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473A -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473A
KR20070038473A KR1020070001075A KR20070001075A KR20070038473A KR 20070038473 A KR20070038473 A KR 20070038473A KR 1020070001075 A KR1020070001075 A KR 1020070001075A KR 20070001075 A KR20070001075 A KR 20070001075A KR 20070038473 A KR20070038473 A KR 20070038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attern forming
metal keypad
forming apparatus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123B1 (ko
Inventor
지춘근
남평우
Original Assignee
(주) 프렉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렉코 filed Critical (주) 프렉코
Priority to KR102007000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123B1/ko
Publication of KR2007003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36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specially-shaped surfaces by making use of relative movement of the tool and work produced by geometrical mechanisms, i.e. forming-lathes
    • B23B5/3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specially-shaped surfaces by making use of relative movement of the tool and work produced by geometrical mechanisms, i.e. forming-lathes for turning conical surfaces inside or outside, e.g. taper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00Planing or slotting machines cutt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tool and workpiece in a vertical or inclined straight line
    • B23D3/02Planing or slotting machines cutt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tool and workpiece in a vertical or inclined straight line for cutting groo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광간섭돌기가 절삭가공에 의해 작은 높이로 미세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홀로그램현상이 잘 나타나도록,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획부를 통하여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지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표면에 진공증착하여 이루어지는 코팅층과, 코팅층 위에 도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보호층과,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배면에서 몸체를 지지하도록 몸체의 배면과 상기 코팅층 및 보호층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몸체의 정면에서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 스위치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지지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몸체의 정면에는 홀로그램현상이 나타나도록 1~20㎛의 높이로 돌출되는 링형상 또는 원호형상의 복수의 광간섭돌기가 0.05~0.3㎜간격을 두고 동심으로 형성되는 금속 키패드를 제공한다.
휴대폰, PDA, 키패드, 금속, 에칭, 버튼, 증착, 진공, 절삭, 빛, 간섭, 홀로그램

Description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Pattern Formation Device for Metal Key-Pad}
도 1은 종래 금속 키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금속 키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간섭돌기의 높이 및 간격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간섭돌기의 각도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별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늬형성단계를 나타내는 공정별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작업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작업테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절삭공구에 의한 절삭가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금속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박편에 절삭가공을 통하여 홀로그램현상이 나타나도록 광간섭돌기를 형성하므로 미관이 향상되고 제조가 용이한 금속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에는 키입력부가 마련되고 이러한 키입력부를 통하여 각종 신호의 입력이 행해지게 된다.
상기 키입력부는 외부로 노출된 키패드의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 돔스위치가 인쇄회로기판의 접점과 접촉하여 각종 신호가 입력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키패드는 과거에는 주로 실리콘고무 등과 같이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었으나, 종래에는 합성수지의 일부를 금속으로 대체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금속고유의 광택을 표출시키는 등의 색다른 미감을 갖게한 금속 키패드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 금속 키패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형상의 금속박편에 관통부(6)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버튼부(4)가 형성되는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배면에 설치되는 지지패드(8)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몸체(2) 버튼부(4)에는 기호, 숫자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지지패드(8)에는 상기 버튼부(4)를 누름에 따라 돔스위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가 접점과 접촉하도록 접촉돌기(9)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금속 키패드에 있어서는 휴대폰에 장착된 상태에서 노출이 이루어지는 한쪽면에서 홀로그램현상이 나타나도록 무늬를 형성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 경우 홀로그램현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제조공정도 매우 어렵고 복잡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한쪽면에 절삭가공을 통하여 미세한 간격으로 소형의 광간섭돌기가 형성되므로 홀로그램현상이 잘 나타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며 금속고유의 광택이 보존되도록 이루어지는 금속 키패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박판에 절삭가공을 통하여 광간섭돌기가 직접적으로 형성되므로 무늬를 표현하기 위한 별도의 필름을 입수하고 부착하는 과정이나 에칭과정 등이 필요없고 간편하게 제조가 가능한 금속 키패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금속 키패드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획부를 통하여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지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표면에 진공증착하여 이루어지는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 위에 도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보호층과,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배면에서 상기 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배면과 상기 코팅층 및 보호층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정면에서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 스위치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지지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의 다른쪽면에는 광간섭에 의한 홀로그램현상이 나타나도록 1~20㎛의 높이로 돌출되는 링형상의 복수의 광간섭돌기가 0.05~0.3㎜간격을 두고 동심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를 이루는 금속박편의 재질로는 알루미늄합금이나 구리합금, 스테인레스강 등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몸체의 버튼부 정면에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금속 키패드와 마찬가지로 기호, 숫자 등의 표시부가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몸체의 버튼부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는 인쇄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음각 또는 양각으로 각인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간섭돌기는 산의 각도가 60~140°인 삼각형의 나사산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드부재는 상기 몸체의 반대편에서 조명 등에 의해 빛이 발하는 경우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색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드부재에는 상기 몸체의 배면쪽에 형성되는 코팅층 및 보호층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구획부에 삽입되는 구획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패드부재에는 상기 몸체의 배면쪽에 형성되는 코팅층 및 보호층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표시부에 삽입되는 표시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금속 키패드 제조방법은 금속박편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를 에칭 등을 통하여 관통시켜 구획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지는 다수의 버튼부를 형성하는 버튼형성단계와, 상기 몸체의 정면에 홀로그램현상이 나타나도록 1~20㎛의 높이로 링형상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광간섭돌기를 0.05~0.3㎜간격을 두고 동심으로 형성하는 무늬형성단계와, 상기 무늬형성단계를 거친 몸체의 표면에 진공증착을 행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증착단계와, 상기 증착단계를 거친 몸체의 표면에 도료의 도포를 행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도포단계와, 상기 몸체를 지지하도록 몸체의 배면쪽에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패드를 설치하여 고정하는 지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형성단계는 에칭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무늬형성단계는 상기 몸체의 배면을 작업테이블에 밀착 고정하고 상기 작업테이블을 회전시킨 후 상기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절삭공구를 고정 이송시켜 상기 몸체의 한쪽면을 절삭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되며 금속박편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키패드 제조용 몸체의 배면이 윗면에 밀착 고정되는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과 함께 고속회전되는 몸체의 정면에 날끝부가 접함에 따라 절삭가공을 행하는 절삭공구와, 상기 절삭공구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속회전하는 상기 몸체의 정면에 접하도록 하강운동시킨 후 상기 몸체와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정면에 복수의 광간섭돌기를 형성하는 이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작업테이블에는 복수의 흡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구멍은 진공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는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작업테이 블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테이블의 윗면에는 하나이상의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설정돌기는 상기 몸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획부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몸체의 상기 위치설정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위치설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위치설정돌기는 상기 몸체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그 무늬형성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의 일실시예는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획부(16)를 통하여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지는 다수의 버튼부(12)가 형성되고 정면에는 복수의 링형상 또는 원호형상의 광간섭돌기(2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동심으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10)의 정면에서 상기 버튼부(12)를 누름에 따라 스위치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돌기부(42)가 형성되는 지지패드(50)와, 상기 몸체(10) 표면에는 진공증착하여 이루어지는 코팅층(30)과, 상기 코팅층(30) 위에 도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보호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알루미늄합금이나 구리합금, 스테인레스강 등 금속소재의 박판으로 이루어진다.
즉 비교적 가벼우면서 강도 및 탄성이 양호하고 미려한 빛깔을 내는 금속박편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에 버튼부(12)를 형성하기 위한 구획부(16)는 에칭(etching)을 통하여 관통시켜 형성한다.
상기에서 구획부(16)는 에칭을 통하여 관통시켜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프레스가공이나 레이저가공 등에 의하여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버튼부(12)의 정면에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금속 키패드와 마찬가지로 기호, 숫자 등의 표시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14)는 도 3 및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색상의 잉크나 도료를 인쇄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하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각인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각인하는 경우 음각 또는 양각으로 각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버튼부(12)에 상기 구획부(16)와 마찬가지로 에칭 등을 통하여 관통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몸체(10)는 정면에 상기 광간섭돌기(2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홀로그램현상이 나타난다. 즉 상기 몸체(10)의 정면에 레이저 광선 등이 비치면 입체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휴대폰 등에 적용시 고급스럽고 금속특유의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광간섭돌기(2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1~20㎛정도의 높이로 0.05~0.3㎜정도의 간격을 두고 동심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에서 광간섭돌기(20)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2~10㎛정도의 높이로 0.1~0.2 ㎜정도의 간격을 두고 동심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광간섭돌기(2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의 각도가 60~140°인 삼각형의 나사산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패드(50)는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PDA 등의 키패드에 널리 사용되는 지지패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지지패드(50)는 연질의 수지(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등)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배면에서 상기 몸체(1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지지패드(50)는 상기 몸체(10)의 배면과 상기 코팅층(30) 및 보호층(40)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다.
상기 코팅층(30) 및 보호층(40)은 일반적으로 금속 키패드에 널리 형성되는 코팅층 및 보호층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패드부재(50)는 상기 몸체(10)의 반대편에서 조명 등에 의해 빛이 발하는 경우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색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50)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4)에 삽입되는 표시돌기(44)를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패드부재(50)에는 상기 구획부(16)에 삽입되는 구획돌기(46)를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구획돌기(44) 및/또는 표시돌기(46)에 있어서는 상기 코팅층(30) 및 보호층(40)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구획부(16)에 삽입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박편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0)에 복수의 버튼부(12)를 형성하는 버튼형성단계(P10)와, 상기 몸체(10)의 정면에 복수의 링형상 또는 원호형상의 광간섭돌기(2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동심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홀로그램현상이 나타나도록 하는 무늬형성단계(P20)와, 상기 무늬형성단계(P20)를 거친 몸체(10)의 표면에 진공증착하여 코팅층(30)을 형성하는 증착단계(P30)와, 상기 증착단계(P30)를 거친 몸체(10)의 표면에 도료의 도포를 행하여 보호층(40)을 형성하는 도포단계(P40)와, 상기 몸체(10)의 배면에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패드(50)를 설치하여 고정하는 지지단계(P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형성단계(P10)는 에칭을 통하여 상기 몸체(10)를 관통시켜 구획부(16)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지는 상기 다수의 버튼부(12)를 형성한다.
상기 버튼형성단계(P10)시에는 상기 버튼부(12)에 기호, 숫자 등의 표시부(14)도 함께 관통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표시부(14)는 상기 몸체(10)의 두께중에서 절반정도만 패이도록 에칭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표시부(14)는 상기 버튼형성단계(P10) 후 인쇄나 각인 등을 행하는 별도의 단계를 거쳐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무늬형성단계(P20)는 상기 광간섭돌기(20)를 대략 1~20㎛정도의 높이로 0.05~0.3㎜정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무늬형성단계(P2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 및 회전운동하는 작업테이블(200), 절삭공구(400)를 고정하고 상하 및 전후좌우로 직선운동하는 이동장치(600)를 준비하는 준비단계(P21)와, 상기 몸체(10)의 배면을 상기 작업테이블(200)에 밀착 고정하는 고정단계(P23)와, 상기 이송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절삭공구(300)를 상기 몸체(10)의 중앙 상부에 위치시키는 가공준비단계(P25)와, 상기 작업테이블(200)을 회전시키고 상기 절삭공구(400)의 날부(420)를 상기 몸체(10)의 중앙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바깥쪽으로 이송시켜 상기 몸체(10)의 정면을 절삭가공하는 가공단계(P27)와, 상기 몸체(10)의 정면가공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절삭공구(400)를 처음위치로 되돌리는 원위치단계(P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증착단계(P30)에서 코팅층(30)을 형성하기 위해 행해지는 진공증착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진공증착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보호층(4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도포단계(P40)에서 행해지는 도포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도포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단계(P50)에서 상기 지지패드(50)는 접착제 등을 통하여 고정되거나 열에 의한 용착 등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4~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고속회전되며 금속박편으로 이루어 지는 금속 키패드 제조용 몸체(10)의 배면이 윗면에 밀착 고정되는 작업테이블(200)과, 상기 작업테이블(200)과 함께 고속회전되는 몸체(10)의 정면에 날부(420)가 접함에 따라 절삭가공을 행하는 절삭공구(400)와, 상기 절삭공구(400)를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속회전하는 상기 몸체(10)의 정면에 접하도록 하강운동시킨 후 상기 몸체(10)와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몸체(10)의 정면에 복수의 광간섭돌기(20)를 형성하는 이동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작업테이블(200)에 상기 몸체(10)의 배면이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작업테이블(200)에는 복수의 흡착구멍(220)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흡착구멍(220)은 진공펌프(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연결하고, 상기 몸체(10)는 상기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작업테이블(200) 윗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몸체(10)에는 구획부(16)에 의한 버튼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12)에는 숫자, 기호 등의 표시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작업테이블(200)의 윗면에는 상기 구획부(16) 및/또는 표시부(14)에 삽입되도록 하나이상의 위치설정돌기(25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획부(16) 및/또는 표시부(14)에 삽입되도록 하나이상의 위치설정돌기(25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몸체(10)의 고정 및/또는 최초위치설정이 편리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상기 위치설정돌기(2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위치설정돌기(250)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5)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위치설정돌기(250)는 상기 몸체(10)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 절삭공구(400)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장치(600)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장치(600)는 상기 프레임(100)의 평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전후이동장치(620)와 상기 전후이동장치(620)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평면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좌우이동장치(640)와, 상기 좌우이동장치(64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절삭공구(400)가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평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하이동장치(6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장치(600)의 상세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3차원 이동이 가능한 각종 기계장치(예를 들면, 밀링머신의 테이블 등)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절삭공구(400)는 한쪽 끝부분을 뾰족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날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날부(420)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장치(600)에 의해 소 정의 절삭깊이와 이동속도로 상기 몸체(10)의 절삭을 행하며 그에 따라 대략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나사산형상의 광간섭돌기(20)가 상기 몸체(10)의 정면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절삭공구(400)는 초경합금이나 세라믹, 고속도강, 탄소공구강, 다이아몬드 등 일반적으로 금속을 절삭가공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그 무늬형성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에 의하면, 광간섭돌기가 절삭가공에 의해 작은 높이로 미세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홀로그램현상이 잘 나타나고 외관이 미려해지며 금속특유의 색상이 오래동안 유지된다.
그리고 별도의 무늬층이 적층되지 않으므로 두께가 감소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제조방법에 의하면, 금속박판에 절삭가공을 통하여 광간섭돌기가 직접적으로 형성되므로 무늬를 표현하기 위한 별도의 필름을 입수하고 부착하는 과정이나 에칭과정 등이 필요없다.
따라서 작업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원자재의 절감도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에 의하면, 얇은 금속박판에 쉽고 간편하게 광간섭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대량 생산도 가능하므로 광간섭무늬가 형성된 금속 키패드의 양산이 쉽고 편리해진다.
그리고 얇은 두께의 금속판을 전체적으로 밀착 고정시키기 용이하므로 몸체(금속 키패드 제조용 몸체)의 고정이 쉽고 편리해진다.
나아가 작업테이블에 형성되는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되고 몸체에 삽입구멍이 형성되므로 몸체의 최초 위치설정이 편리하고 고정상태가 양호해진다.

Claims (6)

  1.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되며 금속박편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키패드 제조용 몸체의 배면이 윗면에 밀착 고정되는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과 함께 고속회전되는 몸체의 정면에 날끝부가 접함에 따라 절삭가공을 행하는 절삭공구와,
    상기 절삭공구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속회전하는 상기 몸체의 한쪽면에 접하도록 하강운동시킨 후 상기 몸체와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정면에 복수의 광간섭돌기를 형성하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에는 복수의 흡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구멍은 진공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는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작업테이블에 밀착 고정되는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윗면에는 하나이상의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설정돌기는 상기 몸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획부에 삽입되는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윗면에는 하나이상의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위치설정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위치설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돌기는 상기 몸체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평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전후이동장치와, 상기 전후이동장치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평면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좌우이동장치와, 상기 좌우이동장치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절삭공구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평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하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KR1020070001075A 2007-01-04 2007-01-04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KR100742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075A KR100742123B1 (ko) 2007-01-04 2007-01-04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075A KR100742123B1 (ko) 2007-01-04 2007-01-04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482A Division KR20070038303A (ko) 2005-10-05 2005-10-05 금속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473A true KR20070038473A (ko) 2007-04-10
KR100742123B1 KR100742123B1 (ko) 2007-07-24

Family

ID=3815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075A KR100742123B1 (ko) 2007-01-04 2007-01-04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1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564B1 (ko) * 2007-07-31 2008-05-13 이경은 휴대폰 키버튼용 장식기재의 제조방법
KR100928649B1 (ko) * 2007-06-14 2009-11-27 이종선 다이아몬드 스핀 크로스 컷팅장치 및 그 사용방법
CN101763967B (zh) * 2008-12-24 2013-01-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按键及其制作方法
US8507816B2 (en) 2009-11-27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pad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keypa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9604B2 (ja) * 2002-06-28 2007-07-04 東芝機械株式会社 門形工作機械
JP4312508B2 (ja) * 2003-06-05 2009-08-12 東芝機械株式会社 立旋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649B1 (ko) * 2007-06-14 2009-11-27 이종선 다이아몬드 스핀 크로스 컷팅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00828564B1 (ko) * 2007-07-31 2008-05-13 이경은 휴대폰 키버튼용 장식기재의 제조방법
CN101763967B (zh) * 2008-12-24 2013-01-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按键及其制作方法
US8507816B2 (en) 2009-11-27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pad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key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123B1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301B1 (ko) 감소된 두께를 가지는 키 캡
KR101035816B1 (ko) 보강판 부착 키 유닛
KR100697031B1 (ko) 키패드 제조공정
CN101361149B (zh) 按键用部件及其制造方法
CN101632144A (zh) 具备按压突起的金属圆顶片以及按钮开关及其制造方法
KR100742123B1 (ko) 금속 키패드 무늬형성장치
EP1961581A3 (en) Decorative key sheet for pushbutton switches
JP2005079090A5 (ko)
KR20070007869A (ko) 지지 테두리 부착 키 유닛
WO2006065000A1 (en) Production method of one body style touch pad and one body style keypad having touch pad produced by that method
CN100493103C (zh) 一种外壳
US20100170775A1 (en) Keypad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70038303A (ko) 금속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84500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KR10076108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일체형 금속 전면 커버의 제조방법
US20090178753A1 (en) Process for keypad panel having arrays of micropores
KR100650917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US20090178906A1 (en) Keypad panel assembly having arrays of micropores
KR20150091971A (ko) 레이저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
CN101398151B (zh) 一种手机按键导光膜的加工方法
KR100695520B1 (ko) 금속재질감을 갖는 휴대폰용 이엘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CN100505789C (zh) 一种便携式通信装置
KR100919976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100810050B1 (ko) 키입력 장치
TW200635769A (en) Light-reflection material with light-reflecting pattern and the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