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723A -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723A
KR20070035723A KR1020050090448A KR20050090448A KR20070035723A KR 20070035723 A KR20070035723 A KR 20070035723A KR 1020050090448 A KR1020050090448 A KR 1020050090448A KR 20050090448 A KR20050090448 A KR 20050090448A KR 20070035723 A KR20070035723 A KR 20070035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block
mold
manufacturing apparatus
manhole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3594B1 (ko
Inventor
한종숙
Original Assignee
한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숙 filed Critical 한종숙
Priority to KR1020050090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594B1/ko
Publication of KR2007003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5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ning of th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블록의 내구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킨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가 막혀있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맨홀블록 본체; 상기 맨홀블록 본체에 구비되어, 유입관 또는 유출관이 연결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접속구; 그리고, 상기 맨홀블록 본체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블록 본체의 내면이 상기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감싸는 라이너 (lin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부식이나 열화현상을 방지하여 맨홀블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맨홀블록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맨홀블록, 외부몰드, 내부몰드, 라이너, 인버터

Description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manhole,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e same,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equipment}
도 1은 일반적인 맨홀블록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맨홀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Ⅲ-Ⅲ선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측면 라이너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판 맨홀블록 11: 맨홀뚜껑 수용부
20: 연직구체 맨홀블록 23: 스피곳
25: 소켓 30: 하부구체 맨홀블록
31: 접속구 33: 스피곳
37: 인버터 41, 42: 씰링부재
51, 52: 체결용 너트 53, 54: 이송용 볼트
110: 외부몰드 120: 내부몰드
130: 팔레트 140: 접속구 형성용 금형
150: 인버터 형성용 금형 160: 라이너
161: 하부 라이너 163: 측면 라이너
170: 진동 플레이트 180: 진동기
210: 스페이서 220: 바닥판
230: 씰링부재 225: 체결부재
270: 지지부재 300: 구동장치
400: 작업 플레이트
본 발명은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킨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 건축공사 및 도로공사를 함에 있어서, 우수, 오수, 폐수 등을 처 리하기 위한 하수관거 공사가 필요하다. 맨홀블록은 관거 내의 검사, 청소, 통풍, 환기, 접합, 분기 등의 목적으로 상기 하수관거의 중간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맨홀의 제조방법은, 크게 현장타설 방법과 기성(旣成) 맨홀블록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별된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현장타설 방법은, 실제 맨홀블록이 설치되는 장소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조립한 후,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상기 거푸집 내에 타설하고 소정의 양생기간을 거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맨홀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현장타설 방법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제조된 맨홀블록은 유입관 및 유출관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정밀하게 시공되지 못하여 완전한 누수 차단이 어렵고,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기 때문에 맨홀블록의 높이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필요함으로 인해 공사기간이 장기화되고, 이로 인하여 교통체증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민원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공사비도 상대적으로 높은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현장타설 방법의 대안으로서 기성 맨홀블록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에 대한 국가규격(KS F 4012: 하수도용 콘크리트 맨홀블록)이 1970년에 제정되어 개정을 거듭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기성 맨홀블록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성 맨홀블록은 유입관와 유출관이 연결될 수 있는 접속구를 가지며, 하부가 막혀있는 하부구체 맨홀블록, 상기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연직구체 맨홀블록(20), 상기 연직구체 맨홀블록(20)의 상부에 구비되며, 맨홀뚜껑이 삽입되는 맨홀뚜껑 삽입부(11)을 가지는 상판 맨홀블록(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맨홀블록이 조립되는 부위에는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씰링부재(41, 42)가 끼워진다.
상기 기성 맨홀블록(1)에는 맨홀블록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곳(spigot: 23, 33)이나 맨홀블록의 상호 결합시 스피곳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부분인 소켓(socket: 15, 25)이 형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상부에는 스피곳(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 맨홀블록(10)의 하부에는 소켓(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직구체 맨홀블록(20)에는 상부에 스피곳(23), 하부에 소켓(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피곳(23, 33)과 소켓(15, 25)에 의해 각각의 맨홀블록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횡방향으로의 외력에 견딜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직구체 맨홀블록(20)과 상판 맨홀블록(10)의 사이에는 상부의 관지름을 좁히고 노면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경사구체 맨홀블록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성형된 맨홀블록을 이송할 수 있는 이송용 볼트(53, 54)가 맨홀블록의 외측면에 구비된 체결용 너트에 체결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연직구체 맨홀블 록(20)과 하부구체 맨홀블록(30) 각각에 이송용 볼트(53, 54)가 체결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하부구체 맨홀블록에는 유입관 또는 유출관이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가 다수 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구체 맨홀블록(30)의 내측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인버터(inverter: 3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는 맨홀블록의 내부에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버터는 주로 오수의 처리를 위한 맨홀블록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기성 맨홀블록 중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일반적인 제조장치는, 바닥이 있는 외부몰드와, 상기 외부몰드 내에서 하부구체의 바닥 두께만큼 상승된 위치에 설치된 내부몰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가 상기 외부몰드 내에서 소정 높이만큼 상승되게 위치되도록 하는 소정의 고정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조장치를 통해 하부구체 맨홀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을 습식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습식 콘크리트는 성형공간에 투입하는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반죽의 정도를 측정하는 값인 슬럼프 값이 "0"이 아닌 콘크리트를 지칭한다.
우선 상기 외부몰드와 내부몰드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에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바닥 두께만큼 투입시키고 일차적으로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다음,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외벽을 형성하는 공간에 다시 콘크리트를 투입시키고 다시 양생을 행한다.
여기서, 양생은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을 소정의 계획된 방법에 의해 경화시키는 과정을 말하며, 상기 양생과정에 의해 콘크리트를 일정기간 시멘트의 수화작용에 적합한 조건으로 보호해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도록 한다.
그리고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내부 몰드와 외부몰드를 탈형하고, 바닥에 설치하였던 고정정치를 제거하고, 고정장치가 제거되고 남은 공간을 콘크리트로 채워 맨홀블록의 제작을 완료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맨홀블록과 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우수, 오수, 폐수 등을 처리하기 위하여 하수관거의 중간에 설치되는 맨홀블록은, 맨홀블록의 내부 표면이 하수관로에 직접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하수 또는 하수에서 발생하는 부식성이 강한 가스에 의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맨홀블록의 재료인 콘크리트가 부식하여 맨홀에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콘크리트 중의 시멘트 수화물이 산과 같은 화학물질에 접하게 되어 화학반응을 일으켜 수화물의 성상이 변화하는 부식이 발생하거나, 하수 내에 포함된 황화물과 유기물을 이용하여 증식하는 미생물의 산화환원 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황산에 의한 생화학적 부식이 발생하였다. 또한, 강산이나 강알칼리를 함유한 폐수의 유입에 의한 직접적인 화학 부식도 발생하였다.
둘째, 맨홀블록의 열화현상에 의해 맨홀블록의 보강을 위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철근 등이 산화하여 부피가 늘어남으로써, 콘크리트의 균열이 발생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하수로 인한 맨홀블록 내부 표면의 부식으로 인해 하수의 유입 및 유출이 원활하지 않고, 맨홀과 관로의 연결부위가 취약해 짐으로써, 하수가 누수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외부몰드 내에서 내부몰드를 소정 높이만큼 상승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하며, 탈형 후 고정장치를 제거한 남은 공간에 다시 콘크리트를 채워야하므로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제품의 치밀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제작되는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높이에 따라 외부몰드나 내부몰드의 높이가 달라져야 하므로, 규격에 따라 풀세트의 몰드가 별도로 준비되어야 하므로 몰드의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섯째,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하기 위해 오수의 처리를 위한 맨홀블록에는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인버터의 형성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공사현장에서 시공시에 별도의 인버터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블록의 내부 표면이 하수관로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의 부식과 열화현상을 방지하는 맨홀블록과 이의 제조장치 및 맨홀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화현상을 방지하는 맨홀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수의 유입과 유출이 원활하고, 하수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는 맨홀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외부몰드 내에서 내부몰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가 필요없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와 이러한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어 조직이 치밀한 맨홀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맨홀블록을 생산할 수 있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블록 제조방법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맨홀블록을 성형하는 단계에서 인버터를 형성할 수 있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가 막혀있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맨홀블록 본체; 상기 맨홀블록 본체에 구비되어, 유입관 또는 유출관이 연결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접속구; 그리고, 상기 맨홀블록 본체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블록 본체의 내면이 상기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감싸는 라이너 (lin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맨홀블록은 상기 외부몰드 내부에 구비되어, 맨홀블록의 내부에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하기 위한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맨홀블록은, 일측에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곳(spigot)이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맨홀블록에는, 성형된 맨홀블록을 이송할 수 있는 볼트가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체결용 너트가 내부에 일체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맨홀블록을 성형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몰드; 상기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몰드;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의 외면에 구비되어, 성형되는 맨홀블록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감싸는 라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는, 내부식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라이너는, 상기 맨홀블록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 라이너; 상기 맨홀블록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라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라이너와 하부 라이너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외면에는 맨홀블록과의 부착효과를 높이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 라이너는, 실질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돌출부 중 상기 측면 라이너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측면 라이 너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단면은 외측 방향으로 양쪽으로 분기되어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라이너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너는, 라이너 본체; 그리고, 상기 라이너 본체의 양 끝단을 상호 연결하는 라이너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라이너 본체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외부몰드와 내부몰드가 형성하는 성형공간의 상부에서 맨홀블록의 바닥면이 성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에는, 상기 외부몰드 내부에 구비되어, 맨홀블록의 내부에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하기 위한 인버터(inverter)를 형성하는 인버터 형성용 금형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에는,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몰드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맨홀블록에 접속구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접속구 형성용 금형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에는 상기 외부몰드과 내부몰드을 연결하는 팔레트(pallet)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팔레트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 곳(spigot)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의 단이 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몰드의 내측에는, 성형된 맨홀블록을 이송할 수 있는 볼트가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체결용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용 너트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에 매립되어 상기 맨홀블록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몰드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몰드에 진동력을 부여하는 진동기; 그리고, 상기 진동기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몰드는 상기 팔레트를 관통하여 상기 팔레트보다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에 대한 상기 내부몰드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와 상기 내부몰드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에 대한 상기 내부몰드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페이서(spac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몰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몰드와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조립방법은, 팔레트에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몰드를 결합하는 내부몰드 결합단계; 상기 팔레트에 상기 맨홀블록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몰드를 결합하는 외부몰드 결합단계; 그리고, 성형하는 맨홀블록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감싸는 라이너를 상기 내부몰드의 외면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의 상부에, 맨홀블록의 내부에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하기 위한 인버터를 형성하는 인버터 형성용 금형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맨홀블록에 접속구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한 개 이상의 접속구 형성용 금형을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몰드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의 제조방법은,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외부몰드와 내부몰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투입시키는 콘크리트 투입단계; 상기 내부몰드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성형되는 맨홀블록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감싸는 라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맨홀블록을 성형하는 맨홀블록 성형단계;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을 소정의 강도로 경화시키는 양생단계; 그리고, 양생이 완료된 맨홀블록을 상기 제조몰드와 분리시키는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주로 하부구체 맨홀블록을 대상으로 한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므로, 하부구체 맨홀블록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의 제조장치는 기본적으로 외부몰드(110), 내부몰드(120), 팔레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몰드(110)는 상기 맨홀블록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외부몰드(110)의 형상에 따라 맨홀블록의 외형이 정해지게 된다.
맨홀블록의 단면은 일반적으로 속이 비어있는 원형으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모가 따진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사각 홈이 형성된 사각형 등 여러 가지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맨홀블록의 외형을 형성하는 상기 외부몰드(110)의 형상도 맨홀블록의 원하는 형상에 따라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모가 따진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사각 홈이 형성된 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구체 맨홀블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인, 단면이 4개의 모서리에 사각홈이 형성된 사각형 형태인 맨홀블록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몰드(110)의 단면도 4개의 모서리에 사각홈이 형성된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몰드(110)가 다양한 높이의 맨홀블록을 성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111, 112)이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조립 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수단(115)은 예를 들어 상기 몰드 프레임에 구비된 체결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조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규격에 맞춘 복수 개의 외부몰드(11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111, 112)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맨홀블록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외부몰드의 몰드 프레임(111, 112)은 각각 상호 수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서브 몰드 프레임(111a, 111b, 112a, 112b)으로 이루어져 결합과 해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위치하는 몰드 프레임(112)는 두 개의 서브 몰드 프레임(112a, 112b)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위치하는 몰드 프레임(111)도 두 개의 서브 몰드 프레임(111a, 111b)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수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서브 몰드 프레임(111a, 111b, 112a, 112b)의 결합에 의해 외부몰드(110)를 구성함으로써,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과 외부몰드(11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여 탈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내부몰드(120)는 상기 외부몰드(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성형되는 맨홀블록의 내부 단면은 원형이나 각형이 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부몰드(120)는 이에 대응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공간의 단면이 원형인 맨홀블록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몰드(120)의 단면도 이에 대응된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몰드(110)와 내부몰드(120)는 상하가 뒤집어진 형상으로 이 루어져, 상기 외부몰드(110)와 내부몰드(120)가 형성하는 성형공간의 상부에서 맨홀블록의 바닥면을 성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외부몰드(110) 내에서 내부몰드(120)를 소정 높이만큼 상승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게 된다. 또한, 외부몰드(110)와 내부몰드(120)를 탈형 한 후 고정장치를 제거하면서 남은 공간에 재차 콘크리트를 채우는 번거러움이 없어지고, 일체로 맨홀블록을 성형하기 때문에 제품 조직이 치밀해진다.
또한, 종래의 제조몰드에서 콘크리트의 부력에 의해 내부몰드(120)가 솟아오르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바닥면과 벽체를 한번에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팔레트(130)는 상기 외부몰드(110)와 내부몰드(120)에 결합하여, 상기 외부몰드(110)와 내부몰드(12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팔레트(130)의 외측과 외부몰드(110)가 결합되고, 상기 팔레트(130)의 내측과 내부몰드(120)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팔레트(130)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곳(33)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에 대응하여 소정의 단이 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성형된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스피곳(33)은, 하부구체와 결합되는 연직구체 맨홀블록(20)의 소켓(25)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팔레트(130)는 맨홀블록의 스피곳(33)의 표면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에는 필요에 따라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이나 체결용 너트(52) 및 연결부재 체결용 너트(19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은 소정의 체결부재(141)에 의해 상기 외부몰드(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맨홀블록에 접속구(31)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금형으로서, 최소한 한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구체 맨홀블록(30)에는 유입관이나 유출관이 연결되는 접속구(31)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을 통해 맨홀블록에 접속구(3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몰드(110)에는 상기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몰드(110)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홀(116)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외부몰드(110)의 4 면에 체결홀(116)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이 체결되지 않는 체결홀(116)에는 메움부재(119)가 결합되며, 예를 들어 상기 메움부재(119)는 렌치볼트(wrench bolt)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체결용 너트(52)는 성형된 맨홀블록의 이송을 위해 결합되는 이송용 볼트(54)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체결용 너트(52)를 상기 외부몰드(110)의 원하는 위치에 구비하여 성형되는 맨홀블록에 매립되어 상기 맨홀블록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용 볼트(54)는 구체적으로 이적, 상차, 하차, 시공시 등에 사용되 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 볼트(eye-bolt)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다른 금형과는 달리 상기 체결용 너트(52)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몰드(110)에는 상기 체결용 너트(52)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몰드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체결홀(117)이 배치된다. 따라서, 이송용 볼트(54)가 체결되는 위치에 맞는 체결홀(117)에 체결용 너트(52)를 체결함으로써 성형되는 맨홀블록의 다양한 위치에 이송용 볼트(54)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체결용 너트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에서의 이송용 볼트(54)의 배열에 맞추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 및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체결용 너트는 이송용 볼트(54)와 결합되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상기 외부몰드(110)에 체결용 너트(52)를 결합하는 체결부재는 이송용 볼트(54)와 동일한 치수의 나사산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이송용 볼트(54) 자체를 체결부재로 사용하여, 체결용 너트를 제조몰드 본체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하다.
또한,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체결홀(117) 중 체결용 너트(52)와 체결되지 않는 체결홀(117)에는 메움부재(119)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16)과 상기 체결용 너트(52)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17)와 은 서로 혼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종류의 체결홀(116, 117)를 서로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고, 체 결홀을 4 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필요에 따라 체결용 너트나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의 체결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버터 형성용 금형(150)은 상기 외부몰드(110) 내부에 구비되어, 맨홀블록내에 인버터(37)를 형성하는 금형이다. 상기 인버터(37)는 맨홀블록의 내부에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성형되는 맨홀블록에 인버터(37)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버터 형성용 금형(150)을 외부몰드 내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버터 형성용 금형(150)은 상기 내부몰드(1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체결부재(155)에 의해 상기 내부몰드(120)와 일체로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맨홀블록의 인버터(37)를 용이하게 형성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부재(155)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체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맨홀블록의 인버터(37)는 필요에 따라, (-)자, (+)자, (T)자, (Y)자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 형성용 금형(150)은 필요한 형상의 인버터(37)에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맨홀블록의 용도에 따라 인버터(37)가 형성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서 인버터 형성용 금형(150)을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팔레트(130)에는 성형된 맨홀블록에 소정의 연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체결용 너트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 체결용 너트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에 매립되어 상기 맨홀블록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내부몰드(120)의 외면에 라이너(160)가 더 구비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라이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라이너(1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되는 맨홀블록(53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맨홀블록 본체의 내면이 상기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라이너(160)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며 유해가스 또는 강산이나 강알칼리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부식성 재질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재질인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라이너(160)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상기 맨홀블록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 라이너(163)와, 상기 맨홀블록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라이너(161)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측면 라이너(163)과 하부 라이너(161)를 일체로 성형하거나, 상기 측면 라이너(163)와 하부 라이너(161)를 각각 성형하고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미리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160)는 맨홀블록에 일체로 형성될 때 상기 맨홀블록과의 부착효과를 높이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16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63a)는 측면 라이너(163)와 하부 라이너(161)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작상 보다 용이한 측면 라이너(163)에만 돌출부가 형성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63a)의 개수과 배치에는 제한이 없다. 본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라이너(163)의 원주 방향으로 총 8개의 돌출부(163a)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63a)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의 단면이 외측 방향으로 양쪽으로 분기된 대략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예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형태의 돌출부(163a)는 압출 성형(extrusion)에 의해 상기 라이너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사출성형 등 다양한 성형방법에 의해 제작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 라이너(16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러한 원통 형상은 압출 성형에 의해 돌출부(163a)가 일체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라이너를 소정의 연결부재(163b)에 의해 양 끝단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63b)는 일측과 타측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각각의 삽입홀에 라이너 본체의 양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전개된 직사각형 형태를 연결부재(163b)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원통형의 측면 라이너(163)를 제조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측면 라이너(163)는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대신, 측면 라이너(163)의 일측과 타측을 맞대어 열풍용접에 의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상호 연결하여 제조하거나, 압출 성형시 원통형으로 제작한 후 길이 방향으로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측면 라이너(163)을 제조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내부몰드(120)에 상기 내부몰드에 진동력을 부여하는 진동기(180)와, 상기 진동기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장치(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동기(180)는 상기 구동장치(300)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진동기(180)의 진동에 의해 내부몰드(120)가 진동하면서 진동 성형이 이루어진다.
콘크리트의 투입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진동 성형을 함으로써, 성형되는 맨홀블록의 조직이 보다 치밀해지고 강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이러한 진동 성형은 특히 콘크리트 반죽의 정도를 측정하는 값인 슬럼프 값이 "0"인 건식 콘크리트의 성형에 주로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장치(300)는 구동부(310)와 구동력 전달부(320), 구동벨트(3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부(310)는 구동모터(311)와 이에 축결합되는 구동풀리(31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320)는 상기 진동기(180)의 결합부(185)가 결합되는 결합보스(325)와 이에 축결합된 구동력 전달풀리(32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313)와 구동력 전달풀리(323) 사이에는 구동벨트(330)가 연결되 어 구동부(310)의 구동력이 구동력 전달부(3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달풀리(323)에 축결합된 결합보스(325)에는 진동기(18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185)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달풀리(323)의 회전력이 상기 진동기(180)에 전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내부몰드(120)가 진동 플레이트(170)에 장착되며, 상기 외부몰드(110)는 연결봉(173)에 의해 상기 진동 플레이트(170)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부몰드(1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부재(175)가 진동플레이트(170)에서 연장된 연결봉(173)의 결합핀(177)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진동플레이트(170)의 상부와 결합핀(177) 사이에는 스토퍼(173a)가 설치되어 있어, 외부몰드(110)와 진동플레이트(170)가 보다 원활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 플레이트(170)의 하부에는 작업 플레이트(400)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 플레이트(170)에 형성된 지지부(179)가 상기 작업 플레이트(400)에 형성된 지지홈(410)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부(179)는 예를 들어 총 4개로 구성되어 상기 진동 플레이트(170)의 하부의 네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지지홈(410)도 이에 대응하여 4개로 이루어져 네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는 도 5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내부몰드(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외부몰드(110)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121, 122)이 소정의 연결수단(125)에 의해 조립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의 깊이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다수 개의 내부몰드(12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121, 122)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깊이의 맨홀블록을 생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주로 건식 콘크리트가 아닌 습식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성형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된 형태의 진동 테이블 등에 의한 진동 성형을 하지 않으며, 외부몰드 또는 내부몰드에 부착된 진동기나 이동식 진동기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내부몰드(120)의 외측에 라이너(160)가 구비된다. 상기 라이너(16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팔레트(130)의 하부에는, 상기 팔레트(1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70)가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130)의 하부가 직접 바닥에 닿지 않게 한다. 상기 지지부재(195)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이동시킬 때 지게차 등으로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팔레트(130)에는 성형된 맨홀블록에 소정의 연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체결용 너트(192)가 체결부재(191)에 의해 상기 팔레트(130)의 상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 체결용 너트(192)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에 매립되어 상기 맨홀블록과 일체로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는 도 7의 Ⅲ-Ⅲ선 단면도, 도 9은 도 7의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기본적으로 외부몰드(110), 내부몰드(120), 팔레트(130), 각종 금형 및 라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몰드(120)가 외부몰드(110) 내에 구비되는 대신 상기 팔레트(130)를 관통하여 상기 팔레트(130)보다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몰드(120)가 상기 팔레트(130)를 관통하여 상기 팔레트(130)보다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되어 있어, 상기 팔레트(130)에 대한 내부몰드(120)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내부몰드(120)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외부몰드(110) 내에서의 내부몰드(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성형되는 맨홀블록 내부공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맨홀블록 내부공간의 높이는 인버터(37)의 높이를 포함하여 결정되므로, 맨홀블록 내부공간의 높이가 같다고 하더라도 설치되는 인버터(37)의 규격에 따라 내부몰드(120)의 높이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맨홀블록 내부공간의 높이가 1000 mm라고 가정할 때, 인버터(37)의 규격에 따라 인버터(37)의 수직방향 길이가 300 mm라고 가정할 때, 내부몰드(120)의 높이는 700 mm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인버터(37)의 규격이 500 mm, 700 mm인 경우, 내부몰드(120)의 높이는 각각 500 mm, 300 mm로 변경되어야 한다.
상술한 예와 같이, 설치되는 인버터(37)의 규격에 따라 내부몰드(120)의 높이는 변경되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몰드(120)의 길이를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의 높이보다 충분히 길게 제작하여, 팔레트(130)에 대한 내부몰드(120)의 상대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외부몰드(110) 내에서의 내부몰드(120) 높이를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성형되는 맨홀블록 내부공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팔레트(130)에 대한 내부몰드(120)의 상대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어, 상기 내부몰드(120)가 복수 개의 몰드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성형되는 맨홀블록 내부공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를 외부몰드(110)의 높이보다 적게 투입함으로써 상기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인버터(37)와 상기 하부구체 맨홀블록(30)의 하단면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콘크리트의 투입량을 외부몰드(110)의 높이 내에서 조절하여, 맨홀블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에는 상기 팔레트(130)와 상기 내부몰드(120)의 하단 사이에 스페이서(spacer: 210)를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210)는 상기 팔레트(130)에 대한 상기 내부몰드(120)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높이의 스페이서(21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몰드(110) 내에서의 내부몰드(120)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130)에는 성형된 맨홀블록에 소정의 연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체결용 너트(192)가 체결부재(191)에 의해 상기 팔레트(13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재 체결용 너트(162)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에 매립되어 상기 맨홀블록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10)의 상부에는 연결부재 체결용 너트(162)를 상기 팔레트(130)에 체결하는 체결부재(16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체결부재용 홀(2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130)와 상기 스페이서(210) 사이에는 씰링부재(2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씰링부재(230)는 예를 들어 오링(O-ring)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씰링부재(230)에 의해 상기 팔레트(130)와 내부몰드(120)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씰링부재(230)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콘크리트의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신축성이 뛰어난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210)의 내주면은 상기 팔레트(130)를 관통하여 하부로 더욱 연장된 내부몰드(120)의 부분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페이서(210)에 의해 내부몰드(120)가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몰드(120)의 하단에는 바닥판(220)이 체결부재(225)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내부몰드(120)와 스페이서(2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220)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판(22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70)가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220)이 직접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270)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이동시킬 때 지게차 등으로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다.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부몰드(110)의 서브 몰드 프레임을 결합하여 외부몰드(110)을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으로 조립한다. 그런 다음,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을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하여 외부몰드(110)를 형성한다.
내부몰드(120)도 외부몰드(110)와 같이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을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하여 형성한다. 다만 상술한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제1실시예나 제3실시예의 경우처럼 내부몰드(120)가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가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130)에 상기 내부몰드(120)를 결합하고, 이어 상기 팔레트(130)에 외부몰드(110)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몰드(120)의 상부에, 인버터 형성용 금형(150)을 소정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의 외면에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감싸기 위한 라이너를 장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외부몰드(110)에, 맨홀블록 접속구 형성을 위한 한 개 이상의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을 결합하여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맨홀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맨홀블록 제조방법은 콘크리트 투입단계, 맨홀블록 성형단계, 양생단계, 탈형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투입단계는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제조몰드에 투입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외부몰드(110)와 내부몰드(120)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에 콘크리트를 투입시킨다.
이때, 맨홀블록 제1실시예와 같은 제조장치에서는 진동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다져가며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를 치밀하게 투입시키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로는 설치조건이나 요구강도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콘크리트 외에 폴리머 콘크리트, 시멘트 몰탈, 투수 콘크리트 등 다양한 구성 성분의 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외에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맨홀블록을 제작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맨홀블록 성형단계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감싸는 라이너(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맨홀블록에 의해 맨홀블록을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맨홀블록 성형단계에서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외부몰드(110)와 내부몰드(120)가 형성하는 성형공간의 상부에서 맨홀블록의 바닥면이 성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생단계는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을 소정의 계획된 방법에 의해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양생단계는 계획된 온도 스케줄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자연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양생이란 콘크리트를 일정기간 시멘트의 수화작용에 적합한 조건으로 보호해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도록 하는 작업이다. 양생에 적합한 조건이란 적합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외적인 충격과 침하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며, 양생기간 계속 같은 조건을 유지해야 한다.
상기 탈형단계는 양생이 종료된 몰드와 제품을 분리시키는 단계로서,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성형된 맨홀블록과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뒤집는다. 즉, 상기 팔레트(130)가 상부로 위치하도록 상하를 뒤집는다. 이 때 회전을 위해서는 지게차나 크레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몰드(110)를 해체하고, 팔레트와 내부몰드(120)를 맨홀블록에서 해체시킨다. 다음으로, 인버트 형성용 금형과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을 차례로 성형된 맨홀블록과 분리시킴으로써 탈형이 완료된다.
하지만, 상술한 탈형순서와 달리 미리 제품의 탈형을 위한 고리형상의 철근을 삽입하여, 몰드의 상하 회전 없이 외부몰드(110)와 내부몰드(120)이 일체로 형 성된 고리형상의 철근을 들어올림으로써 탈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형하는 맨홀블록에 일체로 형성되어 맨홀블록의 내면을 감싸는 라이너를 구비함으로써, 맨홀블록의 내부 표면이 하수관로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맨홀블록의 내부표면을 라이너로 감싸게 함으로써, 열화현상으로 인한 내부 철근의 산화 등을 방지하여 맨홀블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부식과 열화현상을 방지하여 하수의 유입과 유출을 원활하게 하고, 하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넷째, 외부몰드와 내부몰드가 형성하는 성형공간의 상부에서 맨홀블록의 바닥면이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몰드 내에서 내부몰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 치가 필요가 없으며, 외부몰드와 내부몰드를 탈형 한 후 고정장치를 제거하면서 남은 공간에 재차 콘크리트를 채우는 번거러움이 없어지고, 일체로 맨홀블록을 성형하기 때문에 제품 조직이 치밀해지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외부몰드와 내부몰드를 복수 개의 몰드프레임을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맨홀블록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섯째, 맨홀블록의 인버터를 형성하기 위한 인버터 형성용 금형을 내부몰드에 결합함으로써, 맨홀블록의 인버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9)

  1. 하부가 막혀있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맨홀블록 본체;
    상기 맨홀블록 본체에 구비되어, 유입관 또는 유출관이 연결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접속구; 그리고,
    상기 맨홀블록 본체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블록 본체의 내면이 상기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감싸는 라이너 (lin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몰드 내부에 구비되어, 맨홀블록의 내부에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하기 위한 인버터(invert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은,
    일측에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곳(spigot)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에는,
    성형된 맨홀블록을 이송할 수 있는 볼트가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체결용 너트가 내부에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5.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맨홀블록을 성형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몰드;
    상기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몰드;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의 외면에 구비되어, 성형되는 맨홀블록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감싸는 라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내부식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상기 맨홀블록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 라이너; 그리고,
    상기 맨홀블록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라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라이너와 하부 라이너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외면에는 맨홀블록과의 부착효과를 높이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라이너는,
    실질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중 상기 측면 라이너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측면 라이너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은 외측 방향으로 양쪽으로 분기되어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라이너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라이너 본체; 그리고,
    상기 라이너 본체의 양 끝단을 상호 연결하는 라이너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라이너 본체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외부몰드와 내부몰드가 형성하는 성형공간의 상부에서 맨홀블록의 바닥면이 성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에는,
    상기 외부몰드 내부에 구비되어, 맨홀블록의 내부에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하기 위한 인버터(inverter)를 형성하는 인버터 형성용 금형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에는,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몰드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맨홀블록에 접속구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한 개 이상의 접속구 형성용 금형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에는 상기 외부몰드과 내부몰드을 연결하는 팔레트(pallet)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곳(spigot)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의 단이 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2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몰드의 내측에는,
    성형된 맨홀블록을 이송할 수 있는 볼트가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체결용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용 너트는 성형되는 맨홀블록에 매립되어 상기 맨홀블록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2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내부몰드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몰드에 진동력을 부여하는 진동기; 그리고,
    상기 진동기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몰드는 상기 팔레트를 관통하여 상기 팔레트보다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에 대한 상기 내부몰드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와 상기 내부몰드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에 대한 상기 내부몰드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페이서(spac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몰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몰드와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26. 팔레트에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몰드를 결합하는 내부몰드 결합단계;
    상기 팔레트에 상기 맨홀블록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몰드를 결합하는 외부몰드 결합단계; 그리고,
    성형하는 맨홀블록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감싸는 라이너를 상기 내부몰드의 외면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조립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몰드의 상부에 맨홀블록의 내부에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하기 위한 인버터를 형성하는 인버터 형성용 금형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에 접속구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한 개 이상의 접속구 형성용 금형을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몰드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29.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외부몰드와 내부몰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투입시키는 콘크리트 투입단계;
    상기 내부몰드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성형되는 맨홀블록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감싸는 라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맨홀블록을 성형하는 맨홀블록 성형단계;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을 소정의 강도로 경화시키는 양생단계; 그리고,
    양생이 완료된 맨홀블록을 상기 제조몰드와 분리시키는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방법.
KR1020050090448A 2005-09-28 2005-09-28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0743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448A KR100743594B1 (ko) 2005-09-28 2005-09-28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448A KR100743594B1 (ko) 2005-09-28 2005-09-28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723A true KR20070035723A (ko) 2007-04-02
KR100743594B1 KR100743594B1 (ko) 2007-07-27

Family

ID=3815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448A KR100743594B1 (ko) 2005-09-28 2005-09-28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5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65B1 (ko) * 2007-09-06 2008-03-19 경북산업 주식회사 맨홀블록 금형장치
CN104321489A (zh) * 2012-03-22 2015-01-28 彼得·埃申布伦纳 用于整修管井的系统
KR20220127416A (ko) * 2021-03-10 2022-09-20 유천만 건습식 복합형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7513B2 (ja) * 1992-03-26 1996-07-24 ツルサキヒューム株式会社 マンホ―ルのインサ―トナット埋め込み方法
KR200231021Y1 (ko) 2000-09-02 2001-07-19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합성수지 라이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맨홀
KR200391463Y1 (ko) 2005-05-04 2005-08-02 김병주 조립식 맨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65B1 (ko) * 2007-09-06 2008-03-19 경북산업 주식회사 맨홀블록 금형장치
CN104321489A (zh) * 2012-03-22 2015-01-28 彼得·埃申布伦纳 用于整修管井的系统
CN104321489B (zh) * 2012-03-22 2016-06-22 彼得·埃申布伦纳 用于整修管井的系统
KR20220127416A (ko) * 2021-03-10 2022-09-20 유천만 건습식 복합형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594B1 (ko) 200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1133A (ko) 개선된 암거시스템
KR100743594B1 (ko)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0749823B1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JPH10501325A (ja) 連結されたプラスチックで被覆したコンクリート・パイプ
KR100804783B1 (ko) 조립식 맨홀
KR100693307B1 (ko)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및 맨홀블록의제조방법
KR100653437B1 (ko)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맨홀블록의 제조방법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맨홀블록
KR100743593B1 (ko) 맨홀블록, 이를 결합한 맨홀블록 어셈블리 및 맨홀블록제조장치
KR101459626B1 (ko)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KR200423070Y1 (ko) 일체화된 조립식 맨홀의 구조
KR20090078316A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0415965B1 (ko) 오염방지를 위한 조립식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맨홀 및 옹벽구체,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100743595B1 (ko) 맨홀블록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맨홀블록 제조방법 및이에 의해 제조된 맨홀블록
KR200424087Y1 (ko) 콘크리트 정화조
JP2006219859A (ja) 長尺コンクリートボックスカルバート製品
KR100777036B1 (ko) 라이너가 설치된 pc암거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라이너가 설치된 pc암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pc암거
KR101088371B1 (ko) 맨홀블록,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39380B1 (ko) 단지 설계에 적합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8757839U (zh) 一种模块式混凝土检查井
JP2006002481A (ja)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673995B1 (ko) 맨홀용 인버트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생산되는맨홀용 조립식 인버트와 이 인버트를 사용하는 맨홀
KR200211578Y1 (ko) 합성수지와 콘크리트로 구성된 조립식 배수구
CN216860148U (zh) 一种用于形成浮置板弹簧隔振器外套筒的组合件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CA3098058C (en) Concrete sanitary sewer pipes and manholes featuring a protective plastic l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