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0344A - 슬라이딩 조립체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0344A
KR20070040344A KR1020070003697A KR20070003697A KR20070040344A KR 20070040344 A KR20070040344 A KR 20070040344A KR 1020070003697 A KR1020070003697 A KR 1020070003697A KR 20070003697 A KR20070003697 A KR 20070003697A KR 20070040344 A KR20070040344 A KR 20070040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late
main plate
main
sl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6599B1 (ko
Inventor
최승원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주)브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티엘 filed Critical (주)브이티엘
Publication of KR2007004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조립체는 본체부의 커버부와 접하는 면에 설치되고 양 측부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커버부의 본체부와 접하는 면에 설치되고 본체부의 일면을 폐쇄하거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한 상기 커버부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 측부에 메인 플레이트의 가이드 돌기가 결합되는 가이드 슬릿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제1말단이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제2말단이 메인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 사이의 틈에 설치되는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띠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진 스프링으로서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되어 메인 플레이트 상의 일정 위치를 지날 때마다 스프링의 가압력의 방향이 바뀌도록 구성되고 스프링의 제1말단부터 제2말단까지는 어느 부분도 두께방향으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나의 평면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며, 제2말단부터 일정 길이만큼의 부분은 제2말단이 고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형태를 이루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전화기, 슬라이딩형, 스프링, 탄성수단, 플레이트

Description

슬라이딩 조립체{Sliding assembly}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형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커버부와 본체부가 완전히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슬라이딩 조립체의 정면도 및 휴대전화기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커버부가 본체부 상에서 중간 정도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낸 슬라이딩 조립체의 정면도 및 휴대전화기의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커버부가 본체부 상에서 완전히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낸 슬라이딩 조립체의 정면도 및 휴대전화기의 측면도이다.
도7 내지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의 커버부가 본체부 상에서 완전히 겹쳐진 상태 및 완전히 슬라 이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14a 및 14b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에 사용되는 적층형 스프링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15a 및 15b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에 사용되는 연결부위 응력분포 확대형 적층형 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16a 및 16b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에 사용되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위 응력분포 확대형 적층형 스프링의 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17a 내지 17d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에 사용되는 적층형 스프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20 : 커버부
31 : 슬라이드 플레이트 32 : 가이드 슬릿
33 : 고정 구멍 41 : 메인 플레이트
42 : 가이드 리브 43 : 스프링 고정 돌기
44 : 고정 구멍 51 : 단수형 롤 스프링
52 : 제2말단 53 : 제1말단
61 : 복수형 롤 스프링 71 : 적층형 스프링
72 : 볼록부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전화기의 슬라이딩 조립체 내부에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기 위해 장착되는 스프링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스프링이 차지하는 두께가 줄어들어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된 스프링을 보유하는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자주 이용되는 휴대전화기는 그 외형에 따라 플립형 휴대전화기와 폴더형 휴대전화기 및 슬라이딩형 휴대전화기로 구분된다. 플립형 휴대전화기는 디스플레이창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버튼이 있는 본체부의 일부분만을 플립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중앙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 등장한 슬라이딩형 휴대전화기는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근자에 들어서는 전자의 플립형보다는 후자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나 슬라이딩형 휴대전화기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최근에 등장한 슬라이더형 휴대전화기를 보면, 복수의 입력버튼이 마련된 본체부에 대해 디스플레이창이 구비된 커버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원동력으로 복수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채용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19967호 및 등록번호 20-0308165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을 살펴보면, 휴대전화기의 슬라이딩 조립체는 휴대전화기의 본체부를 지지하는 메인 플레이트와 휴대전화기의 커버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로 구성되는데 각각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고,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양측에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에는 가이드 슬릿에 슬라이딩 안내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 사이에는 양단이 각각 메인 플레이트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대한 이동 탄성력을 부여하는 비틈림 코일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커버부를 본체부의 일측으로 밀어올리거나 내리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커버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본체부를 개폐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사용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다수번 권취되어 중심 코일 부분이 겹겹이 층을 이루는 형태의 스프링이므로 스프링의 전체 두께는 스프링의 재료인 강선의 두께의 몇 배가 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스프링이 두꺼워지면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마주 보는 두면 사이의 거리가 그만큼 멀어져야 하므로 휴대전화기가 그만큼 두꺼워지게 된다.
그러나 각 휴대전화기 제작업체마다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줄이기 위한 경쟁을 하고 있으며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0.1mm 단위까지 광고에 게재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스프링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면 대단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프링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스프링의 재료인 강선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은 스프링의 탄성력 및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어 한계가 있고, 종전의 비틀림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겹겹이 층을 이루는 부분이 있어서 스프링의 두께를 줄이는 것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경우 두께상의 제약이 필요하므로 많은 횟수를 권취하지 않으므로 탄성 반발력에 한계가 있으며 슬라이딩시 스프링의 변형이 커서 오랜 시간 반복 사용시 스프링의 탄성 반발력이 떨어지는 한편 스프링 부재의 피로로 인한 파괴 염려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슬라이딩 조립체 내부의 스프링이 그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힘을 가해 휴대전화기의 커버부를 열고 닫아야 하므로 불편감이 크고 경우에 따라서는 커버부와 본체부의 결합이 헐렁해져서 커버부가 원치 않는 시기에 열리고 닫히게 될 수도 있어 휴대폰 전체를 교체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조립체에 장착되는 스프링을 종전의 비틀림코일 스프링 대신 하나의 평면상에 놓이는 개량된 형태의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두께를 종전에 비해 줄일 수 있고 작동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조립체는, 본체부의 커버부와 마주보는 인접하는 면에 설치되고 양측부에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커버부의 본체부와 마주보는 인접하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폐쇄하거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한 상기 커버부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측부에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가이드 리드가 결합되는 가이드 슬릿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및 제1말단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제2말단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틈에 설치되는 띠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진 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양쪽 끝 부분이 제1말단과 제2말단을 중심으로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스프링으로서,
상기 스프링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나의 수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제1말단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스프링 고정용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제2말단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스프링 고정용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타고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의 제1말단의 고정위치가 상기 스프링의 제2말단의 고정위치를 지날 때마다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의 방향이 바뀌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1)은 양쪽 끝 부분이 제1말단과 제2말단을 중심으로 서로 같은 방향으로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모양을 가지는 것이 바 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조립체가 장착된 휴대전화기는 크게 본체부와 커버부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부(10)는 휴대전화기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그 일면에는 전화번호나 문자메시지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의 복수의 입력버튼(1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버튼(12)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송신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입력버튼(12)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의 일면에는 입력버튼(12)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창(22)과, 각종 기능버튼(24)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창(22)에는 이외에도 전화번호, 배터리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다. 선택 사항이기는 하지만, 디스플레이창(22)의 상부에는 그림이나 사진 등의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카메라부(26)의 주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듣기 위한 수신부(28)가 마련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의 분해사시도로서, 슬라이딩 조립체는 본체부(10)의 커버부(20)와 마주보는 면상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41)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41)와 접하도록 커버부(20)의 면상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1)와, 메인 플레이트(41)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31) 사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51)과, 메인 플레이트(41)에 스 프링(51)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프링 고정용 돌기(43)로 구성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1)와 메인 플레이트(41)에는 소정의 가이드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1)의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슬릿(32)들과, 상기 메인 플레이트(41)의 양측 부위 상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슬릿(32)들과 각각 결합하는 가이드 리브(42)들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41)의 가이드 리브(42)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1)의 가이드 슬릿(32)에 긴밀히 삽입됨으로써 커버부(20)가 본체부(10)와 결합되어 본체부(10)에 대해 휴대전화기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드 플레이트(31)와 메인 플레이트(4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51)이 설치되는데 슬라이딩 조립체의 두께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인 도 3에서와 같이 스프링(51)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처럼 스프링이 휴대전화기의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게 형성되지 않고 종전의 시계 등에 사용되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같이 하나의 평면상에서 감긴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4는 커버부(20)가 본체부(10)를 완전히 겹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스프링(51)은 똑같은 형태의 스프링이 두 개 설치되며, 2개의 스프링(51)의 제1말단(53)들 각각은 끝이 꼬부라져서 꼬부라진 부분이 슬라이드 플레이트(31)의 양 측부에 구비된 고정 구멍(33)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되고, 2개의 스프링(51)의 제2말단(52)들 각각은 동그랗게 말려서 메인 플레이트(41)에 결합된 2개의 스프링 고정 돌기(43) 각각의 둘레에 걸리게 된다.
스프링(51) 2개를 고정하는 데 있어서, 스프링 말단의 고정은 2개의 스프링(51) 중 하나의 제1말단(53)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1)의 좌측 가장자리 근처 지점에 고정되고 제2말단(52)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41)의 우측 절반영역 내의 지점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51) 중 나머지 하나의 제1말단(53)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1)의 우측 가장자리 근처 지점에 고정되고 제2말단(52)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41)의 좌측 절반영역 내의 지점에 고정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메인 플레이트(41)와 결합되는 스프링(51)의 제2말단(52)이 상기 방식과 반대가 되면 메인 플레이트(41)의 최대 이동거리가 상기 방식과 비교할 때 현저히 줄어든다. 왜냐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31)의 폭 방향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메인 플레이트(41)의 최대 이동거리(L)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1)의 폭(W)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다. 폭(W)이 좁아지면 최대 이동거리(L)를 길게 하는 데 제약이 가해진다. 동일한 최대 이동거리(L)를 얻는 데 있어서, 상기 방식에 따르는 것이 슬라이드 플레이트(31)의 폭(W)을 작게 가져갈 수 있다. 이는 상기 방식을 따를 때 두 스프링(51)이 선회운동을 하면서 압축-신장을 할 때, 폭(W) 방향 간격을 최대한 활용하기 때문이다. 휴대폰은 단소박형의 구조로 설계되길 요구받고 있는데 메인 플레이트(41)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1)의 폭(W)을 작게 하면서도 필요한 최대 이동거리(L)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방식이 유리한 것이다.
스프링(51) 중에서 제2말단(52)과 가까운 부분은 제2말단(52)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도록 반경이 점점 커지면서 돌돌 감겨진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감겨진 횟수는 2회 내지 4회가 적당하며 2회 미만이 될 수도 있다.
스프링(51)에서 소용돌이 모양이 끝나는 지점부터 제1말단(53)까지는 미세한 곡선을 이루는 거의 직선에 가까운 형태를 가진다.
스프링(51)의 재료는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인데, 피아노선이나 이와 동등 내지 우수한 신뢰성과 탄성을 가지는 다른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스프링(51)의 재료가 되는 띠강의 직경은 0.4~0.6mm이다. 스프링은 먼저 도면에 나타낸 형상이 되도록 휘거나 말아서 성형한 후에 스프링 전체가 납작하게 되도록 압연을 함으로써 두께가 0.2~0.3mm가 되도록 하여 보다 얇은 두께의 스프링을 제작할 수 있다.
압연을 하기 전에 스프링의 모양을 잡아놓는 이유는 납작하게 되도록 압연을 한 다음에 스프링을 성형하려면 재료가 잘 휘어지지 않고 편평한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먼저 스프링을 성형한 다음에 압연을 하면 스프링 성형시 부분적으로 꼬이는 부분이 발생되더라도 압연을 거치면서 다시금 편평도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또는, 스프링 전체가 아닌 스프링 중에서 스프링 고정용 돌기(43)의 둘레에 동그랗게 말리는 부분만이 납작하게 되도독 이 부분만 압연할 수 있다. 이는 스프링의 감긴 부분이 빠지지 않게 해주는 스프링 고정용 돌기(43)의 말단부가 스프링의 두께보다 더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되면 슬라이딩시 스프링 고정용 돌기(43)의 끝이 슬라이드 플레이트(31)를 긁을 위험이 있으므로 스프링 고정용 돌기(43)에 감기는 스프링의 부분을 납작하게 함으로써 스프링 고정용 돌기(43)의 돌출된 길이와 스프링의 전체적인 두께를 비슷하게 하여 상기와 같은 위험을 방지하 기 위함이다.
이 상태에서 메인 플레이트(41)를 상측으로 약간 이동시키면 스프링(51)의 탄성반발력이 메인 플레이트(41)의 아래 방향으로 가해지는데, 이는 스프링(51)은 언제나 처음의 형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지므로 처음의 상태보다 스프링(51)의 제1말단(53)과 제2말단(52)이 가까워지게 되면 스프링(51)의 제1말단(53)과 제2말단(52)이 가장 먼 상태에 있도록 스프링(51)으로부터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제2말단(52)이 움직여서 제1말단(53)보다 위에 있게 되기 전에는 스프링(51)이 늘 메인 플레이트(41)가 아래쪽으로 움직이도록 힘을 가하게 되므로 커버부(20)가 일정한 거리만큼 슬라이딩되기 전까지는 사용자가 손으로 커버부(20)를 미는 힘을 가해야만 커버부(20)가 끝까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도5는 커버부(20)가 본체부(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에서의 중간 상태로서 커버부(20)가 본체부(10)의 일부분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1)가 이동되면 스프링의 제2말단(52)이 스프링 고정 돌기(43)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스프링의 제1말단(53)이 고정 구멍(33) 내에서 회전되며 스프링(51)이 휘어지면서 스프링(51)이 원 상태로 복귀하고자 하는 탄성에 의해서 미는 힘이 생기는데 그림과 같이 제1말단(53)의 높이와 제2말단(52)의 높이가 같게 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제2말단(52)이 제1말단(53)보다 밑에 있으면 메인 플레이트(41)가 스프링(51)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을 받고 제2말단(52)이 제1말단(53)보다 위에 있으면 메인 플레이트(41)가 스프링(51)에 의해 위쪽으로 힘을 받 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부(20)를 이 기준이 되는 지점을 넘어설 때까지만 힘을 가하면 그 이후에는 힘을 가하지 않아도 커버부(20)가 저절로 이동되어 개방된다.
도6은 커버부(20)가 본체부(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이 끝나서 커버부(20)가 본체부(10)의 일부분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커버부(20)를 닫으려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커버부(20) 위에 대고 아래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면 된다.
도7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용 슬라이딩 조립체의 여러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들 모두 하나의 스프링(51, 61)의 한쪽 말단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1)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메인 플레이트(41)에 고정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도7에서의 스프링(61)은 상기한 스프링과는 생김새가 다른 것으로서, 제1말단 근처와 제2말단 근처의 스프링 부분이 모두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스프링을 이하에서 복수형 롤 스프링(61)이라고 하고, 한쪽에만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는 것을 단수형 롤 스프링(51)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도7에 도시된 실시예는 2개의 복수형 롤 스프링(61)이 설치된 것으로서, 복수형 롤 스프링(61)에서 스프링(61)의 제1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은 반시계방향으로 감기며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고 있고, 스프링의 제2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도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감기며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고 있어서 가운데의 직선에 가까운 부분을 직선 방향으로 연장한 선을 경계로 해서 스프링의 제1말단과 제2말단이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복수형 롤 스프링(61)은 단수형 롤 스프링(51)에 비하여 스프링(61)의 응력이 양쪽으로 분산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2개의 복수형 롤 스프링(61)이 설치된 것인데, 복수형 롤 스프링(61)에서 스프링(61)의 제1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은 반시계 방향으로 감기며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고 있고, 스프링의 제2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은 시계 방향으로 감기며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고 있어서 양쪽의 소용돌이를 이루는 부분을 연결하는 부재를 기준으로 할 때 스프링의 제1말단과 제2말단이 모두 같은 편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도7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양쪽의 소용돌이를 이루는 부분을 연결하는 부재에도 응력이 분산되므로 스프링에 응력분포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9 및 도10은 복수형 롤 스프링(61) 하나만 장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렇게 구성하여도 작동성에는 큰 지장이 없다.
도11 및 도12는 둘 다 1개의 복수형 롤 스프링(61)과 1개의 단수형 롤 스프링(51)이 장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단수형 롤 스프링(51)의 제1말단과 제2말단의 고정된 위치가 서로 반대된다는 점에만 차이가 있다.
도13은 단수형 롤 스프링(51) 하나만 장착된 실시예인데, 이 경우에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 비하면 스프링(51)의 탄성력이 약하고 수명이 짧을 것이다.
도14a 및 도14b는 복수형 롤 스프링(61) 두 개를 각각의 말단이 동일한 스프링 고정용 돌기(43)에 고정되게 하고 평면상에서 겹쳐놓아서 두 겹이 되게 한 적층 형 스프링(71)을 나타낸 것이다. 적층형 스프링(71)을 적용할 경우 두 개의 스프링을 장치할 때 도 7이나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해서 스프링이 차지하는 면적이 보다 적다는 장점이 있다.
도15a 및 도15b는 응력분포 확대형 적층형 스프링(71)을 나타낸 것이다.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는 양쪽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에 응력이 걸리기 때문에 이 부분의 길이가 길수록 응력분포가 더 잘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스프링의 안정성도 향상된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 도15a 및 도15b에 도시된 것처럼 이 부분이 원호가 되게 함으로써 이 부분의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는 부분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는 부분은 길이를 짧게 해도 응력 분산의 효과를 충분히 거둘 수 있게 되어 도15b에 도시된 것처럼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는 부분이 반원형을 이루거나, 도17a 내지 도17d에 도시된 것처럼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는 부분이 없게 하여도 되고, 강성은 여러 겹의 적층형 구조를 통해서 필요한 만큼 확보할 수 있다.
도16a 및 도16b와 도 17d는 응력분포 확대형 적층형 스프링에 있어서 가운데 부분에 볼록부(72)를 형성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는 양쪽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이 더 길게 되어 응력 분산의 효과가 더해진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휴대전화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슬라이딩 조립체는 휴대전화기 외에도 PDA나 계산기 등 각종 슬라이딩형 휴대용 기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는 모든 스프링의 부분이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되므로 종래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비하여 최소한 두께가 1/2만큼 줄어들게 되고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는 데 있어 유리하며, 두께가 줄어들면서도 스프링의 감은 횟수는 더 많게 할 수 있어서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이 향상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스프링을 이루는 강선의 길이가 길어서 스프링의 변형되는 정도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비해 훨씬 적으므로 스프링 부재의 반복적인 변형에 따른 피로도가 저하되어 내구성과 수명이 길고, 휴대전화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개수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본체부(10)의 커버부(20)와 마주보는 인접하는 면에 설치되고 양측부에 가이드 리브(42)가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41)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41)와 마주보도록 커버부(20)의 본체부(10)와 마주보는 인접하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을 폐쇄하거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한 상기 커버부(20)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측부에 상기 메인 플레이트(41)의 가이드 리드(42)가 결합되는 가이드 슬릿(32)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1) 및 제1말단(53)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1)에 고정되고 제2말단(52)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41)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41)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1) 사이의 틈에 설치되는 띠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진 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양쪽 끝 부분이 제1말단과 제2말단을 중심으로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스프링(61)으로서,
    상기 스프링(61)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나의 수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61)의 제1말단(53)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1)에 스프링 고정용 돌기(4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61)의 제2말단(52)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41)에 스프링 고정용 돌기(4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1)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41)를 타고 슬라이딩 되 는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61)의 제1말단(53)의 고정위치가 상기 스프링(61)의 제2말단(52)의 고정위치를 지날 때마다 상기 스프링(61)의 가압력의 방향이 바뀌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1)은 양쪽 끝 부분이 제1말단과 제2말단을 중심으로 서로 같은 방향으로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조립체.
KR1020070003697A 2005-10-11 2007-01-12 슬라이딩 조립체 KR100716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484 2005-10-11
KR1020050095484 2005-10-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31394A Division KR100697622B1 (ko) 2005-10-11 2005-12-28 슬라이딩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344A true KR20070040344A (ko) 2007-04-16
KR100716599B1 KR100716599B1 (ko) 2007-05-09

Family

ID=381761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31394A KR100697622B1 (ko) 2005-10-11 2005-12-28 슬라이딩 조립체
KR1020070003697A KR100716599B1 (ko) 2005-10-11 2007-01-12 슬라이딩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31394A KR100697622B1 (ko) 2005-10-11 2005-12-28 슬라이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6976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931B1 (ko) * 2007-07-05 2008-10-16 주식회사 엠티엑스하이브리드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모듈
WO2009134028A2 (en) * 2008-05-02 2009-11-05 Hansang Lee Elasticity module, slide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portable appliance utilizing the elasticity module
EP1983728A3 (de) * 2007-04-18 2011-05-18 Lumberg Connect GmbH Verschiebbares tragbares Gerät mit C-förmigem Federelement
WO2016068440A1 (ko) * 2014-10-29 2016-05-06 주식회사 클럽모바일 왕복 이동 슬라이더를 가지는 유닛 및 이를 장착한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5185A1 (en) * 2007-06-30 2009-01-08 Kbf Co., Ltd. Slide hinge
KR20100066843A (ko) * 2008-12-10 2010-06-18 (주) 프렉코 스프링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
CN111107191B (zh) 2018-10-25 2021-08-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滑轨结构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903A (ko) * 2002-01-03 200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버너
KR200359903Y1 (ko) 2004-05-25 2004-08-23 성우전자공업(주)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20060001898A (ko) * 2005-12-12 2006-01-06 배종현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3728A3 (de) * 2007-04-18 2011-05-18 Lumberg Connect GmbH Verschiebbares tragbares Gerät mit C-förmigem Federelement
KR100863931B1 (ko) * 2007-07-05 2008-10-16 주식회사 엠티엑스하이브리드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모듈
WO2009005312A2 (en) * 2007-07-05 2009-01-08 Mtx Hybrid Co., Ltd. Elastic member and sliding module having the same
WO2009005312A3 (en) * 2007-07-05 2009-03-05 Mtx Hybrid Co Ltd Elastic member and sliding module having the same
WO2009134028A2 (en) * 2008-05-02 2009-11-05 Hansang Lee Elasticity module, slide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portable appliance utilizing the elasticity module
WO2009134028A3 (en) * 2008-05-02 2013-02-28 Hansang Lee Elasticity module, slide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portable appliance utilizing the elasticity module
WO2016068440A1 (ko) * 2014-10-29 2016-05-06 주식회사 클럽모바일 왕복 이동 슬라이더를 가지는 유닛 및 이를 장착한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622B1 (ko) 2007-03-22
KR100716599B1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599B1 (ko) 슬라이딩 조립체
EP1793568B1 (en)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KR20060001898A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EP2034700A1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00033910A1 (en) Slide mechanism and slide-type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JP2008170002A (ja) スライドタイプ携帯端末機用スプリ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端末機
KR100848858B1 (ko) 좁은 궤적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417355Y1 (ko) 슬라이딩 조립체
KR200408500Y1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00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JP4738193B2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KR200405403Y1 (ko) 슬라이딩 조립체
KR100997688B1 (ko) 슬라이드 휴대단말기용 스프링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796944B1 (ko)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KR100912632B1 (ko) 이동통신기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KR100715375B1 (ko) 비틀림 스프링 구조
KR100957175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950259B1 (ko) 휴대폰용 힌지 스프링 모듈
US805939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spring module
KR20120058389A (ko)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KR20070079494A (ko) 휴대폰의 슬라이드방식 개폐장치
KR200410343Y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KR200408305Y1 (ko) 비틀림 스프링 구조
KR101106602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스프링 모듈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