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850A -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850A
KR20070035850A KR1020050090723A KR20050090723A KR20070035850A KR 20070035850 A KR20070035850 A KR 20070035850A KR 1020050090723 A KR1020050090723 A KR 1020050090723A KR 20050090723 A KR20050090723 A KR 20050090723A KR 20070035850 A KR20070035850 A KR 20070035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late
sensor
stop position
sta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수
박수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5850A/ko
Publication of KR20070035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4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 B41J13/16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movable for insertion or release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58Supply holders for sheets or fan-folded webs, e.g. shelves, tables, scrolls, pile holder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지카세트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적재판, 상기 용지적재판의 상부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용지적재판의 하부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용지적재판 위에 용지 없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온/오프(on/off)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센서들의 각 상태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급지카세트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용지적재판의 상승, 정지, 하강의 제어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aper stacking plate of paper-feeding cassette}
도 1은 종래의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급지카세트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급지카세트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200: 급지카세트
201: 하우징 202: 용지적재판 구동수단
203: 용지적재판 204: 용지공급판
205: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
206: 용지적재판 정지위치 감지센서
207: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
208: 용지 없음 감지센서
209: 용지적재판 지지수단
본 발명은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지카세트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내부에 급지카세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는 프린터, 복사기 및 복합기 등이 있다. 급지카세트는 용지를 적재하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급지카세트의 내부에는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적재판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용지적재판은 적재된 용지를 밀어 올려 본체에 설치된 픽업롤러에 접촉시키며, 픽업롤러에 접촉된 용지는 픽업롤러가 회전되면서 픽업되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부로 이송된다.
이러한 용지적재판이 급지카세트의 내부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대별될 수 있다.
첫번째, 용지적재판의 하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을 설치하고 이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하여 용지적재판을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방법이다. 용지적재판에 다수의 용지를 적재하면, 용지의 무게에 의하여 용지적재판이 하강한다. 이 방법은 주로 급지카세트에 적재되는 용지의 양이 적은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두번째, 대용량 복사기 등과 같이 급지카세트에 적재되는 용지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의 탄성력만을 이용해서는 용지의 무게를 감당할 수 없으므로 용지적재판을 승강시키는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다. 즉, 두번째 방법은 용지적재판의 하부에 용지적재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용지적재판 구동수단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용지적재판 구동수단을 구비한 급지카세트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급지카세트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급지카세트(20)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급지카세트(20)는 하우징(21), 제1, 제2 용지적재판(23a, 23b: 23),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5), 제1 용지적재판 구동수단(22), 제2 용지적재판 지지수단(30), 용지공급판(24), 용지공급판 정지위치 감지센서(26), 및 카세트 열림 감지센서(12)와 이 센서(12)의 액츄에이터(29)를 구비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는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7)와 용지 없음 감지센서(28)가 구비되어 있다.
다수의 용지가 적재된 급지카세트(20)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장착되게 되면 상기 액츄에이터(29)가 카세트 열림 감지센서(12)와 접촉하여 이 센서(12)를 오프(off) 상태로 만들고, 이로써 용지적재판의 제어가 개시된다.
이후, 나머지 구성요소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제2 용지적재판(23a, 23b: 23)에 적재된 용지가 화상형성장치(미도시) 내부로 차례로 급지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대용량 급지카세트는 용지적재판을 제어하기 위하여 카세트 열림 감지센서와 이 센서의 액츄에이터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구성요소의 개수가 많아져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세트 열림 감지센서 및 이 센서의 액츄에이터 없이도 용지적재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급지카세트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적재판, 상기 용지적재판의 상부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용지적재판의 하부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용지적재판 위에 용지 없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온/오프(on/off)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센서들의 각 상태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급지카세트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용지적재판의 상승, 정지, 하강의 제어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 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급지카세트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와; 및 상기 용지 없음 감지센서가 모두 온(on) 상태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와; 및 상기 용지 없음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오프(off) 상태로 표시되면, 상기 급지카세트는 닫힌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지적재판은, 상기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의 상부에 설치된 제1 용지적재판, 및 상기 제1 용지적재판에 나란하도록 상기 급지카세트가 장착되는 본체 쪽에 가까이 설치된 제2 용지적재판을 포함하는 적어도 2 개의 용지적재판을 구비하고,
상기 급지카세트는, 상기 제2 용지적재판에 수직하도록 상기 제2 용지적재판의 상기 본체 쪽 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용지적재판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면, 상기 제2 용지적재판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판 쪽으로 밀어 넣어 상기 제1 용지적재판에 다시 용지가 적재되도록 하는 용지공급판; 및 상기 제1 용지적재판과 상기 제2 용지적재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공급판이 상기 제1 용지적재판 쪽으로 이동될 때, 상기 용지공급판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지 없음 감지 센서와 상기 용 지공급판 정지위치 감지센서가 모두 오프(off) 상태로 표시되면, 상기 제1 용지적재판은 하강되고, 이후 상기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가 온(on) 상태로 표시되면, 상기 제1 용지 적재판은 정지되고 상기 용지공급판은 상기 제1 용지적재판 쪽으로 이동되며, 이후 상기 용지공급판 정지위치 감지센서가 온(on) 상태로 표시되면, 상기 용지공급판은 정지된 후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제1 용지적재판은 상승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급지카세트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급지카세트(200)는 하우징(201), 제1, 제2 용지적재판(203a, 203b: 203),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5), 제1 용지적재판 구동수단(202), 제2 용지적재판 지지수단(209), 용지공급판(204), 및 용지공급판 정지위치 감지센서(206)를 구비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에는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7)와 용지 없음 감지센서(208)가 구비되어 있고, 급지카세트(200)에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들 센서들(207, 208)을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센서들(207, 208)이 급지카세트(200)에 설치되고 액츄에이터들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201)은 급지카세트(200)의 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제1, 제2 용지적재판(203a, 203b: 203) 등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한다.
제1 용지적재판(203a)은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5)의 상부에 설치되고, 적재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에 설치되어 있는 픽업 롤러(미도시)에 공급한다.
제2 용지적재판(203b)은 제1 용지적재판(203a)에 나란하도록 급지카세트(200)가 장착되는 본체(100) 쪽에 가까이 설치되고, 제1 용지적재판(203a)에 적재된 용지가 사용되어 소진될 경우를 대비하여 제1 용지적재판(203a)에 공급할 용지를 예비적으로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5)는 제1 용지적재판(203a)이 하강될 수 있는 최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이를 알리는 센서로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등의 임의의 공지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지적재판(203a)이 하강될 수 있는 최저 위치는 미리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1 용지적재판 구동수단(202)은 하우징(201)에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회동축(미도시)과, 이러한 회동축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은 제1 용지적재판(203a)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회동축이 회동됨에 따라 같이 회동되면서 제1 용지적재판(203a)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레버(미도시)와, 화상형성 장치의 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용지적재판 구동수단(202)은 이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다른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제2 용지적재판 지지수단(209)은 일단은 하우징(201)에 설치되고, 타단은 제2 용지적재판(203b)에 접촉되어 제2 용지적재판(203b)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레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용지공급판(204)은 제2 용지적재판(203b)에 수직하도록 제2 용지적재판(203b)의 상기 본체(100) 쪽 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제1 용지적재판(203a)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면 제2 용지적재판(203b)에 적재된 용지를 제1 용지적재판(203a) 쪽으로 밀어 넣어 제1 용지적재판(203a)에 다시 용지를 적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여기에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용지공급판(204)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급지카세트(200)에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용지공급판 정지위치 감지센서(206)는 상기 제1 용지적재판(203a)과 상기 제2 용지적재판(203b)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공급판(204)이 상기 제1 용지적재판(203a) 쪽으로 이동되어 이동 가능한 최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이를 알리는 센서로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등의 임의의 공지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7)는 제1 용지적재판(203a)이 상승할 수 있는 최고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이를 알리는 센서로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등의 임의의 공지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란 제1 용지적재판(203a)에 적재된 용지가 있을 경우에는 그 적재된 용지의 상부 정지 위치를 의미하고, 제1 용지적재판(203a)에 적재된 용지가 없을 경우에는 제1 용지적재판(203a) 그 자체의 상부 정지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제2 용지적재판(203b)이 상승할 수 있는 최고 위치는 미리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용지 없음 감지 센서(208)는 제1 용지적재판(203a)의 상방에 위치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에 설치되고, 제1 용지적재판(203a)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었을 때, 이를 알리는 센서로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등의 임의의 공지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용지적재판(203a)이 제어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용지적재판(203a)의 제어가 개시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서 초기상태에는 급지카세트(200)가 열려있다. 즉, 초기상태에는 급지카세트(200)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로부터 탈거되어 있다. 이 경우,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7)는 온(on) 상태로 표시되도록 기구적으로 구성되고,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5)도 온(on) 상태로 표시되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되며, 용지 없음 감지센서(208)도 온(on) 상태로 표시되도록 기구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들 센서들(205, 207, 208)이 모두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표시되도록 구성되면 족하며, 반드시 온(on) 상태로 표시될 필요는 없다. 또한 여기서, 이들 센서들(205, 207, 208)을 기구적 또는 회로적으로 온(on) 상태로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당업계에서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서들(205, 207, 208)의 관점에서 보면, 초기상태에서는 이들 세 개의 센서들(205, 207, 208)이 모두 온(on) 상태로 표시되어(S1) 급지카세트(200)가 열린 것으로 판단된다(S2).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 용지적재판(203a)이 제어되지 않는다(S2).
이후, 상기 세 개의 센서들(205, 207, 208) 중 어느 하나의 센서가 오프(off) 상태로 표시되면, 급지카세트(200)는 닫힌 것으로 판단된다(S3). 본 실시예에서 용지를 적재한 급지카세트(200)가 닫히면,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7)가 오프(off) 상태로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급지카세트(20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용지적재판(203a)의 상승, 정지, 하강의 제어가 개시된다(S3).
아래의 표 1에 열거된 바와 같이, 상기 세 개의 센서들(205, 207, 208)이 모두 온(on) 상태로 표시되는 경우는 유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은 그 실효성이 충분히 인정될 수 있다.
표 1
급지카세트의 동작 상태 센서의 종류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 용지 없음 감지센서
급지카세트 열림 ON ON ON
급지 카세트 닫힘 용지 없음, 제1용지적재판 정지 OFF ON ON
용지 없음, 제1용지적재판 상승 OFF OFF ON
용지 없음, 제1용지적재판 최고 위치 도달 ON OFF ON
용지 적정량 있음, 제1용지적재판 정지 OFF ON ON
용지 적정량 있음, 제1용지적재판 상승 OFF OFF ON 또는 OFF
용지 적정량 있음, 제1용지적재판 최고 위치 도달 ON OFF OFF
용지 만충, 제1용지적재판 정지 ON ON OFF
용지 만충, 제1용지적재판 상승 OFF ON OFF
용지 만충, 제1용지적재판 최고 위치 도달 ON ON 또는 OFF OFF
상기 표 1에서, 용지가 적정량 있거나 만충되어 있는 경우 등 용지가 제1 용지적재판(203a)에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 제1 용지적재판(203a)이 상승하더라도 용지의 소모는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하, 제1 용지적재판(203a)의 제어가 개시된 이후에 제1 용지적재판(203a)이 제어되는 과정을 순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제1 용지적재판(203a)의 제어가 개시되면(S3), 제1 용지적재판(203a)이 용지적재판 구동수단(202)의 작용에 의해 상승되기 시작한다(S4). 이후,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7)가 온(on) 상태로 표시되면(S5), 제1 용지적재판(203a)은 상승을 멈추고 정지된다(S6).
다음에, 용지 없음 감지센서(208)가 온(on) 상태로 표시되면(S7), 제1 용지적재판(203a)이 용지적재판 구동수단(202)의 작용에 의해 하강되기 시작한다(S8). 이 경우, 용지공급판 정지위치 감지센서(206)는 오프(off) 상태로 표시되게 된다(S7). 이후,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5)가 온(on) 상태로 표시되면(S9), 제1 용지적재판(203a)은 하강을 멈추고 정지되며 용지공급판(204)은 용지공급판 구동수단(미도시)의 작용에 의해 제1 용지적재판(203a) 쪽으로 수평이동된다(S10). 이 과정에서 제2 용지적재판(203b)에 적재된 용지가 제1 용지적재판(203a)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 다음에, 용지공급판 정지위치 감지센서(206)가 온(on) 상태로 표시되면(S11), 용지공급판(204)은 이동을 멈추고 정지된 후 원위치로 복귀되며 제1 용지적재판(203a)은 상승되기 시작한다(S12). 이 때, 제1 용지적재판(203a)은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7)가 온(on) 상태로 표시될 때까지 상승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급지카세트의 제어방법은, 각각 온/오프(on/off)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표시하는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7),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205), 및 용지 없음 감지센서(208)들의 각 상태의 조합으로부터 급지카세트(20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급지카세트(20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용지적재판(203a)의 상승, 정지, 하강의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함으로써, 종래의 대용량 급지카세트에서 용지적재판을 제어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구비되었던 카세트 열림 감지센서와 이 센서의 액츄에이터 없이도, 용지적재판의 제어를 개시할 수 있으므로, 급지카세트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구성요소의 개수가 적어져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 열림 감지센서 및 이 센서의 액츄에이터 없이도 용지적재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카세트 열림 감지 센서 및 이 센서의 액츄에이터를 제거함으로써, 급지카세트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적재판, 상기 용지적재판의 상부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용지적재판의 하부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용지적재판 위에 용지 없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온/오프(on/off)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센서들의 각 상태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급지카세트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용지적재판의 상승, 정지, 하강의 제어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
    상기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용지 없음 감지센서가 모두 온(on) 상태로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판 상부 정지위치 감지센서;
    상기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용지 없음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오프(off) 상태로 표시되면,
    상기 급지카세트는 닫힌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판은,
    상기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의 상부에 설치된 제1 용지적재판, 및 상기 제1 용지적재판에 나란하도록 상기 급지카세트가 장착되는 본체 쪽에 가까이 설치된 제2 용지적재판을 포함하는 적어도 2 개의 용지적재판을 구비하고,
    상기 급지카세트는,
    상기 제2 용지적재판에 수직하도록 상기 제2 용지적재판의 상기 본체 쪽 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용지적재판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면, 상기 제2 용지적재판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판 쪽으로 밀어 넣어 상기 제1 용지적재판에 다시 용지가 적재되도록 하는 용지공급판; 및
    상기 제1 용지적재판과 상기 제2 용지적재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공급판이 상기 제1 용지적재판 쪽으로 이동될 때, 상기 용지공급판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 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없음 감지 센서와 상기 용지공급판 정지위치 감지센서가 모두 오프(off) 상태로 표시되면, 상기 제1 용지적재판은 하강되고,
    이후 상기 용지적재판 하부 정지위치 감지센서가 온(on) 상태로 표시되면, 상기 제1 용지 적재판은 정지되고 상기 용지공급판은 상기 제1 용지적재판 쪽으로 이동되며,
    이후 상기 용지공급판 정지위치 감지센서가 온(on) 상태로 표시되면, 상기 용지공급판은 정지된 후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제1 용지적재판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
KR1020050090723A 2005-09-28 2005-09-28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 KR20070035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723A KR20070035850A (ko) 2005-09-28 2005-09-28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723A KR20070035850A (ko) 2005-09-28 2005-09-28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850A true KR20070035850A (ko) 2007-04-02

Family

ID=3815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723A KR20070035850A (ko) 2005-09-28 2005-09-28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58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864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그 급지방법
KR100605171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84321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air blowing sheet feeding device
US7681877B2 (en) Paper supply apparatus with brake lever controlled lifter for a printing device
JP5048550B2 (ja) 自動文書送り装置の給紙機構
US20070001374A1 (en) Paper feeding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30040154A (ko) 이미징 기기용의 탠덤 매체 시트 공급 장치
JP4410434B2 (ja) 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
US7497434B2 (en) Paper feeding cassette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7400271B2 (ja) シート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59329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91228A (ja) 用紙供給装置
KR20070035850A (ko) 급지카세트의 용지적재판 제어방법
JP4275544B2 (ja) 給紙装置および該給紙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US20060033259A1 (en) Paper storage device, paper feeding device, and printing device comprising paper feeding device
JP2009202967A (ja) 給紙装置
JP3718954B2 (ja) 給紙装置
JP2006327777A (ja) 給紙装置
JPH10316251A (ja) 給紙装置
JPH0858987A (ja) 給紙装置
JP4157640B2 (ja) 排紙収納装置
JP6231849B2 (ja) 給紙装置
JP5432824B2 (ja) 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008299A (ja) 用紙供給装置
JP2539086B2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