릿지(35)의 상측 위의 내면과 함께 슬라이딩될 수 있으므로 적합한 물질결합시 거의 소음없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호장치를 사용할 때도 진동에 의해 발생한 활발한 소음 또는 유사한 소음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카세트 하우징(13)과 상기 말단 캡(4) 사이의 힘 전달이 전혀 또는 적어도 거의 제공되지 않으므로, 상기 카세트 하우징(13) 내의 슬롯은 비용절약적으로 완성되고 큰 공차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말단 캡(4)과 상기 카세트 하우징(13) 사이의 동작이 포함된 적합화가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적합화로 인해, 소음차단 방식을 예를 들어, 섬유 밴드에 의하여, 말단 캡(4)과 카세트 하우징(13) 사이에 제공하는 것이 수월해진다.
상기 웨지 단면부(21)는 상기 어댑터 부재(5)의 간단한 설치를 가능케 한다. 상기 어댑터 부재(5)에서는 내벽에 상기 안내 슬롯(20)에 상응하게 구현된, 도 6에 서 보다 상세히 도시된, 상기 멈춤 홈의 일부인 멈춤쇠(32)가 구비된다. 상기 멈춤쇠(32)는 상기 어댑터 부재(5)를 상기 말단 캡(4) 위로 감을 때 상기 웨지 단면부(21)위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안내 슬롯(20)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마찬가지로, 멈춤쇠(33)는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될, 슬롯(34)으로 구현된 홀 안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말단 캡(4)의 측면 영역에는 도출 슬롯(22)이 구비된다. 상기 도출 슬롯(22)은 상기 권취회전축(7) 위에 수용된 가요성 평면구조체(3)를 감거나 푸는 것을 가능케 한다.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3)는 제1 말단측 영역에서 상기 권취회전축(7)에 고정되며, 작동자로 하여금 덮개면을 편안하게 잡을 수 있게 하는 도출 스트립(23)을 제2 말단측 영역에 구비한다. 상기 도출 스트립(23)은 차량을 고정하는 로킹 홈 내에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말단 영역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보호장치의 정지위치에서, 상기 도출 스트립(23)의 원통형 말단 영역은 상기 말단 캡(4)의 측면(24)과 연결되므로,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3)를 감는 과정이 상기 권취회전축(7)으로 제한된다. 상기 연결에 의하여, 상기 어댑터 부재(5)를 배치하지 않고도, 상기 스프링 장치(6)에 저장된 바이어스를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3)가 감겨진 상태에서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상기 말단 캡(4) 및 상기 어댑터 부재(5)는 각각 순환하며, 단면적으로 실질적으로 U자 형태의 횡단면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어댑터 부재(5)는 상기 말단 캡(4)을 이동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상기 단면적인 U자 형태로 형성된 횡단면에 의하여, 상기 말단 캡(4)과 상기 어댑터 부재(5) 사이의 형태맞춤식의 회전모멘트 전달이 각각의 지지단면부를 사용하여 가능해진다. 상기 지지단면부는 상기 단면적으로 U자 형태로 형성된 말단 캡(4)의 외면을 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말단 캡(4)을 상기 어댑터 부재(5) 내에 형태맞춤식으로 수용함으로써 상기 어댑터 부재(5)의 내면에 연결된다. 상기 어댑터 부재(5)는 자체적으로 볼 때, 상기 말단 캡(4)으로부터 방향전환된 정면 영역에서 두드러지게 구현된 로킹 구조체(25)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 구조체(25)는 차량의 내부공간 내의 형태맞춤식 로킹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로킹 구조체(25)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횡단면을 구비한다. 상기 횡단면은 둥근 모서리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차량으로의 힘 및 회전모멘트 전달을 가능케 한다. 상기 어댑터 부재(5)에는 정면측으로 삽입개구부(26, 27)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개구부(26, 27)는 도 5 및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도시된 로킹 버튼(31)을 당기는 것을 가능케 하며 따라서 상기 어댑터 부재(5)를 상기 말단 캡(4)으로부터 분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어댑터 부재(5)는 관통슬롯(28)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슬롯(28)은 상기 말단 캡(4)의 도출 슬롯(22)과 함께 상응하게 구현되며 상기 어댑터 부재(5)의 위치와 상관없이 상기 말단 캡(4)에 대해서 상기 권취회전축(7)으로부터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3)를 방해받지않고 감거나 풀 수 있게 한다.
도 4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말단 캡(4)은 내면에 강화 립(rib)(29)을 구비한다. 상기 강화 립(29)은 상기 말단 캡(4)의 정면 영역을 지지하므로 바람직한 강화를 유발한다. 상기 말단 캡(4)의 하측에는 도 4 및 도 5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고정 몸체 조인트(30)에 의하여 상기 말단 캡(4)에 조여진 로 킹 버튼(31)이 형성된다. 상기 로킹 버튼(31)은 상기 어댑터 부재(5)의 멈춤쇠(33)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34)으로 구현된 홀을 구비하며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멈춤 연결에 의하여 상기 어댑터 부재(5)를 상기 말단 캡(4)에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어댑터 부재(5)를 상기 말단 캡(4)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상기 로킹 버튼(31)을 예를 들어,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빼냄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는 조리개를 사용하여 상기 로킹 버튼(31)에 가까이 댐으로써, 상기 로킹 버튼(31)은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정지위치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말단 캡(4)과 어댑터 부재(5) 사이의 형태맞춤식 연결이 해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어댑터 부재(5)가 상기 말단 캡(4)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말단 캡(4)에 구비된 안내 슬롯(20) 및 상기 슬롯(34)은 홀을 형성한다. 즉, 상기 어댑터 부재(5)에 구비된 멈춤쇠(32, 33)를 형태맞춤식으로 삽입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한다. 상기 슬롯(20, 34) 및 상기 멈춤쇠(32, 33)에 의하여 형성된 멈춤 홈은 선형이동적인 안내 및 상기 말단 캡(4)을 사용한 어댑터 부재(5)의 축방향의 형태맞춤식 로킹을 보장한다.
상기 말단 캡(4) 및 상기 어댑터 부재(5)는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다이 캐스팅(die casting) 부재로 구현되며 적합한 물질선택시 상기 권취기능부(2)를 충돌에 안전하게 차량의 내부공간 내에 고정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장식기능을 갖는 상기 카세트 하우징(13)은 플라스틱 압출성형 부재 또는 플라스틱 다이 캐스팅 부재로 구현되는 것 외에도 알루미늄 선상 압출 부재 또 는 둥글게 형성되고 래커칠되거나 다르게 덧칠된 강철부재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차량에 특히 바람직한 적합화를 가능케 하는 다양한 형성가능성이 존재한다.
상기 보호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 감쇠 슬리브(15)를 상기 권취스핀들(8) 위로 밀고, 이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6)을 상기 감쇠 슬리브(15)로 밀며 상기 권취스핀들(8)을 사용하여 리벳 연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어서, 상기 외부 감쇠 슬리브(16)는 상기 코일 스프링(6) 위로 밀며 스프링 말단 영역(10)은 상기 축 커넥터(9)의 수용 홈(11)으로 민다. 이어서, 상기 권취회전축(7)을 상기 축 커넥터(9) 위로 밀며 상기 축 커넥터(9)의 멈춤쇠에 의하여 형태맞춤식으로 로킹한다. 상기 권취회전축(7)의 반대방향의 말단 영역에는 마찬가지로, 축 커넥터(9)가 밀리며, 마찬가지로, 형태맞춤식으로 로킹되므로, 전체적으로 권취회전축(7)과 권취스핀들(8) 사이의 슬라이딩 배치가 이루어진다. 다음 작업단계에서, 각각 말단측으로 상기 권취스핀들(8) 위로 상기 말단 캡(40을 밀며, 리벳(12)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권취스핀들(8)을 사용하여 상기 말단 캡(4) 사이의 단단한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에 의하여,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3)로 진입한 힘이 상기 어댑터 부재(5)로 그리고 동시에 상기 차량으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영역에 따라서, 상기 말단 캡(4) 사이에는 카세트 하우징(13)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13)은 상기 권취회전축(7)을 부분적으로 또는 적어도 거의 완전히 둘러싸며,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 상기 말단 캡, 상기 어댑터 부재 및 상기 차량 사이의 힘과 회전모멘트의 전달시에 적어도 거 의 감기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권취기능부(2)는 독자적인 구성그룹으로 예비설치된다.
이하 작업단계에서, 압력 스프링(14)을 상기 말단 캡(4)의 수용 커넥터(17) 위에 세우고, 어댑터 부재(5)를 상기 말단 캡(4) 위로 민다. 이때, 각각 상기 어댑터 부재(5)에 구비된 멈춤쇠(32, 33)는 상기 말단 캡(4)의 웨지 단면부(21)에 의하여 슬라이딩되므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말단 캡(4)과 상기 어댑터 부재(4) 사이의 형태맞춤식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장치(1)를 차량 내에 설치하기 위해서, 반대로 향해진 힘을 상기 중간종축(18)의 방향으로 상기 어댑터 부재(5)로 가하므로, 상기 압력 스프링(14)이 압축되므로 상기 어댑터 부재(5)는 서로 근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장치(1)는 차량 내부공간의 상응하게 형성된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사용된 힘을 줄인 후에, 상기 어댑터 부재(5)를 상기 차량 내부공간 내에 자동으로 로킹하는 것이 수행된다.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3)가 상기 권취회전축(7)으로부터 감거나 풀 수 있고 상기 말단 캡(4)과 상기 도출 스트립(23) 사이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 바이어스를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3)가 감겨진 정지위치에서 상실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때문에, 상기 권취기능부(2)는 이미 자체적으로 기능적인 보호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권취기능부(2)는 상기 어댑터 부재(5)를 차량 개별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적합화될 수 있다. 상기 권취스핀들(8)에 의한 상기 말단 캡(4) 사이의 단단한 연결에 의하여,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에 작용하는 힘이 상 기 권취회전축(7)으로부터 직접 상기 말단 캡(4)으로 전달되고, 종래의 보호장치에서처럼, 형태안정적이며 비싼 카세트 하우징에 의하여 상기 말단 캡 사이로 힘이 전달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짐칸 보호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서로 다른 차량 에 적합화할 수 있다.

Claims (19)

  1. 권취기능부(2)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기능부(2)는, 권취회전축(7)으로부터 감거나 풀 수 있는 가요성 평면구조체(3)를 구비하고, 개개의 차량을 차량내부공간 내에 형태맞춤식으로 또는 구동적으로 배치하기 위해서 차량 말단측으로 상기 권취기능부(2)의 말단 캡(4)에 설치할 수 있는 어댑터 부재(5)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호장치(1)에 있어서,
    상기 권취회전축(7)은 상기 말단 캡(4)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말단 캡(4)은 외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지지단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단면부는 구동력을 어댑터 부재로 전달하기 위해서 형태맞춤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면부는, 실질적으로 폐쇄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U자 형태인 말단 캡의 횡단면을 상기 권취회전축(7)의 회전축에 법선인 평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말단 캡(4)은 상기 권취회전축(7)의 축방향으로 신장된, 상기 어댑터 부재(5)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 브릿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말단 캡은 상기 어댑터 부재(5)를 밀어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5. 제1항의 전제부 또는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능부(2)는, 스프링 장치(6)를 사용하여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3)를 감거나 풀기 위해서 형성되며,
    상기 권취기능부(2)는 스프링 장치(6)를 상기 권취위치에서 바이어스를 유지하기 위한 멈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회전축(7)은 동일축으로 배치된 권취스핀들(8)과 회전가능하게 실제로 연결하기 위한 말단측으로 설치된 축 커넥터(9)를 포함하며,
    상기 말단 캡(4)은 상기 권취스핀들(8)의 말단 단면부에 단단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축 커넥터(9)는 상기 스프링 장치(6)의 말단영역을 위한 수용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축 커넥터(9)는 방사상으로 신장된, 순환하는 링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링 밴드는 상기 권취회전축(7)의 내경보다 크게 구현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축 커넥터(9)는 상기 권취회전축(7)에 형태맞춤식으로 수용하기 위해서 형성된 멈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캡(4)은,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3)에 구비된 형태안정적인 도출 측면부(23)를 위한 멈춤수단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3)가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장치(6)의 바이어스가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5)는 이동가능하게 말단 캡(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회전축의 중간축 방향의 말단 캡에 대한 상기 어 댑터 부재는 서로 맞물리는 멈춤 홈을 통하여 선형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말단 캡에 안내되고 축방향으로 형태맞춤식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홈은, 상기 어댑터 부재 및 상기 말단 캡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홀 및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5)는 교체가능하게 말단 캡(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캡(4)과 상기 어댑터 부재(5) 사이에 스프링 장치(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캡(4) 사이에 설치가능한, 상기 권취회전축(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덮개부(13)가 형태맞춤식으로 또는 구동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말단 캡(4)에 설치가능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5)는 도구를 사용하지않고 상기 말단 캡(4)에 연결가능하거나 상기 말단 캡(4)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6)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에는 동일축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쇠 슬리브(sleeve)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능부(2)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5)에 의하여 충돌에 안전하게 차량 내부공간에 로킹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19. 제5항에 있어서, 카세트 하우징(13)은 상기 가요성 평면구조체(3)에 구비된 형태안정적인 도출 측면부(23)를 위한 멈춤수단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도출 측면부(23)는 상기 말단 캡(4)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 짧게 실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능부를 구비한 차량의 보호장치.
KR1020060099490A 2005-10-14 2006-10-12 교체가능한 어댑터 부재를 구비한 보호장치 KR200700413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510049989 DE102005049989B4 (de) 2005-10-14 2005-10-14 Schutzvorrichtung mit austauschbaren Adapterteilen
US11/251,621 2005-10-14
US11/251,621 US7392834B2 (en) 2005-10-14 2005-10-14 Protection device with replaceable adaptor parts
DE102005049989.9 2005-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368A true KR20070041368A (ko) 2007-04-18

Family

ID=3768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490A KR20070041368A (ko) 2005-10-14 2006-10-12 교체가능한 어댑터 부재를 구비한 보호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775164B1 (ko)
JP (1) JP2007106407A (ko)
KR (1) KR20070041368A (ko)
AT (1) ATE400473T1 (ko)
DE (1) DE502006001055D1 (ko)
ES (1) ES230988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428B1 (ko) * 2021-08-12 2022-06-28 광성기업 주식회사 카고 스크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7007924U1 (de) * 2007-05-21 2007-09-06 Bos Gmbh & Co. Kg Heckfensterrollo mit Hutablage als Trägerelement
JP4919083B2 (ja) * 2007-11-22 2012-04-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JP5602033B2 (ja) * 2011-01-17 2014-10-08 日本発條株式会社 トノカバー装置
TWI451023B (zh) * 2011-05-03 2014-09-01 Jin Kun Du 捲簾之捲軸與邊蓋固定結構
DE102018209413B4 (de) 2018-06-13 2024-03-07 Bos Gmbh & Co. Kg Tragvorrichtung für eine Schutz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CN109398242A (zh) * 2018-11-03 2019-03-01 温州锦成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固定式防止异响卡接安装结构
CN115285058A (zh) * 2022-06-30 2022-11-04 优跑汽车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乘员防护装置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8094A (en) * 1976-10-30 1979-09-18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Device for covering up a parcel floor in an automobile
US5464052A (en) * 1993-11-08 1995-11-07 Takata, Inc. Security shade with a motor spring subassembly
DE19526666C2 (de) * 1995-07-21 2002-05-16 Baumeister & Ostler Gmbh Co Abdeckeinrichtung mit hoher Crashsicherheit
US5813449A (en) * 1997-03-19 1998-09-29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Vehicle security shade with telescoping end pieces
DE19915173C1 (de) * 1999-04-01 2000-05-04 Butz Peter Verwaltung Laderaum-Trennvorrichtung für Fahrzeuge, insbesondere für Kombinations-Personenkraftwa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428B1 (ko) * 2021-08-12 2022-06-28 광성기업 주식회사 카고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5164B1 (de) 2008-07-09
ES2309883T3 (es) 2008-12-16
ATE400473T1 (de) 2008-07-15
JP2007106407A (ja) 2007-04-26
EP1775164A1 (de) 2007-04-18
DE502006001055D1 (de)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1368A (ko) 교체가능한 어댑터 부재를 구비한 보호장치
US8869870B2 (en) Sun shade motor spring assembly
US7392834B2 (en) Protection device with replaceable adaptor parts
EP1363375B1 (en) Wire harness protector
EP0652136B1 (en) Security cover with a spring motor subassembly
US5881793A (en) Shade assembly mount for vehicle compartment
US7918490B2 (en) Drive device for moving a covering element, door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drive device
US6305129B1 (en) Door trimming panel having a window-lift mechanism
KR20070007730A (ko) 적어도 하나의 권취 회전축을 포함하는 짐칸 보호장치
US6039105A (en) Compressible pocket for cargo shade attachment
JP6017857B2 (ja) 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
US20030189196A1 (en) Tensioning device for cable inserted through flexible tube
JP2000226955A (ja) 自動車用開放リ―フ把手
WO1997034067A1 (en) Window regulator with spring retainer
KR101712232B1 (ko) 차양장치
US8770256B2 (en) Fixed motor spring shade
JP2005247048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KR20170094344A (ko) 차량 내부 칸막이용 보호 장치
EP3613642B1 (en) Flat cable wind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2019059351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GB2335703A (en) Vehicles : sliding windows : manual winder
WO2017018093A1 (ja) 巻取装置
EP1493653B9 (en) Module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roof trim
JP4102470B2 (ja) 車両用ライニング
US20060225843A1 (en) Locking end cap for a roller sh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