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599A -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599A
KR20070038599A KR1020050093689A KR20050093689A KR20070038599A KR 20070038599 A KR20070038599 A KR 20070038599A KR 1020050093689 A KR1020050093689 A KR 1020050093689A KR 20050093689 A KR20050093689 A KR 20050093689A KR 20070038599 A KR20070038599 A KR 20070038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ehicle
cap
headlamp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회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8599A/ko
Publication of KR2007003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10Retrofi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헤드램프를 개선하여 선택적으로 빛을 엔진룸 내부에 조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10) 및 전구(20)와, 상기 전구(20)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캡(30)을 포함하여 차량의 엔진룸 전방 양측에 마련된 헤드램프(1)에 있어서, 상기 캡(30)에는 전구의 빛을 차량 후방인 엔진룸 내부로 조사하기 위한 개구(31)가 추가 형성되고; 상기 캡(30)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패널(40)이 추가로 마련되어, 작업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헤드램프, 하우징, 전구, 캡, 개구, 관통공, 개폐패널, 노브, 볼록렌즈

Description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Head lamp unit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에 대한 일부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램프 10 : 하우징
20 : 전구 30 : 캡
31 : 개구 32 : 관통공
32a : 돌기 40 : 개폐패널
41 : 노브 50 : 볼록렌즈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헤드램프를 개선하여 선택적으로 빛을 엔진룸 내부에 조사하기 위한 장치로써, 작업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헤드램프는 엔진룸과 범퍼사이의 공간 양측에 위치한 전조등을 지칭하며, 대향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를 현혹되지 않게 상향등 및 하향등으로 상하 절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차량의 야간주행시 노면 및 기타 장애물의 위치를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전방을 비추게 된다.
이러한 차량용 헤드램프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시키는 전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구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소켓에 삽입되어 반사경에 지지되는 형태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나뉘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종래의 차량의 헤드램프(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및 전구(미도시)와, 상기 전구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캡(30)을 포함하여 차량의 엔진룸 전방 양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헤드램프(1)는 전구의 발광에 따라 차량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는 오직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전구의 빛이 조사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엔진룸 내부의 야간정비시 헤드램프의 빛을 엔진룸 내부에 조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작업자는 후레쉬와 같은 별도의 휴대 용 조명장치를 필요로 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를 개선하여 선택적으로 빛을 엔진룸 내부에 조사할 수 있음으로써, 엔진룸 내부의 야간정비시 별도의 휴대용 조명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헤드램프를 개선하여 선택적으로 빛을 엔진룸 내부에 조사할 수 있음으로써, 엔진룸 내부의 야간정비시 별도의 휴대용 조명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우징 및 전구와, 상기 전구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캡을 포함하여 차량의 엔진룸 전방 양측에 마련된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전구의 빛을 차량 후방인 엔진룸 내부로 조사하기 위한 개구가 추가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패널이 추가로 마련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에 대한 일부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및 전구(20)와, 상기 전구(20)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캡(30)을 포함하여 차량의 엔진룸 전방 양측에 마련된 헤드램프(1)에 있어서, 상기 캡(30)에는 전구의 빛을 차량 후방인 엔진룸 내부로 조사하기 위한 개구(31)가 추가 형성되고; 상기 캡(30)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패널(40)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캡(30)에 개구(31)를 형성하고, 이 개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패널(40)을 부가하여, 헤드램프(1) 내부에 마련된 전구(20)의 빛을 선택적으로 차량 후방인 엔진룸 내부에 조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헤드램프(1)를 이루는 하우징(10)과 전구(20)는 기존과 동일한 것으로 별도의 추가 설명은 생략하며, 이러한 헤드램프(1)는 엔진룸 내부의 차체 전방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구(20)를 하우징(10) 내부에 지지시키는 캡(30)에는 전구(20)의 빛을 엔진룸 측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개구(31)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개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개폐패널(40)이 상기 캡(30)의 내측에 마련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30)에 형성된 개구(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상으로 다수개 구분 형성되고, 상기 개폐패널(40)은 이 개구(31)에 대응하도록 방사형 날개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캡(30)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폐패널(40)이 소정 각도 회동함에 따라 상기 캡(30)에 형성된 개구(31)를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캡(30)의 후측으로 전구(20)의 빛이 개구(31)를 통하여 엔진룸 내부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야간정비시에 후레쉬와 같은 별도의 휴대용 조명기구 없이 엔진룸 내부를 밝게 비출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캡(30)의 개구(3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 날개형상의 볼록렌즈(5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개구(31)를 통하여 후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더욱 밝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개구(31)를 통하여 이물질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것 또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30)의 일측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패널(40)의 외주 일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3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노브(41)가 추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캡(30)이 닫혀진 상태에서도 관통공(32)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노브(41)를 잡고 상기 개폐패널(40)을 손쉽게 돌려 엔진룸 내부로의 빛 조사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관통공(32) 내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41)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반구형 돌기(32a)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노브(41)는 상기 관통공(32)에서 반구형 돌기(32a)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상기 관통공(32)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는 개폐패널(40)을 회전시켜 캡(30)에 추가 형성된 개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헤드램프(1) 내부에 마련된 전구(20)의 빛을 엔진룸 내부에 손쉽게 조사할 수 있음으로써, 야간정비시 후레쉬와 같은 별도의 휴대용 조명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자의 편의성은 물론 차량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큰 이점이 있는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를 개선하여 선택적으로 빛을 엔진룸 내부에 조사할 수 있음으로써, 엔진룸 내부의 야간정비시 별도의 휴대용 조명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하우징 및 전구와, 상기 전구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캡을 포함하여 차량의 엔진룸 전방 양측에 마련된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전구의 빛을 차량 후방인 엔진룸 내부로 조사하기 위한 개구가 추가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패널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 형성된 개구는 방사형상으로 다수개 구분 형성되고, 상기 개폐패널은 이 개구에 대응하도록 방사형 날개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캡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개구에는 방사형 날개형상의 볼록렌즈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패널의 외주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노브가 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내측면에는 노브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반구형 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KR1020050093689A 2005-10-06 2005-10-06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KR20070038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689A KR20070038599A (ko) 2005-10-06 2005-10-06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689A KR20070038599A (ko) 2005-10-06 2005-10-06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599A true KR20070038599A (ko) 2007-04-11

Family

ID=3815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689A KR20070038599A (ko) 2005-10-06 2005-10-06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85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7961A (zh) * 2014-12-19 2015-08-1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发动机舱照明控制装置、照明系统、控制方法及车辆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7961A (zh) * 2014-12-19 2015-08-1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发动机舱照明控制装置、照明系统、控制方法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0747B2 (en) Vehicle lighting structure with first lamp assembly fixed to vehicle body and second lamp assembly fixed to trunk lid that align with one another with trunk lid closed
RU25972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злучения светового пучка и фара, в частност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держащая указ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5570786B (zh) 用于车辆内部的多功能灯
US9909747B2 (en) Vehicle lighting assembly with retractable cover providing daylight running lamp
US20110051452A1 (en) Vehicle head light device
KR20120042228A (ko) 조명부를 갖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US20130141930A1 (en) Vehicular headlamp
US20170129393A1 (en) Vehicle lighting assembly having retractable cover providing a lighted image
KR200469049Y1 (ko) 차량 도어 스피커의 무드램프
KR20100114804A (ko)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KR20070038599A (ko)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KR101218581B1 (ko) 차량의 공조시스템 제어용 노브 장치
KR101704131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JP2000215717A (ja) 車両用前照灯
KR101537227B1 (ko) 차량용 led 벌브
JP6191101B2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1491343B1 (ko) 헤드램프 장치
US6866407B2 (en) Vehicle headlight
KR101176509B1 (ko) 간접조명 방식의 자동차 엘이디 실내등
JP2003346549A (ja) 車両用灯具及びその通気手段
US20160076723A1 (en) Rotatory color-temperature-changing device for vehicle lamp
KR100501572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KR100397537B1 (ko) 가스방전등의 선택적인 조사가 가능한 차량용 전조등
KR200307772Y1 (ko) 가스방전등의 선택적인 조사가 가능한 차량용 전조등
JPS60229837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