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809B1 -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 Google Patents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809B1
KR102245809B1 KR1020190062587A KR20190062587A KR102245809B1 KR 102245809 B1 KR102245809 B1 KR 102245809B1 KR 1020190062587 A KR1020190062587 A KR 1020190062587A KR 20190062587 A KR20190062587 A KR 20190062587A KR 102245809 B1 KR102245809 B1 KR 102245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water treatment
corner block
corn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696A (ko
Inventor
현계강
서정학
최원화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2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809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수처리조 코너 블록은 수처리조와 별도로 사전 제작되어 상기 수처리조의 코너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처리조의 코너부에 설치될 경우 상기 수처리조의 코너부에 침전물이 쌓이지 않도록 구성된 경사부 및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Water treatment tank corner block, water treatment tank corner module including the corner block and water treatment tank including the corner block module}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처리조와 별도로 사전 제작되어 수처리조의 코너부에 설치되는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폐수처리조는 폐수 정화용 약품이 투여되고, 이 약품과 폐수를 교반시키기 위한 임펠라를 구비한다. 이때, 폐수처리조의 각 모서리 부분은 상기 임펠라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각 모서리에 슬러지가 쌓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각 모서리 부분은 흔히 데드존으로 지칭되고 있으며, 이 데드존을 없애 슬러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폐수처리조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645498호에 개시된 “침전물 적체 방지 기능을 갖는 수처리조”(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 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 1은 폐수처리조 구조물 및 적체 침전물 제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폐수처리조 구조물은 플록(flock)이나 슬러지 등의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적체 침전물 제거수단은 상기 폐수처리조 구조물의 내측으로 침전물의 적체가 용이한 부분에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과공들을 구비하는 유공 플레이트로 설치되면서 상기 통과공들을 통과한 물의 유동을 다변화시켜 적체 침전물을 확산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1은 각 모서리에 적제 침전물 제거수단을 설치하고, 유체의 와류 현상에 의해 모서리에 쌓이는 슬러지 등의 적제 침전물을 제거하는 기술로서, 단순히 와류에 의해서 침전물을 제거하는 방식은 침전물의 고착 상태에 따라 제거의 한계가 있다.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845195호의 “연속 회분식 생물반응조를 이용한 도축폐수의 처리방법”(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 2는 호기성 발효 또는 혐기성 발효에 의해 도축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도축폐수에 알칼리제를 투여하여 도축폐수를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연속 회분식 생물반응조를 이용하여 상기 가수분해된 도축폐수 내의 유기물을 유기산으로 전환시켜, 지질의 양 및 독성을 저감시키는 산발효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종래기술 2는 도축폐수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켜 도축 업체의 처리부담을 해소하고, 수질환경 개선에 이바지하는 기술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08699호의 “폐수처리설비 오일분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한다)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 3은 부유물 제거부 및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물 제거부는 오일분리조의 내측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각 단면 형태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끼워져 슬라이딩되고 수면에 부유되도록 내부에 중공부를 이루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 측면에 연결되어 수평 설치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에 고정설치되고 측면으로 눕혀져 수면의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오일분리조의 수면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 포집 호퍼, 수면에 반쯤 잠겨 있는 거름망을 상기 포집 호퍼 위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격수단 및 상기 거름망을 회동시켜 포집 호퍼에 포집된 이물질을 털어내고 다시 원위치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제거된 부유물을 오일분리조 외부로 배출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2 및 3은 분리조 또는 수처리조 하단부에 경사를 두어 슬러지 등을 가운데로 응집시켜 모서리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최초 처리조를 제조함에 있어 원통형으로 제조하고, 하단부는 경사지게 제조하여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며, 바닥면에 세워지기 위해 별도의 고정장치가 더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의 폐수처리조는 이 데드존을 없애기 위하여, 처리조를 건설한 후 코너의 라운드부에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평면의 거푸집을 사용하여 형성된 각진 부위를 라운드 형태로 면처리한 후 방수 코팅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 2 및 3은 한 번의 토목공사로 진행되지 않고, 처리조 내에서 임펠라 회전에 따른 부유물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코너의 라운드를 만들기 위해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반복하여 폐수처리조를 건설하는 방식이고, 추후 방수 코팅한 코너부의 코팅이 떨어지거나 마모되면 임펠라 회전에 의한 침식 작용과 콘크리트의 탄산화로 인해 처리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수처리조와 별도로 사전 제작되어 수처리조의 코너부에 설치되는 수처리조 코너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수처리조 코너 블록을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수처리조 코너 모듈을 포함하는 수처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처리조와 별도로 사전 제작되어 상기 수처리조의 코너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처리조의 코너부에 설치될 경우 상기 수처리조의 코너부에 침전물이 쌓이지 않도록 구성된 경사부 및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수처리조의 중심에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낮고 먼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처리조 코너 블록은 적어도 일부분이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처리조 코너 블록은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된 제1 외벽부;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제1 외벽부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된 제2 외벽부; 상기 바닥부, 상기 제1 외벽부 및 상기 제2 외벽부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된 경사부; 상기 제1 외벽부, 상기 제2 외벽부 및 상기 경사부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된 상벽부; 및 상기 바닥부, 상기 제1 외벽부, 상기 제2 외벽부,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상벽부로 둘러싸인 내부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횡방향으로 오목하게 휘어진(concave curved) 곡면 경사부일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이를 관통하도록 구성된 작업구 및 상기 작업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내부공간부에 배치된 보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유닛은 수평바 및 수직바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는 일단부가 상기 경사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바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바는 일단부가 상기 경사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평바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바 및 상기 수직바는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경사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벽부는 이를 관통하도록 구성된 유체 주입구 및 상기 유체 주입구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된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외벽부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수처리조 코너 블록; 및
상기 수처리조 코너 블록과 거울 대칭 구조를 갖는 상대 수처리조 코너 블록을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수처리조 코너 블록 및 상기 상대 수처리조 코너 블록은 각각의 제2 외벽부에 배치된 2개의 상부 플랜지들이 서로 인접되게 마주 보도록 배치된 후 상기 상부 플랜지들에 제1 고정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수처리조 코너 모듈을 포함하는 수처리조를 제공한다.
상기 수처리조 코너 모듈은 이에 포함된 제1 외벽부와 상기 수처리조의 벽면에 앙카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수처리조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처리조 코너 모듈은 이에 포함된 각각의 수처리조 코너 블록의 바닥부에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하부 플랜지와 상기 수처리조의 바닥면에 제2 고정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수처리조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블록은 사전 제작된 것이어서 콘크리트 타설의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대신함에 따라 제조공정의 편의성이 높고, FRP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강도 및 내부식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처리조 코너 블록은 조립의 편의성 및 작업의 편의성이 높고, 내부공간부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어서 수처리조 내에 설치된 후 부력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수처리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수처리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수처리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수처리조 코너 블록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수처리조 코너 모듈과 수처리조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블록의 경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블록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처리조 코너 블록이 수처리조와 별도로 사전 제작된다"는 것은 현장 시공에 따라 수처리조 내부에 제작 및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수처리조와는 별개로 공장에서 제조된 후 수처리조 내에 설치되는 수처리조 코너 블록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수처리 코너 모듈"이란 수처리조 코너 블록 및 이와 거울 대칭 구조(mirror symmetric structure)를 갖는 상대 수처리조 코너 블록으로 이루어진 코너 블록들의 집합체를 의미하되, 서로 면접되게 배치된 한쌍의 수처리조 코너 블록 및 상대 수처리조 코너 블록을 의미하거나, 또는 한쌍씩 서로 면접되게 배치된 두쌍 이상의 수처리조 코너 블록 및 상대 수처리조 코너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거울 대칭 구조"란 대비되는 두 물체가 실상과 거울상의 관계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수처리조(1)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모듈(A)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수처리조(1)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모듈(A)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수처리조(1)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모듈(A)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수처리조 코너 블록(A1)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서 수처리조 코너 모듈(A)과 수처리조(1)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블록(A1)의 경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모듈(A)은 제2 외벽부(30)끼리 서로 면접되도록 배치된 수처리조 코너 블록(A1) 및 상대 수처리조 코너 블록(A2)를 포함한다.
수처리조 코너 블록(A1)과 상대 수처리조 코너 블록(A2)은 거울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수처리조 코너 블록(A1)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동일한 설명이 상대 수처리조 코너 블록(A2)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수처리조 코너 블록(A1)은 수처리조(1)와 별도로 사전 제작되어 수처리조(1)의 코너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처리조 코너 블록을 현장 제작할 경우 발생하는, 콘크리트 타설의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회피할 수 있어서 제조공정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수처리조 코너 블록(A1)은 수처리조(1)의 코너부에 설치될 경우 수처리조(1)의 코너부에 침전물(또는 슬러지)이 쌓이지 않도록 구성된 경사부(40) 및 유체(예를 들어, 물)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부(60)를 포함한다.
수처리조(1)에는 임펠라(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임펠라가 회전함으로써 수처리조(1) 내 처리수 중의 고형물질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수처리조(1)의 각 모서리 부분은 상기 임펠라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아 침전물이 쌓이게 되는데, 수처리조 코너 블록(A1), 특히 경사부(40)는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경사부(40)는 수처리조(1)의 중심에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낮고 먼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처리조 코너 블록(A1)은 적어도 일부분이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1 외벽부(20), 제2 외벽부(30), 경사부(40) 및 상벽부(50)는 모두 FRP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FRP는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내식, 내열 및 내부식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수처리조 코너 블록(A1)은 강도가 높고 부식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높아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처리조 코너 블록(A1)은 바닥부(10), 제1 외벽부(20), 제2 외벽부(30), 경사부(40), 상벽부(50) 및 내부공간부(6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0)는 수처리조(1)의 바닥면(B)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0)는 한 변이 곡선형인 유사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닥부(10)는 FRP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부(10)는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제작된 후 그 외면에 FRP가 적층된 것일 수도 있다.
제1 외벽부(20)는 수처리조(1)의 코너부의 벽면(W)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1 외벽부(20)는 바닥부(10)에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벽부(20)와 바닥부(10) 간의 사잇각은 90°일 수 있다. 또한, 제1 외벽부(20)와 바닥부(10)는 제1 모서리(11)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제2 외벽부(30)는 바닥부(10) 및 제1 외벽부(20)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벽부(30)와 바닥부(10) 간의 사잇각은 90°일 수 있다. 또한, 제1 외벽부(20)와 제2 외벽부(30)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외벽부(30)와 바닥부(10)는 제2 모서리(12)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제1 모서리(11)와 제2 모서리(12) 간의 사잇각은 45°일 수 있다.
경사부(40)는 바닥부(10), 제1 외벽부(20) 및 제2 외벽부(30)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부(40)의 일단부는 제1 외벽부(20)의 일단부와 접하고, 경사부(40)의 타단부는 제2 외벽부(30)의 일단부와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40)와 바닥부(10)는 곡선형의 제3 모서리(13)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상벽부(50)는 제1 외벽부(20), 제2 외벽부(20) 및 경사부(40)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내부공간부(60)는 바닥부(10), 제1 외벽부(20), 제2 외벽부(30), 경사부(40) 및 상벽부(50)로 둘러싸여 유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사부(40)는 횡방향으로 오목하게 휘어진(concave curved) 곡면 경사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부(40)를 곡면 경사부로 구성함으로써 임펠라의 영향을 받지 않는 수처리조(1)의 코너부 영역을 최소화하여 침전물의 적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40)는 이를 관통하도록 구성된 작업구(45) 및 이 작업구(45)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구(45)는 작업자가 내부공간부(60)로 들어가서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된 홀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내부공간부(60)에 들어가 앙카볼트(21)를 이용하여 수처리조 코너 블록(A1)을 수처리조(1)의 벽면(W)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구(45)가 폐쇄되도록 상기 도어를 닫는 경우에는 작업구(45)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테두리 부분에 별도의 실링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40)는 상기 도어 대신에 작업구 덮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경사부(40)는 내부공간부(60)에 배치된 보강유닛(41)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유닛(41)은 경사부(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경사부(4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유닛(41)은 경사부(40)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FRP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보강유닛(41)은 수평바(42) 및 수직바(4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유닛(41)은 수평바(42)의 일단부가 경사부(4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수직바(43)에 결합되며, 수직바(43)의 일단부가 경사부(4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수평바(42)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바(42) 및 수직바(43)는 접착부재(44)에 의해 경사부(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44)는 FRP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 조성물 또는 페이스트 형태의 FRP를 사용하여 수평바(42)와 수직바(43)를 경사부(40)에 각각 부착시키면, 시간 경과에 따른 자연 건조 또는 인위적인 건조 공정에 따라 액상 조성물 또는 페이스트 형태의 FRP가 경화됨으로써 FRP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벽부(50)는 이를 관통하도록 구성된 유체 주입구(51) 및 이 유체 주입구(51)를 덮도록 구성된 캡(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주입구(51)는 상벽부(50)를 관통하여 내부공간부(60)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 주입구(51)로는 액체, 특히 물이 주입될 수 있다.
수처리조 코너 블록(A1)이 수처리조(1) 내에 설치되는 경우, 유체 주입구(51)를 통해 내부공간부(60)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수처리조(1) 내에 채워진 유체의 부력에 의해 수처리조 코너 블록(A1)이 위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처리조 코너 블록(A1)이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외벽부(30)는 상부 플랜지(3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처리조 코너 블록(A1) 및 상대 수처리조 코너 블록(A2)은 각각의 제2 외벽부(30)에 배치된 2개의 상부 플랜지들(31)이 서로 인접되게 마주 보도록 배치된 후 상부 플랜지들(31)에 복수개의 제1 고정볼트(33)를 체결함으로써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처리조 코너 블록(A1) 및 상대 수처리조 코너 블록(A2)은 각각의 제2 외벽부(30)끼리 서로 면접되게 배치된 후, 각각의 제2 외벽부(30)에 설치된 상부 플랜지들(31)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처리조 코너 블록(A1, A2)은 각각 유사 삼각뿔대의 형상을 가지며, 수처리조(1)의 각 코너에 제2 외벽부(30)끼리 서로 면접되도록 설치되어 데드존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수처리조 코너 블록(A1)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1) 먼저, 제조하고자 하는 수처리조 코너 블록(A1)과 동일한 크기의 목형을 만든다.
(2) 이후, 상기 목형의 외부를 FRP로 감싼 후, 각종 철재와 FRP판으로 보강하여 틀을 만든다.
(3) 이후, FRP와 목형을 분리하여 FRP 몰드를 제작한다. 이때, 제작된 FRP 몰드는 하부, 즉 바닥부(10)가 제외된 3면 몰드로 형성된다.
(4) 이후, FRP 몰드에 이형 처리를 한 후, 강도에 맞는 두께까지 FRP를 적층한다.
(5) 이후, 강도에 맞는 두께까지 적층된 FRP 제품으로부터 FRP 몰드를 분리한다.
(6) 이후, 미리 제작된 바닥부(10)를 깔고, 상기 FRP 제품을 부착하여 안쪽과 바깥쪽을 FRP로 적층하여 하나의 블록을 형성한다.
(7) 최종적으로, 외면에 액세서리를 성형한다.
상기 제조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모듈(A)이 제작되고, 이렇게 제작된 수처리조 코너 모듈(A)이 수처리조(1)의 코너부에 설치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수처리조 코너 모듈(A)을 포함하는 수처리조(1)를 제공한다.
수처리조(1)는 폐수처리조 또는 침전조일 수 있다.
도 5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처리조 코너 모듈(A)은 이에 포함된 제1 외벽부(20)와 수처리조(1)의 벽면(W)에 앙카볼트(21)를 체결함으로써 수처리조(1)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작업자는 경사부(40)에 형성된 작업구(45)를 통해 내부공간부(60)로 들어가 앙카볼트(21)의 조립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처리조 코너 모듈(A)은 이에 포함된 각각의 수처리조 코너 블록(A1, A2)의 바닥부(10)에 하부 플랜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처리조 코너 모듈(A)은 각각의 하부 플랜지(131)와 수처리조(1)의 바닥면(B)에 복수개의 제2 고정볼트(133)를 체결함으로써 수처리조(1)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볼트(133)의 상면에는 틈새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밀봉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A)은 수처리조(1)와 각각의 수처리조 코너 블록(A1, A2) 상호간, 및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수처리조 코너 블록(A1, A2)들 상호간에 앙카볼트(21) 또는 고정볼트(33, 133)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이 높은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도면 및 구현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 수처리조 코너 모듈 A1, A2: 수처리조 코너 블록
B: 수처리조의 바닥면 W: 수처리조의 벽면
1: 수처리조 10: 코너 블록의 바닥부
11, 12, 13: 코너 블록의 모서리 20, 30: 코너 블록의 외벽부
21: 앙카볼트 31, 131: 플랜지
33, 133: 고정볼트 40: 코너 블록의 경사부
41: 코너 블록의 보강유닛 42: 수평바
43: 수직바 44: 접착부재
45: 코너 블록의 작업구 50: 코너 블록의 상벽부
51: 코너 블록의 유체 주입구 60: 코너 블록의 내부공간부

Claims (15)

  1. 수처리조와 별도로 사전 제작되어 상기 수처리조의 코너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처리조의 코너부에 설치될 경우 상기 수처리조의 코너부에 침전물이 쌓이지 않도록 구성된 경사부 및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부를 포함하고,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된 제1 외벽부;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제1 외벽부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된 제2 외벽부;
    상기 바닥부, 상기 제1 외벽부 및 상기 제2 외벽부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된 상기 경사부;
    상기 제1 외벽부, 상기 제2 외벽부 및 상기 경사부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된 상벽부; 및
    상기 바닥부, 상기 제1 외벽부, 상기 제2 외벽부,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상벽부로 둘러싸인 상기 내부공간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수처리조의 중심에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낮고 먼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구성된 수처리조 코너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조 코너 블록은 적어도 일부분이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로 형성된 수처리조 코너 블록.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횡방향으로 오목하게 휘어진(concave curved) 곡면 경사부인 수처리조 코너 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이를 관통하도록 구성된 작업구 및 상기 작업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도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내부공간부에 배치된 보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유닛은 수평바 및 수직바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는 일단부가 상기 경사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바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바는 일단부가 상기 경사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평바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처리조 코너 블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 및 상기 수직바는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경사부에 각각 결합되는 수처리조 코너 블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벽부는 이를 관통하도록 구성된 유체 주입구 및 상기 유체 주입구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된 캡을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블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벽부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블록.
  11.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블록; 및
    상기 수처리조 코너 블록과 거울 대칭 구조를 갖는 상대 수처리조 코너 블록을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조 코너 블록 및 상기 상대 수처리조 코너 블록은 각각의 제2 외벽부에 배치된 2개의 상부 플랜지들이 서로 인접되게 마주 보도록 배치된 후 상기 상부 플랜지들에 제1 고정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처리조 코너 모듈.
  13. 제11항에 따른 수처리조 코너 모듈을 포함하는 수처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조 코너 모듈은 이에 포함된 제1 외벽부와 상기 수처리조의 벽면에 앙카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수처리조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처리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조 코너 모듈은 이에 포함된 각각의 수처리조 코너 블록의 바닥부에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하부 플랜지와 상기 수처리조의 바닥면에 제2 고정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수처리조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처리조.
KR1020190062587A 2019-05-28 2019-05-28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KR102245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587A KR102245809B1 (ko) 2019-05-28 2019-05-28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587A KR102245809B1 (ko) 2019-05-28 2019-05-28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696A KR20200136696A (ko) 2020-12-08
KR102245809B1 true KR102245809B1 (ko) 2021-04-28

Family

ID=7377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587A KR102245809B1 (ko) 2019-05-28 2019-05-28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8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2122A (ja) * 2005-03-29 2006-10-12 Jfe Steel Kk シックナー
KR100776273B1 (ko) * 2006-08-25 2007-11-15 민동구 정수지의 도류벽 및 정류벽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022A (ja) * 1993-11-18 1995-05-30 Bridgestone Corp パネル組立式合併処理浄化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2122A (ja) * 2005-03-29 2006-10-12 Jfe Steel Kk シックナー
KR100776273B1 (ko) * 2006-08-25 2007-11-15 민동구 정수지의 도류벽 및 정류벽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696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1543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JPH06240736A (ja) 下水用ポンプ場
US20120061331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N209468806U (zh) 蓄水池及收集再利用系统
KR102245809B1 (ko)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JP2009000638A (ja) 濁水の浄化方法
KR100857013B1 (ko) 여과 물탱크
CN109440865A (zh) 蓄水池、收集再利用系统及蓄水池施工工艺
KR101608043B1 (ko) 비점오염 처리 시설
CN107715514B (zh) 一种用于水处理的沉淀池
KR101253489B1 (ko) 이피이 여재를 이용한 상향류식 생물여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물여과 처리방법
JP2006082005A (ja) 濁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濁水処理方法
KR102322913B1 (ko) 우수 처리시스템
CN210845374U (zh) 一种废水循环利用沉淀池
CN214638891U (zh) 混凝土处理回收池
CN201882931U (zh) 一种海水淡化预处理用滤池
CN110104746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高效型竖流式沉淀池
EP0195679B1 (en) A store and a method for de-watering slurry
KR20100130346A (ko)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
KR100922624B1 (ko) 콘크리트정화조용 프리캐스터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정화조의 시공방법
CN215505934U (zh) 一种混凝土搅拌站沉淀式污水循环系统
CN110304746A (zh) 一种混凝土污水处理回收再利用系统
CN213049513U (zh) 一种混凝土污水沉淀池
JP3457643B2 (ja) 液体製品貯蔵タンク底部凸形状の反転方法
RU2801091C1 (ru) Дренажно-фильтрующее ще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воживания жидких шламов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