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307B1 -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및 맨홀블록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및 맨홀블록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307B1
KR100693307B1 KR1020060027507A KR20060027507A KR100693307B1 KR 100693307 B1 KR100693307 B1 KR 100693307B1 KR 1020060027507 A KR1020060027507 A KR 1020060027507A KR 20060027507 A KR20060027507 A KR 20060027507A KR 100693307 B1 KR100693307 B1 KR 100693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nhole block
forming
manhole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숙
Original Assignee
한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숙 filed Critical 한종숙
Priority to KR1020060027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holders or similar hollow articles, e.g. vaults, sewer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및 맨홀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맨홀블록을 성형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 상기 외부 몰드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맨홀블록의 접속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구형성 몰드; 그리고 상기 맨홀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면형성 금형과,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맨홀블록의 바닥면에 관로(管路)를 형성하는 관로형성 금형을 가지며, 상기 내부 몰드에 결합되는 인버트형성 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및 맨홀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맨홀블록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맨홀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맨홀블록, 외부 몰드, 내부 몰드, 인버트, 관로형성 금형, 스페이서

Description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및 맨홀블록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equipment for a manhole block,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 manhole block}
도 1은 일반적인 맨홀블록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맨홀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종래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Ⅰ-Ⅰ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인버트형성 몰드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판 맨홀블록 11: 맨홀뚜껑 수용부
20: 연직구체 맨홀블록 23: 스피곳
25: 소켓 30: 하부구체 맨홀블록
31: 접속구 33: 스피곳
32: 인버트 34: 바닥면
36: 관로(管路) 41, 42: 씰링부재
51, 52: 체결용 너트 53, 54: 이송용 볼트
100: 맨홀블록 제조장치 110: 외부 몰드
111, 112: 몰드 프레임 115: 연결수단
116,117: 체결홀 119: 메움부재
120: 내부 몰드 121,122: 몰드 프레임
125: 연결수단 130: 팔레트
135,136: 체결부재 140: 접속구 형성용 금형
150: 인버트형성 몰드 155: 체결부재
160: 바닥면형성 금형 161: 체결부재
162: 연결부재 체결용 너트 170: 관로형성 금형
180: 지지부재 210: 스페이서
220: 바닥판 230: 씰링부재
225: 체결부재 280: 지지부재
본 발명은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및 맨홀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맨홀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 건축공사 및 도로공사를 함에 있어서, 우수, 오수, 폐수 등을 처리하기 위한 하수관거 공사가 필요하다. 맨홀블록은 관거 내의 검사, 청소, 통풍, 환기, 접합, 분기 등의 목적으로 상기 하수관거의 중간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맨홀의 제조방법은, 크게 현장타설 방법과 기성(旣成) 맨홀블록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별된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현장타설 방법은, 실제 맨홀블록이 설치되는 장소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조립한 후,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상기 거푸집 내에 타설하고 소정의 양생기간을 거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맨홀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현장타설 방법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제조된 맨홀블록은 유입관 및 유출관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정밀하게 시공되지 못하여 완전한 누수 차단이 어렵고,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기 때문에 맨홀블록의 높이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필요함으로 인해 공사기간이 장기화되고, 이로 인하여 교통체증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민원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공사비도 상대적으로 높은 문제점 도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현장타설 방법의 대안으로서 기성 맨홀블록을 이용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에 대한 국가규격(KS F 4012: 하수도용 콘크리트 맨홀블록)이 1970년에 제정되어 개정을 거듭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기성 맨홀블록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성 맨홀블록은 유입관와 유출관이 연결될 수 있는 접속구를 가지며, 하부가 막혀있는 하부구체 맨홀블록, 상기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연직구체 맨홀블록(20), 상기 연직구체 맨홀블록(20)의 상부에 구비되며, 맨홀뚜껑이 삽입되는 맨홀뚜껑 삽입부(11)을 가지는 상판 맨홀블록(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맨홀블록이 조립되는 부위에는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씰링부재(41, 42)가 끼워진다.
상기 기성 맨홀블록에는 맨홀블록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곳(spigot: 23, 33)이나 맨홀블록의 상호 결합시 스피곳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부분인 소켓(socket: 15, 25)이 형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상부에는 스피곳(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 맨홀블록(10)의 하부에는 소켓(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직구체 맨홀블록(20)에는 상부에 스피곳(23), 하부에 소켓(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피곳(23, 33)과 소켓(15, 25)에 의해 각각의 맨홀블록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횡방향으로의 외력에 견딜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직구체 맨홀블록(20)과 상판 맨홀블록(10)의 사이에는 상부의 관지름을 좁히고 노면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경사구체 맨홀블록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성형된 맨홀블록을 이송할 수 있는 이송용 볼트(53, 54)가 맨홀블록의 외측면에 구비된 체결용 너트에 체결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연직구체 맨홀블록(20)과 하부구체 맨홀블록(30) 각각에 이송용 볼트(53, 54)가 체결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하부구체 맨홀블록(30)에는 유입관 또는 유출관이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31)가 다수 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구체 맨홀블록(30)의 내측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인버트(invert: 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트(32)는 맨홀블록의 내부에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버트(32)는 주로 오수의 처리를 위한 맨홀블록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맨홀블록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하부구체 맨홀블록을 습식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예로 들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습식 콘크리트는 성형공간에 투입하는 콘크리트의 반죽 정도를 측정하는 값인 슬럼프 값이 "0"이 아닌 콘크리트를 지칭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일예를 설명한다.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크게 맨홀블록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61), 맨홀블록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63), 접속구를 형성하는 접속구형성 몰드(미도시) 및 인버트를 형성하는 인버트형성 몰드(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외부 몰드(61)를 조립한 후,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로 콘크리트를 성형하는 맨홀블록의 바닥면 두께만큼 타설한다.
1차적으로 타설한 콘크리트가 굳은 다음, 상기 인버트형성 몰드(65)이 조립된 내부 몰드(63)를 1차 타설한 콘트리트 위에 올려놓고, 소정의 간격유지 부재(67)를 설치하여 내부 몰드(63)를 고정한 후, 2차로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내부 몰드(63)와 외부 몰드(61)를 제거하는 탈형단계를 거쳐 맨홀블록을 제조한다.
여기서, 양생은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을 소정의 계획된 방법에 의해 경화시키는 과정을 말하며, 상기 양생과정에 의해 콘크리트를 일정기간 시멘트의 수화작용에 적합한 조건으로 보호해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변형된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콘크리트를 1차와 2차로 나누어 타설하는 대신, 소정의 받침부재(78)와 상부 지지부재(79)에 의해 외부 몰드(71) 내에서의 내부 몰드(73) 위치를 고정하는 형태의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낸다.
즉, 도 4에 도시된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외부 몰드(71)를 조립한 후, 받침부재(78)와 상부 지지부재(79)를 사용하여 내부 몰 드(73)를 외부 몰드(71)에서 일정 높이만큼 상승된 위치에 고정하고, 소정의 간격유지 부재(77)를 설치하여 외부몰드(71) 내에서의 내부몰드(73) 간격을 유지시킨다.
이렇게 조립된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을 행한다. 양생을 한 후에는, 내부 몰드(73)와 외부 몰드(71)를 탈형하고, 바닥에 설치하였던 받침부재(78)를 제거하거나 매립시켜 놓은 상태로 제작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78)가 제거되는 경우에는 남은 공간을 콘크리트로 채우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맨홀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인버트형성 몰드는 부피가 크고 무거워 조립작업 및 탈형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일반적으로 맨홀블록에 연결되는 접속관은 다양한 규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접속관에 맞추어 인버트를 형성할 때 인버트형성 몰드를 교체함에 있어서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달리, 연결되는 접속관 중 최대 크기의 관경에 맞추어 접속관의 규격에 관계없이 동일한 크기의 금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인버트형성 몰드의 크기가 커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금형을 제작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인버트의 관로가 (-)자의 직관 형태 외에 (ㄱ)자, (+)자, (T)자, (Y)자 등으로 제작하는 경우, 인버트형성 몰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다시 추가적인 관로 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별도로 조립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ㄱ)자, (T)자, (Y)자 등의 인버트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불필요한 관로가 형성되어 유동 흐름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습식 콘트리트를 사용하는 경우 몰드의 회전율이 낮아서 다량의 몰드가 소요되므로, 인버트형성 몰드를 준비하기 위한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결과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별도의 받침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바닥면과 벽체를 한번에 제조할 수 없어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한번에 콘크리트를 투입시켜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바닥면과 벽체를 동시에 제작하는 경우에는 내부 몰드가 아직 굳어지지 않은 콘크리트의 부력에 의하여 솟아오르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넷째, 외부 몰드내에서 내부 몰드를 소정 높이만큼 상승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받침부재가 필요하며, 탈형 후 고정장치를 제거한 남은 공간에 다시 콘크리트를 채워야하므로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제품의 치밀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블록 제조방법, 이의 조립방법, 맨홀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와 규격의 인버트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 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바닥면과 벽체를 한번에 제조하여 제조시간이 적게 들고, 제조공정이 간단한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맨홀블록을 성형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 그리고 상기 외부몰드 내에 구비되어 상기 맨홀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면형성 금형과,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맨홀블록의 바닥면에 관로(管路)를 형성하는 관로형성 금형을 가지는 인버트형성 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은, 상기 맨홀블록에 형성되는 관로를 중심으로 맨홀블록의 상부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은, 상기 내부 몰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로형성 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맨홀블록의 관로는, 직관 형태의 관로와, 복수 개의 유로가 접합된 형태의 관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외부 몰드와 내부 몰드가 형성하는 성형공간의 상부에서 맨홀블록의 바닥면이 성형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에는 상기 외부 몰드과 내부 몰드를 연결 하는 팔레트(pallet)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팔레트는, 상기 맨홀블록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곳(spigot)이나 끼워지는 부분인 소켓(soket)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의 단이 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구형성 몰드는,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 몰드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몰드와 내부 몰드 중 최소한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이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 몰드는 상기 팔레트를 관통하여 상기 팔레트보다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에 대한 상기 내부 몰드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팔레트와 상기 내부 몰드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에 대한 상기 내부 몰드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페이서(spac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팔레트와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와 상기 팔레트를 관통하는 내부 몰드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의 내주면은 상기 팔레트를 관통하여 하부로 더 연장된 내부 몰드의 외주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내부 몰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몰드와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조립방법은 팔레트에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팔레트에 상기 맨홀블록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외부 몰드의 내부에 상기 맨홀블록의 접속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구형성 몰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맨홀블록의 바닥면에 관로(管路)를 형성하는 관로형성 금형을 상기 내부몰드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방법은,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내부 몰드와 외부 몰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투입시키는 콘크리트 투입단계; 상기 외부몰드 내에 구비되어 상기 맨홀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면형성 금형과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맨홀블록의 바닥면에 관로(管路)를 형성하는 관로형성 금형을 가지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맨홀블록을 성형하는 맨홀블록 성형단계;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을 소정의 계획된 온도에 의해 양생을 행하는 양생단계; 그리고, 양생이 완료된 맨홀블록을 상기 제조몰드와 분리시키는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주로 하부구체 맨홀블록을 대상으로 한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의 제조장치는 기본적으로 외부 몰드(110), 내부 몰드(120), 팔레트(130), 접속구형성 몰드(140) 및 인버트형성 몰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 몰드(110)는 상기 맨홀블록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외부 몰드(110)의 형상에 따라 맨홀블록의 외형이 정해지게 된다.
맨홀블록의 단면은 일반적으로 속이 비어있는 원형으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모가 따진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사각 홈이 형성된 사각형 등 여러 가지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맨홀블록의 외형을 형성하는 상기 외부 몰드(110)의 형상도 맨홀블록의 원하는 형상에 따라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모가 따진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사각 홈이 형성된 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구체 맨홀블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인, 단면이 4개의 모서리에 사각홈이 형성된 사각형 형태인 맨홀블록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몰드(110)의 단면도 4개의 모서리에 사각홈이 형성된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 몰드(110)가 다양한 높이의 맨홀블록을 성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111, 112)이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수단(115)은 예를 들어 상기 몰드 프레임에 구비된 체결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조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규격에 맞춘 복수 개의 외부 몰드(11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131, 132)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맨홀블록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몰드의 몰드 프레임(111, 112)은 각각 상호 수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서브 몰드 프레임(111a, 111b, 112a, 112b)으로 이루어져 결합과 해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위치하는 몰드 프레임(112)는 두 개의 서브 몰드 프레임(112a, 112b)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위치하는 몰드 프레임(111)도 두 개의 서브 몰드 프레임(111a, 111b)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수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서브 몰드 프레임(111a, 111b, 112a, 112b)의 결합에 의해 외부 몰드(110)를 구성함으로써,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과 외부 몰드(11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여 탈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내부 몰드(120)는 상기 외부 몰드(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성형하는 맨홀블록의 내부 단면은 원형이나 각형이 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부 몰드(120)는 이에 대응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공간의 단면이 원형인 맨홀블록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 기 내부 몰드(120)의 단면도 이에 대응된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내부 몰드(120)도 상술한 외부 몰드(110)의 경우와 같이,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121, 122)이 소정의 연결수단(125)에 의해 조립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의 깊이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다수 개의 내부 몰드(12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121, 122)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깊이의 맨홀블록을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몰드는 탈형단계에서 탈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에 대하여 1 ~ 3°의 경사져서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부 몰드(110)와 내부 몰드(120)는 상하가 뒤집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 몰드(110)와 내부 몰드(120)가 형성하는 성형공간의 상부에서 맨홀블록의 바닥면을 성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외부 몰드(110) 내에서 내부 몰드(120)를 소정 높이만큼 상승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게 된다. 또한, 외부 몰드(110)와 내부 몰드(120)를 탈형 한 후 고정장치를 제거하면서 남은 공간에 재차 콘크리트를 채우는 번거로움이 없어지고, 일체로 맨홀블록을 성형하기 때문에 제품 조직이 치밀해진다.
또한, 종래의 제조몰드에서 콘크리트의 부력에 의해 내부 몰드(120)가 솟아오르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바닥면과 벽체를 한번에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팔레트(130)는 상기 외부 몰드(110)와 내부 몰드(120)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 몰드(110)와 내부 몰드(12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팔레트(130)의 외측과 외부 몰드(110)는 체결부재(136)에 의해 의해 결합되고, 상기 팔레트(130)의 내측과 내부 몰드(120)는 체결부재(135)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상기 팔레트(130)는 성형하는 맨홀블록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곳(33)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에 대응하여 소정의 단이 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성형된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스피곳(33)은, 하부구체와 결합되는 연직구체 맨홀블록(20)의 소켓(25)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진다.
상기 팔레트(130)의 하부에는, 상기 팔레트(1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80)가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130)의 하부가 직접 바닥에 닿지 않게 한다.
상기 지지부재(180)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이동시킬 때 지게차 등으로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다.
상기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은 소정의 체결부재(141)에 의해 상기 외부 몰드(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맨홀블록에 접속구(31)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금형으로서, 최소한 한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구체 맨홀블록(30)에는 유입관이나 유출관이 연결되는 접속구(31)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을 통해 맨홀블록에 접속구(3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몰드(110)에는 상기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 몰드(110)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홀(116)이 소정의 간격을 두 고 배치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외부 몰드(110)의 4면에 체결홀(116)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이 체결되지 않는 체결홀(116)에는 메움부재(119)가 결합되며, 예를 들어 상기 메움부재(119)는 렌치볼트(wrench bolt)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인버트형성 몰드(150)는, 상기 내부 몰드에 결합되어 맨홀블록의 인버트를 형성하는 몰드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버트형성 몰드(150)가 바닥면형성 금형(160)과 관로형성 금형(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버트(32)는 맨홀블록의 내부에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중앙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로(36)와 관로(36) 주변의 바닥면(34)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인버트(32)의 관로(36)는 맨홀블록에 연결되는 접속관의 규격에 대응하여, 접속관의 하부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인버트(32)의 바닥면(34)은 물의 흐름을 원활히하고 토사 등의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로(36)를 중심으로 맨홀블록의 외벽으로 갈수록 상부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경사는 통상 10 ~ 20 °의 각도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인버트(32)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버트형성 몰드(150)는 상기 인버트에 대응된 형성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160)에 의하여 맨홀블록의 바닥면(34)을 형성하고, 상기 관로형성 금형(170)에 의하여 맨홀블록 바닥면(34)에 관로(36)를 형성한다.
상기 관로형성 금형(170)은 별도로 제작된 금형 또는 내구성을 가진 재질의 관로 형상의 라이너(liner)일 수 있으며, 상기 맨홀블록에 연결되는 접속관과 동일한 규격과 재질의 파이프를 길이방향을 따라 이등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맨홀블록의 바닥면(34)의 경사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160)도 성형하고자 하는 맨홀블록 바닥면(34)의 경사도에 대응되게 관로(36)를 중심으로 맨홀블록의 상부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맨홀블록에 연결되는 접속관의 규격에 맞추어 다양한 규격과 형태의 인버트(32)의 관로(36)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160)과 관로형성 금형(170)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성형하는 맨홀블록의 관로(36) 규격이나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인버트형성 몰드(150) 전체를 교체하는 대신, 성형하는 맨홀블록의 관로(36) 규격이나 형태에 대응한 관로형성 금형(170)만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맨홀블록에 탄력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상기 인버트형성 몰드(15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체결용 너트가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용 너트(52)는 성형된 맨홀블록의 이송을 위해 결합되는 이송용 볼트(54)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체결용 너트(52)를 상기 외부 몰드(110)의 원하는 위치에 구비하여 성형하는 맨홀블록에 매립되어 상기 맨홀블록 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용 볼트(54)는 구체적으로 이적, 상차, 하차, 시공시 등에 사용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 볼트(eye-bolt)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다른 금형과는 달리 상기 체결용 너트(52)는 성형하는 맨홀블록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몰드(110)에는 상기 체결용 너트(52)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 몰드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체결홀(117)이 배치된다. 따라서, 이송용 볼트(54)가 체결되는 위치에 맞는 체결홀(117)에 체결용 너트(52)를 체결함으로써 성형하는 맨홀블록의 다양한 위치에 이송용 볼트(51)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체결용 너트는 성형하는 맨홀블록에서의 이송용 볼트(54)의 배열에 맞추어야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 및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체결용 너트는 이송용 볼트(52)와 결합되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상기 외부 몰드(110)에 체결용 너트(54)를 결합하는 체결부재는 이송용 볼트(54)와 동일한 치수의 나사산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이송용 볼트(54) 자체를 체결부재로 사용하여, 체결용 너트를 제조몰드 본체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하다.
또한,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체결홀(117) 중 체결용 너트(52)와 체결되지 않는 체결홀(117)에는 메움부재(119)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16)과 상기 체 결용 너트(52)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17)와 은 서로 혼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종류의 체결홀(116, 117)를 서로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고, 체결홀을 4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필요에 따라 체결용 너트나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의 체결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몰드(120)가 외부 몰드(110) 내에 구비되는 대신 상기 팔레트(130)를 관통하여 상기 팔레트(130)보다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몰드(120)가 상기 팔레트(130)를 관통하여 상기 팔레트(130)보다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되어 있어, 상기 팔레트(130)에 대한 내부 몰드(120)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내부 몰드(120)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몰드(110) 내에서의 내부 몰드(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성형하는 맨홀블록 내부공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맨홀블록 내부공간의 높이는 인버트(32)의 높이를 포함하여 결정되므로, 맨홀블록 내부공간의 높이가 같다고 하더라도 설치되는 인버트(32)의 규격에 따라 내 부 몰드(120)의 높이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맨홀블록 내부공간의 높이가 1000 mm라고 가정할 때, 인버트(32)의 규격에 따라 인버트(32)의 수직방향 길이가 300 mm라고 가정할 때, 내부 몰드(120)의 높이는 700 mm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인버트(32)의 규격이 500 mm, 700 mm인 경우, 내부 몰드(120)의 높이는 각각 500 mm, 300 mm로 변경되어야 한다.
상술한 예와 같이, 설치되는 인버트(32)의 규격에 따라 내부 몰드(120)의 높이는 변경되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몰드(120)의 길이를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의 높이보다 충분히 길게 제작하여, 팔레트(130)에 대한 내부 몰드(120)의 상대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외부 몰드(110) 내에서의 내부 몰드(120) 높이를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성형하는 맨홀블록 내부공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팔레트(130)에 대한 내부 몰드(120)의 상대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어, 상기 내부 몰드(120)가 복수 개의 몰드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성형하는 맨홀블록 내부공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를 외부 몰드(110)의 높이보다 낮게 투입함으로써 상기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인버트(32)와 상기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하단면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콘크리트의 투입량을 외부 몰드의 높이 내에서 조절하여, 맨홀블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에는 상기 팔레트(130)와 상기 내부 몰드 (120)의 하단 사이에 스페이서(spacer: 210)를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210)는 상기 팔레트(130)에 대한 상기 내부 몰드(120)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높이의 스페이서(21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몰드(110) 내에서의 내부 몰드(120)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130)에는 성형된 맨홀블록에 소정의 연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체결용 너트(162)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 체결용 너트(162)는 성형하는 맨홀블록에 매립되어 상기 맨홀블록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10)의 상부에는 연결부재 체결용 너트(162)를 상기 팔레트(130)에 체결하는 체결부재(16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체결부재용 홀(2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130)와 상기 스페이서(210) 사이에는 씰링부재(2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씰링부재(230)는 예를 들어 오링(O-ring)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씰링부재(230)에 의해 상기 팔레트(130)와 내부 몰드(120)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씰링부재(230)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콘크리트의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신축성이 뛰어난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210)의 내주면은 상기 팔레트(130)를 관통하여 하부로 더욱 연장된 내부 몰드(120)의 부분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페이서(210)에 의해 내부 몰드(120)가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 몰드(120)의 하단에는 바닥판(220)이 체결부재(225)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내부 몰드(120)와 스페이서(2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220)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판(22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80)가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220)이 직접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280)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이동시킬 때 지게차 등으로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도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인버트형성 몰드(150)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닥면형성 금형(160)과, 관로형성 금형(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관로형성 금형(170)을 바닥면형성 금형(160)에서 분리하고, 성형하는 맨홀블록의 관로 규격이나 형태에 맞춘 관로형성 금형(170)으로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인버트형성 몰드(15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2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는 내부 몰드(120)와 바닥면형성 금형(160)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되지 않고 일체로 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몰드(120)와 바닥면형성 금형(160)이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부재로 맨홀블록의 내측면과 바닥면을 형성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보다 간단한 구조로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관로형성 금형(170)만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규격과 형태의 맨홀블록의 관로(36)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인버트형성 몰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맨홀블록의 관로(36)는, 직관 형태 또는 복수 개의 유로가 접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자, (ㄱ)자, (+)자, (T)자, (Y)자 형태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관로(36)에 대응하여, 도 11은 (-)자의 직관형태 관로, 도 12는 (T)자 형태의 관로, 도 13은 (+)자 형태의 관로에 대응한 인버트형성 몰드의 결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인버트형성 몰드(150)는 바닥면형성 금형(160)과 관로형성 금형(170)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160)의 상부에 상기 관로형성 금형(170)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160)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며, 상기 관로형성 금형(170)의 하부면은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160)의 경사면 각도와 동일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로형성 금형(170)의 상부면은 맨홀블록의 관로(36)를 형성하기 위하여 중앙부가 볼록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도 12를 참조하면, (T)자 형상의 관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버터형성 몰드(250)의 관로형성 금형(270)은 도 11에 도시된 직관 형태의 관로(271)의 중앙부에 별도의 추가관로(27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관로(273)의 직관 형태의 관로(271)와 동일한 높이로 연장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연장 형성되고, 하부면은 상기 바닥면 형성금형(160)이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된다.
즉, 상기 추가관로(273)는 가장자리 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높이가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3을 참조하면, (+)자 형상의 관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관로형성 금형(370)은 도 12에서 상술한 추가관로(273)의 형상과 동일한 제1추가관로(373), 제2추가관로(375)가 직관 형태의 관로(371)의 중앙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관로형성 금형(370)에서, 직관 형태의 관로의 하부면은 상기 바닥면 형성금형(160)의 중앙부 형상에 대응되게 양측이 동일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며, 상기 제1,2추가관로(373,375)의 하부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160)의 경사면 위에 접하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다양한 형태의 관로 중 특히 (-)자, (T)자, (+)자 형태에 대응한 인버트형성 몰드를 예시하였으나, (ㄱ)자, (Y)자 등 기타 다양한 형태의 관로에 대응한 인버트형성 몰드를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과 관로형성 금형 사이에 소정의 씰링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금형들의 틈사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1 내지 도 13의 관로형성 금형은 바닥면 형성 금형에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관로형성 금형의 자중에 의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와 도 13은 관로형성 금형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직관 형태의 관로와 추가관로 들을 별도의 부재로 구비하여 소정의 연결수단으로 상호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함께, 상기 관로형성 금형은 맨홀블록에 연결되는 접속관과 동일 규격 및 재질의 관을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관로와 동일 치수의 미리 제작된 라이너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부 몰드(110)의 서브 몰드 프레임을 결합하여 외부 몰드(110)을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으로 조립한다. 그런 다음,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을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하여 외부 몰드(110)를 형성한다. 내부 몰드(120)도 외부 몰드(110)와 같이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을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하여 형성한다. 다만 상술한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제2실시예의 경우처럼 내부 몰드(120)가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가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130)에 상기 내부 몰드(120)를 결합하고, 이어 상기 팔레트(130)에 외부 몰드(110)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몰드(120)의 상부에, 인버트형성 몰드(150)을 소정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결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바닥면형성 금형(160)을 내부몰드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관로형성 금형(170)을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160)의 상부에 결합한다.
이와 달리, 먼저 바닥면형성 금형(160)과 관로형성 금형(170)을 상호 결합한 후에, 이를 내부 몰드(120)에 결합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160)이 내부 몰드(12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160)을 상기 내부 몰드(120)에 결합하는 단계가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몰드(110)에, 맨홀블록 접속구 형성을 위한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을 결합하여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맨홀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맨홀블록 제조방법은 콘크리트 투입단계, 맨홀블록 성형단계, 양생단계, 그리고 탈형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투입단계는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제조몰드에 투입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외부 몰드(110)와 내부 몰드(120)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에 콘크리트를 투입시킨다.
이때, 콘크리트를 치밀하게 투입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진동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다져가며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생단계는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을 소정의 계획된 온도에 의해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양생이란 콘크리트를 일정기간 시멘트의 수화작용에 적합한 조건으로 보호해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도록 하는 작업이다. 양생에 적합한 조건이란 적합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외적인 충격과 침하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며, 양생기간 동안 계속 같은 조건을 유지해야 한다.
상기 탈형단계는 양생이 종료된 몰드와 제품을 분리시키는 단계로서,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성형된 맨홀블록과 맨홀블록 제조장치를 뒤집는다. 즉, 상기 팔레트(130)가 상부로 위치하도록 상하를 뒤집는다. 이때, 회전을 위해서는 지게차나 크레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 몰드(110)를 해체하고, 팔레트와 내부 몰드(120)를 맨홀블록에서 해체시킨다. 다음으로, 인버트형성 몰드과 접속구 형성용 금형(140)을 차례로 성형된 맨홀블록과 분리시킴으로써 탈형이 완료된다.
하지만, 상술한 탈형순서와 달리 미리 제품의 탈형을 위한 고리형상의 철근을 콘크리트에 삽입하여, 몰드의 상하 회전 없이 외부몰드(110)를 해체하고 팔레트(130)에 체결된 볼트를 해체한 후 고리형상의 철근을 들어올림으로써 탈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 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맨홀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맨홀블록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버트를 형성하는 몰드를 바닥면과 관로를 형성하는 금형을 별도의 부재로 구비하고 상호 결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성형하는 맨홀블록에 연결되는 접속관의 형태에 맞춘 다양한 형태의 관로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관로의 규격이 바뀌더라도 인버트를 형성하는 몰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성형하는 맨홀블록의 관로 규격이나 형태에 대응한 관로형성 금형만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관로를 가지는 맨홀블록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관로 규격에 맞춘 인버트형성 몰드를 각각을 구비하는 대신, 관로형성 금형만을 구비함으로써 여러가지 규격의 맨홀블록을 성형할 수 있어, 금형을 제작하는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인버트의 관로가 직관 형태 외에 (ㄱ)자, (+)자, (T)자, (Y)자 등으로 제작하는 경우, 이러한 형태에 맞춘 인버트형성 몰드를 각각 구비하지 않더라도, 각각의 관로 형태의 관로형성 금형만을 교체함으로써 손쉽게 여러 가지 형태의 관 로를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외부 몰드와 내부 몰드가 형성하는 성형공간의 상부에서 맨홀블록의 바닥면이 성형되게 함으로써, 외부 몰드 내에서 내부 몰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가 필요가 없으며, 외부 몰드와 내부 몰드를 탈형 한 후 고정장치를 제거하면서 남은 공간에 재차 콘크리트를 채우는 번거러움이 없어지고, 일체로 맨홀블록을 성형하기 때문에 제품 조직이 치밀해지는 이점이 있다.
넷째, 하부구체 맨홀블록의 바닥면과 벽체를 한번에 제조할 수 있어, 제조시간이 줄어들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맨홀블록을 성형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
    상기 맨홀블록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 그리고
    상기 외부몰드 내에 구비되며 상기 맨홀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면형성 금형과,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맨홀블록의 바닥면에 관로(管路)를 형성하는 관로형성 금형을 가지는 인버트형성 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은,
    상기 맨홀블록에 형성되는 관로를 중심으로 맨홀블록의 상부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은,
    상기 내부 몰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형성 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맨홀블록의 관로는,
    직관 형태의 관로와, 복수 개의 유로가 접합된 형태의 관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외부 몰드와 내부 몰드가 형성하는 성형공간의 상부에서 맨홀블록의 바닥면이 성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블록 제조장치에는 상기 외부 몰드과 내부 몰드를 연결하는 팔레트(pallet)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상기 맨홀블록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곳(spigot)이나 끼워지는 부분인 소켓(soket)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의 단이 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몰드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맨홀블록의 접속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구형성 몰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몰드와 내부 몰드 중 최소한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이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몰드는 상기 팔레트를 관통하여 상기 팔레트보다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에 대한 상기 내부 몰드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와 상기 내부 몰드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에 대한 상기 내부 몰드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페이서(spac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와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와 상기 팔레트를 관통하는 내부 몰드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내주면은 상기 팔레트를 관통하여 하부로 더 연장된 내부 몰드의 외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몰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몰드와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
  15. 팔레트에 맨홀블록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팔레트에 상기 맨홀블록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외부 몰드의 내부에 상기 맨홀블록의 접속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구형성 몰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맨홀블록의 바닥면에 관로(管路)를 형성하는 관로형성 금형을 상기 내부몰드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16.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내부 몰드와 외부 몰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투입시키는 콘크리트 투입단계;
    상기 외부몰드 내에 구비되며 상기 맨홀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면형성 금형과,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맨홀블록의 바닥면에 관로(管路)를 형성하는 관로형성 금형을 가지는 인버트형성 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맨홀블록을 성형하는 맨홀블록 성형단계;
    성형이 완료된 맨홀블록을 소정의 계획된 온도에 의해 양생을 행하는 양생단계; 그리고,
    양생이 완료된 맨홀블록을 상기 제조몰드와 분리시키는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블록의 제조방법.
KR1020060027507A 2006-03-27 2006-03-27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및 맨홀블록의제조방법 KR100693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507A KR100693307B1 (ko) 2006-03-27 2006-03-27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및 맨홀블록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507A KR100693307B1 (ko) 2006-03-27 2006-03-27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및 맨홀블록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307B1 true KR100693307B1 (ko) 2007-03-14

Family

ID=3810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507A KR100693307B1 (ko) 2006-03-27 2006-03-27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및 맨홀블록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3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29B1 (ko) * 2007-09-14 2009-12-15 조주엽 Frp보강재가 구비된 가변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이를 이용한 맨홀
KR101524272B1 (ko) * 2014-11-28 2015-06-10 대실테크 주식회사 보수용 현장조립식 활선 프리캐스트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1878437B1 (ko) * 2016-08-30 2018-07-13 최미화 인버터 타입 맨홀용 성형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95481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29B1 (ko) * 2007-09-14 2009-12-15 조주엽 Frp보강재가 구비된 가변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이를 이용한 맨홀
KR101524272B1 (ko) * 2014-11-28 2015-06-10 대실테크 주식회사 보수용 현장조립식 활선 프리캐스트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1878437B1 (ko) * 2016-08-30 2018-07-13 최미화 인버터 타입 맨홀용 성형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7410B2 (ja) トンネル用インバート、インバートブロックおよび該インバ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インバートの築造方法
KR100749823B1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100693307B1 (ko)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및 맨홀블록의제조방법
CN207469307U (zh) 一种市政道路管线的检查井现浇施工的组合模板结构
KR102193147B1 (ko) 지수판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시공방법
KR100653437B1 (ko) 맨홀블록의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맨홀블록의 제조방법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맨홀블록
KR100743594B1 (ko)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0743593B1 (ko) 맨홀블록, 이를 결합한 맨홀블록 어셈블리 및 맨홀블록제조장치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200423070Y1 (ko) 일체화된 조립식 맨홀의 구조
KR20090078316A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0415965B1 (ko) 오염방지를 위한 조립식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맨홀 및 옹벽구체,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100743595B1 (ko) 맨홀블록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맨홀블록 제조방법 및이에 의해 제조된 맨홀블록
CN206859370U (zh) 塑料矩形直线市政排水检查井
KR20070076560A (ko) 각도조절형 조립식 맨홀
KR20080058295A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200424087Y1 (ko) 콘크리트 정화조
CN219886937U (zh) 一种井座的安装结构
CN218757839U (zh) 一种模块式混凝土检查井
CN210173848U (zh) 一种无缝包联三格化粪池预制板生产模具
KR102506180B1 (ko) 전단키홈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암거 블록
KR200211578Y1 (ko) 합성수지와 콘크리트로 구성된 조립식 배수구
KR20090015775A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100939380B1 (ko) 단지 설계에 적합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77036B1 (ko) 라이너가 설치된 pc암거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라이너가 설치된 pc암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pc암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