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130A - 초전도 케이블 선로 - Google Patents

초전도 케이블 선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130A
KR20070038130A KR1020077002498A KR20077002498A KR20070038130A KR 20070038130 A KR20070038130 A KR 20070038130A KR 1020077002498 A KR1020077002498 A KR 1020077002498A KR 20077002498 A KR20077002498 A KR 20077002498A KR 20070038130 A KR20070038130 A KR 20070038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uperconducting
superconducting cable
cabl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8374B1 (ko
Inventor
마사유키 히로세
유이치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16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14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rma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Abstract

상온 미만의 유체(1)가 수송되는 유체용 단열관(2)과, 이 유체용 단열관(2) 내에 수납되는 초전도 케이블(10)을 구비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이다. 초전도 케이블(10)은 케이블용 단열관 내에 케이블 코아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유체용 단열관(2)에 수납됨으로써, 단열관 내외의 온도차가 대기중에 포설되는 경우보다 작게 된다. 또한, 케이블용 단열관과 유체용 단열관(2)의 쌍방에 의해, 초전도 케이블(10)은 이중 단열 구조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외부로부터 케이블로의 침입열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전도 케이블 선로{SUPERCONDUCTIVE CABLE LINE}
본 발명은 초전도 케이블을 구비하는 전력 공급용 선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초전도 케이블로의 열침입을 효과적으로 저감하여, 에너지 소비 효율(COP)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초전도 도체층을 갖는 케이블 코아를 단열관 내에 수납시킨 초전도 케이블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초전도 케이블로서, 예를 들면, 단열관 내에 1개의 케이블 코아를 수납한 단심 케이블이나, 3개의 케이블 코아를 일괄적으로 수납한 3심 일괄형이 있다. 도 10은 3심 일괄형의 3상 교류용 초전도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각 케이블 코아(102)의 단면도이다. 이 초전도 케이블(100)은 단열관(101) 내에 3개의 케이블 코아(102)를 꼬아서 수납시킨 구성이다. 단열관(101)은 외관(101a)과 내관(101b)으로 이루어진 이중관 사이에 단열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고, 또한 양쪽관(101a, 101b) 사이를 진공으로 한 구성이다. 각 케이블 코아(102)는 중심으로부터 순서대로 포머(200), 초전도 도체층(201), 전기 절연층(202), 초전도 쉴드층(203), 보호층(204)을 구비하고, 내관(101b)과 각 케이블 코아(102)로 둘러싸인 공간(103)이 액체 질소 등의 냉매의 유로로 된다. 케이블 코아(102)의 초전도 도체층(201)이나 초전도 쉴드층(203)은 상기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초전도 상태가 유지된다. 단열관(101)의 외주에는 방식층(104)을 구비한다.
초전도 케이블에서는, 초전도 도체층이나 초전도 쉴드층이 초전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액체 질소 등의 냉매에 의해 상시 냉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한 선로에는, 통상, 냉매의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고, 이 시스템에 의해, 케이블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냉각하여 재차 케이블로 유입한다고 한 순환 냉각을 행하고 있다.
상기 냉각 시스템에 의해 냉매를 적절한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초전도 케이블은, 통전에 의한 발생열이나 대기 등의 외부로부터의 침입열에 의한 냉매의 온도 상승이 충분히 저감되어, 초전도 도체층이나 초전도 쉴드층의 초전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냉매가 액체 질소인 경우, 이들 발생열이나 침입열을 처리하기 위해 냉매를 냉각하는 에너지는, 냉매가 케이블을 냉각하기 위해 처리하는 에너지의 10배 이상으로 된다. 따라서, 냉매의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 전체로 생각하면, 에너지 소비 효율(COP)이 0.1 이하 정도로 낮아져 버린다. 이러한 COP의 저하는 초전도 케이블의 적용 효과를 작게 하는 요인의 하나이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0851호 공보(특허 문헌 1) 및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092627호 공보(특허 문헌 2)에서는, 액화 천연 가스(LNG)의 냉열을 이용하여 초전도 코일의 냉매를 냉각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085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092627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특허 문헌 1, 2에서는, 초전도 코일의 냉매의 냉각에 LNG의 냉열을 이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고, 외부로부터의 침입열 그 자체의 저감에 대해서는 검토되고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외부로부터의 침입열을 저감하여 에너지 소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저온의 유체를 수송하는 단열관 내에 초전도 케이블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즉,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상온 미만의 유체가 수송되는 유체용 단열관(제 1 단열관)과, 이 유체용 단열관(제 1 단열관) 내에 수납되는 초전도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초전도 케이블은, 초전도 재료로 이루어지는 초전도부와, 이 초전도부를 수납하는 동시에 초전도부를 냉각하는 냉매가 충전되는 단열관(이하, 케이블용 단열관이라고 부름)을 구비하는 구성인 것을 이용한다. 초전도부로서는, 전력 공급용 전류가 흐르는 초전도 도체층 외에, 초전도 도체층과 거의 동일 한 크기이며 역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외부 초전도층을 들 수 있다. 이들 초전도부는, 통상, 케이블 코아에 형성된다. 따라서, 초전도 케이블은 상기 초전도층을 구비하는 케이블 코아를 케이블용 단열관에 수납하여 구성하면 좋다. 케이블 코아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중심으로부터 순서대로 포머, 초전도 도체층, 전기 절연층, 외부 초전도층, 보호층을 구비한 것을 들 수 있다. 케이블용 단열관에 수납하는 케이블 코아는 1개(단심(1심))로 해도 되고, 복수개(복수심) 구비하고 있더라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선로를 3상 교류 송전에 이용하는 경우, 3개의 코아를 꼬아서 케이블용 단열관에 수납한 3심 케이블을 이용하면 좋고, 단상 교류 송전에 이용하는 경우, 1개의 코아를 케이블용 단열관에 수납한 단심 케이블을 이용하면 좋다. 본 발명의 선로를 직류 송전(단극 송전)에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1개의 코아를 케이블용 단열관에 수납한 단심 케이블을 이용하면 좋고, 직류 송전(쌍극 송전)에 이용하는 경우, 2개의 코아 또는 3개의 코아를 꼬아서 케이블용 단열관에 수납한 2심 케이블 또는 3심 케이블을 이용하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직류 송전, 교류 송전 중 어느 것에도 이용할 수 있다.
초전도 도체층은, 예컨대, Bi계 산화물 초전도 재료, 구체적으로는 Bi2223계 초전도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필라멘트가 은 시스(silver sheath) 등의 매트릭스 중에 배치된 테이프 형상 선재를 나선 형상으로 권회함으로써 형성하면 좋고, 단층이더라도 다층이더라도 무방하다. 다층으로 하는 경우, 층간 절연층을 마련해도 된다. 층간 절연층은 크래프트지 등의 절연지나 PPLP(스미토모 전기 공업 주식 회사 등록상표) 등의 반합성 절연지를 권회하여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초전도 도체층은 상기 초전도 재료로 이루어지는 선재를 포머의 외주에 권회하여 형성한다. 포머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한 중실체(solid body)이더라도 공중체(hollow body)이더라도 무방하고, 예를 들면, 구리선을 복수개 꼬은 구성인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구리선은 절연 피복된 것을 이용해도 된다. 포머는 초전도 도체층의 형상 유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포머와 초전도 도체층 사이에 쿠션층을 개재시켜도 된다. 쿠션층은 포머와 초전도 선재 사이에서의 금속끼리의 직접 접촉을 회피하여, 초전도 선재의 손상을 방지한다. 특히, 포머를 꼬임선 구조로 한 경우, 쿠션층은 포머 표면을 보다 평활한 면으로 하는 기능도 갖는다. 쿠션층의 구체적 재질로서는 절연지나 카본지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전기 절연층은 PPLP(등록상표) 등의 반합성 절연지나 크래프트지 등의 절연지를 초전도 도체층 상에 권회하여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전기 절연층의 내외주 중 적어도 한쪽, 즉 초전도 도체층과 전기 절연층 사이나, 전기 절연층과 외부 초전도층(후술) 사이에 카본지 등으로 반도전층을 형성해도 된다. 전자의 내부 반도전층, 후자의 외부 반도전층을 형성함으로써, 초전도 도체층과 전기 절연층간, 또는 전기 절연층과 외부 초전도층간에서의 밀착성을 높여, 부분 방전의 발생 등에 따르는 열화를 억제한다.
본 발명의 선로를 직류 송전에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전기 절연층에는, 그 직경 방향(두께 방향)의 직류 전계 분포가 평활화되도록, 전기 절연층의 내주측 저항율이 낮고 외주측 저항율이 높아지도록 ρ그레이딩을 실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ρ그레이딩이란, 전기 절연층의 두께 방향에서 단계적으로 저항율을 상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전기 절연층의 두께 방향 전체의 직류 전계 분포를 평활화할 수 있어, 전기 절연층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저항율을 상이하게 하는 층수는 특별히 문제되지 않지만, 실용적으로는 2, 3층 정도이다. 특히, 이들 각 층의 두께를 균등하게 하면, 직류 전계 분포의 평활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ρ그레이딩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저항률(ρ)이 상이한 절연 재료를 이용하면 좋고, 예를 들면, 크래프트지라는 절연지를 이용하는 경우, 크래프트지의 밀도를 변화시키거나, 크래프트지에 디시안디아미드(dicyandiamide)를 첨가함으로써, 저항율을 변경할 수 있다. 절연지와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지, 예를 들면 PPLP(등록상표)의 경우, 복합지 전체의 두께 T에 대한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 tp의 비율 k=(tp/T)×100을 변경하거나, 절연지의 밀도, 재질, 첨가물 등을 변경함으로써, 저항율을 변경할 수 있다. 비율 k의 값은, 예를 들면 40%~90%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통상, 비율 k가 클수록 저항율 ρ이 커진다.
또한, 전기 절연층은 초전도 도체층의 근방에 다른 개소보다 유전율이 높은 고ε층(high ε layer)을 가지면, 직류 내전압(DC withstand voltage) 특성의 향상에 부가하여, Imp. 내압(Imp. withstand voltage) 특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전율 ε(20℃)은 일반적인 크래프트지에서 3.2~4.5 정도, 비율 k가 40%인 복합지에서 2.8 정도, 비율 k가 60%인 복합지에서 2.6 정도, 비율 k가 80%인 복합지에서 2.4 정도이다. 특히, 비율 k가 높고, 또한 기밀도도 높은 크래프트지를 이용한 복합지에 의해 전기 절연층을 구성하면, 직류 내전압과 Imp. 내압의 쌍방이 우 수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ρ그레이딩에 부가하여, 전기 절연층은 그 내주측일수록 유전율 ε가 높고, 외주측일수록 유전율 ε가 낮아지도록 구성하면, 교류 송전에도 적합한 케이블로 된다. 상기 ε그레이딩도 전기 절연층의 직경 방향 전역에 걸쳐서 형성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ρ그레이딩을 실시한 초전도 케이블은 직류 특성이 우수한 케이블로 이루어져, 직류 송전 선로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현행의 송전 선로는 대부분이 교류로 구성되어 있다. 금후, 송전 방식을 교류로부터 직류로 이행할 것을 생각한 경우, 직류 송전으로 이행하기 전에 과도적으로 상기 ρ그레이딩을 실시한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하여 교류를 송전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예컨대, 송전 선로의 일부의 케이블을 상기 ρ그레이딩을 실시한 초전도 케이블로 교환했지만 잔부가 교류 송전용 케이블 그대로이거나, 송전 선로의 교류 송전용 케이블을 상기 ρ그레이딩을 실시한 초전도 케이블로 교환했지만 케이블에 접속되는 송전 기기는 교류용 그대로 되어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 상기 ρ그레이딩을 실시한 초전도 케이블에서 과도적으로 교류 송전을 행하고, 그 후, 최종적으로 직류 송전으로 이행되게 된다. 따라서, 직류 교류의 쌍방에 이용되는 바와 같은 초전도 케이블에 있어서는, 직류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교류 특성도 고려한 설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류 특성도 고려한 경우, 내주측일수록 유전율 ε가 높고, 외주측일수록 유전율 ε가 낮은 전기 절연층으로 함으로써, 서지(surge) 등의 임펄스 특성이 우수한 초전도 케이블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도기가 끝나고 직류 송전이 행해지게 된 경우에는, 과도기에 이용하고 있었던 상기 ρ그레 이딩된 초전도 케이블을 그대로 직류 케이블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ρ그레이딩에 부가하여 ε그레이딩을 실시한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한 선로에서는, 직류 송전, 교류 송전의 각각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류 직류의 양쪽용 선로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통상, 상술한 PPLP(등록상표)는 비율 k를 높게 하면 고ρ 저ε로 된다. 그 때문에, 전기 절연층의 외주측일수록 비율 k가 높은 PPLP(등록상표)를 이용하여 전기 절연층을 구성하면, 외주측일수록 고ρ로 되고, 동시에 외주측일수록 저ε로 할 수 있다.
한편, 크래프트지는 일반적으로 기밀도를 높게 하면 고ρ 고ε로 된다. 그 때문에, 크래프트지만으로 외주측일수록 고ρ이고 또한 외주측일수록 저ε인 전기 절연층을 구성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크래프트지를 이용할 경우에는, 복합지와 조합하여 전기 절연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기 절연층의 내주측에 크래프트지층을 형성하고, 그 외측에 PPLP층을 형성함으로써, 저항율 ρ은 크래프트지층<PPLP층으로 되고, 유전율 ε은 크래프트지층>PPLP층으로 되도록 하면 좋다.
상기 전기 절연층의 외주에는 외부 초전도층을 마련한다. 외부 초전도층은 상기 초전도 도체층과 마찬가지로 초전도 재료로 형성한다. 외부 초전도층에 이용하는 초전도 재료는 상기 초전도 도체층의 형성에 이용한 것과 마찬가지인 것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외부 초전도층은,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를 직류 송전에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단극 송전에서는 귀로 도체(return conductor) 로서, 쌍극 송전에서는 중성선층(neutral conductor layer)으로서 이용하면 좋다. 특히, 쌍극 송전을 행하는 경우, 상기 외부 초전도층은, 정극과 부극에서 언밸런스가 발생했을 때에 언밸런스 전류를 흘리거나, 한쪽 극에 이상이 발생하여 쌍극 송전으로부터 단극 송전으로 변경할 때, 초전도 도체층에 흐르는 송전 전류와 동등한 전류를 흘리는 귀로 도체에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를 교류 송전에 이용하는 경우, 외부 초전도층은 초전도 도체층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쉴드 전류를 흘리는 쉴드층으로서 이용하면 좋다. 외부 초전도층의 외주에는 절연을 겸한 보호층을 마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케이블 코아를 수납하는 케이블용 단열관으로서는, 외관과 내관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이며, 양쪽관 사이에 단열재를 구비하여 소정의 진공도로 진공시킨 진공 단열 구성인 것을 들 수 있다. 내관의 안쪽은 케이블 코아(특히, 초전도 도체층이나 외부 초전도층)를 냉각하는 액체 질소 등의 냉매를 충전하여 유통시키는 냉매 유로로서 이용한다. 이러한 케이블용 단열관은 가요성을 갖는 코러게이트관이 바람직하다. 특히, 케이블용 단열관은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용 단열관을 갖는 초전도 케이블을 상온 미만의 유체의 수송에 이용되는 단열관(이하, 유체용 단열관이라고 부름)에 수납하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해,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된 초전도 케이블은, 상온 미만의 유체에 의해, 케이블 외주가 상온 미만의 저온 환경으로 되는 것에 부가하여, 유체용 단열관의 단열 구조와 케이블 자체의 단열 구조를 합친 이중 단열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열을 종래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하여, 초전도 케이블에 충전되는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에너지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초전도 케이블이 수납되는 유체용 단열관은 수송하는 유체에 따른 단열 성능을 구비하는 것을 이용하면 좋다. 예컨대, 상기 초전도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외관 및 내관의 이중 구조이며, 양쪽관 사이에 보냉재(keeping cool material)를 배치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이 때, 내관의 안쪽이 유체의 수송로로 된다. 또한, 유체는 상온 미만의 온도인 것으로 한다. 초전도 케이블에는 상기 한 바와 같이 케이블용 단열관 내에 초전도부를 냉각하는 냉매가 유통되고, 이 냉매로서, 예를 들어 77K로 냉각된 액체 질소가 이용된다. 따라서, 초전도 케이블이 대기중에 포설된 경우, 케이블용 단열관 내외의 온도차(냉매와 대기의 온도차)가 200K 이상으로 되기 때문에, 케이블 내로의 침입열이 많아지기 쉽다. 그래서, 종래는, 침입열을 저감하도록 냉매의 냉각 에너지를 많게 하거나, 케이블용 단열관의 단열 성능을 높이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반하여, 상온 미만이라고 한 저온의 유체가 수송되는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된 초전도 케이블은, 케이블용 단열관 내외의 온도차, 구체적으로는 냉매와 유체의 온도차를 200K 미만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중에 포설된 케이블과 비교하여 침입열이 적어, 냉매의 냉각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다. 즉, 냉매의 냉각 시스템까지를 포함해서 고려한 경우,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종래보다 에너지 소비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선로를 통전에 의한 발생열(도체 손실)이 거의 없는 직류용 선로로 하는 경우, 에너지 손실의 원인이 주로 침입열로 되기 때문에, 이러한 침입열의 저감은 에너지 소비 효율의 향상에 매우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된 초전도 케이블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열침입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용 단열관의 단열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즉 침입열에 대한 단열 레벨을 낮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유체는 상온 미만이면 좋고, 특히 저온일수록 케이블 내로의 침입열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유체는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와 동일한 것을 이용해도 되고, 상이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즉,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 온도와 동등한 정도의 온도의 유체이더라도 무방하고, 냉매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유체이더라도 무방하고, 냉매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유체이더라도 무방하다.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 온도 근방의 온도의 유체인 경우, 케이블용 단열관 내외의 온도차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보다 온도가 낮은 유체는, 유체로부터 케이블로 열침입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상기 냉매가 열침입에 의해서 온도가 상승하는 일이 거의 없고, 반대로 케이블용 단열관 내의 상기 냉매를 냉각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체가 수송되는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되는 초전도 케이블은, 케이블에 사용하는 냉매의 냉각 시스템의 냉각 성능 레벨을 비교적 낮게 할 수 있어,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에너지를 각별히 저감시킬 수 있다.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보다 온도가 높은 유체의 경우, 상기 냉매가 유체로부터 케이블로의 침입열에 의해 승온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대기중 포설과 비교하여 침입열이 매우 적기 때문에, 승온 정도도 매우 작다. 그래서, 이 경우에도, 대기중 포설과 비교하여, 초 전도 케이블에 이용하는 냉매의 냉각 시스템의 냉각 성능 레벨을 낮게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유체로서는, 예를 들면, 액체 헬륨(약 4K), 액체 수소(약 20K), 액체 산소(약 90K), 액체 질소(약 77K), 액화 천연 가스(약 113K)를 들 수 있다.
유체용 단열관에 초전도 케이블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나 강철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판재를 용접하여 유체용 단열관을 형성하는 경우, 판재 위에 케이블을 배치하고, 케이블을 덮도록 판재를 구부려서 판재의 가장자리끼리를 용접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유체용 단열관으로서 스테인리스나 강철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 튜브 내에 초전도 케이블을 삽입시킴으로써 유체용 단열관 내에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다. 이 때, 초전도 케이블의 삽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케이블의 외주에 스키드 와이어(skid wire)(슬라이드 와이어(slide wire))를 나선 형상으로 권회하여 삽입해도 된다. 특히, 케이블용 단열관이 요철이 있는 코러게이트관인 경우, 스키드 와이어가 코러게이트관의 오목부에 빠지지 않도록 코러게이트관의 요철보다도 큰 피치(롱 피치(long pitch))로 스키드 와이어를 권회하여, 상기 요철 위에 스키드 와이어를 존재시키고, 코러게이트관의 외주가 유체용 단열관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즉, 코러게이트관의 외주에 권회한 스키드 와이어가 유체용 단열관에 점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면 삽입성이 좋다. 또한, 강도 부재(tension member) 등을 초전도 케이블에 부착하여, 유체용 단열관 내에 인입해도 된다.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시킨 초전도 케이블은 유체용 단열관 내에서 수송되는 유체와 접촉하도록 배치해도 되고, 접촉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전자의 경우, 초전도 케이블을 유체에 침지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 때, 초전도 케이블의 전체 주위가 저온의 유체에 접촉해 있기 때문에, 케이블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침입열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초전도 케이블을 유체에 침지시킨 상태로 함으로써, 만일 초전도 케이블이 단락 등에 의해 불꽃이 발생했을 때, 유체에 따라서는 인화해서 폭발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그래서, 유체용 단열관 내를 유체의 수송 영역과 초전도 케이블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구획해도 된다. 예컨대, 유체의 수송 영역으로서 별도 유체의 수송관을 유체용 단열관 내에 배치하고, 초전도 케이블은 상기 수송관에 세로로 첨부하여 배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때, 유체용 단열관 내에서 수송관과 초전도 케이블을 제외한 공간, 즉, 유체용 단열관의 내주면과 수송관의 외주면과 케이블의 외주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전도 스페이서를 배치하면, 열전도 스페이서를 거쳐서 유체로부터의 열을 케이블에 효율적으로 전해지기 때문에, 특히, 유체가 케이블의 냉매보다 저온인 경우, 유체로써 케이블을 냉각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도 스페이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열전도 스페이서는 알루미늄박을 권회하여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서는, 선로를 구축하는 초전도 케이블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초전도 케이블을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시켜도 되고, 일부의 케이블만을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해도 된다. 예컨대, 일부의 초전도 케이블만을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하고, 잔부의 초전도 케이블을 대기중에 포설한 선로 로 해도 되고, 케이블의 외주가 냉매 온도 이하의 저온도 환경에 있는 저온 영역부와, 냉매 온도보다 높은 온도 환경에 있는 고온 영역부를 갖는 선로 해도 무방하다. 특히, 유체가 냉매보다 온도가 낮은 경우, 초전도 케이블에 있어서 유체용 단열관 내에 수납된 부분은 지나치게 냉각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과냉각에 의해 냉매의 일부가 고화하여, 케이블의 냉매가 유통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유체에 의한 초전도 케이블의 지나친 냉각을 억제하여, 케이블의 냉매에 있어서 가장 저온인 부분이 고화하여 냉매의 유통을 방해하는 온도로 되지 않도록, 초전도 케이블에 있어서 유체에 의해 냉각된 부분의 온도를, 초전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온도 범위 내에서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초전도 케이블의 외부 온도가 상이한 영역을 마련하여, 선로 전체적으로 열수지(熱收支)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 상기 저온 영역부 및 고온 영역부를 마련하고, 저온 영역부에서 지나치게 냉각된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를 고온 영역부로써 승온시키거나, 혹은, 고온 영역부에서 승온된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를 저온 영역부로써 냉각하는 것을 제안한다.
유체용 단열관은 제 1 단열관과 제 2 단열관을 포함한다. 저온 영역부는 케이블용 단열관에 충전되는 냉매의 냉매 온도보다 온도가 낮은 유체가 수송되는 유체용 단열관(제 1 단열관) 내에 초전도 케이블을 수납하여 구성해도 된다. 고온 영역부는 초전도 케이블을 대기중에 포설하여 구성해도 되고, 케이블용 단열관에 충전되는 냉매의 냉매 온도보다 온도가 높은 유체가 수송되는 다른 유체용 단열관 (제 2 단열관) 내에 케이블을 수납하여 구성해도 된다. 예컨대,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로서 액체 질소를 이용하는 경우, 저온 영역부의 유체(제 1 유체)는 액체 수소나 액체 헬륨을 이용하고, 고온 영역부의 유체(제 2 유체)는 액화 천연 가스나 액체 산소를 이용하면 좋다.
상기 저온 영역부와 고온 영역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선로에서는, 온도가 상이한 유체를 수송하는 복수의 유체용 단열관을 이용하거나,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보다 저온인 유체를 수송하는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하는 구성과 대기중 포설을 조합함으로써 열수지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저온 영역부와 고온 영역부를 반복해서 구비함으로써, 저온 영역부의 온도 저하와, 고온 영역부의 온도 상승과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외에, 선로를 구성하는 초전도 케이블의 단열 성능을 변화시킴으로써, 선로 전체의 열수지의 밸런스를 취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선로에서는, 초전도 케이블이 배치되는 영역의 온도 상태에서 케이블용 단열관의 단열 성능을 변화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저온 영역부에 배치되는 초전도 케이블의 케이블용 단열관의 단열 성능보다 고온 영역부에 배치되는 케이블의 케이블용 단열관의 단열 성능을 낮게 해도 무방하다. 종래의 대기중 포설된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서는, 케이블의 전체 길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외주의 온도 대역이 상온이기 때문에, 단열 성능을 전체 길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일정 레벨, 특히, 외부로부터의 침입열을 방지하도록 높은 레벨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선로에서는, 초전도 케이블을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시킨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케이블 내로의 침입열을 저감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 블이 포설되는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단열 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보다 고온인 유체를 수송하는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되는 케이블 부분과, 대기중 포설되는 케이블 부분을 구비하는 선로의 경우,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되는 케이블 부분의 단열 성능을 대기중 포설되는 케이블 부분의 단열 성능보다 레벨을 낮게 해도 된다.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되는 초전도 케이블은,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침입열이 적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선로를 구성하는 초전도 케이블의 단열 성능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단열 성능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케이블용 단열관이 외관과 내관의 이중 구조이며, 양쪽관 사이에 단열재를 배치하는 동시에 진공으로 한 구성인 경우, 외관과 내관 사이의 진공도를 변화시키거나, 외관과 내관 사이에 배치하는 단열재의 권수를 변화시키거나, 단열재의 재료를 바꾸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수지의 밸런스를 취함으로써, 선로 전체에 있어서 냉매가 처리하는 열에너지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를 냉각함에 있어서, 열교환을 유체 사이에서 행하는 구성, 즉,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 케이블의 냉매와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 수단을 별도로 구비한 구성으로 하면, 열교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의 냉각은, 통상, 열 펌프를 이용한 냉각 시스템에 의해 실행하고 있으며, 종래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서는 열 펌프의 응축 대상을 상온의 물이나 대기로 하고 있다. 그렇게 하면, 열교환 대상간의 온도차가 200K 이상도 있기 때문에, 초전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온도로 냉매를 냉각하는 경우, 상기 온도차가 커질수록 많은 열에너지가 필요하게 되어, COP가 0:1 이하로 된다. 이에 반하여, 상온 미만의 유체를 냉매의 열교환 대상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상온의 대기나 물과 비교하여 열교환 대상간의 온도차가 작기 때문, 열교환 효율이 매우 우수하여, COP를 0.5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보다 온도가 낮은 유체를 케이블 냉매의 열교환 대상으로 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체에 의해 냉매를 직접 냉각하는 구성으로 하면, 케이블의 냉매용 냉동기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의 열교환 대상을 상온의 대기나 물을 대신하여 유체용 단열관에 수송되는 유체로 함으로써, 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부가하여, 유체가 기화할 때의 기화 잠열을 이용하면, 냉매의 냉각 에너지의 저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체로서, 액화 천연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 액화 천연 가스의 기화 잠열(냉열)을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액화 천연 가스의 플랜트(기지)에서는, 액화 천연 가스를 화하여 천연 가스를 제조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래서,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와 액화 천연 가스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해지도록 하면, 케이블의 냉매는 액화 천연 가스로부터 상기 기화 잠열을 수취하여 냉각되고, 액화 천연 가스는 케이블의 냉매로부터 열을 수취해서 따뜻하게 되어 기화된다. 이와 같이 양자의 요구를 낭비 없이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유체와 냉매와의 열교환은 초전도 케이블뿐만 아니라, 저온의 냉매를 이용하는 그 밖의 초전도 기기, 예를 들면, 초전도 변압기, 초전도 전력 저장 시스템(SMES), 초전도 전류 제한기 등의 냉매에서도 구축하면, 에너지 효율을 보다 향 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유체의 수송을 행하는 유체용 단열관이 배치되는 개소, 예를 들면, 유체 플랜트 등에 구축하여, 유체의 수송에 이용되는 각종 전력 기기의 전력 공급에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면, 초전도 케이블의 장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류 송전, 교류 송전 중 어느 것에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3상 교류 송전을 행하는 경우, 3심 초전도 케이블로 하여, 각 코아의 초전도 도체층을 각각 상(相)의 송전에 이용하고, 각 코아의 외부 초전도층을 쉴드층으로서 이용하면 좋다. 단상 교류 송전을 행하는 경우, 단심 초전도 케이블로 하여, 코아에 구비하는 초전도 도체층을 상의 송전에 이용하고, 외부 초전도층을 쉴드층으로서 이용하면 좋다. 단극 직류 송전을 행하는 경우, 단심 초전도 케이블로 하여, 이 코아의 초전도 도체층을 왕로 도체에 이용하고, 외부 초전도층을 귀로 도체로서 이용하면 좋다. 쌍극 직류 송전을 행하는 경우, 2심 초전도 케이블로 하여, 하나의 코아의 초전도 도체층을 정극 송전에 이용하고, 다른 코아의 초전도 도체층을 부극 송전에 이용하며, 양쪽 코아의 외부 초전도층을 중성선층으로서 이용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ρ그레이딩, ε그레이딩이 실시된 전기 절연층을 갖는 케이블 코아를 구비하는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직류 교류의 양쪽용 선로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초전도 케이블뿐만 아니라, 선로 단부에 형성되어, 초전도 케이블과 상온측 도전부(상전도 케 이블이나 상전도 케이블에 접속되는 리드 등)를 접속하는 단말 구조도 직류 교류의 양쪽용에 적합한 구성으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 구조는 초전도 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인출한 케이블 코아의 단부와, 상온측 도전부에 접속되는 인출 도체부와, 코아 단부와 인출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와, 이들 코아 단부, 인출 도체부의 코아 접속측 단부, 접속부를 수납하는 종단 접속 상자를 구비하는 구성이 대표적이다. 종단 접속 상자는, 통상, 코아 단부나 인출 도체부의 단부를 냉각하는 냉매조와, 냉매조의 외주에 배치되는 진공 단열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단말 구조에 있어서, 교류 송전과 직류 송전에서는, 인출 도체부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인출 도체부의 도체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직류 교류의 양쪽용 단말 구조로서는, 부하에 따라 인출 도체부의 도체 단면적을 변화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말 구조로서, 예컨대, 인출 도체부를, 코아 단부에 접속되는 저온측 도체부와, 상온측 도전부측에 배치되는 상온측 도체부로 분할하고, 이들 저온측 도체부와 상온측 도체부가 착탈 가능한 구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착탈 가능한 인출 도체부를 복수 구비하여, 저온측 도체부와 상온측 도체부와의 접속수에 의해, 인출 도체부 전체의 도체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각 인출 도체부의 도체 단면적은 모두 동일하게 해도 되고, 상이하게 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단말 구조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인출 도체부를 착탈함으로써, 직류 송전으로부터 교류 송전으로의 변경, 또는 교류 송전으로부터 직류 송전으로의 변경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인출 도체부의 도체 단면적을 변경할 수 있음으 로써, 교류 송전시 또는 직류 송전시에 있어서, 공급 전력의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도체 단면적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케이블로의 침입열을 효과적으로 저감하여, 에너지 소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저온 영역부와 고온 영역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서는, 선로 전체에서 열수지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어, 케이블 냉매의 냉각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로에서 ρ그레이딩을 실시한 전기 절연층을 갖는 케이블 코아를 구비하는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직류 내전압 특성이 우수하여, 직류 송전에 적합한 선로로 할 수 있다. 또한, ρ그레이딩에 부가하여 초전도 도체층의 근방이 고ε로 되도록 전기 절연층을 마련한 케이블 코아를 구비하는 초전도 케이블을 본 발명의 선로에 이용한 경우, 상술한 직류 내전압 특성의 향상에 부가하여, Imp. 내압 특성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전기 절연층의 내주측일수록 고ε로 하고 외주측일수록 저ε로 하면, 본 발명의 선로는 교류 전기 특성도 우수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직류 송전, 교류 송전의 각각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선로로서, 상기 ρ그레이딩 및 ε그레이딩이 실시된 전기 절연층을 갖는 케이블 코아를 구비하는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하고, 또한 선로 단부에 형성되는 단말 구조를, 초전도 케이블과 상온측 도전부 사이 에 배치되는 인출 도체부의 도체 단면적을 변화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송전 방식을 교류와 직류 사이에서 변경하는 과도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선로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를 구축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 있어서, 초전도 케이블 부분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를 구축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유체용 단열관 내에 유체의 수송관, 초전도 케이블 및 열전도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저온 영역부와 고온 영역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상이한 유체를 수송하는 2개의 유체용 단열관에 각각 초전도 케이블을 수납한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를 냉각하는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로서, 냉매와 유체간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 수단을 구비하는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유체에 의해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를 직접 냉각하는 열교환 수단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9는 교류 송전 선로의 경우의 3심 일괄형의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한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 있어서, 선로 단부에 형성되는 단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0은 직류 송전 선로의 경우의 3심 일괄형의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한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 있어서, 선로 단부에 형성되는 단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1은 3심 일괄형의 3상 교류용 초전도 케이블의 단면도,
도 12는 각 케이블 코아(102)의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유체, 2, 2M, 2N: 유체용 단열관, 2a: 외관, 2b: 내관, 3: 수송관, 4: 열전도 스페이서, 5: 온도 조절 수단, 10: 초전도 케이블, 10a: 배관, 11: 케이블용 단열관, 11a: 외관, 11b: 내관, 12: 케이블 코아, 13: 공간, 14: 초전도 도체층, 15: 외부 초전도층, 20, 30: 열교환 수단, 21, 31: 유로, 22: 팽창 밸브, 23: 압축기, 24, 32: 단열 케이스, 25: 배관, 40: 인출 도체부, 41: 저온측 도체부, 41a: 저온측 밀봉부, 42: 상온측 도체부, 42a: 상온측 밀봉부, 43: 리드, 44: 접지선, 50: 종단 접속 상자, 51, 52: 냉매조, 53: 진공 단열조, 53a: 신축부, 60: 부싱, 61: 인출 도체부, 62: 애관, 63: 에폭시 유닛, 70: 단락부, 100: 3상 교류용 초전 도 케이블, 101: 단열관, 101a: 외관, 101b: 내관, 102: 케이블 코아, 103: 공간, 104: 방식층, 200: 포머, 201: 초전도 도체층, 202: 전기 절연층, 203: 초전도 쉴드층, 204: 보호층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를 구축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 있어서, 초전도 케이블 부분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를 구축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상온 미만의 유체(1)가 수송되는 유체용 단열관(2)과, 유체용 단열관(2)에 수납되는 초전도 케이블(10)을 구비한다.
본 예에서 이용한 초전도 케이블(10)은 케이블용 단열관(11)에 3개의 케이블 코아(12)를 꼬아서 수납시킨 구성이며, 기본적 구성은 도 11에 나타내는 초전도 케이블과 마찬가지이다. 각 케이블 코아(12)는 중심으로부터 순서대로 포머, 초전도 도체층, 전기 절연층, 외부 초전도층, 보호층을 구비한다. 초전도 도체층 및 외부 초전도층은 Bi2223계 초전도 테이프선(Ag-Mn 시스선)으로 형성하였다. 초전도 도 체층은 포머의 외주에, 외부 초전도층은 전기 절연층의 외주에 각각, 상기 초전도 테이프선을 나선 형상으로 권회하여 구성하였다. 포머는 구리선을 복수개 꼬은 것을 이용하였다. 포머와 초전도 도체층 사이에는, 절연지에 의해 쿠션층을 형성하였다. 전기 절연층은 초전도 도체층의 외주에 반합성 절연지(PPLP: 스미토모 전기 공업 주식회사 등록상표)를 권회하여 구성하였다. 전기 절연층의 내주측에 내부 반도전층, 외주측(외부 초전도층 아래)에 외부 반도전층을 마련해도 된다. 보호층은 외부 초전도층의 외주에 크래프트지를 권회하여 마련하였다. 이러한 케이블 코아(12)를 3개 준비하고, 열수축에 필요한 수축 공차를 갖도록 느슨하게 꼬아서 단열관(11) 내에 수납하고 있다. 본 예에 있어서 단열관(11)에는, SUS 코러게이트관을 이용하여, 외관(11a)과 내관(11b)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사이에 단열재(도시하지 않음)를 다층으로 배치하고, 또한 외관(11a)과 내관(11b) 사이를 소정의 진공도로 진공시킨 진공 다층 단열 구성으로 하였다. 내관(11b)의 내주면과 3심의 케이블 코아(12)의 외주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13)이 냉매의 유로로 된다. 이 유로 내에, 펌프 등을 이용하여 초전도 도체층이나 외부 초전도층을 냉각하는 냉매를 유통시킨다. 본 예에서는, 냉매로서 액체 질소(약 77K)를 이용하였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초전도 케이블(10)을 유체용 단열관(2) 내에 수납하고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유체용 단열관(2)은 외관(2a)과 내관(2b)의 이중 구조이고, 양쪽관(2a, 2b) 사이에 보냉재(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한 구성이다. 내관(2b)의 내주와 초전도 케이블(10)의 외주로 둘러싸이는 공간이 유체(1)의 수송로가 된다. 양쪽관(2a, 2b)은 모두 강철제의 용접관이며, 내관(2b)을 구성하는 강철판에 초전 도 케이블(10)을 배치하여, 강철판의 양쪽 가장자리를 용접함으로써, 내관(2b) 내에 케이블(10)을 수납하였다. 그리고, 본 예에 있어서 초전도 케이블(10)은 유체에 침지된 상태에서 내관(2b)에 배치된다. 본 예에서는, 유체로서 액화 천연 가스(약 111K)를 이용하였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서는, 상온 미만의 유체가 수송되는 유체용 단열관에 초전도 케이블을 수납함으로써, 케이블 내의 온도와 케이블 외주의 주위 환경의 온도와의 차를 200K 미만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로는 대기중에 포설된 초전도 케이블 선로와 비교하여, 대기 등의 상온 환경으로부터의 침입열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선로는 유체의 단열관을 이용함으로써, 초전도 케이블 자체의 단열관과 합쳐서 이중 단열 구조로 되기 때문에, 외부 등으로부터 케이블로의 침입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서는,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에너지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선로 전체로 보면, 에너지 소비 효율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초전도 케이블을 유체에 침지시킨 구성으로 했지만, 유체에 침지시키지 않도록 유체용 단열관에 초전도 케이블을 수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컨대, 유체용 단열관 내에 유체의 수송로를 별도로 마련해도 된다. 도 4는 유체용 단열관 내에 유체의 수송관 및 열전도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본 발명 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서는, 유체용 단열관(2)의 내관(2b) 내에 별도로 유체의 수송관(3)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내관(2b)의 내주면과 수송관(3)의 외주면과 초전도 케이블(10)의 외주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전도 스페이서(4)를 배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초전도 케이블(10)은 유체용 단열관(2)과 케이블(10) 자신의 단열관(11)(도 1, 2 참조)과의 이중 단열 구조를 구비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침입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체로부터의 열이 열전도 스페이서(4)를 거쳐서 초전도 케이블(10)로 전해지기 때문에, 특히, 유체가 케이블(10)의 냉매(액체 질소)보다 저온인 경우, 예를 들어, 액체 수소(약 20K)나 액체 헬륨(약 4K)의 경우, 유체(1)에 의해 케이블(10)을 냉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열전도 스페이서(4), 수송관(3)에 의해 유체(1)는 초전도 케이블(10)과 물리적으로 격절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10)에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하여 불꽃이 발생했을 때에 유체(1)로 인화하는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열전도 스페이서는 알루미늄박을 권회함으로써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는, 선로 전체에 걸쳐서 초전도 케이블을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선로에 있어서, 일부의 케이블을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하고, 다른 부분의 케이블을 대기중에 포설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3은 저온 영역부와 고온 영역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다. 이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초전도 케이블(10)이 유체용 단열관(2)에 수납된 저온 영역부와, 케이블(10)이 유체용 단열관(2)에 수납되지 않고 대기중에 포설된 고온 영역부를 구비한다. 특히, 유체용 단열관(2)으로 수송하는 유체는 초전도 케이블(10)의 냉매보다 온도가 낮은 것, 예를 들면, 액체 수소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선로에 있어서 유체용 단열관(2)에 수납된 초전도 케이블, 즉, 저온 영역부에서는 케이블의 외주가 냉매 온도 이하의 저온 환경에 배치되고, 또한 케이블(10) 자체의 단열관에 부가하여 유체용 단열관(2)이 존재하기 때문에, 케이블로의 침입열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반면에, 초전도 케이블의 외주가 냉매의 온도보다 저온이기 때문에, 냉매가 지나치게 냉각되어 고화하여, 냉매가 유통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로를 구축하는 초전도 케이블 중, 일부의 초전도 케이블을 유체용 단열관(2)에 수납시키지 않고 대기중에 포설함으로써, 지나치게 냉각된 냉매를 대기로부터의 침입열에 의해 따뜻하게 하여, 냉매의 지나친 냉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이 선로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의 전체적으로 열수지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유체용 단열관 내의 초전도 케이블은 실시예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에 침지된 상태로 해도 되고, 실시예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의 수송로와 케이블을 구획한 상태로 해도 된다. 이는 이하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는, 유체로서, 초전도 케이블(10)의 냉매보다 온도가 낮은 것을 이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상기 냉매보다 온도가 높은 것, 예를 들면, 액체 산소나 액화 천연 가스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이 때, 유체용 단열관(2)에 수납시키는 초전도 케이블의 단열 성능과, 대기중에 포설하는 초전도 케이블의 단열 성능을 상이하게 해도 무방하다. 유체용 단열관(2)에 수납시키는 초전도 케이블은 대기중에 포설하는 케이블과 비교하여, 대기로부터의 침입열이 적다. 그래서, 유체용 단열관(2)에 수납시키는 초전도 케이블의 단열 성능을 대기중에 포설하는 케이블의 단열 성능과 비교하여, 작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서는, 부분적으로 단열 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초전도 케이블의 단열 성능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케이블 코아를 수납하는 케이블용 단열관의 진공도를 변화시키거나, 단열관에 배치하는 단열재의 양을 변화시키거나, 단열재의 재질을 변화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3에서는, 선로에 있어서, 일부의 케이블을 하나의 유체용 단열관에 수납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상이한 유체를 수송하는 유체용 단열관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 유체용 단열관 내에 각각 초전도 케이블을 수납시켜도 된다. 도 5는 상이한 유체를 수송하는 2개의 유체용 단열관에 각각 초전도 케이블을 수납한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서는, 초전도 케이블(10)의 냉매(액체 질소)보다 온도가 낮은 유체(예를 들면, 액체 수소 등)를 수송하는 유체용 단열관(2M), 상기 냉매보다 온도가 높은 유체(예 를 들면, 액화 천연 가스)를 수송하는 유체용 단열관(2N)을 구비하고, 각 단열관(2M, 2N)에 각각 초전도 케이블(10)을 수납시키고 있다. 즉, 이 구성에서는, 선로에 있어서 저온의 유체를 수송하는 유체용 단열관(2M)에 수납된 초전도 케이블 부분이 저온 영역부로 되고, 상온 미만의 고온의 유체를 수송하는 유체용 단열관(2N)에 수납된 케이블 부분이 고온 영역부로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저온 영역부에서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가 지나치게 냉각되더라도, 고온 영역부에서 냉매가 유체로부터의 열을 받아서 승온되기 때문에, 선로 전체에서는 열수지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온 영역부와 고온 영역부 사이에 초전도 케이블(10)의 냉매의 온도 조절을 행하는 온도 조절 수단(5)을 구비하여, 냉매의 온도를 미세 조정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초전도 케이블(10)의 냉매와 저온 영역부의 유체(액체 수소)와의 온도차, 상기 냉매와 고온 영역부의 유체(액화 천연 가스)와의 온도차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상기 온도 조절 수단(5)도 조정 레벨(온도차의 조정폭)이 작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선로는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를 냉각할 때에 열교환의 대상으로서 유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를 냉각하는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냉매와 유체간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 수단을 구비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초전도 케이블(10)의 냉매를 냉각함에 있어서, 열교환의 대상으로서 유체를 이 용하는 열교환 수단(20)을 구비한다. 이 열교환 수단(20)은 헬륨 등의 열교환용 매체가 유통되는 유로(21)와, 상기 열교환용 매체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22)와, 팽창된 열교환용 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23)와, 이것들을 수납하는 단열 케이스(24)를 구비한다. 그리고, 팽창된 열교환용 매체로써 초전도 케이블(10)의 냉매가 냉각되도록, 유로(21)에 있어서, 팽창 밸브(22)를 통과한 부분에 케이블(10)의 냉매를 수송하는 배관(10a)을 배치하고, 압축된 열교환용 매체가 유체에 의해 응축되어 승온되도록, 유로(21)에 있어서, 압축기(23)를 통과한 부분에 유체를 수송하는 배관(25)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통전에 따르는 도체 손실 등에 의해 승온한 초전도 케이블(10)의 냉매는 열교환 수단(20)에 의해 냉각되어, 케이블(10) 내로 되돌려진다. 이 때, 열교환 수단(20)의 응축 대상을 상온 미만의 유체로 함으로써, 상온의 대기나 물을 대상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케이블(10)의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에너지, 구체적으로는 팽창 밸브(22)나 압축기(23)를 구동시키는 에너지 등을 각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체는 열교환 수단(20)에 의해 승온되어 기화되는 경우가 있지만, 유체 플랜트에서는, 유체를 기화하여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기화된 유체를 별도 구비한 냉동기 등의 냉각 수단에 의해 적절히 냉각하여 액화해도 좋지만, 기화된 상태 그대로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와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을 함으로써,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어, 이 선로는 에너지 소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선로는 동시에 유체의 기화 잠열을 이용하여,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 를 냉각할 수도 있기 때문에,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에너지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선로는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의 냉각과 동시에, 유체의 기화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체의 기화에 따르는 에너지도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로서는 액화 천연 가스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선로는 유체가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보다 저온인 경우, 케이블의 냉매를 유체로써 직접 냉각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8은 유체에 의해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를 직접 냉각하는 열교환 수단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서는, 초전도 케이블(10)의 냉매를 냉각함에 있어서, 열교환의 대상으로서 유체를 이용하는 열교환 수단(30)을 구비한다. 이 열교환 수단(30)은 케이블(1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수송하는 동시에 재차 케이블(10)로 냉매를 유입하는 배관(10a)과, 유체용 단열관(2)으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수송하는 배관(31)이 수납되는 단열 케이스(32)를 구비한다. 그리고, 냉매의 수송 배관(10a)이 유체의 수송 배관(31)에 접하도록 수송 배관(10a)을 단열 케이스(32) 내에 배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극저온의 유체로써 초전도 케이블의 냉매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단열 케이스(32) 내에는 전열재를 배치하여, 극저온 유체의 열이 냉매의 수송 배관(10a)에 의해 전해지기 쉽게 해도 된다. 전열재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7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직류 송전, 교 류 송전 중 어느 것에도 이용할 수 있다. 직류 송전을 행하는 경우, 초전도 케이블로서, 내주측 저항율이 낮고, 외주측 저항율이 높아지도록 ρ그레이딩을 실시한 전기 절연층을 갖는 케이블 코아를 구비하는 것을 이용하면, 전기 절연층의 두께 방향의 직류 전계 분포를 평활화하여, 직류 내전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항율은 비율 k가 상이한 PPLP(등록상표)를 이용함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어, 비율 k가 커지면 저항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전기 절연층에 있어서 초전도 도체층의 근방에 고ε층을 마련하면, 직류 내전압 특성의 향상에 부가하여, Imp. 내압 특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고ε층은, 예를 들면, 비율 k가 작은 PPLP(등록상표)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때, 고ε층은 저ρ층으로도 된다. 또한, 상기 ρ그레이딩에 부가하여, 내주측일수록 유전율 ε가 높고 외주측일수록 유전율 ε가 낮아지도록 전기 절연층을 형성한 케이블 코아를 구비하는 초전도 케이블은 교류 특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이러한 케이블을 이용한 본 발명의 선로는 교류 송전에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비율 k가 상이한 PPLP(등록상표)를 이용하여, 저항율 및 유전율이 3단계로 상이하도록 전기 절연층을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하의 3층은 내주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구비하면 된다(X, Y는 정수).
저ρ층: 비율 k=60%, 저항율 ρ(20℃)=X[Ωㆍ㎝], 유전율 ε=Y
중ρ층: 비율 k=70%, 저항율 ρ(20℃)=약 1.2X[Ωㆍ㎝], 유전율 ε=약 0.95Y
고ρ층: 비율 k=80%, 저항율 ρ(20℃)=약 1.4X[Ωㆍ㎝], 유전율 ε=약 0.9Y
상기 ρ그레이딩, ε그레이딩을 실시한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한 본 발명의 선로에 의해 단극 송전을 행하는 경우, 3심의 케이블 코아(12)(도 2 참조) 중, 2심의 코아를 예비심으로 하여, 하나의 코아의 초전도 도체층을 왕로 도체, 이 코아의 외부 초전도층을 귀로 도체로 해도 되고, 각 코아의 초전도 도체층을 왕로 도체, 이들 코아의 외부 초전도층을 귀로 도체로 하여, 3회선의 단극 송전 선로를 구축해도 된다. 한편, 쌍극 송전을 행하는 경우, 3심의 코아 중, 1심의 코아를 예비심으로 하여, 하나의 코아의 초전도 도체층을 정극 선로, 다른 코아의 초전도 도체층을 부극 선로, 양쪽 코아의 외부 초전도층을 중성선층으로 하면 좋다.
또한, 상기 ρ그레이딩, ε그레이딩을 실시한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하고, 또한, 이하의 단말 구조를 구비한 본 발명의 선로는, 교류 송전을 행한 후, 단극 송전이나 쌍극 송전이라는 직류 송전을 행하거나, 직류 송전 후 교류 송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8, 9는 3심 일괄형의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한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의 단부에 형성된 단말 구조에 있어서, 착탈 가능한 인출 도체부를 갖는 단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 8은 교류 송전 선로의 경우, 도 9는 직류 송전 선로의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8, 9에서는, 2심의 케이블 코아(12)만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3심이 존재한다.
이 단말 구조는 초전도 케이블(10)의 단부로부터 인출한 케이블 코아(12)의 단부와, 상온측 도전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인출 도체부(40, 61)와, 코아(12)의 단부와 인출 도체부(40, 6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와, 이들 코아(12)의 단부, 인출 도체부(40, 61)의 코아 접속측 단부, 접속부를 수납하는 종단 접속 상자(50)를 구비한다. 종단 접속 상자(50)는 코아(12)의 단부를 벗겨서 노출 된 초전도 도체층(14)이 도입되어, 초전도 도체층(14)을 냉각하는 냉매가 충전되는 냉매조(51)와, 마찬가지로 벗겨서 노출된 외부 초전도층(15)이 도입되어, 외부 초전도층(15)을 냉각하는 냉매가 충전되는 냉매조(52)와, 이들 냉매조(51, 52)의 외주에 배치되는 진공 단열조(53)를 구비한다. 초전도 도체층(14)에는, 상온측 도전부와 초전도 도체층(14) 사이에 배치되는 부싱(60)에 내장되는 인출 도체부(61)가 조인트(접속부)를 사이에 두고 접속되어, 초전도 케이블(10)과 상온측 도전부와의 전력의 수수(授受)를 가능하게 한다. 부싱(60)에 있어서 상온측 도전부와의 접속측(상온측)은 진공 단열조(53)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진공 단열조(53)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애관(62) 내에 수납된다.
한편, 외부 초전도층(15)은, 상온측 도전부와 외부 초전도층(15) 사이에 배치되는 인출 도체부(40)가 후술하는 단락부(70)(접속부)를 사이에 두고 접속되어, 초전도 케이블(10)과 상온측 도전부와의 전력의 수수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인출 도체부(40)는 단락부(70)에 접속되는 저온측 도체부(41)와, 상온측에 배치되어 저온측 도체부(4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상온측 도체부(42)로 이루어진다. 본 예에서는, 상온측 도체부(42)를 소정의 단면적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하고, 저온측 도체부(41)를 막대 형상의 상온측 도체부(42)가 감합 가능한 통 형상으로 하여, 상온측 도체부(42)를 저온측 도체부(41)에 꽂음으로써 양쪽 부분(41, 42)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저온측과 상온측 사이의 전력의 수수를 가능하게 하고, 상온측 도체부(42)를 저온측 도체부(41)로부터 뽑음으로써 양쪽 부분(41, 42)은 비도통 상태로 된다. 이러한 단말 구조에서는, 상기 인출 도체부(40)를 복수 구비하고 있다. 저 온측 도체부(41)는 한쪽 단을 단락부(7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다른쪽 단이 진공 단열조(53)에 돌출하여 배치되도록 냉매조(52)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고정 개소의 외주에는 냉매의 누설이나 냉매조(52)와 도체부(41)와의 단락 등을 방지하는 FRP제의 저온측 밀봉부(41a)를 마련하고 있다. 상온측 도체부(42)는 한쪽 단이 진공 단열조(53) 내에 배치되고, 다른쪽 단이 상온인 외부에 돌출하여 배치되도록 진공 단열조(53)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고정 개소의 외주에는, 열침입을 저감할 수 있고 진공 단열조(53)와 도체부(42)와의 단락 등을 방지하는 FRP제의 상온측 밀봉부(42a)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인출 도체부(40)를 착탈시킬 때, 진공 단열조(53)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도록 진공 단열조(53)에 있어서 상온측 도체부(42)의 고정 개소 근방에는, 코러게이트관으로 이루어지는 신축부(53a)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3심 코아(12)의 외부 초전도층(15)은 단락부(70)에 의해 단락시키고 있다. 또한, 상온측 도체부(42)의 상온측 단부에는, 외부의 기기 등과 접속되는 리드(43)나 접지선(44)이 부착된다. 초전도 도체층(14)에 있어서 냉매조(51, 52) 사이의 근방에 배치되는 개소의 외주에는 에폭시 유닛(63)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단말 구조를 구비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를 예를 들어 3상 교류 선로로서 이용하는 경우, 외부 초전도층(15)에 접속되는 인출 도체부(40)는 대지(對地) 전압을 취하는 데 필요한 도체 단면적을 갖고 있으면 좋다. 그래서, 필요한 도체 단면적으로 되도록,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 도체부(40)의 저온측 도체부(41)와 상온측 도체부(42)를 접속시켜, 불필요한 인출 도체부(40)의 저온측 도체부(41)와 상온측 도체부(42)를 이탈시켜 놓는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접속 시킨 인출 도체부(40)의 상온측 도체부(42)의 상온측 단부에는 접지선(44)을 접속하여 접지하고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3상 교류 송전으로부터 직류 송전으로 변경하는 요구가 있었을 때, 외부 초전도층(15)에는 초전도 도체층(14)과 동등한 전류가 흐른다. 즉, 도 9에 도시되는 교류 송전의 경우와 비교하여, 외부 초전도층(15)에 흐르는 전류가 커져, 인출 도체부(40)에 흐르는 전류도 커진다. 그래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류 송전의 경우에 이탈해 있었던 인출 도체부(40)의 저온측 도체부(41)와 상온측 도체부(42)를 접속시켜, 필요한 전류를 흘리는 데 충분한 도체 단면적을 확보한다. 본 예에서는, 접속시킨 인출 도체부(40)의 상온측 도체부(42)의 상온측 단부에는 리드(43)를 접속하고 있다. 반대로, 도 10에 나타내는 직류 송전으로부터 교류 송전으로 변경하는 요구가 있었을 때는, 직류 송전에 있어서 도통 상태로 되어 있었던 인출 도체부(40) 중, 한쪽을 분리하여 비도통 상태로 한다.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각종 전력 기기나 수요자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선로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온 미만의 저온의 유체를 수송하는 유체 플랜트 내의 전력 기기의 전력 공급용 선로로서 이용하면, 낮은 저항으로 대용량의 전력을 공급한다고 한 초전도 케이블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체의 수송로를 구축할 때, 케이블 선로를 구축할 수 있어, 포설 작업성이 우수하다.

Claims (11)

  1. 상온 미만의 유체(1)가 수송되는 유체용 단열관(2, 2M, 2N)과,
    상기 유체용 단열관(2, 2M, 2N) 내에 수납되는 초전도 케이블(1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케이블(10)은 상기 유체(1) 내에 침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용 단열관(2, 2M, 2N) 내에는, 상기 유체(1)가 수송되는 수송 영역과 상기 초전도 케이블(10)이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1)는 액체 헬륨, 액체 수소, 액체 산소, 액체 질소, 액화 천연 가 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1)는 상기 초전도 케이블(10)의 냉매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케이블(10)은 초전도부(12)를 냉각하는 냉매를 구비하고,
    초전도 케이블 선로는, 상기 초전도 케이블(10)의 외주가 상기 냉매 온도 이하의 저온도 환경에 있는 저온 영역부와, 상기 초전도 케이블(10)의 외주가 상기 냉매 온도보다 높은 온도 환경에 있는 고온 영역부를 갖고,
    상기 저온 영역부에서는, 상기 초전도 케이블(10)이 상기 유체용 단열관(2, 2M, 2N) 내에 수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용 단열관(2, 2M, 2N)은, 제 1 유체가 수송되는 제 1 단열관(2M) 과, 상기 제 1 유체와 상이한 제 2 유체가 수송되는 제 2 단열관(2N)을 포함하고,
    고온 영역부에서는, 상기 초전도 케이블(10)이 상기 제 2 단열관(2N) 내에 수납되고,
    상기 초전도 케이블(10)의 냉매는 액체 질소, 상기 제 1 유체는 액체 수소, 상기 제 2 유체는 액화 천연 가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케이블(10)은 초전도부(12)를 냉각하는 냉매를 구비하고,
    초전도 케이블 선로에는, 상기 냉매와 상기 유체(1)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 수단(20,30)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케이블(10)은, 초전도 도체층(14)과, 상기 초전도 도체층(14)의 외주에 마련되는 전기 절연층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절연층은, 그 직경 방향의 직류 전계 분포가 평활화되도록, 상기 전기 절연층의 내주측 저항율이 낮고 외주측 저항율이 높아지도록 ρ그레이딩(ρ grading)이 실시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층은, 상기 초전도 도체층(14)의 근방에, 다른 개소보다 유전율이 높은 고ε층(high ε layer)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층은, 그 내주측일수록 유전율 ε이 높고 외주측일수록 유전율 ε이 낮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선로.
KR1020077002498A 2004-07-29 2005-07-12 초전도 케이블 선로 KR101118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2529 2004-07-29
JPJP-P-2004-00222529 2004-07-29
JP2005072050A JP4826996B2 (ja) 2004-07-29 2005-03-14 超電導ケーブル線路
JPJP-P-2005-00072050 2005-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130A true KR20070038130A (ko) 2007-04-09
KR101118374B1 KR101118374B1 (ko) 2012-03-09

Family

ID=3578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498A KR101118374B1 (ko) 2004-07-29 2005-07-12 초전도 케이블 선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786385B2 (ko)
EP (1) EP1780733A4 (ko)
JP (1) JP4826996B2 (ko)
KR (1) KR101118374B1 (ko)
CN (1) CN101002290B (ko)
CA (1) CA2573923A1 (ko)
HK (1) HK1106060A1 (ko)
NO (1) NO20070516L (ko)
RU (1) RU2361305C2 (ko)
TW (1) TW200623155A (ko)
WO (1) WO20060113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047B1 (ko) * 2008-01-25 2009-04-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전도 케이블
KR20230101981A (ko) * 2021-12-29 2023-07-07 대한전선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절연물의 온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9848A1 (en) * 2006-04-10 2009-09-1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Superconducting cable
TWI385675B (zh) * 2006-04-11 2013-02-1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超導電纜
AU2011209867B2 (en) 2010-01-27 2016-05-1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Superconducting system for enhanced natural gas production
JP2013073831A (ja) * 2011-09-28 2013-04-22 Sumitomo Electric Ind Ltd 超電導ケーブル線路
US8933335B2 (en) * 2011-10-14 2015-01-13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Current lead with a configuration to reduce heat load transfer in an alternating electrical current environment
US8555929B2 (en) 2011-11-28 2013-10-15 Aeroflex Usa Multi-hole insulation tube
US20140290978A1 (en) * 2011-12-20 2014-10-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sulation structure of lead wire, transform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insulating lead wire
CN102679152B (zh) * 2012-04-20 2014-05-28 西安交通大学 一种液化天然气和高温超导电能联合远程输送系统
RU2516291C1 (ru) * 2012-09-17 2014-05-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нергет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 Г.М. Кржижановского" ОАО "ЭНИН" Сверхпроводящий многожильный ленточный провод для переменных и постоянных токов
RU2551421C2 (ru) * 2013-08-23 2015-05-27 Георгий Ярославич Кремлёв Идеальный проводник (его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деального проводника (его варианты)
CN105179823B (zh) * 2015-09-29 2017-09-29 四川师范大学 一种液化页岩气‑液氮‑超导直流电缆复合能源传输系统
JP6613934B2 (ja) * 2016-02-05 2019-12-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パイプタイプ固体絶縁ケーブルシステム、パイプタイプ固体絶縁ケーブルシステムの構築方法、及びパイプタイプ固体絶縁ケーブルシステムの冷却方法
JP6593219B2 (ja) * 2016-02-19 2019-10-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導電部材
CN107799226B (zh) * 2016-09-07 2022-04-29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内冷却高温超导复合导体
US11309122B2 (en) 2016-09-12 2022-04-19 Holygo Corporation Wireless charging coil structure with function of heat dissipation
CN106847419A (zh) * 2016-12-29 2017-06-13 东莞市玻尔超导科技有限公司 一种矩阵式螺旋超导电缆的绞制方法
CN107300129A (zh) * 2017-06-13 2017-10-27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低温燃料冷却阻燃气体保护的超导能源管道
CN107453534B (zh) * 2017-06-23 2024-04-02 浙江捷昌线性驱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光热发电用电动推杆
JP6889634B2 (ja) * 2017-08-10 2021-06-18 株式会社前川製作所 超電導ケーブル及び液化天然ガス輸送システム
PL424800A1 (pl) * 2018-03-08 2019-09-09 Treywasz Ernest Sposób chłodzenia przesyłowego kabla nadprzewodzącego, oraz kabel nadprzewodzący chłodzony tym sposobem
CN109140064B (zh) * 2018-07-20 2020-08-11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低温燃料传导冷却的超导能源管道
WO2020149873A1 (en) * 2019-01-17 2020-07-23 Focalcool, Llc Insulative knudsen-effect catheter with reduced eccentricity
CN116686056A (zh) 2020-11-18 2023-09-01 维尔股份有限公司 用于冷却超导输电线路的系统和方法
CA3198998A1 (en) 2020-11-18 2022-05-27 Stephen Paul Ashworth Conductor systems for suspended or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s
CA3197746A1 (en) 2020-11-18 2022-05-27 Stephen Paul Ashworth Suspended superconducting transmission lines
RU203933U1 (ru) * 2021-02-05 2021-04-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нергоТэк" Гофрированная кабелепроводная труба
CN114992516A (zh) * 2021-03-01 2022-09-02 中国石化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lng与超导能源同输系统的终端结构
CN114992514A (zh) * 2021-03-01 2022-09-02 中国石化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液化天然气与超导能源同输系统的终端结构
CN114992429A (zh) * 2021-03-01 2022-09-02 中国石化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双介质与超导能源同管道输送的长输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65721C3 (de) * 1966-08-18 1975-05-1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Supraleitendes Starkstromkabel
DE2210173C2 (de) 1972-03-03 1983-08-04 kabelmetal electro GmbH, 3000 Hannover Als koaxiale Rohrleitung mit einem zwischen einem inneren und einem äußeren Rohr bestehenden Temperaturgefälle ausgebildete Leitung
SU527411A1 (ru) 1974-01-22 1976-09-05 Многокамерный термостат
CN1058485A (zh) * 1990-07-25 1992-02-05 李循慎 可弯超导体
JPH0536312A (ja) * 1991-07-31 1993-02-12 Hitachi Ltd 超電導ケーブル線
IT1281651B1 (it) * 1995-12-21 1998-02-20 Pirelli Cavi S P A Ora Pirelli Terminale per collegare un cavo polifase superconduttivo ad un impianto elettrico a temperatura ambiente
JPH1092627A (ja) 1996-09-19 1998-04-10 Toshiba Corp 超電導電力貯蔵システム
JP2002130851A (ja) 2000-10-18 2002-05-09 Tokyo Gas Co Ltd 超電導電力システムの冷却装置
JP4031204B2 (ja) * 2001-01-15 2008-01-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4667644B2 (ja) * 2001-05-29 2011-04-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ケーブル
JP2005012291A (ja) 2003-06-17 2005-01-13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Tv会議用モバイル動画通信端末
JP2005090636A (ja) 2003-09-17 2005-04-07 Ebara Corp 液体水素の輸送システム
JP2005122991A (ja) * 2003-09-26 2005-05-12 Ebara Corp エネルギーの供給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047B1 (ko) * 2008-01-25 2009-04-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전도 케이블
KR20230101981A (ko) * 2021-12-29 2023-07-07 대한전선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절연물의 온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86385B2 (en) 2010-08-31
JP2006066382A (ja) 2006-03-09
TW200623155A (en) 2006-07-01
RU2361305C2 (ru) 2009-07-10
EP1780733A4 (en) 2011-11-02
HK1106060A1 (en) 2008-02-29
CN101002290A (zh) 2007-07-18
US20090170706A1 (en) 2009-07-02
CN101002290B (zh) 2010-07-21
KR101118374B1 (ko) 2012-03-09
EP1780733A1 (en) 2007-05-02
RU2007107385A (ru) 2008-09-10
CA2573923A1 (en) 2006-02-02
JP4826996B2 (ja) 2011-11-30
NO20070516L (no) 2007-02-27
WO2006011358A1 (ja)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374B1 (ko) 초전도 케이블 선로
KR101118350B1 (ko) 초전도 케이블 선로
JP4835821B2 (ja) 超電導ケーブル
CN100524546C (zh) 超导电缆线路
MX2007011075A (es) Cable superconductor.
CN101228595B (zh) 超导电缆
JP3623823B2 (ja) 超伝導体送電線路
US20230386705A1 (en) Suspended superconducting transmission lines
Bruzek et al. Using superconducting DC cabl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lectricity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T&D) networks: An overview
Minnich et al. Cryogenic power transmission
RU2379777C2 (ru) Сверхпроводящий кабель
JP4517879B2 (ja) 超電導ケーブル
CN115798813A (zh) 一种适用于海底输电的超导电缆系统
GB2350507A (en) Resonant energy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