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305Y1 - 비틀림 스프링 구조 - Google Patents

비틀림 스프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305Y1
KR200408305Y1 KR2020050031334U KR20050031334U KR200408305Y1 KR 200408305 Y1 KR200408305 Y1 KR 200408305Y1 KR 2020050031334 U KR2020050031334 U KR 2020050031334U KR 20050031334 U KR20050031334 U KR 20050031334U KR 200408305 Y1 KR200408305 Y1 KR 200408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spring
height
slide
diamet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선
Original Assignee
정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586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830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의선 filed Critical 정의선
Priority to KR2020050031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3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드 방식의 제품에 장착하여 원활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틀림 스프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폰이나 전기제품 등에 적용되는 비틀림 스프링은 직경과 높이가 같은 선재로 감아 제작하는데 선재가 겹쳐 직경의 두 배가 되는 높이를 가지게 되므로 슬라이드 제품을 슬림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 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비틀림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스프링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스프링의 높이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스프링 전체의 높이가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내측에 비틀림 스프링이 내장된 고정 및 이동 플레이트의 높이가 작게 됨으로써 휴대폰 전체의 두께가 슬림화되며, 또한 스프링의 높이만을 작게 하여 탄성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재료비가 절감되고, 선재의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소음 등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비틀림 스프링, 슬라이드, 휴대폰

Description

비틀림 스프링 구조{STRUCTURE OF TORSION SPRING}
도 1은 종래의 비틀림 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비틀림 스프링이 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종래에 의한 비틀림 스프링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IV-IV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비틀림 스프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비틀림 스프링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5에서 VII-VII선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비틀림 스프링 41 : 지지대
42 : 고정고리
D : 선재 직경 h : 선재 높이
H : 전체 높이
본 고안은 비틀림 스프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폰 등의 제품에 장착하여 원활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틀림 스프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제품인 휴대폰은 휴대가 용이하도록 작은 크기로 제조되며,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무선 통신장치로서, 버튼이 노출된 바타입에서 휴대 및 사용이 보다 편리하도록 덮개가 마련된 퓰립타입과, 이보다 더 슬림형으로 이루어진 폴더타입 등으로 생산 판매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한 손으로도 휴대폰의 개폐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화면표시부와 버튼 조작부의 분리로 전체적인 사이즈를 더욱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는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폰이 제작 판매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드 방식 휴대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슬라이드 조립체(10)는 휴대폰 본체가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11)와, 이 고정 플레이트(11)의 내측에 결합되어 액정표시부 등이 구비된 이동체를 슬라이딩시키는 이동 플레이트(1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1)는 양측에 한 쌍의 안내홈(12)이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12)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레일(14)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1)와 이동 플레이트(13)의 사이에는 한 쌍의 비틀림 스프링(20)이 설치되어 이동 플레이트(13)가 상, 하측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데, 상기 비틀림 스프링(20)의 일단은 고정 플레이트(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이동 플레이트(13)에 고정되어 이동 플레이트(13)가 슬라이딩 작동될 때 적절한 탄성력을 부여하여 작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갖는 선재를 나선형으로 감아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형성되는데, 양쪽 끝단에는 지지부(21)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이 지지부(21)의 끝단에는 고리 모양의 고정고리(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D)을 갖는 선재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21)는 수회가 감겨진 스프링과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폰의 조립 후에는 이동체를 상측으로 밀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13)가 상측으로 슬라이딩되고, 반대로 이동체를 하측으로 밀면 이동 플레이트(13)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비틀림 스프링은 동일한 직경(D)을 가짐에 따라 지지부(21)가 비틀림 스프링(20)의 상측에 겹쳐질 때 스프링의 전체의 높이가 직경(D)의 2배가 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11) 및 이동 플레이트(13)의 사이 공간이 적 어도 스프링 직경의 2배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휴대폰 전체의 두께를 슬림화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스프링의 직경을 작게 할 경우에는 탄성력이 저하되어 작동이 부드럽지 못하고 작동 신뢰성이 저하되며 작동 수명 등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2005-028278호로 출원되어 있으며, 이는 도 5에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30)의 상측 및 하측에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높이를 가지도록 직선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틀림 스프링은 가공이나 제조중 작용되는 하중 등에 의해 비틀려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데, 이는 스프링의 작동시 직선부의 양단에 형성된 모서리가 서로 교차하며 간섭이나 마모 등을 발생시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소음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비틀림 스프링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휴대폰 전체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는 비틀림 스프링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의 높이를 줄이되, 직경은 종래의 스프링과 같은 크기를 유지하여, 동일한 탄성력을 가지면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비틀림 스프링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선재의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소음 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비틀림 스프링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비틀림 스프링 구조는, 고정 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슬라이드 방식 휴대폰의 비틀림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의 선재 높이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스프링 전체의 높이가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내측에 비틀림 스프링이 내장된 고정 및 이동 플레이트의 높이가 작게 됨으로써 휴대폰 전체의 두께가 슬림화되며, 또한 스프링의 높이만을 작게 하여 탄성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재료비가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선재의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소음 등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비틀림 스프링 구조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비틀림 스프링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본 고안의 비틀림 스프링(40)은 소정의 직경과 높이가 다른 선재를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된다.
이때 상기 비틀림 스프링(40)의 양쪽 끝단에는 소정 길이의 지지부(41)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41) 끝단에는 고리 모양의 고정고리(42)가 형성되어 미 도시된 고정 및 이동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4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타원형인 소정의 직경(D)을 가진 선재로 이루어지고, 선재의 높이(h)가 직경(D) 보다 작게 형성되어있다.
상기 선재의 높이(h)와 직경(D)의 비는 4/10~7/10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5/10으로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40)은 선재의 높이(h)가 직경(D) 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41)가 겹쳐진 비틀림 스프링(40)의 전체 높이(H)는 상기 직경(D)과 대략 동일하거나 조금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비틀림 스프링(40)의 선재 직경(D)이 0.5mm이고, 높이(h)가 0.3mm라고 한다면, 상기 지지부(41)가 비틀림 스프링(40)의 상측으로 겹칠 때 전체의 높이(H)는 약 0.6mm가 됨으로써 원형의 직경을 가지는 종래 스프링의 높이보다 훨씬 작은 크기의 높이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의 가공 중에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할 경우에는 비틀림 스프링(40)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부 및 하측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스프링의 작동시 원활하게 작동이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소음 등의 발생도 최소화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의 선재 높이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스프링 전체의 높이가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내측에 비틀림 스프링이 내장된 고정 및 이동 플레이트의 높이가 작게 됨으로써 휴대폰 전체의 두께가 슬림화되며, 또한 스프링의 높이만을 작게 하여 탄성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재료비가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선재의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소음 등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Claims (3)

  1. 고정 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비틀림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스프링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단면이 선재의 직경보다 높이가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스프링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단면이 선재의 높이와 직경의 비가 4/10~7/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스프링 구조.
KR2020050031334U 2005-11-04 2005-11-04 비틀림 스프링 구조 KR200408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334U KR200408305Y1 (ko) 2005-11-04 2005-11-04 비틀림 스프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334U KR200408305Y1 (ko) 2005-11-04 2005-11-04 비틀림 스프링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985A Division KR20070048557A (ko) 2005-11-07 2005-11-07 비틀림 스프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305Y1 true KR200408305Y1 (ko) 2006-02-08

Family

ID=4175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334U KR200408305Y1 (ko) 2005-11-04 2005-11-04 비틀림 스프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3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212B1 (ko) * 2009-03-20 2010-06-22 이신우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212B1 (ko) * 2009-03-20 2010-06-22 이신우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2779B (zh) 滑动/旋转组件以及具有该组件的移动终端
KR20070077542A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697622B1 (ko) 슬라이딩 조립체
KR100930906B1 (ko) 슬라이드 모듈용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KR200408305Y1 (ko) 비틀림 스프링 구조
KR20070048557A (ko) 비틀림 스프링 구조
KR100715375B1 (ko) 비틀림 스프링 구조
KR100669990B1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스프링
KR100997688B1 (ko) 슬라이드 휴대단말기용 스프링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950259B1 (ko) 휴대폰용 힌지 스프링 모듈
KR200411611Y1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스프링
KR20037681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모듈
KR20090057871A (ko) 슬라이딩 모듈용 다단 탄성 부재
KR100967123B1 (ko)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1018640B1 (ko) 액츄에이터
KR101009929B1 (ko) 힌지 모듈
KR100726832B1 (ko) 휴대폰 슬라이딩 힌지용 핀
KR200416852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101138923B1 (ko) 와이어 스프링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986410B1 (ko) 이동통신기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동작스프링
KR101103084B1 (ko)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장치
KR101174326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KR100959253B1 (ko) 핸드폰덮개용 개폐유닛
KR200408307Y1 (ko) 휴대폰 슬라이딩 힌지용 핀
KR101043599B1 (ko)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구동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