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013B1 - 여과 물탱크 - Google Patents

여과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013B1
KR100857013B1 KR1020080011302A KR20080011302A KR100857013B1 KR 100857013 B1 KR100857013 B1 KR 100857013B1 KR 1020080011302 A KR1020080011302 A KR 1020080011302A KR 20080011302 A KR20080011302 A KR 20080011302A KR 100857013 B1 KR100857013 B1 KR 100857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base plate
bas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봉
Original Assignee
장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봉 filed Critical 장인봉
Priority to KR102008001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high-lev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65D90/024Modular panels with features of cylindrical curv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관리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수압에 대해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님과 동시에 유입수를 여과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이를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여과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과 물탱크에 의하면, 베이스에 각종 배관을 인입 설치할 수 있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관의 교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원통형 유닛의 몸체에 수평 방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압에 대해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님과 동시에 유입관과 연결된 여과장치에 의해서 자연수를 여과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이를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여과 물탱크, 여과기, 개폐밸브, 원통형 유닛, 플랜지

Description

여과 물탱크{Filtering water tank}
본 발명은 여과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관리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수압에 대해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님과 동시에 유입수를 여과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이를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여과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탱크는 물과 같은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 혹은 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미관이 좋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원통형 물탱크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물탱크는 종래에도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02277호가 대표적인 일예이다.
이를 살펴보면, 저장탱크를 구성함에 있어 크게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놓이는 원통형 유닛, 상기 원통형 유닛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유닛은 다수의 원호형 유닛을 서로 결합하여 제작되고, 상기 원호형 유닛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원호를 이루는 원호형 강판과, 상기 원호형 강판의 하단부 외측면에 설치되는 하부 원호형 프레임 및 상기 원호형 강판의 상단부 외측면 에 설치되는 상부 원호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원통형 유닛을 이루는 원호형 유닛을 제함에 있어 소정 각도의 원호를 이루는 원호형 강판을 복수개 마련해 원통형을 가지도록 서로 결합하고, 이렇게 원통형을 가지는 상기 원호형 유닛의 상하 결합을 위해 상기 원호형 유닛의 상하부에 각각 플랜지 역할을 하는 원호형 프레임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여러 조각의 원호형 강판을 이용해 원호형 유닛을 제작하게 되므로 설치 현장까지의 운반에 있어 아주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원호형 유닛을 제작함에 있어 너무나 많은 부분이 용접 결합되어야 되고, 이 결합 부분에 결함이 발생되면 내부에 저장되는 물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는 콘크리트 타설로 제작되는데, 이 베이스에는 유입관, 유출관을 포함하는 다수의 배관이 콘크리트 타설시 일체로 매설되어진 채 상측에 구비된 원호형 유닛으로 연결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배관들의 교체시에는 상기 베이스를 훼손해야 되는 큰 단점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저장탱크는 유입수를 저장하여 유출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게 되어 유입수에 함유된 각종 슬러지나 이물질이 그대로 유출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이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지관리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수압에 대해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님과 동시에 유입수를 여과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이를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여과 물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위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부에 설치되어져 물을 유입하는 유입관 및 배출하는 유출관과 연통되며 내부에 저수공간을 가지도록 속이 빈 원통형 형상을 가지되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하면 외주연 중 적어도 한 면의 외주연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적층시 접합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통 단위의 원통형 유닛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는 제1도어와 유지관리용 제2도어가 각각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 하면에 부착되되 상기 제2도어를 통해 관리하도록 위치되는 것으로 상측이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여 원통형 유닛 내부로 배출하는 여과기로 이루어지는 여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일측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길이 방향대로 구비되는 것으로 속이 빈 원통형 형상의 필터부재; 및 상기 본체 개방구를 밀폐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유입관과 관이음 되어져 필터부재의 외주연과 본체 내면 사이에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유입로가 형성된 유입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가 형성된 배출부가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는 유입관 및 유출관의 설치할 수 있는 설치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여과 물탱크에 의하면, 베이스에 각종 배관을 인입 설치할 수 있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관의 교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원통형 유닛의 몸체에 수평 방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압에 대해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님과 동시에 유입관과 연결된 여과장치에 의해서 자연수를 여과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이를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여과 물탱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 물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 물탱크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여과 물탱크(100)는 크게 베이스(110), 베이스판(120), 원통형 유닛(130), 덮개(140), 여과장치(150), 유입관(160) 및 유출관(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110)는 작업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의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술토록 하겠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판(120)은 스테인리스 소재로 형성되어져 상기 베이스(110)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원통형 유닛(130)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원통형 유닛(130)은 상기 베이스판(120)의 상면에 위치되어져 부착되는 것으로 내부에 저수공간을 가지도록 속이 빈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된다. 일예로 도면에는 세 개의 원통형 유닛(130)이 수직상으로 적층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의 적층 구조에 대해서도 하기에서 보다 상술토록 하겠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140)는 상기 원통형 유닛(130)의 최상단에 설치되며, 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는 제1도어(142)와 유지관리용 제2도어(144)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도어(142,144)는 상세하게는 미도시 하였지만 힌지를 축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각종 도어와 동일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140)의 중앙에는 가스배출을 위한 통기관(146)이 더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장치(150)는 상기 덮개(140)의 하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2도어(144)를 통해 유지관리 할 수 있도록 위치되며, 상기 유입관(160)으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하기에서 이의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보다 상술토록 하겠다.
다음으로, 상기 유입관(160)은 베이스판(120)을 통해 상기 원통형 유닛(130)의 최상단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의 자연수를 여과장치(150)를 통해 원통형 유닛(130) 내부로 배출토록 그 끝단이 상기 여과장치(15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유입관(160)을 직접 여과장치(150)에 연결할 수 도 있을 것이나 설치가 보다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별도의 이음관(162)을 매개로 연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여과장치(150)의 점검시에는 여과장치(150)로 물을 공급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유입관(160)의 끝단보다 낮은 곳에 보조유입관(164)을 추가로 설치하고, 보조유입관(164) 개폐밸브(166)를 추가로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개폐밸브(166)를 닫게 되면 유입된 자연수는 유입관(160)의 끝단을 통해 여과장치(150)로 유입돼 여과된 후 배출될 것이고, 필요시 상기 개폐밸브(166)를 개방하게 되면 유입관(160)의 끝단부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 보조유입관(164)을 통해 자연수는 원통형 유닛(130)으로 직접 배출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보조유입관(164)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여과장치(150)의 점검시에는 여과장치(150)와 유입관(160)의 연결부분을 분리하여 유입된 물이 여과장치(150)를 거치지 않고 배출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보조유입관(164)을 추가로 설치하므로써 보다 용이한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밸브(166)는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덮개(140)의 제1도어(142)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유출관(170)은 원통형 유닛(13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120)을 통해 원통형 유닛(130)의 내부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유출관(170)의 끝단은 베이스판(120)에 침지되는 침전물은 배출되지 않도록 베이스판(120)의 상면보다는 약간 높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160)과 유출관(170) 이외에도 물 수위를 조절하는 오버드레인(180)과 베이스판(120)에 침지된 침지물을 외부로 빼내는데 사용되는 청소 관(190) 등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덮개(140)의 상면 외주연에는 난간(200)이 설치되고, 원통형 유닛(130) 외측에는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는 외부사다리(202)가 구비되며, 원통형 유닛(130) 내부에는 작업자가 내부로 내려갈 수 있는 내부사다리(204)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제, 하기에서는 전술한 여과 물탱크(1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베이스(110)는 작업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로 이루어지되 유입관(160), 유출관(170), 청소관(190) 및 오버드레인(180)을 포함하는 배관들을 손쉽게 설치하거나 철거할 수 있도록 측부에는 설치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베이스는 각종 배관을 매설하는 구조를 가지는 반면, 본 발명의 베이스(110)는 각종 배관이 매설되지 않는 구조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베이스(110)는 상기의 배관들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에 베이스(110) 자체의 훼손 없이도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는 파선으로 도시된 베이스판(120)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120) 상부에는 원통형 유닛(130)이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원통형 유닛(130)은 상기 베이스판(120)의 상면에 용접으로 접합되며, 이 접합부위에는 더욱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도시된 보강재나 플랜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유닛의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유닛의 결합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로 하면, 원통형 유닛(130)은 크게 몸체(132)와 플랜지(136)로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몸체(132)는 스테인리스 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저수공간을 가지도록 속이 빈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수평방향을 따라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절곡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몸체(132)는 제작시 속이 빈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작업 현장까지 운반할 수도 있으나 운반시 불편을 초래하게 되므로 일측이 절개된 형상 즉, 판상으로 제작하여 작업 현장에서 이 부분을 용접하므로써 속이 빈 원통형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몸체(132)를 판상으로 제작할 때에는 원통형으로 쉽게 말릴 수 있도록 롤링처리 됨은 너무나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132)의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몸체(132)를 여러 조각으로 분리 제작한 다음 작업 현장에서 결합하는 것이 보다 좋 을 것이다. 즉,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원통형 유닛(130)의 몸체(132)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몸체(132)는 소정 각도의 원호를 이루는 다수의 원호형 프레임(132a,132b,132c,132d)으로 구성하되 그 측면을 서로 용접 부착하여서 원통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원호형 프레임(132a,132b,132c,132d)의 부착 부분에는 접합력과 지지력이 우수하도록 지지부재(P)가 부착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32)는 여러 조각인 원호형 프레임(132a,132b,132c,132d)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운반성이 우수할 것은 당연하며, 이들을 부착할 때에는 각 부착 부분에 지지부재(P)를 추가로 구비하므로 부착력을 향상시키게 됨과 동시에 종 방향의 보강재 역할을 하게 되므로 내부 수압에 대해 강성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P)에는 몸체(132)에 형성된 절곡부(134) 내부로 삽입될 돌출부(P')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지지력에 있어 더욱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P)의 부착에 있어 몸체(132)의 상하면에는 후술할 플랜지(136)가 부착될 공간을 남기도록 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플랜지(136)는 상기 몸체(132)의 상하면 외주연 중 적어도 한 면의 외주연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32)의 적층시 접합된다. 즉, 상기 플랜지(136)는 최하단에 구비되는 몸체(132)에는 상면 외주연에 부착되고, 최상단에 구비되는 몸체(132)에는 하면 외주연에 부착되며, 그 사이에 구비되는 몸체(132)에는 상하면 외주연에 각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최하단에 구비되는 몸체(132)의 하면 외주연에도 플랜지(136)를 부착 하여 베이스판(120)과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최상단에 구비되는 몸체(132)의 상면 외주연에도 플랜지(136)를 부착하여 덮개(140)와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는 반드시 필요한 사항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플랜지(136)가 대략 "ㄱ"자 형상의 앵글로 제작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플랜지(136)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두 몸체(132)를 부착함에 있어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그 어떤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즉, 일예로 단면상 "ㄷ"자 형상의 앵글이나 사각 파이프 등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 플랜지(136)는 내경이 상기 몸체(132)의 외경과 동일한 링 형태로 제작하여 끼움한 뒤 용접할 수 있으나, 상당한 무게를 가지는 특징상 링 형태로 제작하게 되면 운반하기에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접합 작업에도 상당한 무리가 있으므로 원호형 플랜지(136)가 4등분된 4개의 플랜지부재(136a,136b,136c,136d)를 각각 형성하여 이들을 몸체(132)의 외주연에 연결 부착하므로써 하나의 원호형 플랜지(13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 6을 참조로 하면, 하단에 구비된 몸체(132)의 상면 외주연에는 전술하였듯이 플랜지(136)가 부착되어 있고, 이의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몸체(132)의 하면 외주연에도 플랜지(136)가 각각 부착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두 플랜지(136)의 접합에 의해 두 몸체(132)는 견고하게 적층되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 는 미도시되었지만 최상단에 적층되는 몸체(132)에는 그 하면 외주연에 플랜지(136)를 구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적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32)에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상의 절곡부(134)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부(134)의 형상은 이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ㄷ"자 형상 혹은 반원 형상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로 하면, 여과장치(150)는 도 2에서 설명하였듯이 덮개(140)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측이 개방된 케이스(151) 및 상기 케이스(151)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관(160)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여 원통형 유닛(130) 내부로 배출하는 여과기(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여과기(152)는 유입관(160) 즉, 이음관(162)으로부터 공급되는 자연수가 유입되면 여과시킨 후 재 배출하게 되는 것으로 이의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술토록 하겠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개 내면에 직접 부착할 수도 있지만 상면에 지지대(미부호 설명)를 형성하여 부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여과기(152)가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이 25㎏이라 가정하면, 배출 되는 물의 양 또한 25㎏인 유입관(160)을 사용하여야 작동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때,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유입하기 위해서는 큰 유입관(160)을 사용하여야 될 것이며, 이에 맞춰 여과기(152)를 새롭게 제작하여야 될 것이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기(152)를 새롭게 제작하지 않고 복수의 여과기(152)를 구비해두고 분배기(B)를 통해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즉, 유입관(160)을 분배기(B)에 연결해두고 분배기(B)와 복수개의 여과기(152)를 이음관(162)을 매개로 연결하므로써 가능한 것이다. 즉, 배출되는 물의 양이 100㎏인 유입관(160)을 사용하게 되면 25㎏인 여과기(152) 4개를 구비해두고 분배기(B)를 통해 각각의 여과기(152)에 유입관(16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분산 공급하면 되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여과기(152)의 구성과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9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먼저, 도 9의 "가"와 "나"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여과기(152)는 크게 본체(153), 필터부재(155) 및 뚜껑(1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상기 본체(153)는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구 내측에는 뚜껑(156)을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면 중앙에는 상기 필터부재(155)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155)는 상기 본체(153) 내부에 길이 방향대로 구비되는 것으로, 속이 빈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되어진 필터부재(155)는 상기 본체(153) 내부로 삽입되어지되 내부가 상기 돌출부(154)의 외부로 삽입되어져 흔들림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156)은 상기 본체(153)의 개방구에 나사 결합되어져 내부를 밀폐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이음관(162)과 관이음 되어져 필터부재(155)의 외주연과 본체(153) 내면 사이에 자연수를 배출하도록 유입로(157b)가 형성된 유입부(157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필터부재(155)의 내부로 유입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158b)가 형성된 배출부(158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로(158b)의 일단은 상기 뚜껑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155)의 상면에 밀접되어져 필터부재(155) 내부에 위치된 물만이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타단은 외측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임을 인지하여야 된다.
이때, 상기 뚜껑(156)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배출로(158b)를 연장하기 위한 연장부(159)가 돌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뚜껑(156)의 밀폐력이 저하되었을 경우 필터부재(155)의 상면과 뚜껑(156)의 내면에는 이격 공간이 발생하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배출로(158b)는 필터부재(155)의 상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노출될 수 있다. 그러면, 유입된 물이 필터부재(155)를 거치지 않고 배출로(158b)로 직접 유입돼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코자 연장부(159)가 구현된 것 이다. 즉, 상기 연장부(159)가 배출로(158b)를 연장하여 필터부재(155) 내부로 삽입되므로 소정의 이격 공간이 발생되어져도 배출로(158b)가 노출되는 전술한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이제, 도 10을 참조로 하면, 케이스(151) 내부에는 여과기(152)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즉 여과기(152)의 유입부(157a)는 유입관(160)과 이음관(162)을 매개로 관이음되어 있고, 배출부(158a)는 케이스(151)의 하면을 관통하고 있다. 이때, 유입관(160)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자연수가 유입되면 이 자연수는 유입부(157a)의 유입로(157b)를 통해 본체(153)와 필터부재(155) 사이로 유입될 것이다.
그러면, 유입된 자연수는 곧 필터부재(155)의 내부로도 유입될 것인데, 이 과정에서 자연수에 함유된 각종 슬러지나 이물질은 필터부재(155)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필터부재(155) 내부로 이동된 물 즉, 여과된 물만이 배출로(158b)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 물탱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여과 물탱크(100)의 하측 일부는 적정 수온 즉, 겨울에는 덜 차갑고, 여름에는 덜 뜨겁도록 지하에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여과 물탱크(100) 전체를 지하에 매설하게 되면 유지관리에 상당한 문제점이 발 생되므로 상측 일부는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인데, 상측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어 있더라도 유출관(170)으로 유출되는 물은 지하에 매설된 부분의 물이 배출되는 것이므로 적정 수온이 유지된 물이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의 설치 공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지면을 소정의 깊이로 파내고, 그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베이스(110)를 형성한 후 유입관(160) 및 유출관(170)을 포함한 각종 배관들을 설치함과 동시에 베이스판(120)을 상기 베이스(110) 상부에 설치하게 된다. 그런 뒤, 복수의 원통형 유닛(130)을 적층하며, 덮개(140)를 덮어 설치 완료하게 된다. 물론, 부대시설인 사다리(202,204)도 설치하게 되며, 덮개(140) 내부에는 여과장치(150)를 설치하여 유입관(160)과 이음관(162)을 매개로 관이음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지면에 석분 즉, 자갈을 깔아서 우천시에도 작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제, 유입관(160)으로 자연수가 유입을 시작하게 되면, 자연수는 여과장치(150)로 유입돼 여과된 뒤 배출되어져 원통형 유닛(130) 내부에 저장된다. 물론, 상기 유입관(160)의 일측에 마련된 보조유입관(164)에 구비된 개폐밸브(166)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여과된 물은 유출관(170)을 통해 배출되므로 이를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사용들은 보다 깨끗한 물을 먹을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원통형 유닛(130) 내부의 수위가 적정 수위 이상으로 올라가면 오버드레인(1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것이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여과장치(150)를 거친 물이라 할지라도 완벽한 여과는 불가능하므로 베이스판(120)에 침전되는 일부의 이 물질과 슬러지는 청소관(190)을 통해 청소하게 된다.
이때, 여과기(152)의 필터부재(155) 교체시기가 되면 관리자는 덮개(140) 상부에서 제1도어(142)를 우선 개방하여 개폐밸브(166)를 열어 유입관(160)을 따라 유입되는 자연수가 보조유입관(164)을 통해 배출토록 한다. 그런 뒤, 이번에는 제2도어(144)를 개방하고, 케이스(151)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여과기(152)의 본체(153)와 뚜껑(156)을 분리한 뒤 본체(153)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155)를 교체하여 재장착 시키며, 마지막으로 관리자는 제1도어(142)를 통해 개방된 개폐밸브(166)를 닫게 된다. 그러면 유입되는 물은 계속 여과장치(150)를 통해 여과된 후 배출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과 물탱크(100)에 의하면, 베이스(110)에 각종 배관을 인입 설치할 수 있는 설치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관의 교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원통형 유닛(130)의 몸체(132)에 수평 방향으로 절곡부(1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압에 대해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님과 동시에 유입관(160)과 연결된 여과장치(150)에 의해서 자연수를 여과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이를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 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 물탱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 물탱크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유닛의 몸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유닛의 결합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9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 물탱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여과 물탱크 110 : 베이스
112 : 설치홈 120 : 베이스판
130 : 원통형 유닛 132 : 몸체
134 : 절곡부 136 : 플랜지
140 : 덮개 142 : 제1도어
144 : 제2도어 146 : 통기관
150 : 여과장치 151 : 케이스
152 : 여과기 153 : 본체
154 : 돌출부 155 : 필터부재
156 : 뚜껑 157a : 유입부
157b : 유입로 158a : 배출부
158b : 배출로 159 : 연장부
160 : 유입관 162 : 이음관
164 : 보조유입관 166 : 개폐밸브
170 : 배출관 180 : 오버드레인
190 : 청소관 200 : 난간
202 : 외부사다리 204 : 내부사다리

Claims (7)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위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부에 설치되어져 물을 유입하는 유입관 및 배출하는 유출관과 연통되며 내부에 저수공간을 가지도록 속이 빈 원통형 형상을 가지되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하면 외주연 중 적어도 한 면의 외주연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적층시 접합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통 단위의 원통형 유닛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는 제1도어와 유지관리용 제2도어가 각각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 하면에 부착되되 상기 제2도어를 통해 관리하도록 위치되는 것으로 상측이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여 원통형 유닛 내부로 배출하는 여과기로 이루어지는 여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일측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길이 방향대로 구비되는 것으로 속이 빈 원통형 형상의 필터부재; 및
    상기 본체 개방구를 밀폐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유입관과 관이음 되어져 필터부재의 외주연과 본체 내면 사이에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유입로가 형성된 유입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가 형성된 배출부가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물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는 유입관 및 유출관의 설치할 수 있는 설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물탱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물탱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11302A 2008-02-04 2008-02-04 여과 물탱크 KR100857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302A KR100857013B1 (ko) 2008-02-04 2008-02-04 여과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302A KR100857013B1 (ko) 2008-02-04 2008-02-04 여과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013B1 true KR100857013B1 (ko) 2008-09-04

Family

ID=4002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302A KR100857013B1 (ko) 2008-02-04 2008-02-04 여과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0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393B1 (ko) 2009-03-10 2009-08-19 주식회사 거륭산업 물탱크유니트
KR100982723B1 (ko) 2010-05-04 2010-09-17 최석규 여과 물탱크
KR101069379B1 (ko) 2009-07-29 2011-09-30 이윤희 다기능물탱크
KR101140816B1 (ko) * 2011-06-30 2012-05-17 주식회사 에코스타일 조경용 물탱크
KR200479748Y1 (ko) * 2015-06-15 2016-03-03 한삼코라 주식회사 보강플랜지를 구비한 스테인리스 물탱크
KR102677158B1 (ko) * 2023-09-07 2024-06-20 주식회사 원진 미세 철가루 유입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물탱크 및 물탱크용 미세 철가루 유입방지 여과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2762A (ja) * 1995-05-11 1996-11-19 Toray Ind Inc 水道用給水槽
KR200210025Y1 (ko) 2000-08-26 2001-01-15 박연수 위생 물탱크
KR200216477Y1 (ko) 2000-09-19 2001-03-15 주식회사새암기술 물탱크 자동취수장치
JP2004339911A (ja) * 2003-05-16 2004-12-02 Ichiro Nagakubo 家庭用水タンク
KR100475597B1 (ko) 2004-07-28 2005-03-15 주식회사 현진기업 간이상수도용 스텐레스 원통형 물탱크
KR100512026B1 (ko) 2003-12-08 2005-09-05 강동열 상수도 정수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기능성 물탱크
KR100559073B1 (ko) 2003-07-01 2006-03-15 주식회사정림산업 보강 샌드위치 벽체구조를 갖는 정수처리 탱크
KR200424482Y1 (ko) 2006-04-19 2006-08-25 송왕호 원통형복합일체물탱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2762A (ja) * 1995-05-11 1996-11-19 Toray Ind Inc 水道用給水槽
KR200210025Y1 (ko) 2000-08-26 2001-01-15 박연수 위생 물탱크
KR200216477Y1 (ko) 2000-09-19 2001-03-15 주식회사새암기술 물탱크 자동취수장치
JP2004339911A (ja) * 2003-05-16 2004-12-02 Ichiro Nagakubo 家庭用水タンク
KR100559073B1 (ko) 2003-07-01 2006-03-15 주식회사정림산업 보강 샌드위치 벽체구조를 갖는 정수처리 탱크
KR100512026B1 (ko) 2003-12-08 2005-09-05 강동열 상수도 정수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기능성 물탱크
KR100475597B1 (ko) 2004-07-28 2005-03-15 주식회사 현진기업 간이상수도용 스텐레스 원통형 물탱크
KR200424482Y1 (ko) 2006-04-19 2006-08-25 송왕호 원통형복합일체물탱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393B1 (ko) 2009-03-10 2009-08-19 주식회사 거륭산업 물탱크유니트
KR101069379B1 (ko) 2009-07-29 2011-09-30 이윤희 다기능물탱크
KR100982723B1 (ko) 2010-05-04 2010-09-17 최석규 여과 물탱크
KR101140816B1 (ko) * 2011-06-30 2012-05-17 주식회사 에코스타일 조경용 물탱크
KR200479748Y1 (ko) * 2015-06-15 2016-03-03 한삼코라 주식회사 보강플랜지를 구비한 스테인리스 물탱크
KR102677158B1 (ko) * 2023-09-07 2024-06-20 주식회사 원진 미세 철가루 유입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물탱크 및 물탱크용 미세 철가루 유입방지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013B1 (ko) 여과 물탱크
CN101268235B (zh) 废水出口
US3263811A (en) Skim filter
US20040184884A1 (en) Storm water chamber for ganging together multiple chambers
CN204919779U (zh) 一种用于同层排水的地漏
EP3406813B1 (en) Drain with unidirectional drainage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CN208009524U (zh) 一种用于卫生间的侧立式中水储水、处理回用及排放系统
KR102142369B1 (ko) 입상관 길이조절이 가능한 오수받이
US9428929B2 (en) Automatic skimmer cleaning system
JP2014000293A (ja) 仮設トイレシステム
KR100840014B1 (ko) 원통형 물탱크
KR101763885B1 (ko) 지하수 관정 청소장치
CN208275100U (zh) 一种反冲洗固液分离装置
KR101127097B1 (ko) 청소용 배관
KR200283726Y1 (ko) 빗물 저장탱크용 부표달린 흡입기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AU2008201724B2 (en) Storage system
CN2802243Y (zh) 埋地隔热蒸汽疏水井
CN210737744U (zh) 一种直埋预制弃分流井
KR200399673Y1 (ko) 빗물 저장탱크
CN205323305U (zh) 用于工地污水过滤池的陶粒二级滤箱装置
JP4686422B2 (ja) 流下水の一時貯水システム
CN215483401U (zh) 一种可自动清理的水利施工排水装置
KR102245809B1 (ko) 수처리조 코너 블록,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