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903Y1 -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903Y1
KR200359903Y1 KR20-2004-0014531U KR20040014531U KR200359903Y1 KR 200359903 Y1 KR200359903 Y1 KR 200359903Y1 KR 20040014531 U KR20040014531 U KR 20040014531U KR 200359903 Y1 KR200359903 Y1 KR 200359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upper base
slide assembly
mobile phone
slid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면
Original Assignee
성우전자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전자공업(주) filed Critical 성우전자공업(주)
Priority to KR20-2004-0014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9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9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부베이스의 유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들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 조립체(30)에 의하면; 상부베이스(20)의 상하 슬라이딩 작동 시 상부베이스(20)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50)가 고정플레이트(40)와 요철 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상 하부베이스(20)(10)의 유격이 방지되며 이들의 결합상태가 견실하게 유지되어 제품 신뢰성이 보다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나선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상부베이스(20)가 반자동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은 물론이며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그 사용 편리성이 월등한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SLIDE ASSEMBLY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화면이 마련된 상부베이스를 하부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는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통화가 가능한 무선 통신장치로서, 버튼이 노출된 바-타입에서 휴대 및 사용이 보다 편리하도록 버튼 덮개가 마련된 플립-타입과, 이보다 더 슬림형으로 이루어진 폴더-타입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생산 판매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한손으로도 휴대폰 개폐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화면표시부와 버튼조작부의 분리로 전체적인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는 슬라이딩 타입의 플립 개폐장치(출원번호 20-1999-0002860호, 공개번호 실2000-0017402호)가 공개되어 있다.
공개번호 실2000-0017402호에 개시된 종래 슬라이딩 타입의 플립 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다이얼이 포함되어 있는 본체(2)와, 이 본체(2)에 대해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며 이어폰 및 액정화면 등이 포함된 헤드부(1)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체(2)의 양측면에는 오목홈이 길게 형성되어 홈레일(5)을 구성하며, 헤드부(1)의 측면 내측에는 홈레일(5)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돌출레일(4)이 구비된다. 또한, 홈레일(5)의 상단부는 폐쇄되어 돌출레일(4)에 의한 상승운동을 제한하며, 본체(2)의 홈레일(5)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판스프링(3)이 장착되고, 헤드부(1)의 돌출레일(4)측에는 판스프링(3)을 수용하는 오목홈(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부(1)가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본체(2)의 판스프링(3)이 헤드부(1)의 오목홈(6)에 정합되어 헤드부(1)에 대해서 본체(2)가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헤드부(1)를 약간 흔들면서 내리치면, 본체(2)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며, 계속하여 본체(2)의 판스프링(3)이 헤드부(1)의 오목홈(6)에서 이탈되어 본체(2)가 하강된다.
결국, 본체(2)로부터 헤드부(1)를 한손으로 슬라이딩 오픈 할 수 있어 그 사용이 편리하며, 고가인 힌지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휴대폰의 슬라이딩 플립 개폐장치에서는 다수개의 판스프링(3)이 베이스(2)의 홈레일(5)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부(1)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반복적인 슬라이딩 작동으로 인해 판스프링(3)의 탄성력이 쉽게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아울러 본체(2)와 헤드부(1) 사이에 약간의 갭(gap)이 발생되어 좌우로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라이드 조립체의 스프링 구조를 개선하여 상,하부베이스의 유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들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플립 개폐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휴대폰의 사시도로,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가 정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상부베이스가 상측으로 슬라이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가 정합된 상태에서의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상부베이스가 상측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의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나선스프링을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부베이스 11..키패드
20..상부베이스 30..슬라이드 조립체
40..고정플레이트 41L,41R..가이드돌기
50..이동플레이트 51L,51R..채널
60..나선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 하단부위에 키패드가 마련된 하부베이스와; 이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면에 액정화면이 마련된 상부베이스와; 이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베이스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장착하는 슬라이드 조립체를 갖춘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
슬라이드 조립체는 상부베이스의 상면 상단부위에 장착되며 양측 단부를 따라 대향되게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마련된 고정플레이트와, 상부베이스의 하면에 장착되며 양측에는 고정플레이트의 가이드돌기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채널이 마련된 이동플레이트와, 이 이동플레이트의 상측과 하측 중 어느 일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항상 지지하도록 일단은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장착되며 이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밴딩되면서 타단은 이동플레이트의 중앙 가장자리측에 장착된 나선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나선스프링은 금속 와이어를 나선형으로 밴딩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나선스프링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나선형으로 밴딩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 키패드(11)가 마련된 하부베이스(10)와, 이 하부베이스(1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면에 액정화면(21)이 마련된 상부베이스(20)와, 이 상부베이스(20)를 하부베이스(10) 상부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하는 슬라이드 조립체(30)를 갖추고 있다.
하부베이스(10)는 휴대폰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여기에는 PCB(미도시) 등이 내장된다. 또한, 하부베이스(10)의 상면 하단부위에는 멤브레인 키패드(MEMBRANE KEY PAD;11)와 마이크 등이 마련되며, 하부베이스(10)의 하부에는 배터리(1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부베이스(20)는 슬라이드 조립체(30)를 매개로 하부베이스(1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여기에는 액정화면(LCD;21)과 이어폰(22) 등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은 통화를 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부베이스(20)의 액정화면(21)이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조립체(30)는 상부베이스(20)와 하부베이스(1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베이스(20)를 상하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으로,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베이스(10)의 상면에 스크루를 통해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40)와, 상부베이스(20)의 하면에 스크루를 통해 장착되며 고정플레이트(4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플레이트(50)와, 이 이동플레이트(50)와 고정플레이트(40) 사이에 배치되며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부베이스(20)를 이동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나선스프링(60)을 갖추고 있다.
고정플레이트(40)는 하부베이스(10)의 상면 상단부위에 스크루들을 통해 장착되는 것으로, 이의 양측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돌기(41L)(41R)가 대향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플레이트(40)는 금속플레이트로 제작되며, 양측 가장자리가 스크루들을 통해 하부베이스(10) 상면에 견실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이동플레이트(50)는 상부베이스(20)의 하면에 스크루들을 통해 장착되며, 이의 양측에는 고정플레이트(40)의 가이드돌기(41L)(41R)와 각각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채널(51L)(51R)이 대향되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가이드돌기(41L)(41R)를 따라 이동플레이트(50)가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플레이트(50) 역시 금속 플레이트로 제작되며, 이의 가장자리가 스크루를 통해 상부베이스(20)의 하면에 견실하게 장착된다.
한편, 나선스프링(60)은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플레이트(50)를 상측과 하측 중 어느 일측으로 항상 지지하는 것으로, 이의 일단(61)은 고정플레이트(40)의 중앙부에 장착되며 이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밴딩되면서 타단(62)이 이동플레이트(50)의 중앙부 가장자리측에 장착되어 있다.
즉, 나선스프링(60)은 고정플레이트(40)에 고정된 일단(61)을 중심으로 인벌류트 곡선(involute curve)을 그리도록 밴딩되며 타단(62)이 이동플레이트(50)의 중앙부 가장자리측에 장착된다. 이 때, 나선스프링(60)의 일단(61)과 타단(62)은 각각의 장착점에서 스윙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고정플레이트(40)에는 나선스프링(60)의 일단(61)을 스윙 고정하기 위한 부시(42)가 마련되며, 이동플레이트(50)의 가장자리측에는 나선스프링(60)의 타단(62)이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홀(52)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부베이스(20)와 하부베이스(10)가 정합되거나 또는 상부베이스(20)가 상측으로 미끄럼 이동된 상태에서는 나선스프링(60)의 일단(61)과 타단(62)의 장착점은 항상 어긋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부베이스(20)를 하측으로 절단이상 내리면 나선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이동플레이트(50)와 함께 상부베이스(20)가 하측으로 내려간 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베이스(20)를 다시 상측으로 절반이상 올리면 나선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이동플레이트(50)와 함께 상부베이스(20)가 하측으로 내려오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나선스프링(60)은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스틸 와이어를 나선형으로 밴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는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판을나선형으로 밴딩한 판스프링 타입 나선스프링(60)으로 구성하여도 본 고안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상부베이스(20)가 최대로 내려와 하부베이스(10)와 정합(整合)된 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이, 상부베이스(20)는 하부베이스(10) 상부를 완전하게 덮는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하부베이스(10)의 키패드(11)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부베이스(20)의 액정화면(21)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이동플레이트(50)는 나선스프링(60)을 통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상부베이스(20)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화를 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부베이스(20)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 도 5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베이스(20)에 장착된 이동플레이트(50)의 채널(51L)(51R)이 고정플레이트(40)의 가이드돌기(41L)(41R)를 따라 상측으로 미끄러져 올라간다. 이 때, 나선스프링(60)이 탄성 변형된다. 계속하여 상부베이스(20)가 절반이상 올라감과 동시에 나선스프링(60)의 타단(62) 장착점이 나선스프링(60)의 일단(61) 장착점 수평선상을 상측으로 벗어나면, 나선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상부베이스(20)와 함께 이동플레이트(50)는 자연스럽게 상측으로 슬라이딩된다.
또한, 상부베이스(20)가 완전하게 올라간 상태에서도 이동플레이트(50)는 나선스프링(60)을 통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상부베이스(20)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내려오지 않는다. 그리고 하부베이스(10)의 키패드(11)가 외부로 노출되어 이를 통해 전화를 걸거나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다.
한편, 통화를 마친 후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상부베이스(20)를 하측으로 내려 나선스프링(60)의 타단(62) 장착점이 일단(61) 장착점 수평선상을 하측으로 벗어나면, 나선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상부베이스(20)와 함께 이동플레이트(50)가 고정플레이트(40)의 가이드돌기(41L)(41R)를 따라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이것에 의해 상부베이스(20)는 하부베이스(10)에 다시 정합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4참조).
이와 같이, 상부베이스(20)를 밀어 올리거나 내리면, 이동플레이트(50)가 고정플레이트(40)의 가이드돌기(41L)(41R)를 따라 미끄럼 이동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상부베이스(20)가 상하로 슬라이딩 된다. 또한, 나선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상부베이스(20)의 상하 슬라이딩이 반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상하로 이동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에 의하면, 상부베이스의 상하 슬라이딩 작동 시 상부베이스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가 고정플레이트와 요철 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상 하부베이스의 유격이 방지되며 이들의 결합상태가 견실하게 유지되어 제품 신뢰성이 보다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나선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상부베이스가 반자동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은 물론이며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그 사용 편리성이 월등한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면 하단부위에 키패드(11)가 마련된 하부베이스(10)와; 상기 하부베이스(1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면에 액정화면(21)이 마련된 상부베이스(20)와; 상기 상부베이스(20)와 하부베이스(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베이스(2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장착하는 슬라이드 조립체(30)를 갖춘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조립체(30)는,
    상기 하부베이스(10)의 상면 상단부위에 장착되며 양측 단부를 따라 대향되게 한 쌍의 가이드돌기(41L)(41R)가 마련된 고정플레이트(40)와,
    상기 상부베이스(20)의 하면에 장착되며 양측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0)의 가이드돌기(41L)(41R)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채널(51L)(51R)이 마련된 이동플레이트(50)와,
    상기 이동플레이트(50)를 상측과 하측 중 어느 일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항상 지지하도록 일단(61)은 상기 고정플레이트(40)의 중앙부에 장착되며 이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밴딩되면서 타단(62)은 상기 이동플레이트(50)의 중앙 가장자리측에 장착된 나선스프링(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스프링(60)은 금속 와이어를 나선형으로 밴딩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스프링(6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나선형으로 밴딩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20-2004-0014531U 2004-05-25 2004-05-25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200359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531U KR200359903Y1 (ko) 2004-05-25 2004-05-25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531U KR200359903Y1 (ko) 2004-05-25 2004-05-25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903Y1 true KR200359903Y1 (ko) 2004-08-23

Family

ID=4943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531U KR200359903Y1 (ko) 2004-05-25 2004-05-25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9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599B1 (ko) 2005-10-11 2007-05-09 (주)브이티엘 슬라이딩 조립체
KR100753884B1 (ko) 2006-01-24 2007-09-03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445313Y1 (ko) 2008-09-01 2009-07-20 (주)연우 거울 인출식 콤팩트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599B1 (ko) 2005-10-11 2007-05-09 (주)브이티엘 슬라이딩 조립체
KR100753884B1 (ko) 2006-01-24 2007-09-03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445313Y1 (ko) 2008-09-01 2009-07-20 (주)연우 거울 인출식 콤팩트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862B1 (ko)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KR100417248B1 (ko)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KR10068941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
KR100735304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EP1903754A1 (en) Sliding module for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00044261A (ko) 출몰식 스피커 장치
KR200359903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100754594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799623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의 휴대 단말기
KR200362164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200355886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101131333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90104401A (ko) 휴대폰 슬라이딩 장치
KR200375677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200394697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050078088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20034812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100803457B1 (ko)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1005757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90025726A (ko) 안테나 기능을 갖춘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힌지 조립체
KR200323903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트랙
KR100802598B1 (ko) 휴대전화 슬라이딩 부재
KR20080104539A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조립체
KR1010497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