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133A - 개선된 암거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선된 암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133A
KR20070101133A KR1020070034491A KR20070034491A KR20070101133A KR 20070101133 A KR20070101133 A KR 20070101133A KR 1020070034491 A KR1020070034491 A KR 1020070034491A KR 20070034491 A KR20070034491 A KR 20070034491A KR 20070101133 A KR20070101133 A KR 2007010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vert block
culvert
hold down
filt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 리 로버트
마크 케빈 애디슨
제이슨 사무엘 쉬모이어
알렉산더 블라디미로비치 아일린
Original Assignee
알지 델라웨어,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지 델라웨어,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알지 델라웨어,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7010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8Tanks for disinfecting, neutralising, or cooling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물 및/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시스템이 공개되며, 상기 필터시스템은 복수의 래터럴을 가진 암거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래터럴은 홀드다운조립체에 의해 필터플로어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드다운조립체는 점성상태 또는 반점성상태에서 제공된 그라우트 또는 그 외의 다른 재료에 좌우되지 않으며, 암거 래터럴을 필터플로어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수단으로 실질적으로 경화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드다운조립체는 앵커조립체와 이에 일치하는 암거블록들에 대해 이동 가능한 홀드다운클립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홀드다운클립은 상기 일치하는 암거블록의 임의의 원하는 부분과 협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암거시스템{AN IMPROVED UNDERDRAIN SYSTEM}
도 1은 플룸에 인접한 종래 기술에 따르는 필터의 단편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필터의 또 다른 단편적인 단면도(인접한 암거블록들 사이에서 그라우트는 도면의 간결화를 위해 생략됨)를 도시하며, 상기 도면은 도 1을 90°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플룸에 인접한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르는 필터의 단편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의 또 다른 단편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상기 도면은 도 3을 90°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와 일치하게 형성된 플룸에 인접한 필터의 단편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필터의 확대도의 일부분.
도 7은 도 5에서 도시된 필터의 또 다른 단편적인 단면도(인접한 암거블록들 사이에서 그라우트는 도면의 간결화를 위해 생략됨)를 도시하며, 상기 도면은 도 5를 90°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적인 실시예와 일치하게 형성된 플룸에 인접한 필터의 단편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적으로 선호되는 실시예와 일치하게 형성된 플룸에 인접한 필터의 한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필터의 측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필터의 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필터의 확대된 단면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필터의 홀드다운조립체의 한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홀드다운조립체의 부분의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홀드다운조립체의 부분의 측면도.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홀드다운조립체의 부분의 후크를 도시한 확대된 평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후크의 확대된 단면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후크의 확대된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편적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추가적으로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른 홀드다운조립체의 한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홀드다운조립체의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은 물 및/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에 사용된 현저히 개선된 암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래터럴(lateral)을 가지는 개선된 암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암거시스템들은 물과 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시스템에서 개발되어 왔다. 암거시스템이 세척단계와 필터단계를 포함하는 실질적인 모든 필터링 단계들을 통해 액체 및/또는 공기를 수용함에 따라, 상기 암거시스템은 필터시스템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세척단계에서, 암거는 일반적으로 필터단계 시 필터베드에 고착된 불순물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베드를 통해 액체 및/또는 공기를 상부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액체 및/또는 공기는 필터베드가 적절하게 청소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필터베드 상에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한다. 업플로 필터에서, 필터단계 시 암거는 유입물(influent)을 필터베드를 통해 상부방향으로 안내하며 이에 따라 불순물들은 제거될 수 있다. 다운플로 필터에서, 암거는 유출물(effluent)을 수용하고 상기 유출물을 이후 사용을 위하여 적합한 저장장소로 운반한다. 필터시스템의 작동과정에 있어서 암거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 인해, 암거작동의 불능은 종종 필터시스템의 폐쇄를 연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암거의 일반적인 타입은 "래터럴" 방식이다. 암거의 상기 타입은 일반적으로 인젝션몰딩되거나 또는 압출성형된 플라스틱 또는 압출성형된 클레이로 제조된다. 암거블록은 "래터럴"로 언급된 열들로 배열된다. 상기 래터럴은 일반적으로 래터럴 사이에서 대략 1 인치 간격으로 대략 12 인치의 중심부 상에 위치된다. 암거블록은 필터플로어로부터 암거블록을 분리시키려는 상향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향력은 물의 상부방향으로 향하는 흐름 및/또는 암거블록을 가로지르는 흐름의 저항력에 동일한 반대방향 힘으로 제공되는 필터플로어에 대한 공기가압에 기인한다. 암거블록을 상기 상부방향 힘들에 저항하는 필터플로어에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다양한 시스템들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상기 필터플로어에 암거 래터럴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일반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상기 시스템에서, 그라우트(2)는 서로 인접한 암거블록(4)들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된다. 상기 그라우트는 암거블록(4)을 필터플로어(8)에 고정하기 위하여 앵커조립체(6)와 함께 작동되도록 설계된다. 그라우트(2)와 앵커조립체(6)는 본질적으로 암거 래터럴 내로 주조된 러그 또는 리브(12) 내에 끼워넣어진(key) 강화콘크리트빔을 형성한다(도 2 참조). 상기 앵커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제조 시에 플로어 내로 주조되거나 또는 적합한 접착으로 필터플로어의 홀 내에 결합된다. 종종 사용된 형상은 플룸영역(14)에 대해 상향하중을 격리시키기 위해 그라우트를 이용하여 암거 및 필터플룸에 인접한 필터플로어 사이에서 실(seal)을 형성한다. 플룸영역(14)에 대해 상기 하중의 격리로 인해 플룸영역에 대한 홀드다운시스템의 필요조건을 제한한다. 상기 장치는 필터의 잔여부분들에서 비싼 홀드다운(hold-down)들을 제거한다. 암거 래터럴은 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플로어(8) 상에 위치된 그라우트(13)의 "베드" 또는 레이어 내로 임베디드된다. 상기 그라우트(13)의 베드는 또한 암거시스템의 수평을 맞추는 데 있어 도움을 준다. 도 2에서, 그라우트스트립(17)은 플룸영역(14) 상에서 그라우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플룸영역(14) 상에서 인접한 암거블록(4) 사이로 연장된다.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암거를 설치하기 위하여, 그라우트는 하중을 래터럴로부터 앵커로 전달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며 앵커부재를 완전히 수용하고 래터럴 내로 주조된 러그 또는 리브 내로 끼워넣어져야 한다. 앵커 또는 러그 주위의 저강도 그라우트 또는 보이드(void)는 구조적 피로를 야기시킬 수 있는 부실한 영역을 생성시킨다. 하지만 래터럴 사이의 공간은 상당히 좁아 앵커 주위로 및 앵커 하부로 그라우트를 배치하기에 적합한 접근성을 제한한다. 그라우트의 강도는 그라우트의 물/시멘트 비율에 반비례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그라우트의 작동성은 상기 물/시멘트 비율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따라서 그라우트의 이러한 상반된 특징들로 인해 종종 설치상의 오차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만약 그라우트가 고강도를 가지지만 래터럴 사이의 공간 내에 적절하게 배치되기에 너무 강성이라면, 그라우트 내에서 보이드가 형성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그라우트가 래터럴 사이에 적절하게 제공되기에 충분히 “헐겁지만” 너무나 높은 물/시멘트 비율을 가진다면, 상기 그라우트는 필터시스템의 전체 수명에 걸쳐 배치된 래터럴을 보유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못할 것이다. 그라우트가 강도와 작동성의 올바른 조합을 가진다 하더라도, 설치과정에 있어서 설치자의 숙련도가 상당히 중요하며 설치자는 버블이 생기지 못하게 하고 그라우트 내에 보이드를 포함하지 않도록 신중해야 한다. 또한 효율적이기 위하여 앵커들은 적절하게 위치되야 하며 필터플로어 슬래브 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도 3 및 도 4는 래터럴을 필터플로어에 고정하도록 사용되는 또 다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상기 시스템에서, 앵글(16) 또는 그 외의 다른 구조적 부재들은 래터 럴의 최상측 표면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상기 앵글(16)은 전나사(18)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물들을 이용하여 플로어에 연결된다. 상기 시스템이 암거블록들을 필터플로어에 고정하기 위한 단일수단으로서 그라우트에 좌우되지 않는 반면, 다수의 상당한 단점들이 제공된다. 홀드다운시스템의 강도는 부재들의 모듈섹션, 사용된 재료의 강도 및 필터플로어에 연결하는 전나사 사이의 거리에 부분적으로 종속된다. 필요한 강도를 구현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앵글(16) 또는 그 외의 다른 구조적 부재들은 섹션들이 상대적으로 커야 하며 암거시스템의 현저한 가격상승을 야기하는 내부식성 재료들로 제조되어야 한다. 이에 추가하여 앵글(16) 또는 그 외의 다른 구조적 부재들은 하중경로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암거 래터럴(20)들과 완전히 접촉하여야 한다. 상기 요구사항은 대부분의 암거 래터럴(20)들이 상부 표면 상에 불규칙한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완전한 접촉을 허용치 않는 다공성 플레이트 같은 비구조적 유소들을 가지는 문제점을 포함한다. 암거 래터럴 및 앵글(16) 도는 그 외의 다른 구조적 부재들 사이의 임의의 간격들은 홀드다운시스템이 상향력에 저항하기 전에 암거 래터럴의 상부방향 이동을 가능토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황은 이른 암거시스템의 불능상태를 야기할 것이다.
대부분의 종래 기술의 홀드다운시스템은 앵커시스템이 필터플로어 상에 인장하중을 발휘하도록 필터플로어 내로 임베디드된 철근 또는 그 외의 나사산 구조를 가진 로드를 사용한다. 필터플로어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제조되며 이로 인해 압축강도 및 전단강도에 비해 매우 취약한 인장강도를 가진다.
그라우트에 좌우되지 않는 다양한 타입의 기계적 홀드다운시스템들이 제공된 다. 상기 시스템의 대부분은 암거시스템의 이중바닥(false-bottom) 타입에 사용되며 암거시스템의 래터럴 타입에 용이하게 적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적이며 불명확한(unovbious) 암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향력에 매우 우수하게 저항하는 암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의 추가적인 목적은 당업자 또는 재료의 변형에 상대적으로 덜 좌우되는 성능을 가진 암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암거블록들의 최상측 부분에 고정된 홀드다운구조물이 배제된(free from) 암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암거 래터럴들을 필터시스템의 플로어에 고정하기 위하여 그라우트에 본질적으로 좌우되지 않는 암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암거시스템을 위한 홀드다운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상기 암거시스템은 설치 변경사항 및/또는 제품 변형물들을 수용하기에 용이하도록 적합하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의 추가적인 목적은, 암거에 의해 야기된 상향력으로 인해 필터플로어 상에 가해진 힘들은 본질적으로 전단력이 되도록 필터플로어 내에 임베디드된 앵커부재를 포함하는 암거시스템을 위한 홀드다운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어떠한 실시예도 본 발명의 상기 기술된 모든 목적들을 포함할 필요가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대신, 제공된 실시예는 상기 기술된 목적들 중 한 목적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어떤 목적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의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사용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치를 안내한다. 상기 장치는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암거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암거블록은 실질적으로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외부벽들은 윗벽, 바닥벽 및 윗벽과 바닥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한다.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쌍을 이루는 측벽들은 한 용기를 가진다. 상기 용기는 암거블록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홀드다운부재는 암거블록이 상부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암거블록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홀드다운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상기 용기 내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를 안내한다. 상기 장치는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암거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암거블록은 실질적으로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외부벽들은 윗벽, 바닥벽 및 윗벽과 바닥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한다.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쌍을 이 루는 측벽들은 제 1 홀드다운부재를 형성하는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가진다. 상기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는 암거블록의 윗벽과 바닥벽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장치는 암거블록이 상부방향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홀드다운부재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2 홀드다운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치를 안내한다. 상기 장치는 필터시스템의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암거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암거블록은 필터시스템 작동 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진다. 상기 암거블록은 종방향축을 가진다. 상기 장치는 홀드다운조립체와 홀드다운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조립체는 필터시스템의 플로어 내에 임베디드되기에 적합한 앵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부재는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연결한다. 상기 홀드다운부재는 암거블록의 종방향축을 따라 상기 홀드다운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앵커부재에 대해 조절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치를 안내한다. 상기 장치는 필터시스템의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암거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암거블록은 필터시스템 작동 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진다. 상기 장치는 필터시스템의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암거블록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제 2 암거블록은 필터시스템 작동 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진다. 제 1 암거블록은 제 2 암거블록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장치는 홀드다운조립체와 홀드다운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조립체는 필터시스템의 플로어 내에 임베디드되기에 적합한 앵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부재는 제 1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섹션과 제 2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부분을 가진다. 상기 제 1 섹션은 상기 제 2 섹션에 연결된다. 제 1 섹션은 제 2 섹션에 대해 추가적으로 조절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치를 안내한다. 상기 장치는 필터시스템의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암거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암거블록은 필터시스템 작동 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진다. 상기 암거블록은 종방향축을 가진다. 상기 장치는 홀드다운조립체와 홀드다운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조립체는 암거블록에 대해 고정된 앵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부재는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연결한다. 상기 홀드다운부재는 암거블록의 종방향축을 따라 상기 홀드다운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암거블록과 앵커조립체에 대해 조절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치를 안내한다. 상기 장치는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암거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암거블록은 실질적으로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진다. 홀드다운조립체는 암거블록이 상부방향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홀드다운부재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암거블록, 제 1 홀드다 운부재 및 제 2 홀드다운부재에 대해 고정된 앵커를 포함한다. 제 1 홀드다운부재는 한 용기를 가진다. 제 2 홀드다운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상기 용기 내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치를 안내한다. 상기 장치는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암거블록과 필터플로어에 형성된 플룸을 포함한다. 상기 암거블록은 실질적으로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진다. 암거블록은 상기 플룸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상기 장치는 암거블록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홀드다운조립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홀드다운조립체는 상기 암거 상에 가해진 상향력이 상기 필터플로어 상에서 전단력을 발휘하도록 필터플로어 내에 임베디드된 앵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형태는 도 5 내지 도 21에서 기술될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들은 상기 선호적인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 문장이 특정한 의미가 있다고 언급되지 않는 한, 통상적인 의미 외의 다른 의미로 사용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특별한 의미가 있는 용어는 "홀드다운부재(hold-down member)"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홀드다운부재"는 점성상태 또는 반점성상태에서 제공되고 실질적으로 경화된 그라우트(grout) 또는 그 외의 다른 물질로서의 의미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7
도 5, 도 6 및 도 7에서, 물 및/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A)의 한 부분은 다수의 가능한 형상들 중 한 형상으로 도시된다. 필터(A)는 폴리싱 필터 또는 정화기가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필터(A)는 업플로 필터, 다운플로 필터, 바이플로 필터 또는 상기 필터들의 임의의 조합이 될 수 있다(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필터시스템은 다운플로 필터와 조합된 업플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A)는 하우징(B) 및 상기 하우징(B)의 하부영역에 형성된 플룸(Flume, C)을 가진다(도 7 참조).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B)은 콘크리트로 형성된다. 하지만 하우징(B)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필터(A)는 필터(A)의 플로어(E) 상에 배치된 암거시스템(underdrain system, D)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암거시스템(D)은 일반적으로 래터럴(lateral)로 언급되는 열을 이루며 배열된 복수의 암거블록(underdrain block, 22)들을 포함한다. 암거블록(22)은 임의의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암거블록(22)은 지지되는 자갈의 필요 없이 지지필터매체로 사용된 다공성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암거블록(22)은 윗벽(21), 바닥벽(23) 및 쌍을 이루는 측벽(25, 27)을 포함한다. 암거블록(22)은 쌍을 이루며 경사진 내부벽(29, 31)을 포함한다. 암거블록(22)은 블록의 길이를 연장한 중공캐비티(hollow cavity)를 가지며, 필터의 다양한 상태 작동 시 유체는 블록을 통한다. 윗벽(21)은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유체 를 암거블록(22) 내로 및 밖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암거블록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 암거블록(22)은 TRILATERAL® 암거 또는 INFINITY® 암거와 유사한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전적으로 참고문헌으로 구성된 미국특허 제 6,325,931호, 미국특허 제 6,740,237호, 미국특허 제 6,569,327호 및 미국특허 제 6,989,096호는 INFINITY® 암거의 변형물들을 나타낸다. 암거블록의 구조는 상기 기술한 임의의 암거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신, 암거블록의 구조는 원하는 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암거시스템에서 주어진 열 또는 래터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암거블록(22)을 포함할 수 있다. 암거시스템의 열 또는 래터럴에서 암거블록(22)의 숫자는 필터의 사이즈와 암거블록(22)의 사이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좌우된다. 암거블록(22)은 사이즈에 대해 넓게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블록은 길이에 있어서 4 피트 또는 그보다 작을 수 있으며 30 피트를 초과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암거블록(22)은 그라우트(24)의 바닥 상에 위치된다. 그라우트베드(grout bed, 24)는 2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로 상기 그라우트베드는 암거블록(22)을 편평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두 번째로 플룸(C)에 대해 실(seal)을 형성한다. 상기 실은 플룸(C)을 격리시켜 오직 플룸(C)에 인접한 암거블록의 부분들에 상향력(uplift force)이 가해지며, 상기 상향력은 암거블록(22)을 통해 플룸(C)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체에 의해 야기된다. 그라우트스트립(33)은 플룸(C)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플룸(C) 상에 그라우트를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한 홀드다운조립체(hold-down assembly, F)는 암거블록이 상부방향으로 상승하는 것과 필터플로어(E)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호되는 실시예의 홀드다운조립체(F)의 어떠한 부분도 암거블록(22)의 최상측 표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홀드다운조립체(F)는 래터럴 사이의 필터플로어에서 임베디드된 복수의 앵커(2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앵커(26)들은 앵커의 전체부분에 걸쳐 나사산구조로 형성된 전나사들이다(all-threads threaded). 하지만 임의의 적합한 앵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홀드다운조립체(F)는 각각의 앵커(26) 상에 장착된 홀드다운클립(hold-down clip, 28)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드다운클립은 암거블록(22)의 러그(lug, 34) 내에 형성된 캐비티(32) 내로 연장되는 복수의 핀(30)들을 포함하며, 상기 러그는 암거블록(22)과 이에 일치하는 홀드다운클립(28) 사이에서 인터로킹연결을 제공한다. 상기 인터로킹연결에 반대로, 홀드다운클립(28)은 캐비티(32) 내로 연장되기보다는 단지 이에 일치하는 러그(34)들에 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러그 또는 리브(34)는 암거블록(22)의 측벽들과 한 피스로 형성된다. 하지만 러그 또는 리브(34)가 암거블록(22)으로부터 분리된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는 사실도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러그 또는 리브(34)는 윗벽(21)과 바닥벽(23) 사이의 대략 중간지점에서 배치된다. 하지만 러그 또는 리브(34)의 위치는 원하는 대로 가변적이 될 수 있다. 너트(36)와 와셔(washer, 38)는 이에 일치하는 암거블록(22)에 홀드다운클립(28)을 고정시키며, 상기 홀드다운클립은 필터플로어(E)에 직접적으로 구조적인 결합을 제공한다.
홀드다운클립(28)은 각각의 측부 상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핀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일의 홀드다운클립(22)은 이에 인접한 암거블록(22)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러그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다수의 가능한 형상 중 한 형상을 도시한다. 상기 형상에서, 홀드다운클립(28) 최좌측의 쌍을 이루는 핀 중 한 쌍의 핀(30)은 한 암거블록(22)의 한 러그(34) 내에 수용되고, 반면 상기 홀드다운클립(28) 최좌측의 쌍을 이루는 핀들 중 제 2 핀은 인접한 암거블록(22)의 러그 내에 수용된다. 추가적으로, 홀드다운클립(28)의 최우측의 4쌍의 핀(30)들 중 2쌍의 핀은 암거블록(22)의 2개의 러그 내에 수용되며, 반면 4쌍의 핀(30)들 중 2쌍의 핀은 인접한 암거블록(22)의 2개의 러그 내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 핀(30)들은 홀드다운클립(28)의 4개 코너에서 각각 배치될 때, 상기 핀(30)들의 수와 위치는 원하는 대로 가변될 수 있다.
그라우트(40)는 홀드다운조립체(F)를 전적으로 커버하기 위하여 래터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라우트(40)는 홀드다운이 아니라 단지 필터의 부식요소로부터 홀드다운조립체(F)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도록 작용된다. 이로 인해 홀드다운조립체(F)의 구성요소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재료들로 만들어진다. 추가적으로, 철근(rebar, 42)은 추가적인 강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플룸(C)의 반대편 측부 상에 앵커들을 상호연결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철근(42)이 사용되는 위치에서, 그라우트(40)는 또한 암거블록(22)의 상승을 방지하고 상기 암거블록(22)의 굽힘응력을 제한하도록 작용할 것이다.
도 8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서 기술된 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따라서 오직 차이점들이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동종의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진다. 따라서 미국특허 제 6,740,237호에 공개된 타입의 암거블록은 상세히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다공성 플레이트(46)는 미국특허 제 6,740,237호에 공개된 방식으로 암거블록(44)에 슬라이드되며 연결된다. 그라우트 이외의 다른 필터재료(48)는 래터럴 사이에서 보이드(void)를 채우도록 사용되며 실(seal)을 제공한다. 상기 필터재료는 플라스틱 압출재료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그 외의 적합한 재료와 같은 압축성재료가 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홀드다운조립체는 도 5 내지 도 7에 공개된 실시예의 홀드다운조립체와 동일하다.
도 9 내지 도 18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선호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암거블록(22)은 도 5 내지 도 7에서 공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홀드다운조립체(G)는 암거블록(22)이 상부방향으로 상승되고 필터플로어(H)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른 어떠한 홀드다운조립체(G)의 한 부분도 암거블록(22)의 최상측 표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홀드다운조립체(G)는 또한 래터럴 사이의 필터플로어(H) 내에 임베디드된 복수의 앵커(5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앵커(52)들은 앵커의 전체부분에 걸쳐 나사산구조로 형성된 전나사들이다. 하지만 임의의 적합한 앵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홀드다운조립체(G)는 플룸(I)의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된 앵커(52)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연결되는 교차부재(54)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차부재(54)의 각각의 단부는 이에 일치하는 앵커(52)를 수용하기 위하여 개구부(56)를 포함한다. 교차부재(54)는 상기 교차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홀드다운클립(60)을 가지며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58)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드다운클립(60)은 바람직하게 내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62)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레일(58)을 수용하고 상기 레일(58)을 따라 홀드다운클립(60)을 슬라이딩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암거블록(22)의 종방향축을 따르는 홀드다운클립(60)의 위치는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어 제공된 클립은 제공된 러그, 리브 또는 그 외의 일치하는 블록의 부분에 정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플랜지(62)는 홀드다운클립(60)과 레일(58) 사이에서 몇몇의 상대적인 수직운동 및 횡방향운동으로 인해 암거 래터럴 사이의 공간에 변형을 상쇄시키도록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홀드다운클립(60)은 암거블록(22)의 일치하는 러그의 캐비티 내에 수용되는 2개의 핀(64)을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클립 상의 핀 숫자는 원하는 대로 가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홀드다운클립(60)과 이에 일치하는 러그 또는 암거블록(22)의 그 외의 다른 부분들을 상호연결하는 정확한 방식은 원하는 대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러그를 통해 전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는 홀드다운클립(6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핀들을 수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인터로킹 연결 대신, 홀드다운클립(60)은 단지 러그 내에 형성된 캐비티같은 개구부 내로 연장되기 보다는 상기 홀드다운클립에 일치하는 러그에 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교차부재(54)는 상향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그라우트와 함께 작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그라우트 없이 교차부재 자체만으로 적용 가능한 상향력에 저항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9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선호적인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종래 기술의 필터시스템은 앵커가 암거시스템에서 암거블록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필터플로어 내에 임베디드된 앵커부재를 포함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나사(66)는 수평적으로 배향되어 필터플로어(J) 내에 임베디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나사(66)와 상기 필터플로어(J)는 전단 상태로(in shear) 배열된다. 전나사(66)를 암거블록(72)에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가능한 형상들 중 한 형상은 앵글(angle, 68), 전나사(70), 너트 및 와셔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앵글(68)은 전나사(68)를 암거블록(72)을 관통하여 이에 일치하는 전나사(70)에 연결한다. 너트와 와셔는 전나사(66)를 일치하는 앵글(68)에 고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너트와 와셔는 전나사(70)를 암거블록(72)에 고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개스킷(74)은 플룸(K)을 밀봉하기 위하여 그라우트에 반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
도 21 및 도 22에서, 대안의 홀드다운클립(76)이 공개된다. 홀드다운클립(76)은 제 1 섹션(78)과 바디(82)에 피벗연결된 제 2 섹션(80)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섹션(78, 80)들이 래터럴 사이의 공간에서 변형물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서로 이동되도록 허용한다. 각각의 섹션(78, 80)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립(lip, 84)을 포함할 수 있다. 립(84)들은 암거블록의 일치하는 부분에서 개구부 내로 연장되는 핀(30)들과 유사한 핀들로 제공될 수 있다. 섹션(78, 80)들이 수평 평면 내에서 서로 이동될 때, 상기 섹션들의 배향은 수직 평면 내에서도 이동을 허용하도록 가변적일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이 선호적인 디자인으로 기술되어 왔지만, 상기 선호적인 디자인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사상에 따르고,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 기술의 공지된 및 통상적인 실시예 내에서 본 발명의 범위를 포함하지만 제한되지 않도록 적합하게 되고 추가적으로 개조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청구항들은 선호되는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청구항의 구분되는 사상들로 인해 좁은 범위의 구성성분을 배제하도록 기술되어 왔다.

Claims (31)

  1.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암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암거블록은 중공 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외부벽들은 윗벽, 바닥벽 및 상기 윗벽과 바닥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쌍의 측벽들은 한 용기를 가지며, 상기 용기는 상기 암거블록의 외부표면상에 배치되고 및
    -상기 암거블록이 상부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암거블록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홀드다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상기 용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암거블록의 일치하는 측벽과 한 피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암거블록의 상기 윗벽의 하부와 상기 암거블록의 상기 바닥벽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측벽들은 각각 상기 암거블록의 외부표면 상 에 형성된 복수의 용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의 홀드다운부재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드다운부재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용기들 내에 연결되는 한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필터베드의 한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암거블록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암거블록은 중공 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외부벽들은 윗벽, 바닥벽 및 상기 윗벽과 바닥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쌍의 측벽들은 한 용기를 가지며, 상기 용기는 상기 제 2 암거블록의 외부표면 상에 배치되고 및
    -상기 제 2 암거블록의 상기 용기를 연결하는 제 2 부분을 가진 상기 홀드다운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충전재료로 삽입(encas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그라우트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거블록에 연결된 다공성 플레이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는 필터베드의 매체가 상기 암거블록의 상기 윗벽에 형성된 개구부 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암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암거블록은 중공 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외부벽들은 윗벽, 바닥벽 및 상기 윗벽과 바닥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쌍의 측벽들은 제 1 홀드다운부재를 형성하고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는 상기 암거블록의 상기 윗벽과 상기 바닥벽 사이에 배치되고 및
    -상기 암거블록이 상부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홀드다운부재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2 홀드다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암거블록에 대해 고정된 앵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및
    -상기 앵커 상에 장착된 상기 제 2 홀드다운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드다운부재는 용기이며, 상기 제 2 홀드다운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암거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다공성 플레이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는 필터베드의 매체가 상기 암거블록의 상기 윗벽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필터시스템의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는 암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암거블록은 필터시스템의 작동 동안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지고, 상기 암거블록은 종방향축을 가지며,
    -필터시스템의 플로어에서 임베디드되기에 적합한 앵커부재를 가진 홀드다운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홀드다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부재는 상기 암거블록의 상기 종방향축을 따라 상기 홀드다운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앵커부재에 대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재는 제 1 핀과 제 2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핀은 상기 제 2 핀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에 대해 조절가능한 복수의 홀드다운부재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드다운부재들은 각각 상기 앵커부재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제 1 암거블록과 하나 이상의 제 2 암거블록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및
    -상기 제 1 암거블록들과 제 2 암거블록들 사이에서 배치된 상기 앵커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 상에 조절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홀드다운부재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홀드다운부재는 상기 제 1 암거블록을 연결하고 그 외의 다른 하나 이상의 복수의 홀드다운부재는 상기 제 2 암거블록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하나 이상의 제 1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홀드다운부재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토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필터시스템의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암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암거블록은 필터시스템의 작동 동안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지며,
    -필터시스템의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암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암거블록은 필터시스템의 작동 동안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지고, 상기 제 1 암거블록은 상기 제 2 암거블록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및
    -필터시스템의 플로어에 임베디드되기에 적합한 앵커부재를 포함하는 홀드다운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섹션 및 상기 제 2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섹션을 가지는 홀드다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섹션은 상기 제 2 섹션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섹션은 상기 제 2 섹션에 대해 추가적으로 조절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필터시스템의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암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암거블록은 필터시스템의 작동 동안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들을 가지며, 상기 암거블록은 종방향축을 가지고,
    -상기 암거블록에 대해 고정된 앵커부재를 가지는 홀드다운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암거블록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홀드다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부재는 상기 암거블록의 상기 종방향축을 따라 상기 홀드다운부재의 한 부분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암거블록과 상기 앵커부재에 대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암거블록에 대해 고정된 앵커를 가지는 홀드다운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암거블록은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을 가지며 및
    -상기 암거블록에 대해 고정된 앵커를 가지는 홀드다운조립체를 포함하고, 제 1 홀드다운부재와 제 2 홀드다운부재는 상기 암거블록이 상부방향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홀드다운부재를 작동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제 1 홀드다운부재는 한 용기를 가지고, 상기 제 2 홀드다운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 분은 상기 용기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벽들은 윗벽, 바닥벽 및 상기 윗벽과 상기 바닥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암거블록의 상기 윗벽과 상기 바닥벽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물 또는 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필터플로어에 형성된 플룸을 포함하고,
    -필터베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암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암거블록은 중공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벽을 가지고, 상기 암거블록은 상기 플룸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및
    -상기 암거블록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홀드다운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조립체는 상기 암거블록 상에 가해진 상향력이 상기 필터플로어 상에서 전단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플룸에 인접한 상기 필터플로어에서 임베디드된 앵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암거블록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조립체는 한 앵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앵글은 상기 앵커에 의해 상기 플룸의 한 벽에 고정되며 및
    -홀드다운부재는 상기 암거블록과 상기 앵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암거블록 상에 가해진 상향력들을 격리하기 위한 한 실링부재(sealing member)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및
    -상기 상향력은 상기 암거볼록을 통해 상기 플룸으로부터 상기 플룸에 인접한 상기 암거블록의 한 부분으로 안내된 유체에 의해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개스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홀드다운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암거블록에 대한 상기 홀드다운부재의 위치는 원하는 대로 가변될 수 있으며 및
    -그라우트는 상기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0034491A 2006-04-10 2007-04-09 개선된 암거시스템 KR200701011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00,330 US7820043B2 (en) 2006-04-10 2006-04-10 Underdrain system
US11/400,330 2006-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133A true KR20070101133A (ko) 2007-10-16

Family

ID=3823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491A KR20070101133A (ko) 2006-04-10 2007-04-09 개선된 암거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7820043B2 (ko)
EP (1) EP1844832A3 (ko)
KR (1) KR20070101133A (ko)
AU (1) AU2007201524A1 (ko)
BR (1) BRPI0701816A (ko)
CA (1) CA2583946A1 (ko)
IL (1) IL182433A0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392A (ko) * 2013-03-05 2015-11-11 자일럼 워터 솔루션즈 젤리노플 엘엘씨 힘의 전달 및 흐름의 지시를 위한 하부집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0043B2 (en) * 2006-04-10 2010-10-26 Rg Delaware Inc. Underdrain system
EP2041367A4 (en) * 2006-07-13 2016-08-24 Itt Water & Wastewater Leopold Inc ADJUSTABLE ANCHOR BOLT
CN202777959U (zh) * 2009-06-12 2013-03-13 赛维特伦特水净化有限公司 排水装置
US10112128B2 (en) 2010-01-18 2018-10-30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Apparatus for securing underdrain filter block
TWI533913B (zh) * 2010-01-18 2016-05-21 季利恩歐柏木質部水對策有限責任公司 固定暗渠濾磚之設備及方法
US8313368B2 (en) 2010-02-19 2012-11-20 Igt Gaming systems, gaming devices and methods with non-competitive play and optional competitive play
US9199186B2 (en) * 2010-09-21 2015-12-01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Underdrain flume plate
US8491787B2 (en) * 2011-06-09 2013-07-23 Johnson Screens, Inc. Leveling hold-down mechanism for lateral screens
US8871093B2 (en) 2012-01-12 2014-10-28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Filter media retainer assembly
CA2901279C (en) 2013-02-15 2021-11-09 Fabrice Jean Alphonse COURAGEOT Underdrain assembly
US9320991B2 (en) * 2013-05-29 2016-04-26 Meurer Research Inc. Underdrain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5089398A1 (en) * 2013-12-12 2015-06-18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Grout support installation method for filter underdrain system
US10478757B2 (en) 2016-04-15 2019-11-19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Grout bridge for filter underdrain blocks
CN106582117B (zh) * 2016-12-19 2018-12-11 深圳惠养车科技有限公司 一种滤清器吹尘箱
US10881990B2 (en) 2017-05-17 2021-01-05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Filter media retainer and underdrain system having a filter media retainer
US11389807B2 (en) 2020-01-21 2022-07-19 Capillary Concrete, Llc Golf bunker filtr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WO2024081196A1 (en) * 2022-10-10 2024-04-18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Method and system for anchoring an underdrai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9226A (en) * 1919-11-18 1920-05-04 Karl R Schuster Structural bar
US2378239A (en) * 1942-12-05 1945-06-12 Leopold Co Inc F B Filter bottom
US3110667A (en) * 1959-10-16 1963-11-12 Leopold Co Inc F B Filter bottom
US3762559A (en) * 1972-07-17 1973-10-02 Rostone Corp Filter bottom and molded module therefor
US4133766A (en) 1977-03-11 1979-01-09 Koppers Company, Inc. Filter media support and containment system
US4438607A (en) * 1982-03-29 1984-03-27 A. O. Smith Harvestore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eveling a storage structure
US5019259A (en) * 1989-06-15 1991-05-28 Hambley John B Filter underdrain apparatus with partitioned distributor conduits
US5332497A (en) * 1991-10-25 1994-07-26 Baker Hughes Incorporated Nozzleless underdrain for granular filtration system
US5318376A (en) 1992-12-07 1994-06-07 Prescott Sr Everett J Manhole frame
US5489388A (en) * 1994-04-12 1996-02-06 The F. B. Leopold 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gas backwash in lateral underdrains
US5618426A (en) 1995-06-15 1997-04-08 Wheelabrator Water Technologies Inc. Lateral member assembly for underdrain lateral system
US5976370A (en) 1997-07-07 1999-11-02 Westech Engineering, Inc. Underdrain structure for media filters
US6740237B1 (en) * 1997-09-22 2004-05-25 Rg Delaware, Inc. Low profile extruded underdrain
US6048132A (en) 1998-07-27 2000-04-11 Agency Environmental, Inc. Filter underdrain with prefabricated cells
US7138056B2 (en) 1999-04-30 2006-11-21 Hambley David M Filter underdrain system for backwash flow and method for measuring same
KR100337625B1 (ko) 2000-01-10 2002-05-24 김영윤 하부집수장치용 유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US6569327B2 (en) 2001-01-23 2003-05-27 Rg Delaware, Inc. Apparatus for directing fluids through a filter system
US7820043B2 (en) 2006-04-10 2010-10-26 Rg Delaware Inc. Underdrain system
EP2041367A4 (en) * 2006-07-13 2016-08-24 Itt Water & Wastewater Leopold Inc ADJUSTABLE ANCHOR BOL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392A (ko) * 2013-03-05 2015-11-11 자일럼 워터 솔루션즈 젤리노플 엘엘씨 힘의 전달 및 흐름의 지시를 위한 하부집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01816A (pt) 2007-12-11
US8052870B2 (en) 2011-11-08
AU2007201524A1 (en) 2007-10-25
US20080000825A1 (en) 2008-01-03
US8409437B2 (en) 2013-04-02
CA2583946A1 (en) 2007-10-10
US7820043B2 (en) 2010-10-26
EP1844832A2 (en) 2007-10-17
EP1844832A3 (en) 2008-02-27
US20120048793A1 (en) 2012-03-01
US20070235382A1 (en) 2007-10-11
IL182433A0 (en)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1133A (ko) 개선된 암거시스템
US4923606A (en) Plastic-jacketed filter underdrain block
US11020688B2 (en) Enclosed media fluid filtration device
US3615019A (en) Underdrain system for water filtration plant
KR101740257B1 (ko) 정수 장치
US20130306542A1 (en) Underdrain for a filter system for filtering water or wastewater and a method of washing the filter system
CN107299592B (zh) 用于过滤器暗渠排水块的灌浆桥
US9987569B2 (en) Underdrain for a filter system for filtering water or wastewater and a method of washing a filter system
KR100743594B1 (ko)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253489B1 (ko) 이피이 여재를 이용한 상향류식 생물여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물여과 처리방법
KR20030079204A (ko) 여과지의 일체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방법 및 그 하부집수장치
KR950003932Y1 (ko) 중력식 급속 여과지의 블록
EP0509988A4 (en) Plastic-jacketed filter underdrain block
EA000911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снования фильтр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
US67336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a traveling bridge filter underdrain
KR100737840B1 (ko) 복합 일체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방법 및 그 하부집수장치
KR100575848B1 (ko) 하부집수장치용 유공블럭 지지장치 및 유공블럭 시공방법
RU2805688C1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ое покрытие дренажной системы для фильтров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и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0342792Y1 (ko) 여과지의 맨홀이 구비된 하부집수장치
KR102245809B1 (ko)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CN221027922U (zh) 一种生物滤池
US20030230525A1 (en) Automatic backwash filter system
KR200421123Y1 (ko) 복합 일체형 하부집수장치
US10960326B2 (en) Underdrain for a filter system for filtering water or wastewater and a method of washing a filter system
KR100560812B1 (ko) 자기정화 기능을 갖는 여과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