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607A -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 Google Patents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607A
KR20070035607A KR1020077003781A KR20077003781A KR20070035607A KR 20070035607 A KR20070035607 A KR 20070035607A KR 1020077003781 A KR1020077003781 A KR 1020077003781A KR 20077003781 A KR20077003781 A KR 20077003781A KR 20070035607 A KR20070035607 A KR 20070035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vacuum
core material
cor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7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65971B1 (en
Inventor
히로유키 다카시마
고지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구라시키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116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29505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42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57213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46728A external-priority patent/JP4012903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535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61939A/en
Application filed by 구라시키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라시키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5/013255 external-priority patent/WO2006009146A1/en
Publication of KR2007003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6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9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시 및 리사이클시에 환경 부하가 매우 낮은 진공 단열재로서, 취급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고, 또한 장기에 걸쳐 양호한 단열성을 유지하는 진공 단열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심재, 및 상기 심재를 수납하여 내부를 감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외포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심재가 섬유 굵기 1 내지 6데니어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시트상 섬유 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14517481-PCT00005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insulator having a very low environmental load during production and recycling, and excellent in handleability and workability, and maintaining a good thermal insulation property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a core material and an outer cover material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ore material and maintaining the inside at a reduced pressure, wherein the core material contains 50% by weight or more of polyester fibers having a fiber thickness of 1 to 6 denier. It is related with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characterized by being a phase fiber assembly.

Figure 112007014517481-PCT00005

Description

진공 단열재{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Vacuum Insulation Material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본 발명은 냉장고, 자동판매기, 보냉(保冷) 박스, 보냉차, 저탕(貯湯) 탱크, 저빙(貯氷) 탱크, 진공 단열 배관, 자동차의 성형 천장, 욕조 등의 단열재로서 이용하는 진공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acuum insulators used as insulation materials for refrigerators, vending machines, cold storage boxes, cold storage cars, storage tanks, storage tanks, vacuum insulated pipes, molded ceilings of automobiles, bathtubs, and the like.

종래, 냉장고, 자동판매기, 보냉 박스, 보냉차, 저탕 탱크, 저빙 탱크, 진공 단열 배관, 자동차의 성형 천장, 욕조 등의 단열에는, 여러 가지 구조 및 성능을 갖는 단열재가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매우 우수한 단열성을 갖는 진공 단열재가 상기 용도에 많이 사용되었다. 진공 단열재란, 일반적으로는 가스배리어성의 금속 증착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외포재(external packing member)에 심재(core member)를 충전하고, 그 내부를 감압하여 밀봉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진공 단열재의 단열성, 생산성 및 취급 성능은 상기 심재에 따라 크게 좌우되지만, 현재 범용되는 심재로서는, 연속 기포 폴리우레탄폼(특허문헌 1), 유리 섬유 집합체(특허문헌 2 및 3) 및 유리 섬유 집합체와 다른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복합체(특허문헌 4)를 들 수 있다.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insulation materials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performances have been used for insulation of refrigerators, vending machines, cold storage boxes, cold storage cars, storage tanks, storage tanks, vacuum insulation piping, molded ceilings of automobiles, bathtubs, and the like. In recent years, many vacuum insulators having very good thermal insulation have been used for the above applications. The vacuum insulator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re member is filled in an external packing member made of a gas-barrier metal vapor deposition film or the like, and the inside is sealed under reduced pressure. Although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productivity, and handling performance of such a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largely depend on the said core material, as a core material currently universally used, a continuous foamed polyurethane foam (patent document 1), glass fiber aggregates (patent documents 2 and 3), and glass fiber aggregates are mentioned. The composite (patent document 4) of another thermoplastic resin fiber is mentioned.

그러나 상기 범용의 진공 단열재용 심재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갖고 있다. 연속 기포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심재는, 작업성, 취급성, 경량성 등이 매우 우수하지만, 유리 섬유 등의 섬유상 재료와 비교하여 단열성이 뒤떨어지는 면이 있다. However, the general purpose vacuum insulation core material has the following problems. Although the core material using continuous foam polyurethane foam is very excellent in workability, handleability, light weight, etc., there exists a surface which is inferior in heat insulation compared with fibrous materials, such as glass fiber.

유리 섬유 집합체를 이용한 심재는, 아웃 가스(심재로부터 휘발하는 가스분)의 발생 없이, 단열성이 매우 우수한 성질을 갖지만, 유리 섬유라는 재질 자체의 취급성 및 작업성에 큰 불리점이 있다. 취급성을 개선하기 위해, 유리 섬유의 시트에 니들 펀칭(needle-punching)을 실시하여, 외포재에 심재를 삽입하는 작업에 대하여 개선하려는 노력도 있지만, 재질 그 자체에 연유되는 취급성 및 작업성의 난점을 해결할 수는 없었다. 특히, 상기 심재를 리사이클하는 시점에서의, 작업환경성 및 취급성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예컨대, 리사이클할 때에 외포재를 개봉하면, 유리 섬유 집합체 심재가 비산하여, 취급성 및 작업성이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환경 부하의 면에서도 문제가 된다. The core material using the glass fiber aggregate has a very excellent heat insulating property without generation of outgas (gas powder volatilized from the core material), but has a great disadvantage in handling and workability of the material itself called glass fiber. In order to improve the handleability,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core material into the outer cover material by needle punching the sheet of glass fiber, but the handleability and workability due to the material itself are improved. The difficulty could not be solved. In particular, at the time of recycling the core material, problems of work environment and handling still remain. For example, when the outer packaging material is opened during recycling, the glass fiber aggregate core material is scattered, which causes not only problems in handling and workability but also in terms of environmental load.

유리 섬유 집합체와 다른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복합체를 이용한 심재는 취급성이 약간은 향상되지만 만족스럽지는 않다. 특히, 특허문헌 4에는, 글래스 울 80질량%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섬유 20질량%의 조성을 갖고, 열프레스법에 의해 매트(matt)상으로 성형한 심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글래스 울 자체에 기인하는 작업성 저하의 문제와, 폴리프로필렌 수지 섬유로부터 발생하는 아웃 가스에 기인하는 단열성의 경시적 저하의 문제가 있다. 또한, 유기 섬유와 무기 섬유를 혼합하여 이용하는 점에서, 사용후의 분별은 매우 곤란하여, 리사이클성은 매 우 낮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같이, 록 울(Rock wool), 펄프 등의 섬유질을 복합시킨 것도 일부 보고되지만, 유리 섬유가 사용되기 때문에, 유리 섬유 자체에 연유되는 취급성 및 작업성, 및 환경 부하의 난점은 여전히 남은 채로 있다. The core material using the composite of glass fiber aggregates and other thermoplastic resin fibers slightly improves handleability but is not satisfactory. In particular, Patent Document 4 describes a core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of 80% by mass of glass wool and 20% by mass of polypropylene resin fiber, and molded into a mat by a hot press method. However, there is still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workability due to the glass wool itself, and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heat insulation resulting from outgases generated from polypropylene resin fibers. In addition, from the point of mixing and using an organic fiber and an inorganic fiber, classification after use is very difficult, and recycling property is very low. Some combinations of fibers such as rock wool and pulp, such as thermoplastic fibers, have been reported, but since glass fibers are used, the handling and workability and environmental loads inherent in the glass fibers themselves are difficult. Still remains.

열가소성 수지 섬유 등의 유기 섬유만을 심재로서 이용한 진공 단열재도 고려되지만, 유기 섬유로부터 발생하는 아웃 가스의 문제로 인해 상업적으로 구체화된 예는 없다. 특히, 0.75d의 폴리에스터 섬유 집면체(floc)를 심재로서 사용한 예도 보이지만(특허문헌 5), 솜상(fiber floc)으로 사용하면, 취급성이 매우 나빠 현실적인 상품으로서는 생각되지 않는다. 그래서, 취급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집면체를 시트상으로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극세(極細)의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니들 펀칭법은 사용 곤란하기 때문에, 화학 본딩법에 의해 바인더를 이용하면, 아웃 가스가 발생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크고, 시간과 함께 단열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Vacuum insulating materials using only organic fibers such as thermoplastic resin fibers as core materials are also considered, but there are no commercially specified examples due to the problem of outgases generated from organic fibers. Although the example which used the 0.75d polyester fiber floc as a core material is also seen (patent document 5), when used as a fiber floc, handling is very bad and it is not considered a realistic product. Therefore, although it is also considered to make the spherical body into a shee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handleability, when using the ultrafine fibers as described above, the needle punching method is difficult to use, and therefore, the binder is formed by a chemical bonding method. When using out, there is a problem that outgas is generated, the change over time is large, and the thermal insulation is greatly reduced with time.

한편, 진공 단열재의 용도는 근년 들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예컨대, 진공 단열재를, 급수 기기의 원통상 탱크나 배관 설비의 원통상 배관에 그 외주로부터 감아 붙여 피복하여, 탱크나 배관의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용도를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용도에서는, 진공 단열재는 탱크나 배관의 외주면에 맞춰 변형시켜 밀착시킬 필요가 있고, 또한 배선이나 배관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貫通孔; through-hole)부 및 절결부(切缺部; notched area)나 구부리기 위한 굴곡용 홈부를 설치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진공 흡인 후의 심재 두께가 10mm 이상인 종래의 두꺼운 진공 단열재는, 진공 흡인 후에 변형시키는 것은 곤란했다. 가령 진공 흡 인 전에 심재를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고 해도, 변형된 심재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의 제조는 곤란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vacuum insulators is gradually expanding in recent years. For example, the vacuum insulation material is wound on the cylindrical tank of a water supply equipment or the cylindrical piping of a piping installation from the outer periphery, and is coat | covered, and the use which improves the thermal efficiency of a tank or piping is mentioned. In such a use, the vacuum insulator needs to be deform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or pipe, and furthermore, a through-hole part and a cutout part for allowing wiring or pipes to pass therethrough. It is required to install a notched area or a bent groove for bending. However, it was difficult to deform the conventional thick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hose core material thickness after vacuum suction is 10 mm or more after vacuum suction. For example, even if the core material could be easily deformed before vacuum suction, it was difficult to manufacture a vacuum insulator using the modified core material.

그래서, 진공 흡인 후의 심재 두께를, 예컨대 5mm 이하로 설정하여, 진공 흡인 후의 변형을 쉽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심재로서 평균 섬유 길이 1mm 이하의 유리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 경우, 두께를 얇게 하면 충분한 곡면 가공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즉, 얻어지는 진공 단열재는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고 해도, 평판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고, 더구나 변형 상태에서 비교적 큰 절곡 주름(cockle)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진공 단열재의 감아 붙임이 곤란하거나, 감아 붙인 후의 밀착이 충분히 달성할 수 없었다.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core material thickness after vacuum suction is set to 5 mm or less, for example, to facilitate deformation after vacuum suction. However, in the case where a core made of glass fiber having an average fiber length of 1 mm or less was used, sufficient curvature was not obtained when the thickness was thinned. That is, even if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can be easily deformed, since it is going to return to flat form and a relatively large bending wrinkle arises in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state, it is difficult to wind up or after winding up the sai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adhesion could not be achieved sufficiently.

진공 단열재에 관통공부나 절결부를 형성하는 기술로서, 관통공 및/또는 절결을 형성한 평판상의 단열 심재를, 가스배리어성 포장재로 이루어진 자루의 개구부로부터 자루 내에 수납하고, 이어서, 자루의 개구부로부터 자루 내를 진공 배기하여 원하는 진공도로 유지하면서, 관통공부 및/또는 절결부의 진공 단열재측 내주부(內周部)를 따라 가스배리어성 포장재끼리를 융착한 시일(seal)부, 및 자루의 개구부의 가스배리어성 포장재끼리를 융착한 시일부를, 가열 부재에 의한 압접에 의해 형성시키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6). As a technique for forming a through hole and a cutout portion in a vacuum insulator, a flat heat insulating core material having through holes and / or cutouts is stored in a bag from an opening of a bag made of a gas barrier packaging material, and then from the opening of the bag. A seal portion in which gas barrier packaging materials are fused together along a vacuum insulator sid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and / or the cutout portion while evacuating the inside of the bag and maintaining the desired vacuum degree, and the opening of the bag. The method of forming the seal part which fused the gas barrier packaging materials of this by the press welding by a heating member is reported (patent document 6).

그러나 관통공부나 절결부의 내주부의 외피재(외포재)를 진공 배기할 때나 외피재의 시일을 할 때, 외피재의 필름 신도(flexibility) 또는 외피재의 필름 종류에도 좌우되기는 하나, 연속 기포 수지 발포체나 무기 분체와 같은 경질 심재에서는, 상기 내주부에서 외피재에 큰 부하가 걸려, 외피재의 파손이나 외피재와 심 재 사이에 큰 공극 부분이 발생하고 만다. 외포재 중에 복수개의 심재를 수납시키고, 외포재의 주연부(周緣部; peripheral edge area) 및 각 심재의 외주부를 따라 외포재 이면끼리를 시일한 경우에도 같은 문제가 생긴다. 특히, 복수개의 심재의 사이 부분에, 진공 배기 공정시에 문제가 생기기 쉽다. However, when evacuating the outer shell material (covering material)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or the cutout part or sealing the outer material, it depends on the film flexibility of the outer material or the film type of the outer material. In a hard core material such as inorganic powder, a heavy load is applied to the shell material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a breakage of the shell material and a large void portion occur between the shell material and the core material. The same problem occurs when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are accommodated in the outer cover material and the back surfac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is seal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each core material. In particular, a problem is likely to occur in the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core materials during the vacuum evacuation step.

단지, 심재 표면의 평활화를 실시하여, 외피재와 심재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심재에 대하여 면취(面取; chamfering) 가공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 특히, 무기계 심재의 경우는 면취 가공 자체도 번거롭다.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smooth the core surfac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shell material and the core material. However, chamfering processing is required for the core material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inorganic core material, chamfering processing itself is cumbersome.

또한, 상기 어느 쪽의 진공 단열재도 외포재에 직접적으로 심재를 수용시키고, 외포재 내부를 감압 상태로 유지하면서, 외포재 개구부를 시일함으로써 제조되기 때문에, 진공 단열재의 생산 효율이 문제로 되어 있었다. 즉, 외포재에 직접적으로 심재를 수용시키면, 외포재에 흠집(scratch)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진공 단열재의 수율이 저하되었다. 또한 외포재에 직접적으로 심재를 수용시키면, 최종적으로 시일되는 외포재 개구부에 심재가 정전기 등에 의해서 부착되기 쉽고, 상기 부착 심재를 충분히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개구부의 시일에 의해서 부착 심재 유래의 통기구가 외포재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형성되어, 진공 단열재의 수율이 저하되었다. 그와 같은 수율 저하의 문제는, 취급이 곤란한 솜상의 심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현저했다. 더구나, 솜상의 심재를 외포재에 직접적으로 수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외포재의 흠집의 관점에서 수용 작업이 제한되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수용시키기 어려웠다. 그 때문에 단열성이 저하되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1994-213561호 공보In addition, since either of the above vacuum insulators is manufactured by sealing the core member directly in the outer cover material and keeping the insid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under reduced pressure,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vacuum insulator has been a problem. In other words, if the core material is directly accommodated in the outer cover material, scratches easily occur in the outer cover material, so that the yield of the vacuum insulator decreases. In addition, if the core material is directly accommodated in the outer cover material, the core material easily adheres to the finally sealed outer material opening part by static electricity or the like, and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attached core material sufficiently. Was formed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and the yield of the vacuum insulator fell. The problem of such a yield fall was remarkable when using the cotton core material which is difficult to handle. Moreover, when accommodating a cotton core material directly in an outer cover material, since an accommodation operation | work is limited in view of the flaw of an outer cover material as mentioned above, it was difficult to accommodate so that it might become a uniform thickness. Therefore, heat insulation fell.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993-213561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1996-28776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996-28776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제1997-4785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7-4785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2003-155651호 공보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155651

특허문헌 5: 일본 특허공개 2002-188791호 공보Patent Document 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88791

특허문헌 6: 일본 특허공개 제1996-303686호 공보Patent Document 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996-303686

발명의 개시Disclosure of the Inven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제 1 발명, 제 2 발명 및 제 3 발명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발명은 공통적으로, 제조시 및 리사이클시에 환경 부하가 매우 낮은 진공 단열재로서, 취급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고, 또한 장기에 걸쳐 양호한 단열성을 유지하는 진공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consists of 1st invention, 2nd invention, and 3rd invention, These inventions are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ith very low environmental load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recycling in common, and it is excellent in handleability and workabilit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insulator that maintains good thermal insulat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특히, 제 2 발명은, 관통공부 및/또는 절결부를 갖는 진공 단열재나 복수개의 심재를 갖는 진공 단열재이더라도, 외포재와 심재의 밀착성이 좋아, 외포재의 파손이 적은 진공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second invention aims to provide a vacuum insulator having a through hole and / or a cutout portion or a vacuum insulator having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which has good adhesion between the outer material and the core material and provides a vacuum insulator with little damage to the outer material. do.

또한 특히 제 3 발명은, 생산 효율이 우수한 진공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oreover, especially a 3rd invention aims at providi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excellent in the production efficiency.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to solve the problem

제 1 발명은, 적어도 심재, 및 상기 심재를 수납하여 내부를 감압 상태로 유 지할 수 있는 외포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심재가 섬유 굵기 1 내지 6데니어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시트상 섬유 집합체(aggreg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The firs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a core material and an outer cover material for accommodating the core material and maintaining the inside at a reduced pressure, wherein the core material contains 50% by weight or more of polyester fibers having a fiber thickness of 1 to 6 denier. It relates to a vacuum ins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et-like fiber aggregate (aggregate).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외포재 이면끼리가 융착되어 이루어진 시일부를 외포재의 주연부 및 상기 주연부의 내측 영역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2nd invention is related with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in 1st invention which has the sealing part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material fuse | welded in the peripheral part of the outer material, and the inner region of the said peripheral part.

제 3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심재가 수용된 내포재를 감압 상태로 외포재에 수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In 1st invention, 3rd invention is related with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characterized by accommodating the inner material which accommodated the core material in the outer material in a reduced pressure state.

유기 섬유제 심재는, 아웃 가스 발생에 의한 단열성의 저하 등의 문제에 의해, 진공 단열재용 심재로서 현실적으로 생각되지 않았던 것이지만,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정 굵기의 폴리에스터 섬유에 착안하여, 상기 섬유를 시트상으로 한 것은 종래의 연속 기포 우레탄폼을 상회하는 단열성을 장기에 걸쳐 발휘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Although the organic fiber core material was not considered as a core material for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s due to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heat insulating property due to outgas genera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 on polyester fibers having a specific thickness and form the fiber in a sheet form. What was settled was that it exhibited over time the heat insulation exceeding the conventional continuous bubble urethane foam, and came to complete this invention.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심재가 폴리에스터 섬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경 부하가 작고, 사용 후의 리사이클성도 매우 우수하다. 더구나,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냉장고 등에 채용되는 연속 기포 우레탄 폼을 이용한 진공 단열재를 상회하는 단열성을 장기에 걸쳐 발휘하고, 또한 유리 섬유와 비교하여 취급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다. Since the core material is comprised from the polyester fiber,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1st invention-3rd invention has small environmental load, and is very excellent in the recycling property after use. In addition, the vacuum insulators of the first to third inventions exhibit heat insulation that exceeds the vacuum insulator using the continuous foam urethane foam employed in refrigerators and the like for a long time, and is superior in handleability and workability as compared with glass fibers. Do.

특히, 제 1 발명에서 진공 흡인 후의 두께가 특정 범위 내인 박형 심재는 현 저히 향상된 곡면 가공성을 나타낸다. 즉, 심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터 섬유,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섬유는 진공 흡인 후에도 진공 단열재 내부에서 변형에 맞춰 원활하게 거동한다. 상기 진공 단열재는 변형시에 복원력이 비교적 약하고, 더구나 절곡 주름이 비교적 작고 적다. 그 때문에, 상기 진공 단열재는 급수 기기의 원통상 탱크나 배관 설비의 원통상 배관 등에 감아 붙이기 용이하고, 더구나 그들에의 충분한 밀착을 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연속 기포 발포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를 상회하는 단열성을 발휘하고, 또한 유리 섬유와 비교하여 취급성이 매우 우수하다. In particular, in the first invention, the thin cor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after vacuum suction within a certain range shows a significantly improved curved formability. That is, since the polyester fibers constituting the core material, particularly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are flexible, the fibers behave smoothly in response to deformation inside the vacuum insulator even after vacuum suction. The vacuum insulator has a relatively weak restoring force at deformation, and furthermore has a relatively small and small bending wrinkle. Therefore, the sai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is easy to wind up to the cylindrical tank of a water supply equipment, the cylindrical piping of a piping installation, etc., Furthermore, sufficient close contact with them can be achieved. Moreover, it exhibits heat insulating property exceedi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using a continuous bubble foam, and is very excellent in handleability compared with glass fiber.

또한 특히 제 1 발명에서, 융점이 다른 적어도 2종류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포함하는 심재를 이용하면, 써멀 본딩법에 의해 비교적 저온에서도 시트상으로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아웃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심재의 취급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취급성 및 작업성은 종래의 섬유상 심재와 비교하면 현저히 향상되고, 우레탄 폼 판상 심재와 비교하여 손색 없는 수준까지 향상된다. Moreover, especially in 1st invention, when using the core material which consists of at least 2 types of polyester fiber from which melting | fusing point differs, since it can process into a sheet form at comparatively low temperature by a thermal bonding method, while suppressing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outgas, The handleability and workability of the core material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the handleability and workability are remarkably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fibrous core, and inferior to the urethane foam plate core.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관통공부 및/또는 절결부를 갖거나, 또는 복수개의 심재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터 섬유 심재를 이용하여, 섬유의 유연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관통공부 및/또는 절결부의 내주부에서, 또한 복수개의 심재를 외포재 중에 수납할 때의 각 심재의 외주부에서, 진공 배기 공정시의 외포재의 파손이 생기기 어렵고, 외포재와 심재의 밀착성이 좋다. Since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2nd invention has a through-hole part and / or a cutout part, or has a some core material, it can be used for various uses. In addition, since the flexibility of the fiber is abundant using a polyester fiber core material, vacuum exhaust is carried out at the inner peripheral part of the through hole and / or the cutout part, and at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each core material when storing the plurality of core materials in the outer cover material. The breakage of the cover material at the time of a process hardly occurs, and the adhesiveness of a cover material and a core material is good.

제 3 발명의 진공 단열재에서, 심재는 내포재에 수용된 상태로 외포재에 수 용되기 때문에, 외포재에 흠집이 생기기 어렵고, 더구나 외포재 개구부로의 심재 부착이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의 수율이 향상되어, 생산 효율이 상승한다. In the vacuum insulator of the third aspect of the invention, since the core is accommodated in the envelope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envelope, scratches are less likely to occur in the envelope, and moreover, attachment of the core to the envelope opening is unlikely to occur. Therefore, the yield of a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improves and a production efficiency rises.

도 1(A) 내지 (H)는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및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A) to (H)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the structures of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s and the high melting polyester fibers.

도 2(A)는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의 일례의 개략 겨냥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진공 단열재의 I-I 단면에 대한 개략 단면도이다. FIG. 2 (A)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the vacuum insulator of the second invention, and FIG. 2 (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the vacuum insulator in FIG.

도 3(A) 및 3(B)는 도 2의 진공 단열재를 제조할 때의 제조방법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3 (A) and 3 (B) are schematic flowcharts showing a par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when the vacuum insulator of FIG. 2 is manufactured.

도 4(A)는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의 일례의 개략 겨냥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진공 단열재의 II-II 단면에 대한 개략 단면도이다. 4 (A)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the vacuum insulator of the second invention, and FIG. 4 (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the vacuum insulator in FIG. 4 (A).

도 5(A) 및 5(B)는 도 4의 진공 단열재를 제조할 때의 제조방법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5 (A) and 5 (B) are schematic flowcharts showing par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when the vacuum insulator of FIG. 4 is manufactured.

도 6(A)는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의 일례의 개략 겨냥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진공 단열재의 III-III 단면에 대한 개략 단면도이다. FIG. 6 (A)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the vacuum insulator of the second invention, and FIG. 6 (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the vacuum insulator in FIG. 6 (A).

도 7(A) 및 7(B)는 도 6의 진공 단열재를 제조할 때의 제조방법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7 (A) and 7 (B) are schematic flowcharts showing a par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when the vacuum insulator of FIG. 6 is manufactured.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 심재 2: 외포재 1: heartwood 2: outer material

3A, 3B, 3C, 3D 및 3E: 시일부 3F: 진공 단열재의 관통공부 3A, 3B, 3C, 3D and 3E: Seal 3F: Through hole of vacuum insulation

3G: 공정 (c)에서 형성되는 시일부 5: 심재의 관통공부 3G: Seal part formed in process (c) 5: Through hole of core material

6: 외포재 이면끼리의 흡착 부분 11: 심재 6: Adsorption part between outer back surface materials 11: Heartwood

12: 외포재 13A, 13B, 13C, 13D 및 13E: 시일부 12: outer material 13A, 13B, 13C, 13D and 13E: seal part

13F: 절결부의 일부 13G: 공정 (c)에서 형성되는 시일부 13F: part of cutout 13G: seal formed in step (c)

15: 심재의 관통공부 16: 외포재 이면끼리의 흡착 부분 15: Through-hole of core material 16: Adsorption part between outer surface of outer cover materials

21: 심재 22: 외포재 21: Heartwood 22: Sheathing

23A, 23B, 23C, 23D 및 23E: 시일부 23A, 23B, 23C, 23D, and 23E: Seal

26: 외포재 이면끼리의 흡착 부분. 26: The adsorption part between the back surfaces of the outer covering material.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제 1 발명)(1st invention)

제 1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적어도 심재, 및 상기 심재를 수용하여 내부를 감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외포재로 이루어진다. The vacuum insulator of the first invention consists of at least a core material and an outer cover material which accommodates the core material and can keep the inside at a reduced pressure.

제 1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심재는 섬유 굵기 1 내지 6데니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데니어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함유하는 시트상 섬유 집합체이다. 상세하게는, 심재는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 집합체를 시트상으로 가공한 것으로, 그와 같은 심재를 사용함으로써, 취급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제조시 및 리사이클시의 환경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장기에 걸쳐 양호한 단열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섬유 굵기를 갖는 폴리에스터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통상 9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7㎛이다. 평균 섬유 직경은 10가닥의 섬유에 대하여, 섬유 1가닥당 2개소의 직경을 CCD 카메라 화상에 의해 처리하여 측정하여, 합계 20개소의 직경의 평균값을 구하여 평균 섬유 직경값으로서 이용했다. In the first invention, the core material of the first embodiment is a sheet-like fiber aggregate containing polyester fibers having a fiber thickness of 1 to 6 denier, preferably 1 to 3 denier. In detail, the core material is obtained by processing the fiber aggregate containing the polyester fiber in the form of a sheet. By using such core material, handling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environment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recycling The load can be reduced. Moreover, good heat insulation can be exhibi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average fiber diameter of the polyester fiber having the fiber thickness is usually 9 to 25 µm, preferably 9 to 17 µm. The average fiber diameter was measured by processing two diameters per fiber with a CCD camera image with respect to 10 fibers, and obtained an average value of 20 diameters in total and used the average fiber diameter value.

"시트상"이란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는 의미이다. 섬유 집합체를 그대로의 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등, 심재가 시트상이 아니면, 심재의 취급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심재를 외포재로 수납하는 공정이 번잡하게 되어, 작업성이 악화된다. 또한 초기의 단열성이 발현되지 않는다. "Sheet-like" means having a flat plate shape. If the core material is not in sheet form, such as when the fiber aggregate is used as it is, the handleability of the core material is deteriorated, so that the process of storing the core material in the outer cover material is complicated, and workability is deteriorated. Moreover, initial heat insulation is not expressed.

제 1 실시형태의 시트상 섬유 집합체(심재)의 두께는 제 1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보통은 진공 단열재로 했을 때(진공 흡인 후)에 0.1mm 내지 100mm 정도,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50mm 정도, 특히 5mm 내지 20mm 정도이면 좋다. 진공 단열재로 했을 때의 시트상 섬유 집합체(심재)의 두께는, 상기 범위내 중, 특히 0.1mm 내지 5mm로 하는 것과 같은 박형으로 설정되면, 진공 흡인 후의 곡면 가공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두께가 0.5mm 내지 3.5mm 정도로 되는 것이, 단열성, 생산성의 면에서 균형이 맞는다. 심재 두께(진공 흡인 후)의 측정에 있어서, 외포재의 두께는 매우 작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The thickness of the sheet-like fiber assembly (core material) of the firs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first invention is achieved, and is usually about 0.1 mm to 100 mm when preferably a vacuum insulator (after vacuum suction), preferably May be about 1 mm to 50 mm, particularly about 5 mm to 20 mm. When the thickness of the sheet-like fiber assembly (core material) at the time of setting it as a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is set to the thin shape like especially 0.1 mm-5 mm in the said range, the surface formability after vacuum suction improves. In particular, the thickness is in the range of about 0.5 mm to 3.5 mm, which is balanced in terms of heat insulation and productivity. In the measurement of the core thickness (after vacuum suction), the thickness of the outer cover material is very small and shall not be considered.

시트상 섬유 집합체는 1층의 시트일 수 있지만, 폴리에스터 섬유의 1층 시트로 이루어진 진공 단열재로 했을 때에 5mm 정도 이상의 두꺼운 것은 시트 제조가 어렵기 때문에, 2층 이상의 시트를 적층한 적층형 시트상 섬유 집합체(심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집합체는 바인더 등의 다른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이른바 니들 펀칭법 등으로 시트상으로 가공되도록 한다. 바인더를 이용하는 화학 본딩법 등은, 아웃 가스 발생에 의한 단열성의 경시적인 저하가 일어나 문제가 된다. 니들 펀칭법을 이용한 섬유 집합체이면, 섬유 사이에서의 미끄러짐(sliding) 특성도 양호하며, 곡면 가공성도 보다 우수하다. 한편, 니들 펀칭법이란, 섬유가 특정 방향으로 어느 정도 배향된 폴리에스터 섬유 덩어리, 즉 폴리에스터 섬유 웹에 대하여, 후크가 붙은 다수의 바늘을 수직으로 및 상반되게 펀칭하여, 웹 중의 섬유끼리를 서로 얽히게 하는 것에 의해 시트상으로 하는 방법이다. The sheet-like fiber aggregate may be a single layer sheet, but when the vacuum insulation made of a single layer sheet of polyester fiber is about 5 mm or thicker,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sheet, and thus the laminated sheet fiber in which two or more layers are laminated It is preferable to use an aggregate (core material). The fiber aggregate is preferably processed without using another material such as a binder, and is made to be processed into a sheet by, for example, a so-called needle punching method. In the chemical bonding method using a binder, a decrease in heat insulation with outgassing occurs over time. In the fiber aggregate using the needle punching method, the sliding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bers are also good and the surface formability is more excellent. On the other hand, the needle punching method refers to a polyester fiber mass in which fibers are oriented to a certain direction, that is, to a polyester fiber web, by punching a plurality of needles with hooks vertically and oppositely, thereby allowing fibers in the web to mutually cross each other. It is a method of forming a sheet by entanglement.

폴리에스터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니들 펀칭 기계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솜상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화학 본딩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부형(賦形)하게 되어, 상기한 문제가 생긴다. 한편, 평균 섬유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단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양호한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밀도로 할 필요가 있어, 무게가 문제로 된다. If the average fiber diameter of the polyester fiber is too small, the needle punching machine cannot be used. Therefore, the needle punching machine is used as it is, or it is shaped into a sheet by a chemical bonding method, and the above-described problem occurs. On the other hand, when an average fiber diameter is too big | large, there exists a tendency for heat insulation to fall, and in order to ensure favorable heat insul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it high density, and weight becomes a problem.

폴리에스터 섬유 대신에 폴리에틸렌 섬유 등의 다른 유기 섬유를 이용하면, 아웃 가스 발생에 의한 단열성의 경시적인 저하가 일어난다. When other organic fibers, such as polyethylene fiber, are used instead of polyester fiber, the time-dependent fall of the heat insulation by outgas generation will arise.

본 명세서에서, 폴리에스터 섬유란, 화학 구조 단위가 주로 에스터 결합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의미하며, 제조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이카복실산 성분과 다이올 성분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터 섬유이더라도 좋고, 또는 1분자중에 하이드록실기와 카복실기를 갖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 성분끼리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터 섬유이더라도 좋다. In this specification, polyester fiber means the fiber which consists of a polymer which a chemical structural unit mainly couple | bonded with an ester bond, and a manufacturing metho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the polyester fiber obtained by reaction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diol component may be sufficient, or the polyester fiber obtained by reaction of the hydroxycarboxylic acid components which have a hydroxyl group and a carboxyl group in 1 molecule may be sufficient.

폴리에스터 섬유의 구체예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섬유,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알릴레이트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PET 섬유는, 테레프탈산 다이메틸(DMT)과 에틸렌 글라이콜(EG) 또는 테레프탈산(TPA)과 EG의 반응 등에 의해 얻어지고, PBT 섬유는 DMT와 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TMG) 또는 TPA와 TMG의 반응 등에 의해 얻어진다. 시트상 부형성, 양산성 및 비용을 가미하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이다. 당연히, 리사이클 PET 섬유를 사용하더라도 전혀 문제는 없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ester fibers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bers,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fibers, polypropylene terephthalate fibers, polyallylate fibers and the like. For example, PET fiber is obtained by the reaction of terephthalic acid dimethyl (DMT) and ethylene glycol (EG) or terephthalic acid (TPA) and EG, and the PBT fiber is made of DMT and tetramethylene glycol (TMG) or TPA. Obtained by reaction of TMG or the like. In addition to sheet-like shaping, mass productivity, and cos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are preferable. Naturally, there is no problem even when using recycled PET fibers.

폴리에스터 섬유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연화점 200 내지 260℃ 정도, 강도 0.3 내지 1.2GPa 정도의 것이, 섬유 제조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Although polyester fib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thing of the softening point about 200-260 degreeC, and about 0.3-1.2 GPa of strength is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the ease of fiber manufacture.

폴리에스터를 섬유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용융 방사법, 습식 방사법, 건식 방사법 등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용융 방사법이다. 용융 방사법이란, 고분자의 융액을 세공 노즐로부터 공기 중에 토출하여, 토출된 용융 사조(絲條)를 세화(細化)시키면서 공기로 냉각, 고화하고, 그 후 일정한 속도로 인취(引取)하는 방식이다. 본 방법에서는, 상기 섬유 굵기를 갖는 폴리에스터 섬유가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다. As a method of fiberizing polyester, there exist melt spinning method, wet spinning method, dry spinning method, etc., Preferably it is melt spinning method. The melt spinn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melt of a polymer is discharged into air from a pore nozzle, cooled and solidified with air while the discharged molten sand is refined, and then drawn at a constant speed thereafter. . In this method, the polyester fiber which has the said fiber thickness can be manufactured easily.

폴리에스터 섬유가 바람직한 섬유 길이(평균 섬유 길이)는 10 내지 150mm이다. 10mm 미만으로는 시트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150mm를 초과하면 단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mm이다. The preferred fiber length (average fiber length) of polyester fiber is 10 to 150 mm. If it is less than 10 mm, it will become difficult to process into a sheet form. When it exceeds 150 mm, heat insulation tends to decrease. Preferably, it is 20 to 80 mm.

섬유 집합체에서의 폴리에스터 섬유의 함유량은 제 1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보통은 아웃 가스 발생에 의한 단열성의 경시적 저하 방지의 관점에서 심재 전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중량%이다. 단열성의 한층 더 향상의 관점에서는, 심재는 폴리에스터 섬유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content of the polyester fibers in the fiber aggreg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first invention is achieved, and is usually 50%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core material,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time-dependent reduction of the thermal insulation caused by the outgas generation. Preferably 90 to 100% by weight. It is most preferable that a core material consists only of polyester fiber from a viewpoint of further improving heat insulation.

폴리에스터 섬유와 함께 섬유 집합체에 함유될 수 있는 다른 섬유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아라미드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바이닐 알콜 섬유, 불소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노직(polynosic) 섬유, 레이온 섬유 등의 합성 섬유, 알루미나, 타이타늄산 칼륨 등의 무기 섬유, 마(麻), 비단, 면, 양모 등의 천연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Other fibers that may be contained in the fiber aggregate together with polyester fibers, such as polyethylene fibers, polypropylene fibers, acrylic fibers, aramid fibers, nylon fibers, polyvinyl alcohol fibers, fluorine fibers, polyurethane fibers, polynosic Synthetic fibers such as fibers and rayon fibers, inorganic fibers such as alumina and potassium titanate, and natural fibers such as hemp, silk, cotton and wool.

제 1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심재의 밀도는 100 내지 450kg/m3, 특히 100 내지 300kg/m3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kg/m3이다. 밀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심재로서의 강도가 저하되고 또한 단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지나치게 크면, 무겁게 되고 또한 단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즉, 밀도는 지나치게 가볍더라도, 지나치게 무겁더라도 단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평균 섬유 직경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밀도는, 170 내지 270kg/m3, 특히 180 내지 250kg/m3이다. In the first invention, the density of the core material of the first embodiment is preferably 100 to 450 kg / m 3 , particularly 100 to 300 kg / m 3 , and more preferably 150 to 300 kg / m 3 . When density is too small, there exists a tendency for the intensity | strength as a core material to fall, and heat insulation property to fall. On the other hand, when too large, it will become heavy and there exists a tendency for heat insulation to fall. That is, even if the density is too light or too heavy,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tends to be lowered. In the average fiber diameter, the most preferable density is 170 to 270 kg / m 3 , in particular 180 to 250 kg / m 3 .

본 명세서에서, 심재의 밀도는, 심재를 외포재에 수용하여, 진공 흡인한 후의 밀도를 측정한 것이다. 즉, 진공 단열재를 작성한 후, 진공 단열재의 중량으로부터, 미리 측정한 외포재 및 가스 흡착재 등의 중량을 제하여 심재의 중량을 얻는다. 또한 진공 단열재의 부피로부터, 미리 측정한 가스 흡착재 등의 부피를 제하여 심재의 부피를 얻는다. 한편, 외포재는 두께가 매우 작기 때문에, 부피 산출에는 고려하지 않는다. 수득된 심재의 중량 및 부피로부터 밀도를 산출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density of a core material measures the density after accommodating a core material in an outer cover material, and vacuum-sucking. That is, after preparing a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weight of a core material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weight of the outer envelope material, gas adsorption material, etc. which were measured previously from the weight of a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core material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volume of the gas adsorbent or the like measured in advance from the volume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uter cover material is very small in thickness, it is not considered for volume calculation. The density is calculated from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core material obtained.

제 1 발명에서의 제 2 실시형태의 심재는 섬유 굵기 1 내지 6데니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데니어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함유하는 시트상 섬유 집합체이고, 폴리에스터 섬유로서 융점이 다른 적어도 2종류의 폴리에스터 섬유, 즉 적어도, 비교적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 섬유(이하,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라 함) 및 비교적 고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 섬유(이하,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라 함)를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이다. 그와 같은 심재를 사용하면, 제조시 및 리사이클시의 환경 부하를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양호한 단열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융점이 다른 적어도 2종류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섬유 집합체를 써멀 본딩법에 의해 비교적 저온에서도 시트상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아웃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심재의 취급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써멀 본딩법을 채용하면, 얻어지는 시트상 심재의 표면은 거의 기모(起毛)하지 않고, 부피가 유효하게 저감되기 때문에, 심재의 취급성 및 작업성은 종래의 섬유상 심재와 비교하면 현저히 향상되고, 우레탄폼 판상 심재와 비교하여 손색없는 수준까지 향상된다. The core material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is a sheet-like fiber aggregate containing polyester fibers having a fiber thickness of 1 to 6 denier, preferably 1 to 3 denier, and at least two kinds of polyester fibers having different melting points. Polyester fibers, ie fibers comprising at least, relatively low melting polyester fib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w melting polyester fibers) and relatively high melting polyester fib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igh melting polyester fibers) It is an aggregate. By using such a core material, the environmental load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recycling can be reduced, and also favorable heat insulation can be exhibited. In addition, by using at least two kinds of polyester fibers having different melting points, the fiber aggregate can be processed into a sheet form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by thermal bonding, so that the handling of the core material and the outgassing are suppresse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when the thermal bonding method is employed, the surface of the sheet-shaped core material obtained is hardly brushed and the volume is effectively reduced, so that the handleability and workability of the core material are remarkab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fibrous core material. Compared to foam plate core material, it is improved to the level comparable.

이하, 제 2 실시형태의 심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의 심재는, 특기하지 않는 한, 폴리에스터 섬유로서 융점이 다른 적어도 2종류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심재와 마찬가지이다. Hereinafter, the core material of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addition, the core material of 2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core material of said 1st Embodiment except having used at least 2 type of polyester fiber from which melting | fusing point differs as polyester fiber unless it mentions specially.

제 2 실시형태에서,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융점(TL)은 제 1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시트상으로 부형할 때의 필요 열량 및 생산성을 고려하면, 보다 저융점측이 바람직하고, 단지 열전도 성능을 고려한다면, 용융에 따르는 섬유끼리의 접촉 면적이 적어지기 때문에, 보다 저융점측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결국, 생산성, 비용 및 열전도 성능을 고려하여, 가장 바람직한 융점을 설정하면 바람직하다. 통상,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는 110 내지 17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50℃의 저융점을 갖는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elting point T L of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first invention is achieved. The lower melting point side is preferable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d amount of heat and productivity in shaping into a sheet form, and the lower melting point side is not preferable in view of heat conduction performance,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fibers due to melting becomes smaller. . After all, it is preferable to set the most preferable melting point in consideration of productivity, cost and heat conduction performance. Typically,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s have a low melting point of 110 to 170 ° C, preferably 110 to 150 ° C.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융점(TH)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융점(TL)보다 높은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는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융점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 높은 융점을 갖는다.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는 통상적으로 240 내지 280℃,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270℃의 고융점을 갖는다. The melting point (T H ) of the high melting point polyester fi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T L ) of the low melting point polyester fiber, but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the high melting point polyester fiber is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low melting point polyester fiber. More preferably at least 20 ° C. High melting point polyester fibers typically have a high melting point of 240 to 280 ° C, preferably 250 to 270 ° C.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만을 이용하면, 써멀 본딩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부형을 할 수 없다. 즉, 써멀 본딩법에 의한 열처리에 의해서 섬유 집합체가 용융되어, 부정형인 수지의 덩어리로 되어 버린다. 또한,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만을 이용한 경우, 시트상 부형을 위한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갖지 않기 때문에, 니들 펀칭법 등의 바인더를 이용하지 않는 시트상 부형 방법만이 허용되어, 외포재로의 심재 수납 성능의 한층 더 향상, 즉 작업성의 한층 더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If only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s are used without using the high melting polyester fibers, shaping cannot be performed in the sheet form by the thermal bonding method. In other words, the fiber aggregate is melted by heat treatment by the thermal bonding method, resulting in agglomerates of amorphous resin. In addition, when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 is not used and only the high melting polyester fiber is used, there is no low melting polyester fiber for the sheet shaping, and thus the sheet-like shaping method that does not use a binder such as the needle punching method is used. Only is allowed, and further improvement of the core material storage performance to an outer cover material, ie, further workability cannot be expected.

섬유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도 1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성분으로 이루어진 이른바 노멀형 구조(도 1(A)), 및 다성분으로 이루어진 복합형 구조(도 1(B) 내지 (F)) 및 혼합형 구조(도 1(G) 내지 (H))로 대별된다. 복합형 구조는 복수의 성분이 각각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한 구조로, 단섬유 내에서 상호접착하고 있는 것이다. 복합형 구조는 추가로 2성분 복합형으로서 소위 코어/쉘(core/shell)형(도 1(B)) 및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e-side)(병렬)형(도 1(C)), 및 2성분 이상의 다층 복합형으로서 이른바 다중 병렬형(도 1(D)), 다심형(도 1(E)), 및 방사상형(도 1(F))으로 분류된다. 혼합형 구조는 적어도 1성분이 섬유의 길이 방향에 비연속의 입상 또는 바늘상으로, 다른 성분(매트릭스 성분) 중에 분산되고 있는 것으로, 추가로 입상 혼합형(도 1(G)) 및 침상 혼합형(도 1(H))으로 분류된다. As shown in the schematic diagram of Fig. 1, the structure of the fiber is generally a so-called normal structure composed of one component (Fig. 1 (A)), and a composite structure composed of multiple components (Figs. 1 (B) to (F)). ) And mixed structure (Figs. 1 (G) to (H)). The composite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each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bers, and are bonded to each other in the short fibers. The composite structure is further a two component composite type, so-called core / shell type (Fig. 1 (B)) and side-bye-side (parallel) type (Fig. 1 (C)). And a multi-component complex of two or more components are classified into so-called multiple parallel type (Fig. 1 (D)), multicore type (Fig. 1 (E)), and radial type (Fig. 1 (F)). In the mixed structure, at least one component is dispersed in other components (matrix components) in the form of discontinuous granules or need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ber, and further, the granular mixed type (Fig. 1 (G)) and the needle-shaped mixed type (Fig. 1). (H)).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는, 상기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를 함유하는 한, 그 섬유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섬유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융점의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구조, 예컨대, 도 1(A) 내지 (H)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는, 섬유 표면의 전부가 상기 저융점의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구조, 예컨대, 도 1(A), (B), (E), (G) 및 (H)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다.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가 도 1(A) 내지 (H)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 도 1(A) 내지 (H)의 공백 영역은 상기 저융점의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고, 사선 영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사선 영역을 구성하는 폴리머의 융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사선 영역을 구성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는 상기 저융점의 폴리에스터와는 융점 또는/및 원료 모노머가 다른 폴리에스터이다. As long as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 contains the polyester having the low melting point, the fiber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preferably,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fiber is made of the low melting polyester, for example, It has a structure in any one of 1 (A)-(H). More preferred low-melting polyester fibers have a structure in which all of the fiber surface is made of the low-melting polyester, for example, any one of Figs. 1 (A), (B), (E), (G) and (H). Has the structure of. In the case where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 has the structure of Figs. 1 (A) to (H), the blank area of Figs. 1 (A) to (H) is made of the above low melting polyester, and the diagonal area is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polyester, polyethylene, polypropylene, nylon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diagonal reg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On the other hand, the polyester capable of forming the diagonal region is a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and / or a raw material monomer different from the low melting point polyester.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는, 시트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도 1(B)의 코어/쉘형 구조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때 도 1(B)에 있어서 쉘부(공백 영역)는 상기 저융점의 폴리에스터(바람직하게는 PET)로 이루어지고, 또한 코어부(사선 영역)는 상기 고융점의 폴리에스터(특히 PET)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 has the core / shell structure of FIG. 1 (B)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sheet production. At this time, in FIG. 1B, the shell part (blank area) is made of the low melting polyester (preferably PET), and the core part (the diagonal area) is made of the high melting polyester (especially PET). It is preferable to make.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는, 상기 고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를 함유하는 한, 그 섬유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섬유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융점의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구조, 예컨대, 도 1(A) 내지 (H)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는, 섬유 표면의 전부가 상기 고융점의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구조, 예컨대, 도 1(A), (B), (E), (G) 및 (H)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다.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가 도 1(A) 내지 (H)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도 1(A) 내지 (H)의 공백 영역은 상기 고융점의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고, 사선 영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사선 영역을 구성하는 폴리머의 융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사선 영역을 구성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는 상기 고융점의 폴리에스터와는 융점 또는/및 원료 모노머가 다른 폴리에스터이다. As long as the high melting polyester fiber contains the polyester having the high melting point, the fiber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preferably,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fiber is made of the high melting polyester, for example, It has a structure in any one of 1 (A)-(H). A more preferable high melting polyester fiber has a structure in which all of the fiber surface is made of the high melting polyester, for example, any one of Figs. 1 (A), (B), (E), (G) and (H). Has the structure of. In the case where the high melting point polyester fiber has the structure of Figs. 1 (A) to (H), the blank area of Figs. 1 (A) to (H) is made of the high melting point polyester, and the diagonal area is particularly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made of polyester, polyethylene, polypropylene, nylon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diagonal reg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On the other hand, the polyester capable of forming the diagonal region is a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and / or a raw material monomer different from the high melting point polyester.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는, 시트 강도의 관점에서, 도 1(A)의 노멀형 구조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때 도 1(A)에 있어서 섬유는 상기 고융점의 폴리에스터(바람직하게는 PET)만으로 이루어진다.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high melting point polyester fiber has the normal structure of FIG. 1 (A) from a viewpoint of sheet strength. At this time, in FIG. 1 (A), the fiber is composed of only the polyester having the high melting point (preferably PET).

도 1(A) 내지 (H) 중 어느 횡단면도 원형이지만, 도 1(A) 내지 (H)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또는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섬유 구조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도 1(A) 내지 (H)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한정된다고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컨대, 대략 원 형상, 대략 타원 형상, 대략 별 형상, 대략 다각 형상 등일 수 있다. 1 (A) to (H) is a circular cross section, although FIG. 1 (A) to (H) shows the fiber structure of any one of a low melting polyester fiber or a high melting polyester fiber, FIG. The cross sections of A) to (H)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ircular, but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circular, approximately elliptic, approximately star, approximately polygonal, or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 분석 장치(퍼킨엘머사(PerkinElmer Japan Co., Ltd.) 제품 DSC-7)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이용한다. 상세하게는, 시차 주사 열량 분석에 의해, 융점에서 결정이 열을 흡수하여, 흡열 피크가 검출된다. 이 흡열 피크에 의해 융점을 결정한다. 섬유가 2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섬유로부터 각 성분을 긁어내는 등을 하여 따로따로 취출하고, 상기 측정에 공급함으로써 각 성분의 융점을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melting | fusing point uses the value measured using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pparatus (DSC-7 from PerkinElmer Japan Co., Ltd.). Specifically,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crystal absorbs heat at the melting point and an endothermic peak is detected. The melting point is determined by this endothermic peak. When a fiber consists of two components, melting | fusing point of each component can be measured by extracting each component separately from the said fiber, etc., and supplying it to the said measurement.

제 2 실시형태에서,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및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섬유 굵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6데니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데니어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섬유대를 평균 섬유 직경으로 나타내면, 각각 "9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7㎛"에 대응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ber thicknesses of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s and the high melting polyester fibers can be independently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1 to 6 denier, preferably 1 to 3 denier. When the said fiber band is represented by the average fiber diameter, it respond | corresponds to "9-25 micrometers" and "preferably 9-17 micrometers", respectively.

또한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및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섬유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각각 독립적으로 17 내지 102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ber length of the low-melting polyester fiber and the high-melting polyester fi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independently in the range of 17 to 102 mm.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및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형성 방법은 섬유의 형성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섬유의 구조에 의존하여 선택된다. 예컨대, 노멀형 구조를 갖는 섬유를 형성하는 경우는, 이른바 용융 방사법, 습식 방사법, 건식 방사법 등이 채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용융 방사법을 채용한다. 용융 방사법에서는, 소정 융점의 고분자의 융액을 세공 노즐로부터 공기 중에 토출하여, 토출된 용융 사조를 세화시키면서 공기로 냉각, 고화하고, 그 후 일정한 속도로 인취한다. 본 방법에서는, 1 내지 6데니어 정도의 섬유 굵기를 갖는 폴리에스터 섬유가 용이하게 제조가능하다. The method for forming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 and the high melting polyester fiber can adopt a known method generally known as the method for forming the fiber, and is usually selected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fiber. For example, when forming a fiber having a normal structure, a so-called melt spinning method, a wet spinning method, a dry spinning method and the like can be employed, but preferably a melt spinning method is adopted. In the melt spinning method, a melt of a polymer having a predetermined melting point is discharged into the air from a pore nozzle, cooled and solidified with air while making the discharged molten yarn fine, and then taken out at a constant speed. In this method, polyester fibers having a fiber thickness of about 1 to 6 denier can be easily produced.

또한 예컨대, 코어/쉘형 구조를 갖는 섬유를 형성하는 경우는, 고분자 상호배열체 방사법, 박리형 복합 섬유 방사법이나 다층형 복합 섬유 방사법 등이 채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해도(海島; island-in-sea)형 복합 섬유가 얻어지는 고분자 상호배열체 방사법을 채용한다. 고분자 상호배열체 방사법은, 용해성이 다른 2종류의 섬유를 이용하여, 바다 성분으로 되는 섬유와 소량의 섬 성분으로 되는 섬유를 혼섬 통합하여, 창포 형상으로 당겨 뽑는다. 이것을 깔때기형 채널에 넣고, 가열 용융시키고, 노즐로부터 압출하여 1가닥의 섬유로서 집속시켜 방사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forming a fiber having a core / shell structure, a polymer inter-array spinning method, a peeling type composite fiber spinning method, a multilayer type composite fiber spinning method, or the like can be employed. A polymer inter-array spinning method is adopted in which a sea) composite fiber is obtained. In the polymer inter-array spinning method, two kinds of fibers having different solubility are used to intermix fibers of sea components and fibers of a small amount of island components and pull them into an iris shape. It is placed in a funnel channel, heated and melted, extruded from the nozzle and concentrated as a single strand of fiber to spin.

상기와 같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및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심재)는 통상적으로 써멀 본딩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된다. 써멀 본딩법에 의한 가공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써멀 본딩법에 의한 가공에 앞서, 섬유 집합체를 미리 니들 펀칭법에 의해 예비적으로 시트상으로 가공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ber aggregate (core material) containing such a low melting point polyester fiber and a high melting point polyester fiber is normally processed into the sheet form by a thermal bonding method. From the viewpoint of the processability improvement by the thermal bonding method, it is preferable to process a fiber assembly preliminarily into a sheet form by the needle punching method before processing by the thermal bonding method.

써멀 본딩법에서는, 섬유 집합체에 대하여, 2개의 롤러 사이에서 열과 압을 부여하여,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저융점 폴리에스터 부분을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섬유의 표면끼리를 접착하여 시트상으로 부형 및 가공한다. 니들 펀칭법과 비교하여, 보다 형상 유지성이 높고, 외포재로의 수납성이 현저히 좋게 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섬유 집합체에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함유시키기 때문에, 상기 가공시의 가열 온도를 유효하게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아웃 가스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하면서 심재의 취급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thermal bonding method,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between two rollers to the fiber aggregate, and the low melting polyester portion of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 is melted to bond the surfaces of the fibers to form a sheet and Processing. Compared with the needle punching method, the shape retaining property is higher, and the storage property to the outer cover material is remarkably good. In 2nd Embodiment, since a low melting polyester fiber is contained in a fiber assembly, the heat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the said process can be reduced effectively. Therefore, the handleability and workability of a core material can be improved, effectively preventing generation of outgas.

시트상으로의 가공을, 예컨대, 일반적인 저융점 유기 바인더를 이용하는 화학 본딩법에 의해 행하면, 리사이클성이 저하되고, 또한 아웃 가스에 의한 단열 성능의 저하가 생긴다. When processing into a sheet form is performed by the chemical bonding method using a low melting point organic binder, for example, recycling property will fall and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by the outgas will fall.

제 2 실시형태에서, 그와 같은 시트상 섬유 집합체(심재)의 두께는 제 1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보통은 진공 단열재로 했을 때에 1mm 내지 50mm 정도, 특히 5mm 내지 20mm 정도이면 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시트상 심재는 표면에 기모가 거의 없고 취급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심재를 2층 이상 적층하여 외포재에 삽입하는 데에 유리하다. 또한, 대기압하에서 두께가 50mm 정도 이상인 시트상 심재는 제조가 곤란하다. 따라서, 시트상 심재의 대기압하에서의 두께는 0.1 내지 20mm, 특히 1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실시형태는, 심재를 외포재에 삽입하는 것에 있어서 시트상 심재를 1층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thickness of such a sheet-like fiber assembly (cor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first invention is achieved, and is usually about 1 mm to 50 mm, particularly about 5 mm to 20 mm, when the vacuum insulator is used. You just need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sheet-shaped core material has little napping on the surface and is excellent in handling and workability, it is advantageous for laminating two or more layers of the core material and inserting it into the outer cover material. In addition, the sheet-shaped core material whose thickness is about 50 mm or more under atmospheric pressure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under atmospheric pressure of a sheet-shaped core material is 0.1-20 mm, especially 1-10 mm. Moreover, in 2nd Embodiment, when inserting a core material into an outer cover material, it does not prevent using a sheet-shaped core material by 1 layer alone.

제 2 실시형태의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의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와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배합 비율은, 단열성의 한층 더 향상의 관점에서, 중량비로 5:95 내지 50:50, 특히 10:90 내지 3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blending ratio of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 and the high melting polyester fiber in the fiber assembly of the second embodiment is from 5:95 to 50:50, particularly from 10:90 to weight ratio, from the viewpoint of further improving heat insula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30:70.

제 2 실시형태의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의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및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합계 함유량은 제 1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보통은 아웃 가스를 보다 유효하게 방지하는 관점에서, 섬유 집합체 전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중량%이다. 단열성의 한층 더 향상의 관점에서는, 심재는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및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total content of the low-melting polyester fiber and the high-melting polyester fiber in the fiber assembly of the second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first invention is achieved, and usually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outgas more effectively. At least 50% by weight, preferably 90 to 1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fiber aggregate. From a viewpoint of further improving heat insulation, it is most preferable that a core material consists only of a low melting polyester fiber and a high melting polyester fiber.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및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와 함께 섬유 집합체에 함유될 수 있는 다른 섬유로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다른 섬유"와 같은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섬유 집합체에는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및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와는 융점 또는/및 원료 모노머가 다른 폴리에스터 섬유를 다른 섬유로서 함유시킬 수 있다. As other fibers which may be contained in the fiber aggregate together with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s and the high melting polyester fibers, fibers such as "other fibers" in the first embodiment may be mentioned. Further, the fiber aggregate may contain, as the other fibers, polyester fibers having different melting points and / or raw material monomers from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s and the high melting polyester fibers.

제 2 실시형태에서, 심재의 밀도는 100 내지 350kg/m3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30kg/m3이다. 가장 바람직한 밀도는, 200 내지 300kg/m3이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density of the core is 100 to 350kg / m 3 and more preferably 150 to 330kg / m 3. The most preferable density is 200-300 kg / m <3> .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의 심재를 수납하는 외포재는, 가스배리어성을 갖고, 내부를 감압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밀봉(heat-seal) 가능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예컨대, 최외층으로부터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 박, 및 최내층으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 최외층으로부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중간층에 알루미늄 박, 및 최내층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 최외층에 PET 수지, 중간층에 알루미늄 증착층을 갖는 에틸렌-바이닐 알콜 공중합체 수지, 및 최내층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외포재는 보통, 자루(bag) 형상으로 가공하여 사용되며, 예컨대, 개구부를 남겨 세 방면을 열밀봉하여 사용된다. 한편, 상기 구체예의 외포재는 최내층이 이면을 구성하여, 즉 최내층이 자루의 내부를 구성하도록 사용된다. As long as the outer cover material which accommodates the core material of 1st Embodiment and 2nd Embodiment has gas barrier property and can hold | maintain the inside under reduced pressure, any can be used, Preferably it can heat-seal will be. As a preferred embodiment, for example, a gas barrier film composed of a four-layer structure of nylon, aluminum deposited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luminum foil,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as the innermost layer from the outermost layer; A gas barrier film mad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from an outermost layer, an aluminum foil in an intermediate layer, and a high density polyethylene resin in an innermost layer; The gas barrier film etc. which consist of PET resin in outermost layer,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resin which has an aluminum vapor deposition layer in an intermediate | middle layer,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resin in an innermost layer are mentioned. Such envelopes are usually used after being processed into a bag shape, and for example, they are used by heat-sealing three sides leaving an opening. On the other hand, the envelope material of this embodiment is used so that the innermost layer constitutes the back surface, that is, the innermost layer constitutes the inside of the bag.

제 1 발명의 진공 단열재에서, 외포재 중에 심재만을 넣는 것만으로도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 단열재를 얻을 수 있지만, 경시적인 단열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진공 흡인 후에 진공 단열재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예컨대, 심재로부터 발생하는 아웃 가스나 수분, 및 외부에서 침입하는 가스·수분을 흡착하는 가스 흡착재를 심재와 함께 수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vacuum insulator of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a vacuum insulator having excellent heat insulating properties can be obtained only by placing only a core material in the outer cover material. However, in view of further improving heat insulation over time, a gas generated inside the vacuum insulator after vacuum suction,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accommodate together the core material the gas adsorbent which adsorbs outgas and water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 from a core material, and the gas and water which invade from the outside.

가스 흡착재는 가스 흡착 물질을 분상, 입상 또는 정제상 등의 그대로의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취급성의 관점에서, 가스 흡착 물질이 통기성이 있는 용기에 수용된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as adsorbent may be used as it is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tablets, but from the viewpoint of handling, the gas adsorbent is preferably used in a form accommodated in a breathable container.

가스 흡착 물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물리적으로 가스나 수분 등을 흡착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활성탄, 실리카겔, 산화알루미늄, 분자체(molecular sieve), 제올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학적으로 가스나 수분 등을 흡착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산화칼슘, 산화바륨, 염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등이나, 철, 아연 등의 금속분 소재, 바륨-리튬계 합금, 지르코늄계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gas adsorption substance, As physically adsorbing gas, water, etc., activated carbon, a silica gel, aluminum oxide, molecular sieve, zeolit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Examples of chemically adsorbing gas, water, and the like include calcium oxide, barium oxide, calcium chloride, magnesium oxide, magnesium chloride, metal powder materials such as iron and zinc, barium-lithium alloys, zirconium alloys, and the like. Can be.

가스 흡착 물질이 수용되는 통기성이 있는 용기는, 제 1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금속제 용기, 플라스틱제 용기 등의 경질 용기, 종이 봉지, 필름제 포대(包袋), 유기 섬유 부직포제 포대 등의 연질 포대 등을 들 수 있다. 용기의 통기도는 지나치게 작으면, 진공 단열재의 제조시에 용기 내부에 있는 기체가 외부로 빠지기 어려워, 진공 펌프로 배기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용기의 통기도는 내용물인 가스 흡착 물질이 폭로의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에서 큰 편이 바람직하다. The breathable container in which the gas adsorption substance is accommodat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first invention is achieved, and for example, hard containers such as metal containers and plastic containers, paper bags, film bags, and organic materials Soft bags, such as a fiber nonwoven fabric bag, are mentioned. If the air permeability of the container is too small,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is difficult to escape to the outside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vacuum insulator, and the time for evacuation by the vacuum pump becomes long. Larger is preferable in the range which is not received.

가스 흡착재는, 특히 심재가 상기한 바와 같은 박형일 경우, 진공 단열재의 곡면 가공성의 관점에서, 가스 흡착 물질이 연질 포대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 포대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재질로서, 예컨대 종이,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 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스터 섬유제 부직포, 폴리에틸렌 섬유제 부직포, 나일론 섬유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섬유제 부직포,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제 부직포이다. 심재로서 바람직한 재질인 폴리에스터 섬유제 심재,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제 심재와 동 재질이며, 재질 자체의 흡습성이 작고, 또한 곡면 가공시의 가공성이 매우 좋기 때문이다. 포대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평량)은 가스 흡착 물질의 유지성 및 진공 흡인 공정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30 내지 200g/m2, 특히 35 내지 13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gas adsorption material is accommodated in a soft bag from a viewpoint of the curability of a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especially when a core material is thin as mentioned above. Specific materials constituting the soft bag include, for example, paper, porous polyethylene film, porous polypropylene film, polyester fiber nonwoven fabric, polyethylene fiber nonwoven fabric, nylon fiber nonwoven fabric, and the like. It is a terephthalate fiber nonwoven fabric. It is because it is a polyester fiber core material which is a preferable material as a core material, especially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core material, and a copper material, and its hygroscopicity of the material itself is small and workability at the time of curved surface processing is very good. Per unit area of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urret weight (basis weight) it is preferably from the viewpoint of operation-maintenance and vacuum process of the gas absorption material 30 to 200g / m 2, particularly from 35 to 130g / m 2.

가스 흡착재의 포대를 바람직하게 구성하는 폴리에스터 섬유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각각, 심재를 구성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 섬유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마찬가지이다. Polyester fiber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which preferably comprise the bag of a gas adsorption material are the same as the polyester fiber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which can comprise a core material, respectively.

제 1 발명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1 실시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Preferable 1 Embodiment is described below abou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1st invention.

섬유 집합체를 니들 펀칭법 등에 의해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심재를 얻는다.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및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할 때는, 그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섬유를 1방향으로 어느 정도 배향시킨 후, 니들 펀칭법에 의해 우선 시트상으로 부형하고, 이어서, 써멀 본딩법에 의해 강고한 보형성(保形性; dimensionally-stable)을 갖는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심재를 얻는다. 수득된 심재를, 적당한 크기 및 모양(예컨대, 사각형)으로 절단하고, 내부에 포함되는 수분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건조를 한다. 상기 건조는 보통은 120℃에서 1시간 정도의 조건으로써 실시되지만, 폴리에스터 섬유의 수분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120℃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및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할 때, 건조는, 100℃ 이상,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융점(TL) 미만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TL-10 내지 TL-5(℃)의 온도, 예컨대, 100 내지 105℃에서 1시간 정도의 조건으로써 실시되지만, 폴리에스터 섬유의 수분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온도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의 종류에 관계없이, 건조는 원적외선에 의한 건조를 병용할 수도 있고, 진공도에 관해서는, 0.5 내지 0.01 Torr 정도로 건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ber aggregate is molded into a sheet by needle punching or the like to obtain a core material. When using low-melting polyester fibers and high-melting polyester fibers, they are uniformly mixed, the fibers are oriented to some extent in one direction, and then molded into a sheet by needle punching method first, followed by thermal bonding. The core material is obtained by molding into a sheet having a rigid dimensionally-stable shape. The obtained core material is cut into an appropriate size and shape (for example, square), and dried to remove moisture and the like contained therein. Although the said drying is normally performed on condition of about 1 hour at 120 degreeC, it is preferable to vacuum-dry at 120 degreeC in order to remove water etc. of a polyester fiber more effectively. In particular, when using low-melting polyester fibers and high-melting polyester fibers, drying is at a temperature of 100 ° C. or higher and below the melting point (T L ) of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s, preferably T L -10 to T L −. Although carried out under a condition of about 1 hour at a temperature of 5 ° C., for example, 100 to 105 ° C.,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remove moisture and the like of the polyester fiber, vacuum drying at the above temperature is preferable. Regardless of the type of fiber, the drying may be combined with far-infrared drying, and the degree of vacuum is preferably about 0.5 to 0.01 Torr.

다음으로 상기 심재를 자루 형상으로 시일된 외포재 중에 삽입한다. 한편, 이 때 가스 흡착재를 함께 삽입할 수도 있다. 가스 흡착재의 삽입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표면 평활성의 관점에서, 가스 흡착재의 삽입 위치에서의 심재의 두께를 그 주변보다도 얇게 할 수도 있다. 이 상태로 진공 흡인 장치 내에 넣고, 내압이 0.1 내지 0.01Torr 정도의 진공도로 되도록 감압 배기한다. 그 후, 외포재의 자루상 개구부를 열 융착에 의해 밀봉하여, 진공 단열재가 얻어진다. 한편, 심재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 실온에서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심재 밀도의 제어도 가능하다. Next, the core is inserted into the outer envelope sealed in a bag shape. In this case, the gas adsorbent may be inserted together. Although the insertion position of a gas adsorption material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rom a viewpoint of surface smoothness, the thickness of the core material in the insertion position of a gas adsorption material can be made thinner than the periphery. It is put in a vacuum suction apparatus in this state, and it evacuates under reduced pressure so that internal pressure may be a vacuum degree of about 0.1-0.01 Torr. Thereafter, the bag-shaped opening of the outer cover material is sealed by heat fusion to obtain a vacuum insulator. On the other hand, the core material density can also be controlled by press working at room temperature in order to adjust the core material thickness.

(제 2 발명)(2nd invention)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제 1 발명의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 외포재 이면끼리가 융착되어 이루어진 시일부를 외포재의 주연부 및 상기 주연부의 내측 영역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특기하지 않는 한, 외포재 이면끼리가 융착되어 이루어진 시일부를 외포재의 주연부 및 상기 주연부의 내측 영역에 갖는 것 이외에는 제 1 발명의 진공 단열재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제 2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 1 발명과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vacuum insulator of the second invention is the vacuum insulator of the firs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eal portion formed by fus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is provided at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uter cover material and the inner region of the peripheral edge portion. That is,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2nd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1st invention except having the sealing part which the back surface of the outer wrapper material fused together unless it mentions specially in the peripheral part of the outer wrapper and the said inner peripheral part. Hereinafter, although 2nd invention is demonstrated, the description similar to 1st invention is abbreviate | omitted.

상세하게는,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적어도 심재, 및 상기 심재를 수납하여 내부를 감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외포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외포재 이면끼리가 융착되어 이루어진 시일부(이하, 간단히 "시일부"라 함)를 외포재의 주연부 및 상기 주연부의 내측 영역에 갖는 것이다. 제 2 발명에서, 외포재 주연부의 내측 영역이란, 외포재의 주연에 형성된 시일부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을 의미하며, 예컨대 도 2(A)에서는 시일부(3A, 3B, 3C 및 3D)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 도 4(A)에서는 시일부(13A, 13B, 13C 및 13D)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 도 6(A)에서는 시일부(23A, 23B, 23C 및 23D)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을 의미한다. Specifically, the vacuum insulator of the second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a core material and an outer material which accommodates the core material and maintains the inside in a reduced pressure state, and a seal portion in which the outer surfaces of the outer material are fused together (hereinafter, simply The " seal portion " in the periphery of the outer cover and in the inner region of the periphery. 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reg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velope means an area enclosed by the seal portion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envelope. For example, the region enclosed by the seal portions 3A, 3B, 3C, and 3D in FIG. In FIG. 4A, the region surrounded by the seal portions 13A, 13B, 13C, and 13D, and in FIG. 6A, the region surrounded by the seal portions 23A, 23B, 23C, and 23D are meant.

예컨대, 도 2(A)의 개략 겨냥도에 나타내는 진공 단열재는, 시일부를 외포재(2)의 주연부(3A, 3B, 3C 및 3D)와 상기 주연부의 내측 영역(3E)에 갖는다. 즉 도 2(A)의 진공 단열재는, 관통공부(3F)(점선으로 이루어진 사선 영역)를 갖는 동시에, 외포재의 주연부(3A, 3B, 3C 및 3D) 및 상기 관통공부의 내주부(3E)를 따라 외포재 이면끼리가 시일되어 이루어져 있다. 특히, 도 2(A)의 진공 단열재는 관통공부(3F)(점선으로 이루어진 사선 영역)를 갖는 것이고, 상기 관통공부(3F)의 진공 단열재측 내주부를 따라 시일부(3E)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영역(3F)는 형성되는 시일부(3G) 중 절취되는 부분의 영역을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의 진공 단열재의 I-I 단면에 대한 개략 단면도이며, 1이 심재를, 2가 외포재를 나타낸다. For example, the vacuum insulator shown in the schematic aiming drawing of FIG. 2A has a seal part in the peripheral part 3A, 3B, 3C, and 3D of the outer cover material 2, and the inner region 3E of the said peripheral part. That is, the vacuum insulator of FIG. 2 (A) has a through hole 3F (an oblique line region formed by dashed lines), and at the same time the peripheral portion 3A, 3B, 3C and 3D of the outer covering material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3E of the through hole. Accordingly, the outer surface of the envelope is sealed. In particular, the vacuum insulator of FIG. 2 (A) has a through hole 3F (an oblique line region formed by dashed lines), and a seal portion 3E is formed along the vacuum insulator sid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3F. . In addition, the area | region 3F shows the area | region of the part cut out of the seal part 3G formed. FIG. 2 (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I-I cross section of the vacuum insulator of FIG. 2A, wherein 1 represents a core material and a divalent outer cover material.

또한 예컨대, 도 4(A)의 개략 겨냥도에 나타내는 진공 단열재는, 시일부를 외포재(12)의 주연부(13A, 13B, 13C 및 13D)와 상기 주연부의 내측 영역(13E)에 갖는다. 즉 도 4(A)의 진공 단열재는, 절결부(13F)(점선으로 이루어진 사선 영역)를 갖는 동시에, 외포재의 주연부(13A, 13B, 13C 및 13D) 및 상기 절결부의 내주부(13E)를 따라 외포재 이면끼리가 시일되어 이루어져 있다. 특히, 도 4(A)의 진공 단열재는 절결부(점선의 사선 영역 전체)를 갖는 것이며, 상기 절결부(13F)의 진공 단열재측 내주부를 따라 시일부(13E)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영역(13F)는 형성되는 시일부(13G)중 절취되는 부분의 영역을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의 진공 단열재의 II-II 단면에대한 개략 단면도이며, 11이 심재를, 12가 외포재를 나타낸다. For example,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shown in the schematic aiming drawing of FIG. 4 (A) has a seal part in the peripheral part 13A, 13B, 13C, and 13D of the outer packaging material 12, and the inner region 13E of the said peripheral part. That is,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FIG. 4 (A) has notch 13F (dashed line region made of dashed lines), and the peripheral portions 13A, 13B, 13C, and 13D of the outer covering material and the inner peripheral part 13E of the notch. Accordingly, the outer surface of the envelope is sealed. In particular, the vacuum insulator of FIG. 4 (A) has a cutout portion (the entire dashed line region of the dashed line), and a seal portion 13E is formed along the vacuum insulator sid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utout 13F. In addition, area | region 13F shows the area | region of the part cut out of the seal part 13G formed. Fig. 4B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the vacuum insulator of Fig. 4A, wherein 11 represents a core material and 12 represents an outer covering material.

또한 예컨대, 도 6(A)의 개략 겨냥도에 나타내는 진공 단열재는, 시일부를 외포재의 주연부(23A, 23B, 23C 및 23D)와 상기 주연부의 내측 영역(23E)에 갖는다. 즉 도 6(A)의 진공 단열재는, 외포재 중에 2개 이상의 심재가 수용됨과 동시에, 외포재의 주연부(23A, 23B, 23C 및 23D) 및 각 심재의 외주부(23A, 23B, 23C, 23D 및 23E)를 따라 외포재 이면끼리가 시일되어 이루어져 있다. 특히, 도 6(A)의 진공 단열재는, 시일부(23E)가 상기 진공 단열재를 절곡하여 사용하기 위한 굴곡용 홈부를 형성하여, 이 홈에 의해서 절곡 기능을 갖는 것이다. 도 6(B)는 도 6(A)의 진공 단열재의 III-III 단면에 대한 개략 단면도이며, 21이 심재를, 22가 외포재를 나타낸다. In addition, for example,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shown to the schematic aiming drawing of FIG. 6 (A) has a seal part in the peripheral part 23A, 23B, 23C, and 23D of an outer cover material, and the inner region 23E of the said peripheral part. That is, in the vacuum insulator of FIG. 6 (A), two or more core materials are accommodated in the outer cover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the peripheral portions 23A, 23B, 23C and 23D of the outer cover material and the outer peripheral parts 23A, 23B, 23C, 23D and 23E of the core material. The outer surface of the envelope is sealed along). In particular, the vacuum insulator of FIG. 6 (A) forms a bent groove for the seal portion 23E to bend and use the vacuum insulator, and has a bending function by the groove. FIG. 6 (B)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the vacuum insulator of FIG. 6 (A), wherein 21 represents a core material and 22 represents an outer covering material.

제 2 발명에 따른 심재(1, 11, 21)로서는, 제 1 발명에 따른 심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발명은, 심재가 유리 섬유(글래스 울), 알루미나 섬유, 슬래그(slag) 울 섬유, 실리카 섬유, 록 울 등의 무기 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As the core materials 1, 11, 21 which concerns on 2nd invention, the same thing as the core material which concerns on 1st invention is preferable. The second invention does not prevent the core material from containing inorganic fibers such as glass fibers (glass wool), alumina fibers, slag wool fibers, silica fibers, and rock wool.

제 2 발명에서 관통공부 또는 절결부를 형성하는 경우, 심재에도 관통공 또는 절결에 대응하는 부분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부분은 시트상 섬유 집합체 심재로서 미리 형성해놓더라도 좋고, 또한, 외포재로의 삽입시에 관통공 부분 또는 절결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관통공부 및 절결부를 형성하는 위치는, 얻고자 하는 진공 단열재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되고, 또한 관통공부 및 절결부의 형상, 치수는, 이들의 용도, 즉 관통공을 이용하여 관통시키는 배선, 기기 등의 단면 형상, 크기, 및 절결부를 이용하는 부분의 형상, 크기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관통공의 형상은, 보통 원,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지만, 외포재의 주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관통공부 및 절결부는 원형에 가까운 쪽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사각형상, 다각형상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네 모서리 부분의 각부에 관해서는 곡면 형상으로 면취를 행하여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econd invention, when the through hole or the cutout is forme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or the cutout is also formed in the core material. In addition, the said part may be previously formed as a sheet-like fiber assembly core material, and the through-hole part or the notch part may be formed at the time of insertion into an outer cover material. The position at which the through-holes and cutouts are formed is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vacuum insulator to be obtained, and the shapes and dimensions of the through-holes and the cutouts are their uses, that is, the wirings to pass through the through-holes, It can determine suitably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size, etc. of an apparatus, etc.,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part using a notch.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is usually a polygon such as a circle, a square, a hexagon, etc., but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wrinkles in the outer material, the through hole and the cutout portion are preferably close to a circle, for example, forming a rectangular through polygonal through hole. Eve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chamfer the curved portions of each corner portion.

제 2 발명에서, 심재의 두께는 제 2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보통은 진공 단열재로 했을 때에 0.1 내지 50mm 정도, 특히 0.3 내지 20mm 정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mm 정도이다. In the second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cor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second invention is achieved, and is usually about 0.1 to 50 mm, especially about 0.3 to 20 mm, and preferably about 0.5 to 5 mm when the vacuum insulator is used.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바람직한 1실시형태를, 도 2, 도 4 및 도 6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A) 및 (B)는 각각 관통공부를 갖는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의 개략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및 (B)는 절결부를 갖는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의 개략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 및 (B)는 복수 심재를 갖는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의 개략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One preferable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2nd invention is demonstrated below using FIG. 2, FIG. 4, and FIG. 2 (A) and (B) are schematic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vacuum insulator of the second invention each having a through hole. 4 (A) and (B) are schematic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vacuum insulator of the second invention having a cutout. 6A and 6B are schematic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vacuum insulator of the second invention having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섬유 집합체를 니들 펀칭법 등에 의해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심재를 얻는다. 수득된 심재를, 적당한 크기 및 모양(예컨대, 사각형)으로 절단하고, 관통공품의 경우는, 심재 자신에게 관통 부분을 형성하고, 절결품의 경우는, 심재 자신에게 절결을 형성한다. 관통공 및 절결 모두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내부에 포함되는 수분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건조를 한다. 건조는 제 1 발명에 있어서와 같이 원적외선에 의한 건조를 병용할 수도 있고, 진공 건조를 할 수도 있으며, 그 건조 조건은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심재의 건조 조건과 마찬가지이다. The fiber aggregate is molded into a sheet by needle punching or the like to obtain a core material. The obtained core material is cut into an appropriate size and shape (for example, a square), and in the case of a through-work, a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ore material itself, and in the case of a cutout product, a cutout is formed in the core material itself. Both through holes and cutouts may be formed. Subsequently, drying is performed in order to remove the water | moisture content contained inside. As in 1st invention, drying can also use together the drying by far-infrared rays, and can also vacuum-dry, and the drying conditions are the same as the drying conditions of the core material in 1st invention.

다음으로 상기 심재(1, 11, 또는 21)를 자루상, 즉 주연부(3A 내지 3C, 13A 내지 13C, 23A 내지 23C)의 세방면이 시일된 외포재(2, 12, 또는 22) 중에 삽입한다. 한편, 심재(21)를 복수개 이용한다면 복수개 삽입한다. 또한, 필요하면 가스 흡착재를 함께 삽입한다. 이 상태로 진공 흡인 장치 내에 넣고, 내압이 0.1 내지 0.01Torr 정도의 진공도로 되도록 감압 배기한다. 그 후, 외포재의 주연부 미(未)시일 부분인 자루상 개구부를 열 융착에 의해 밀봉한다. 한편, 외포재의 주연부(3D, 13D, 또는 23D)의 시일은, 진공 배기후의 감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시일이며, 시일 폭, 시일 위치 등에 관해서는, 감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로 적절히 설정하면 바람직하다. 예컨대, 진공 배기 후의 심재 두께가 0.5 내지 15mm 정도이면, 시일 폭은 5 내지 3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시일을 쉽게 하기 위해, 외포재 최단부로부터, 여백적(margin) 부분을 남겨 내측에 시일 부분을 형성하면, 시일 불량도 일어나기 어렵고, 작업성이 개선된다. 여백적 부분은, 사용시에 절곡된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좋고, 또한 절취하더라도 좋다. Next, the core material 1, 11, or 21 is inserted into a bag shape, that is, three sides of the periphery portions 3A to 3C, 13A to 13C, 23A to 23C, and sealed outer material 2, 12, or 22. . On the other hand, if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21 are used,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21 are inserted. Also, if necessary, gas adsorbents are inserted together. It is put in a vacuum suction apparatus in this state, and it evacuates under reduced pressure so that internal pressure may be a vacuum degree of about 0.1-0.01 Torr. Then, the bag-shaped opening part which is the peripheral part unsealed part of an outer cover material is sealed by heat fusion. On the other hand, the seal of the periphery 3D, 13D, or 23D of the outer cover material is a seal for maintaining the decompression state after vacuum evacuation, and the seal width, the seal position, and the like are preferably set in a range capable of maintaining the decompression state. Do. For example, if the core thickness after vacuum evacuation is about 0.5 to 15 mm, the seal width is preferably about 5 to 30 mm. Moreover, in order to make a seal easy, if a seal part is formed inward from a outermost edge part by leaving a margin part, a seal defect will hardly occur and workability will improve. The marginal portion may be used as it is bent at the time of use, or may be cut out.

관통공품 및 결결품에 관해서는, 상기 관통공부(3F) 및/또는 절결부(13F)의 내주부(3E 또는 13E)를 따라, 또는 내주부와 상기 관통공부(3F) 및/또는 절결부(13F)와의 전면(3G 또는 13G)에 대하여, 외포재 이면끼리를 열 프레스 등에 의해 시일을 한다. 복수의 심재품이면, 각 심재의 외주부(23E)를 따라, 외포재 이면끼리를 열 프레스 등에 의해 시일을 한다. 그 후, 관통공품 및 결결품에 관해서는, 시일된 상기 내주부(3E, 13E)를 남긴 상태로, 외포재를 커터 등에 의해 잘라 내어, 관통공부(3F) 또는 절결부(13F)를 갖는 진공 단열재를 얻는다. 한편, 상기 내주부(3E, 13E)는, 진공 배기후의 감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정도로 남겨 두면 되고, 시일된 내주부의 폭 등에 관해서는, 감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진공 단열재의 완성 후에는 필요하다면 프레스 가공할 수도 있고, 심재의 두께 조정도 가능하고, 또한 밀도 제어도 가능하다. Regarding the through-hole and the missing articl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3E or 13E of the through-hole 3F and / or the cut-out portion 13F,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through-hole 3F and / or the cut-out portion (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3G or 13G with 13F), the back surface of outer packaging material is sealed by heat press etc. If it is a some core material, along the outer peripheral part 23E of each core material, the back surface of outer packaging materials will be sealed by heat press etc. Then, about the through-work and the missing article, the outer cover material is cut out with a cutter etc. in the state which left said sealed inner peripheral parts 3E and 13E, and the vacuum which has the through-hole part 3F or the notch part 13F is carried out. Get ins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inner peripheral parts 3E and 13E may be left to such an extent that the decompression state after vacuum evacuation can be maintained, an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t suitably in the range which can maintain a reduced pressure state about the width | variety of the sealed inner peripheral part. After completion of the vacuum insulator, it may be pressed if necessary, the thickness of the core can be adjusted, and the density can be controlled.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The vacuum insulator of the second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심재를 자루상 외포재에 수납하는 공정; (a) storing the core material in a bag-shaped envelope;

(b) 자루상 외포재 내를 진공배기한 상태로, 이 자루상 외포재의 개구부를 가열 부재의 압접에 의해 시일하는 공정; 및(b) sealing the openings of the bag-shaped envelopes by press-contacting the heat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bag-shaped envelope is evacuated; And

(c) 개구부가 시일된 심재 수납 외포재를 가열하여, 외포재 주연부의 내측 영역에서 시일부를 형성하는 공정. (c) A step of forming a seal portion in the inner reg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velope material by heating the core material housing envelope with the opening sealed.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process is explained in full detail.

공정 (a); Step (a);

본 공정에서는 소정의 심재를 자루상 외포재에 개구부로부터 수납한다. In this step, the predetermined core material is stored in the bag-shaped envelope from the opening.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관통공부(3F)를 갖는 진공 단열재를 제조하는 경우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부(5)를 갖는 심재(1)를 이용하고, 상기 심재(1)를 자루상 외포재(2)에 개구부로부터 수납한다. For example, when manufacturi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has the through hole part 3F as shown in FIG. 2, as shown to FIG. 3 (A), the core material 1 which has the through hole part 5 is used, and the said core material is used. (1) is accommodated in the bag-shaped outer package material 2 from an opening part.

또한 예컨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결부(점선의 사선 영역 전체)를 갖는 진공 단열재를 제조하는 경우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15)를 갖는 심재(11)를 이용하고, 상기 심재(11)를 자루상 외포재(12)에 개구부로부터 수납한다. For example, when manufacturi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has a notch as shown in FIG. 4 (the whole dotted line area | region), as shown to FIG. 5 (A), the core material 11 which has the notched part 15 The core member 11 is stored in the bag-shaped envelope 12 from the opening.

또한 예컨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굴곡용 홈부(23E)를 갖는 진공 단열재를 제조하는 경우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된 2 이상의 심재(21)를 이용하고, 상기 심재(21)를 자루상 외포재(22)에 개구부로부터 수납하여, 병렬 배치한다. For example, when manufacturi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has the bending groove part 23E as shown in FIG. 6, as shown to FIG. 7 (A), it uses the 2 or more divided core material 21, and the said core material ( 21 is accommodated in the bag-shaped outer packaging material 22 from an opening part, and it arranges in parallel.

본 공정에서 심재는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는 제 1 발명에서와 같이 원적외선에 의한 건조를 병용할 수도 있고, 진공 건조를 하더라도 좋으며, 그 건조 조건은 제 1 발명에서의 심재의 건조 조건과 마찬가지이다. In this step, the core material is preferably dried. As in 1st invention, drying may use together the drying by far-infrared radiation, and you may vacuum-dry, and the drying conditions are the same as the drying conditions of the core material in 1st invention.

공정 (b); Step (b);

본 공정에서는, 심재를 수납한 자루상 외포재 내를 진공 배기한 상태로, 이 자루상 외포재의 개구부를 가열 부재의 압접에 의해 시일한다. 그 결과, 외포재 주연부의 내측 영역에서 외포재 이면끼리의 흡착 부분이 형성되어, 예컨대 도 3(B), 도 5(B)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진공 단열재를 얻는다. In this process, in the state which evacuated the inside of the bag-shaped envelope material which accommodated the core material, the opening part of this bag-shaped envelope material is sealed by pressure welding of a heating member. As a result, the adsorption | suction part of the back surface of a cover material is formed in the inner region of a cover material peripheral part, and obtains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s shown, for example in FIG. 3 (B), FIG. 5 (B) and FIG. 7 (B).

상세하게는 도 3(B)에서는, 심재의 관통공부에 대응하는 영역(6)에서, 외포재가 감압에 의해서 이면끼리 서로 물리적으로 흡착하고 있고, 그와 같은 흡착 부분(6)이 후의 공정 (c)에서 융착하여 시일부가 형성된다. In detail, in FIG. 3 (B), in the region 6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of the core material, the outer cover materials are physically adsorbed to each other by pressure reduction, and such an adsorption portion 6 is subjected to the subsequent step (c). ), The seal portion is formed.

도 5(B)에서는, 심재의 절결부에 대응하는 영역(16)에서, 외포재가 감압에 의해서 이면끼리 서로 물리적으로 흡착하고 있고, 그와 같은 흡착 부분(16)이 후의 공정 (c)에서 융착하여 시일부가 형성된다. In FIG. 5 (B), in the region 16 corresponding to the cutout portion of the core material, the outer envelope materials are physically adsorbed to each other by pressure reduction, and such an adsorption portion 16 is fused at a later step (c). Thus, the seal portion is formed.

도 7(B)에서는, 심재와 심재 사이의 영역(26)에서, 외포재가 감압에 의해서 이면끼리 서로 물리적으로 흡착하고 있고, 그와 같은 흡착 부분(26)이 후의 공정 (c)에서 융착하여 시일부가 형성된다. In FIG.7 (B), in the area | region 26 between a core material and a core material, the outer cover materials are physically adsorb | sucking with each other by pressure reduction, and such an adsorption | suction part 26 fuse | bonds and seals in the following process (c). The addition is formed.

개구부 시일시의 외포재의 내압은, 흡착 부분이 후의 공정 (c)에서 단순한 가열에 의해서 융착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보통은 0.05Torr 이하, 특히 0.01 내지 0.005Torr가 적합하다. 내압이 지나치게 크면, 외포재가 이면끼리 충분히 흡착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 (c)에서 단순한 가열을 하더라도, 시일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at the time of the opening se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adsorption portion can be fused by simple heating in the subsequent step (c), and usually 0.05 Torr or less, particularly 0.01 to 0.005 Torr, is suitable. If the internal pressure is too large, the outer cover material does not sufficiently adsorb the back surfaces, so that even if simple heating is performed in step (c), the seal portion is not formed.

개구부의 시일부 형성을 위한 가열 부재는, 개구부로의 압접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가열 블록, 초음파 진동을 인가한 지그(jig), 고주파 자장을 인가한 지그 등을 들 수 있다. The heating member for forming the seal portion of the open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achieve pressure welding to the opening, and examples include a heating block, a jig to which ultrasonic vibration is applied, a jig to which a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is applied, and the like. have.

가열 부재의 온도, 압접력, 및 압접 시간은 개구부의 시일을 달성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mperature, the pressing force, and the pressing time of the heating membe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sealing of the opening can be achieved.

공정 (c); Step (c);

본 공정에서는, 개구부가 시일된 심재 수납 외포재를 단지 가열한다. 즉, 전번의 공정 (b)에서 형성된 외포재 이면끼리의 흡착 부분이, 단순한 가열에 의해서 융착하여, 시일부가 형성된다. In this process, only the core material storage outer cover material with which the opening part was sealed is heated. That is, the adsorption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formed in the previous process (b) is fused by simple heating, and a seal part is formed.

예컨대, 도 3(B)에서, 흡착 부분(6)이 융착하여, 결과로서 심재의 관통공부 내에서 시일부가 형성된다. 본 공정에서 형성되는 시일부를, 도 2(A)에서는 영역(3G)로서 나타낸다. For example, in FIG. 3B, the adsorption part 6 is fused, and as a result, a seal part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core material. The seal part formed at this process is shown as area | region 3G in FIG.2 (A).

또한 예컨대, 도 5(B)에서, 흡착 부분(16)이 융착하여, 결과로서 심재의 절결부 내에서 시일부가 형성된다. 본 공정에서 형성되는 시일부를, 도 4(A)에서는 영역(13G)로서 나타낸다. Also, for example, in FIG. 5B, the adsorption portion 16 is fused, and as a result, a seal portion is formed in the cutout portion of the core material. The seal part formed at this process is shown as area | region 13G in FIG.4 (A).

또한 예컨대, 도 7(B)에서, 흡착 부분(26)이 융착하여, 결과로서 심재와 심재 사이에서 시일부가 형성된다. 본 공정에서 형성되는 시일부를, 도 6(A)에서는 영역(23E)로서 나타낸다. Also, for example, in FIG. 7B, the adsorption portion 26 is fused to form a seal portion between the core material and the core material as a result. The seal part formed at this process is shown as area | region 23E in FIG. 6 (A).

가열 수단은 소정 온도로 승온 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보통은 오븐, 열풍 순환형 건조기 등을 이용한다. The heating mean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temperature can be rais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Usually, an oven, a hot air circulation dryer, or the like is used.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은, 외포재 이면끼리의 흡착 부분이 융착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가열 온도는, 예컨대 시일층(외포재의 최내층)의 융점 이상의 온도를 가하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시일층의 융점보다 5℃ 이상 높은 온도이다. 가열 시간은, 예컨대 1 내지 120초간, 특히 10 내지 60초간이 적합하다.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he heating tim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adsorption portions of the back surfaces of the outer cover material can be fus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dd the temperature more than melting | fusing point of a sealing layer (the innermost layer of an outer cover material), for example, and heating temperature is 5 degreeC or more higher than melting | fusing point of a sealing layer preferably. Heating time is suitable, for example, for 1 to 120 seconds, particularly for 10 to 60 seconds.

관통공부 및/또는 절결부를 갖는 진공 단열재를 제조하는 경우에, 추가로 이하의 공정 (d)를 포함한다. When manufacturi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has a through-hole and / or a cutout part, the following process (d) is further included.

공정 (d); Step (d);

본 공정에서는, 심재의 관통공부 및/또는 절결부 내에서의 시일부(도 2(A) 및 도 4(A)에 있어서 점선의 사선 영역)를, 주위에 시일부(도 2(A)의 3E, 도 4(A)의 13E)를 남긴 상태로 절취하여, 진공 단열재에 관통공부 및/또는 절결부를 형성한다. In this step, the seal portion (an oblique line region in dotted lines in Figs. 2A and 4A) in the through hole and / or the cutout portion of the core material is formed around the seal portion (Fig. 2A). 3E and 13E of FIG. 4 (A) are cut out, and the through-hole part and / or the cutout part are formed in a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를 제조할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외포재 내를 진공 배기한 상태로 외포재 개구부를 시일한 후에, 외포재 주연부의 내측 영역의 시일부(3G, 13G 또는 23E)를 단순한 가열, 특히 오븐 가열에 의해서 형성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가 얻어진다. 압접은 개구부의 시일부 형성을 위한 1회만으로 충분하고, 더구나 상기 압접을 위한 가열 부재는 복잡한 형상으로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진공 단열재는 간편하게 제조가능해진다. 또한 진공 단열재에서의 주연부의 내측 영역에 형성되는 시일부가 비교적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상기 시일부는 단순한 가열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진공 단열재는 간편하게 제조가능해진다. When manufacturi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2nd invention, after sealing the opening part of a cover material in the state which evacuated the inside of a cover material as mentioned above, the seal part 3G, 13G, or 23E of the inner side part of a cover material peripheral part was removed. When it forms by simple heating, especially oven heating, the effect shown below is acquired. The pressure contact is sufficient only once to form the seal portion of the opening, and furthermore, the heating member for the pressure contact does not need to be processed into a complicated shape, so that the vacuum insulator can be easily manufactured. Further, even when the seal portion form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vacuum insulator has a relatively complicated shape, the seal portion can be formed by simple heating, such a vacuum insulator can be easily manufactured.

(제 3 발명)(Third invention)

제 3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제 1 발명의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 심재가 수용된 내포재를 감압 상태로 외포재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3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특기하지 않는 한, 심재가 내포재에 수용되어 사용되는 것 이외에는 제 1 발명의 진공 단열재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제 3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 1 발명과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3rd invention WHEREIN: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1st invention WHEREIN: The inner material which accommodated the core material is accommodated in an outer wrap material in a reduced pressure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That is,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3rd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1st invention except the core material accommodated and used unless it mentions specially. Hereinafter, although 3rd invention is demonstrated, the description similar to 1st invention is abbreviate | omitted.

상세하게는, 제 3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적어도 심재, 상기 심재를 수용하는 내포재, 및 상기 내포재를 수용하여 내부를 감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외포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In detail,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3rd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a core material, the inner material which accommodates the said core material, and the outer material which accommodates the said inner material and can maintain an inside under reduced pressure.

제 3 발명에 있어서 심재로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심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As a core material in 3rd invention, the same thing as the core material in 1st invention is preferable.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심재로서의 섬유 집합체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시트상 또는 솜상이어도 좋다. 시트상으로 함으로써, 심재의 취급성 및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고, 또한 제조시 및 리사이클시의 환경 부하를 보다 저감할 수 있고, 더구나 진공 단열재의 단열성이 보다 향상된다. 솜상으로 함으로써, 제 3 발명의 목적을 보다 유효하게 달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솜상의 섬유 집합체를 이용하면, 외포재 흠집이나 외포재 개구부로의 심재 부착에 의해 외포재 내부를 감압 상태로 유지할 수 없어 진공 단열재의 수율이 저하되거나, 심재의 불균일화에 의해 단열성이 저하되기 쉽지만, 제 3 발명에서는 솜상 심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그와 같은 문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form of the fiber aggregate as the core member in the third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sheet or cotton. By making it into a sheet form, the handleability and workability of a core material further improve, and also the environmental load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recycling can be reduced more, and also the heat insulation of a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improves more. By setting it as a shape, the objective of 3rd invention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Conventionally, when the cotton-fiber aggregate is used, the inside of the envelope can not be kept at a reduced pressure due to scratches on the envelope or adhesion of the core to the opening of the envelope, so that the yield of the vacuum insulator is lowered, or the insulation of the core is uneven. Although it is easy to fall, in the 3rd invention, even when using a cotton core material, such a problem can be prevented effectively.

"솜상"이란 이른바 원면(原綿) 같은 상태를 가리키고, 섬유가 불규칙하게 얽혀서 일체화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른바 원면을 떠서 이루어진 웹 형상이나 니들 펀칭 가공 형상 등의 시트상 형상은 포함되지 않는다. "Smooth shape" refers to a so-called cotton-like state, and means a form in which fibers are irregularly entangled and integrated. Sheet-like shapes, such as a so-called web shape and needle punching process shape, which are formed by floating the surface, are not included.

내포재는 심재를 수용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기성을 갖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형태로서 예컨대 적어도 일부에 통기공을 갖는 필름, 및 직물, 편물 및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필름의 구멍의 크기 및 직물, 편물 및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진공 단열재 제조시의 감압 배기에 의해서 심재가 내포재로부터 비산하지 않고, 또한 내포재 내부도 원활하게 감압 배기 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 3 발명은 내포재로서 통기성을 갖지 않는 필름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통기성을 갖지 않는 내포재를 이용함으로써, 내포재 내부를 내포재 단독으로 감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The inclusion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accommodate the core material, and preferably has a form having breathability. As such a form, the film which has a ventilation hole in at least one part, and a woven fabric, a knitted fabric, a nonwoven fabric,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 size of the hole of the film and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woven fabric, the knitted fabric and the nonwoven fabric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core material does not scatter from the inclusion material due to the reduced pressure exhaust during manufacture of the vacuum insulation material, and the inside of the inclusion material can be decompressed smoothly. . 3rd invention does not exclude using the thing of the film form which does not have air permeability as an inclusion material. By using the inclusion material which does not have air permeability, the inside of the inclusion material can be kept at a reduced pressure with the inclusion material alone.

내포재의 재질은, 제 3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아웃 가스 발생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터제가 바람직하고, 또한 리사이클성의 관점에서는, 심재 및 내포재 모두 PET를 재질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 단열재 제조시의 심재 건조의 관점에서는, 융점이 100℃ 이상, 특히 100 내지 300℃ 정도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terial of the inclusion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third invention can be achiev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ester, polypropylene and nylon. The polyester agen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outgas generation, and from the viewpoint of recycling property,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PET as the material for both the core material and the inclusion material. Moreover, from a viewpoint of core material drying at the time of vacuum insulation material manufacture,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whose melting | fusing point is 100 degreeC or more, especially about 100-300 degreeC.

예컨대, 내포재로서의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직물, 편물 및 부직포는, 제 1 발명에서 심재로서 전기한 바와 같은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져도 좋다. For example, the woven fabric, knitted fabric, and nonwoven fabric made of polyester as the inclusion material may be made of polyester fibers as described above as the core material in the first invention.

제 3 발명의 진공 단열재에는, 제 1 발명에서와 마찬가지로, 경시적인 단열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가스 흡착재를 봉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발명에서, 가스 흡착재는 외포재와 내포재 사이 또는 내포재 중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내포재 내부의 심재에 가스 흡착재의 크기에 응한 구덩이(dent)를 형성해 두고, 상기 구덩이에 직접적으로 가스 흡착재를 배치할 수도 있고, 내포재 위에서 상기 구덩이의 위치에 가스 흡착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가스 흡착재는 통기공을 갖는 경질 용기에 수용된 것이더라도 좋고, 또는 통기성을 갖는 연질 용기(예컨대, 부직포로 이루어진 자루)에 수용된 것이더라도 좋다. It is preferable to enclose a gas adsorption material in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3rd invention from a viewpoint of further improving heat insulation with time similarly to 1st invention. In the third invention, the gas adsorbent is disposed between the envelope and the envelope or in the envelope. Preferably, a dent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gas adsorbent may be formed in the core inside the inclusion material, and the gas adsorbent may be disposed directly in the pit, and the gas adsorbent may be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pit above the inclusion material. It may be. The gas adsorbent may be housed in a hard container having air vents, or may be housed in a soft container having air permeability (eg, a bag made of nonwoven fabric).

제 3 발명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이하 설명한다.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3rd invention is demonstrated below.

우선, 소정 형태의 심재를, 자루상의 통기성 내포재에 삽입한다. 이 때 심재와 함께 가스 흡착재를 내포재에 삽입할 수도 있다. 심재가 시트상인 경우는 2 이상의 심재를 겹쳐 내포재에 삽입할 수도 있다. 자루상의 내포재는 개구부를 가지면 바람직하고, 예컨대, 사각형상의 2장의 내포재를 포개어 세방면을 결합한 것을 들 수 있다. 결합은 내포재의 재질에 의존하고, 예컨대 열융착에 의해서 달성되더라도 좋고, 또는 자수(sewing)에 의해서 달성되더라도 좋다. First, a core of a predetermined form is inserted into a bag-shaped breathable inclusion material. At this time, the gas adsorbent may be inserted into the inclusion material together with the core material. In the case where the core is in the form of a sheet, two or more cores may be overlapped and inserted into the inclusion material. The bag-shaped inclusion material should have an opening part, for example, what laminated | stacked the three sides by overlapping two rectangular pieces of envelope material. Bonding depends on the material of the inclusion material and may be achieved by, for example, heat fusion, or by embroidery.

이어서, 심재를 수용한 내포재의 개구부를 봉한다. 이 때, 프레스기 등의 지그에 의해서 소정의 심재 두께를 확보하면서 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스에 의해서 진공 단열재의 표면 평활성이 향상되어, 예컨대 냉장고 상자체 내면으로의 첩부시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추가로 단열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프레스시에는 압력뿐만 아니라, 열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과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진공 단열재의 표면 평활성이 보다 향상되어, 우수한 단열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심재의 섬유 집합체로서 솜상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레스시에 열을 부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레스시의 온도는 30 내지 100℃, 특히 35 내지 85℃가 적당하다. Next, the opening part of the inner bag which accommodated the core material is seal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seal while securing a predetermined core material thickness by a jig such as a press. By press, the surface smoothness of a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improves, for example,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sticking to the inner surface of a refrigerator box body improves, and heat insulation further improve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not only a pressure but a heat at the time of a press. This is because by providing heat and pressure, the surface smoothness of the vacuum insulator is further improved, and excellent heat insulation can be easily ensured. It is more preferable to apply heat at the time of pressing, especially when using a cotton-like thing as a fiber aggregate of a core material.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pressing is 30-100 degreeC, especially 35-85 degreeC.

내포재 개구부의 밀봉은, 열융착에 의해서 달성되더라도 좋고, 또는 자수에 의해서 달성되더라도 좋다. Sealing of the inclusion opening may be achieved by thermal fusion or by embroidery.

내포재에 심재를 수용시키고 개구부를 봉한 후에는, 수득된 내포재를 세방면이 열융착된 자루상의 외포재에 삽입한다. 이 때 가스 흡착재를 함께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심재를 수용한 내포재를 2 이상 포개어 외포재에 삽입할 수도 있다. After accommodating the core material in the inner bag and sealing the opening, the obtained inner bag is inserted into the outer bag member on the three sides heat-sealed. At this time, the gas adsorbent may be inserted together.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two or more nesting materials containing the core material into the outer packaging material.

내포재가 수용된 외포재는, 개구한 상태로 진공 흡인 장치 내로 이송되고, 내압이 0.1 내지 0.01Torr 정도의 진공도로 되도록 감압 배기된다. 그 후, 외포재의 개구부를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여, 진공 단열재가 얻어진다. The outer cover material in which the inner cover material is accommodated is transferred into the vacuum suction device in an open state, and is evacuated under reduced pressur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is about 0.1 to 0.01 Torr. Thereafter, the opening of the outer cover material is sealed by heat fusion to obtain a vacuum insulator.

진공 단열재는 심재 두께 및 심재 밀도를 조정하기 위해 실온에서 프레스 가공할 수도 있다. The vacuum insulation may be press processed at room temperature to adjust core thickness and core density.

단열성의 한층 더 향상의 관점에서는, 외포재 개구부의 밀봉 전에 심재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건조는, 심재를 수용하여 개구부가 봉해진 내포재를 외포재에 삽입하기 직전에 행하더라도 좋고, 또는 외포재에 삽입한 후이고, 감압 배기하기 전에, 외포재에 삽입한 상태로 행하더라도 좋다. 건조는 제 1 발명에서와 마찬가지로 원적외선에 의한 건조를 병용할 수도 있고, 진공 건조를 할 수도 있으며, 그 건조 조건은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심재의 건조 조건과 마찬가지이다. From a viewpoint of further improving heat insulation, it is preferable to dry a core material before sealing of an outer cover material opening part. In detail, drying may be performed just before inserting the inner material which accommodated the core material, and the opening part was sealed in the outer material, or after inserting it to the outer material, and performing it in the state inserted in the outer material before decompression-ventilating. You may. As in 1st invention, drying may use together the drying by far-infrared rays, and may vacuum-dry, and the drying conditions are the same as the drying conditions of the core material in 1st invention.

통기성을 갖지 않는 내포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심재를 자루상의 내포재에 삽입한 상태로 진공 흡인 장치 내에 넣고, 내압이 0.1 내지 0.01Torr 정도의 진공도로 되도록 감압 배기한 후, 내포재의 개구부를 열융착에 의해 밀봉한다. 바람직하게는 감압 배기하면서, 프레스기 등의 지그에 의해서 상기한 소정의 심재 두께를 확보한다. 이것에 의해서, 내부에 심재를 감압 상태로 수용한 내포재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자루상의 내포재는, 개구부를 갖고, 또한 상기 개구부를 감압 상태로 밀봉함으로써 내부를 감압 상태로 유지 가능하면 되고, 예컨대, 사각형상의 2장의 내포재를 포개어 세방면을 열융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의 심재 건조에 관해서는, 심재를 수용하고 개구부가 미시일된 내포재를, 감압 배기하기 전에 건조시키면 바람직하다. 내부에 심재를 감압 상태로 수용한 내포재를 얻은 후에는, 통기성을 갖는 내포재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포재에 삽입하고, 감압 하에서 외포재 개구부를 밀봉하면 된다. In the case of using a non-breathable inclusion material, the core material is placed in a vacuum suction device with the core material inserted into a bag-shaped inclusion material, and the pressure opening is carried out under reduced pressur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is about 0.1 to 0.01 Torr. Seal by fusion. Preferably, while depressurizingly evacuating, the above predetermined core thickness is ensured by a jig such as a press. Thereby, the inclusion material which accommodated the core material in the pressure reduction state inside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the bag-shaped inclusion material may have an opening, and the inside may be kept in a reduced pressure state by sealing the opening in a reduced pressure state. For example, two rectangular inclusions may be stacked to thermally seal three sides. have. Regarding the core material drying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ccommodate the core material and to dry the inclusion material in which the opening part is unsealed before evacuating under reduced pressure. After obtaining the inner material which accommodated the core material in pressure reduction inside, it inserts into an outer material similarly to the case where the air permeable inner material is used, an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al an outer part opening part under reduced pressure.

<실험예 A>Experimental Example A

<심재에 사용하는 섬유> <Fiber used for core material>

표 1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섬유를 사용했다. 폴리에스터 섬유는, 어느 것이나 섬유 길이 51m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였다. The polyester fiber of Table 1 was used. All of the polyester fibers wer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having a fiber length of 51 mm.

<실시예 A1> <Example A1>

표 1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섬유를 니들 펀칭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했다. 가공 직후의 시트 단위면적당 중량은 550g/m2였다. 상기 시트를 200mm×200mm의 크기로 재단하여, 온도 120℃에서 1시간 건조를 했다. 건조 후의 시트를 4장 적층하고, 상기 적층한 것을 심재로서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에 삽입하고, 동시에 가스 흡착재(사에스겟터즈사(Saes Getters Japan Co., Ltd.) 제품: C0MB0)를 1개 외포재 중에 삽입했다. 그 후, 진공 흡인 장치에서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진공 흡인을 하고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는, 200mm×200mm의 크기이고 두께 10mm였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의 심재의 밀도는 220kg/m3였다. The polyester fiber of Table 1 was processed into the sheet form by the needle punching method. The weight per sheet unit area immediately after the processing was 550 g / m 2 . The sheet was cut into a size of 200 mm × 200 mm, and dried at a temperature of 120 ° C. for 1 hour. Four sheets of dried sheets were laminated, and the laminated sheets were inserted into a gas barrier film envelope made of a four-layer structure of nylon, aluminum vapor-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high-density polyethylene as a core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a gas absorbent material Saes Getters Japan Co., Ltd. product: C0MB0) was inserted into one envelope. Thereafter, vacuum suction was performed in a vacuum suction devic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was 0.01 Torr and sealed by thermal fusion.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as 200 mm x 200 mm in size, and was 10 mm in thickness. The density of the core material of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as 220 kg / m <3> .

<실시예 A2 내지 A8, 비교예 A1 내지 A2의 제조방법> <Methods of Examples A2 to A8 and Comparative Examples A1 to A2>

심재에 사용하는 섬유의 종류 및 양을 표 1의 기재와 같이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A1과 같은 방법으로써 진공 단열재를 수득했다. 한편, 비교예 A2에서는 시트상으로의 가공을 하지 않고, 솜상의 섬유를 그대로 이용했다. A vacuum insulato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A1 except that the type and amount of fibers used for the core material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1.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A2, the cotton fiber was used as it was without processing into a sheet.

<비교예 A3><Comparative Example A3>

연속 기포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하여, 우선 200mm×200mm×10mm로 절단했다. 상기 심재를 온도 120℃에서 1시간 건조했다. 건조 후, 실시예 A1과 같은 외포재에 삽입하고, 동시에 가스 흡착재를 1개 외포재 중에 삽입했다. 그 후, 진공 흡인 장치에서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진공 흡인을 하고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여 진 공 단열재를 수득했다. Using continuous foam polyurethane foam, it cut into 200 mm x 200 mm x 10 mm first. The core material was dried at a temperature of 120 ° C. for 1 hour. After drying, it inserted into the same outer cover material as Example A1, and simultaneously inserted the gas adsorption material into one outer cover material. Thereafter, vacuum suction was performed in a vacuum suction devic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was 0.01 Torr and sealed by thermal fusion to obtain a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초기 단열성>Initial Insulation

초기 단열성의 평가는, "Autoλ HC-074"(에이코정기(주)(EKO Instruments Co., Ltd.) 제품)를 이용하여, 평균 온도 20℃의 열전도율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실시했다. 한편, 측정은 진공 흡인 공정에서 1일 경과 후에 측정했다. Evaluation of initial stage thermal insulation was performed by measur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20 degreeC of average temperature using "Auto (lambda) HC-074" (made by EKO Instruments Co., Ltd.). In addition, the measurement was measured after 1 day passed in a vacuum suction process.

<장기 단열성> <Long term insulation>

장기 단열성의 평가는, 초기 단열성을 평가한 진공 단열재를 70℃의 항온조에 넣고, 4주간 경과 후에 취출하고, "Autoλ HC-074"(에이코정기(주) 제품)를 이용하여, 평균 온도 20℃의 열전도율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실시했다. Long-term heat insulation evaluation puts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evaluated the initial heat insulation into the 70 degreeC thermostat, and it is taken out after 4 weeks, and average temperature is 20 degreeC using "Auto (lambda) HC-074" (made by Eco-Co., Ltd. product). It carried out by measur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작업성> <Workability>

섬유 집합체를 외포재에 삽입할 때의 작업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inserting a fiber aggregate into an outer cover material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섬유 집합체를 용이하게 외포재에 삽입할 수 있음; ○; Fiber assemblies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envelope;

×; 심재가 무르고, 외포재에 섬유 집합체를 균일히 삽입할 수 없음. ×; The core material is soft and the fiber aggregate cannot be evenly inserted in the envelope.

Figure 112007014517481-PCT00001
Figure 112007014517481-PCT00001

<실험예 B> Experimental Example B

<가스 흡착재의 제조> <Production of Gas Absorber>

가스 흡착재 A; Gas adsorbent A;

평균 섬유 굵기 1.5데니어 및 평균 섬유 길이 51m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이루어진 단위면적당 중량 50g/m2의 PET 부직포(치수 50mm×100mm)를 2장 포개어 세방면을 시일했다. 그 중에 가스 흡착 물질 10g을 넣고 개구부를 시일하여 가스 흡착재 A를 수득했다. Two PET nonwoven fabrics (size 50mm x 100mm) per unit area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having an average fiber thickness of 1.5 deniers and an average fiber length of 51 mm were piled up to seal three sides. 10 g of gas adsorption substance was put in it, the opening part was sealed, and gas adsorption material A was obtained.

가스 흡착재 B; Gas adsorbent B;

단위면적당 중량 60g/m2의 PET 부직포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가스 흡착재 A와 같은 방법에 의해 가스 흡착재 B를 수득했다. A gas adsorbent B was obtained by the same method as the gas adsorbent A, except that a P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60 g / m 2 per unit area was used.

가스 흡착재 C; Gas adsorbent C;

단위면적당 중량 150g/m2의 PET 부직포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가스 흡착재 A와 같은 방법에 의해 가스 흡착재 C를 수득했다. A gas adsorbent C was obtained by the same method as the gas adsorbent A, except that a P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150 g / m 2 per unit area was used.

가스 흡착재 D; Gas adsorbent D;

평균 섬유 굵기 0.5데니어 및 평균 섬유 길이 51mm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진 단위면적당 중량 60g/m2의 PP 부직포(치수 50mm×100mm)를 2장 포개어 세방면을 시일했다. 그 중으로 가스 흡착 물질 10g을 넣고 개구부를 시일하여, 가스 흡착재 D를 수득했다. Two PP nonwoven fabrics (size 50mm x 100mm) per unit area consisting of polypropylene fibers having an average fiber thickness of 0.5 denier and an average fiber length of 51 mm were piled up to seal three sides. 10 g of gas adsorption substance was put in it, and the opening part was sealed and the gas adsorption material D was obtained.

<실시예 B1> <Example B1>

표 2에 기재된 섬유를 니들 펀칭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했다. 한편, PET 섬유의 섬유 굵기는 1.5데니어이다. 상기 시트를 500mm×500mm의 크기로 재단하고, 온도 120℃에서 1시간 건조를 했다. 건조 후의 시트를 심재로서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에 삽입하고, 동시에 가스 흡착재 A를 1개 외포재 중에 삽입했다. 그 후, 진공 흡인 장치에서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진공 흡인을 하고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는 500mm×500mm의 크기이고 두께 1mm였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의 심재의 밀도는 220kg/m3였다. The fiber of Table 2 was processed into the sheet form by the needle punching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fiber thickness of PET fiber is 1.5 denier. The sheet was cut into a size of 500 mm × 500 mm, and dried at a temperature of 120 ° C. for 1 hour. The sheet after drying was inserted into the gas barrier film outer cover material which consists of a four-layered structure of nylon, aluminum vapor-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as a core material, and the gas adsorption material A was inserted in one outer cover material at the same time. Thereafter, vacuum suction was performed in a vacuum suction devic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was 0.01 Torr and sealed by thermal fusion. The vacuum insulator obtained was 500 mm × 500 mm in size and 1 mm in thickness. The density of the core material of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as 220 kg / m <3> .

<실시예 B2 내지 B5, 비교예 B1 및 참고예 B1> <Examples B2 to B5, Comparative Example B1 and Reference Example B1>

심재에 사용하는 섬유의 종류, 평균 섬유 직경 및 가스 흡착재의 종류 등을 표 2의 기재와 같이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같은 방법으로써 진공 단열재를 수득했다. A vacuum insulato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B1 except that the kind of fibers used for the core material, the average fiber diameter, the kind of the gas adsorbent, and the like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2.

<단열성> <Insulation>

단열성은, 실험예 A에서의 초기 단열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The heat insulation was evaluated by the same method as the initial heat insulation in Experimental example A. FIG.

<곡면 가공성> <Curvability>

수득된 진공 단열재를 직경 150mm, 길이 600mm의 원통상 플라스틱제 배관에 감아 붙였다. 그 때의 진공 단열재의 감아 붙이기 용이성, 배관과의 밀착 정도를 평가했다.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as wound up on the cylindrical plastic pipe of diameter 150mm and length 600mm. The ease of winding up of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t that time, and the adhesiveness with the piping were evaluated.

◎; 감아 붙이기 용이하고, 밀착 정도도 양호; ◎; It is easy to wind up and the adhesion degree is also good;

○; 약간 감아 붙이기 어렵지만, 밀착 정도는 양호;○; It is hard to wind slightly, but adhesion is good;

×; 감아 붙이기 어렵고, 밀착 정도도 불량. ×; It is hard to wind up, and adhesion is bad, too.

Figure 112007014517481-PCT00002
Figure 112007014517481-PCT00002

<실험예 C>Experimental Example C

<심재에 사용하는 섬유> <Fiber used for core material>

이하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했다. The following polyester fiber was used.

폴리에스터 섬유 A(노멀형 구조(PET), 섬유 굵기 1.5d, 섬유 길이 51mm, PET의 융점 260℃) Polyester fiber A (normal structure (PET), fiber thickness 1.5d, fiber length 51mm, melting point of PET 260 degrees Celsius)

폴리에스터 섬유 B(코어/쉘형 구조(코어부 및 쉘부; PET), 섬유 굵기 2d, 섬유 길이 51mm, 코어부: PET 융점 260℃(PET), 쉘부: PET 융점 120℃(PET))Polyester fiber B (core / shell type structure (core part and shell part; PET), fiber thickness 2d, fiber length 51mm, core part: PET melting point 260 degreeC (PET), shell part: PET melting point 120 degreeC (PET))

<실시예 C1> <Example C1>

표 3에 기재된 섬유를 이하의 방법에 따라서 니들 펀칭법 및 써멀 본딩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했다.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터 섬유 A 90중량% 및 폴리에스터 섬유 B 10중량%를 이용하여, 이들 혼면을 니들 펀칭법에 의해 예비적으로 시트상으로 한 후에, 써멀 본딩법으로 120℃에서 열처리하여, 시트상 심재를 수득했다. 가공 직후의 시트 단위면적당 중량은 550g/m2였다. The fiber of Table 3 was processed into the sheet form by the needle punching method and the thermal bon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Specifically, using 90% by weight of polyester fiber A and 10% by weight of polyester fiber B, these blended surfaces were preliminarily sheet-formed by the needle punching method, and then heat-treated at 120 ° C. by a thermal bonding method, A sheet core material was obtained. The weight per sheet unit area immediately after the processing was 550 g / m 2 .

수득된 시트를 200mm×200mm의 크기로 재단하고, 온도 105℃에서 1시간 건조를 했다. 건조 후의 시트를 4장 적층하고, 상기 적층한 것을 심재로 하여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에 삽입하고, 동시에 가스 흡착재(사에스겟터즈사 제품: C0MB0)를 1개 외포재 중에 삽입했다. 그 후, 진공 흡인 장치에서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진공 흡인을 하고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는 200mm×200mm의 크기이고 두께 10mm였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의 심재의 밀도는 220kg/m3였다. The sheet thus obtained was cut into a size of 200 mm × 200 mm, and dried at a temperature of 105 ° C. for 1 hour. Four sheets of dried sheets were laminated, and the laminate was used as a core material and inserted into a gas barrier film envelope made of a four-layer structure of nylon, aluminum vapor-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high-density polyethylene. Getters Co., Ltd. product: C0MB0) was inserted into one envelope. Thereafter, vacuum suction was performed in a vacuum suction devic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was 0.01 Torr and sealed by thermal fusion. The vacuum insulator obtained was 200 mm x 200 mm in size and 10 mm thick. The density of the core material of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as 220 kg / m <3> .

<실시예 C2 내지 C3> <Examples C2 to C3>

심재에 사용하는 섬유의 종류·사용 비율을 표 3의 기재와 같이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C1과 같은 방법으로써 진공 단열재를 수득했다. A vacuum insulato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C1 except that the type and the use ratio of the fibers used for the core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3.

<참고예 C1> <Reference Example C1>

표 3에 기재된 섬유를 이하의 방법에 따라서 니들 펀칭법만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한 심재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C1과 같은 방법으로써 진공 단열재를 수득했다.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터 섬유 A를 니들 펀칭법에 의해 웹 형상으로 가공했다. 가공 직후의 시트 단위면적당 질량은 550g/m2였다. Vacuum insulation was obtain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C1 except having used the fiber of Table 3 processed into the sheet form only by the needle pun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In detail, the polyester fiber A was processed into the web shape by the needle punching method. The mass per sheet unit area immediately after processing was 550 g / m 2 .

<참고예 C2> <Reference Example C2>

표 3에 기재된 섬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C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진공 단열재를 얻으려고 했지만, 섬유 집합체가 부정형으로 용융하여, 시트를 얻을 수 없었다. Except having used the fiber of Table 3, it tried to obtain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C1, but the fiber aggregate melted in amorphous form and the sheet was not obtained.

<비교예 C1> <Comparative Example C1>

표 3에 기재된 섬유를 시트상으로의 가공을 하지 않고, 솜상의 섬유 88g을 그대로 심재로서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C1과 같은 방법으로써 진공 단열재를 수득했다. A vacuum insulato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C1, except that 88 g of cotton fibers were used as a core material without processing the fibers shown in Table 3 in a sheet form.

<초기 단열성> Initial Insulation

초기 단열성은, 실험예 A에서의 초기 단열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Initial heat insulation was evaluated by the same method as the initial heat insulation in Experimental example A. FIG.

<작업성> <Workability>

심재(섬유 집합체)를 외포재에 삽입할 때의 작업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inserting the core material (fiber aggregate) into an outer cover material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심재를 각별히 용이하게 외포재에 삽입할 수 있음; ◎; Core material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envelope;

○; ◎보다도 작업성이 약간 뒤떨어지지만, 심재를 용이하게 외포재에 삽입할 수 있음;○; Workability slightly inferior to ◎, but the cor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envelope;

×; 심재가 무르고, 외포재에 섬유 집합체를 균일하게 삽입할 수 없음. ×; The core material is soft and the fiber aggregate cannot be evenly inserted into the envelope.

Figure 112007014517481-PCT00003
Figure 112007014517481-PCT00003

<실험예 D>Experimental Example D

<실시예 D1> <Example D1>

심재로서 섬유 굵기 1.5데니어, 평균 섬유 직경 12㎛, 섬유 길이 51mm의 폴리에스터 섬유(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이용했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니들 펀칭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했다. 가공 직후의 시트 단위면적당 중량은 660g/m2였다. 상기 시트를 200mm×200mm의 크기로 재단했다. 추가로 상기 시트 중앙부의 100mm×100mm 부분에 대한 섬유 부분을 오려 내고, 상기 크기의 관통공을 설치했다. 그 관통공을 갖는 시트를, 온도 110℃에서 1시간 건조를 했다. 상기 시트를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에 삽입했다. 그 후, 진공 흡인 장치에서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진공 흡인을 하고 외포재의 주연부의 미시일 부분, 즉 자루 개구 부분을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 진공 흡인 시간은 180초이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는, 200mm×200mm의 크기이고 두께 3mm이다. 또한, 100mm×100mm의 관통공 부분을 열프레스에 의해 융착함으로써 외포재 이면끼리를 시일했다. 그 후, 관통공 부분에 대하여, 중앙 70mm×70mm의 범위를 오려 내었다. 따라서, 관통공부의 내주부를 따라, 15mm폭의 시일 부분이 형성된 진공 단열재가 얻어졌다. 상기 진공 단열재는, 관통공부를 가지면서 상기 관통공부 내주 부분에서의 외포재의 파손도 없고, 심재와 외포재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진공 흡인 후의 심재 밀도는 220kg/m3였다. As the core material, a polyester fib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having a fiber thickness of 1.5 denier, an average fiber diameter of 12 µm, and a fiber length of 51 mm was used. The polyester fiber was processed into a sheet by needle punching. The weight per sheet unit area immediately after processing was 660 g / m 2 . The sheet was cut to a size of 200 mm x 200 mm. Furthermore, the fiber part about 100 mm x 100 mm part of the said sheet center part was cut out, and the through-hole of the said size was provided. The sheet having the through hole was dried at a temperature of 110 ° C. for 1 hour. The sheet was inserted into a gas barrier film envelope made of a four-layer structure of nylon, aluminum vapor-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Thereafter, vacuum suction was performed in the vacuum suction devic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was 0.01 Torr, and the micro-sealed portion, that is, the bag opening por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uter covering material was sealed by heat fusion. The vacuum suction time is 180 seconds. The vacuum insulator obtained was 200 mm x 200 mm in size and 3 mm in thickness. In addition, by sealing the through-hole portion of 100 mm x 100 mm by hot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ackaging material was sealed. Then, the range of center 70mm x 70mm was cut out about the through-hole part. Therefore,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in which the seal part of 15 mm width was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part of the through-hole part was obtained. The vacuum insulator was excellent in the adhesion between the core material and the outer cover material without the breakag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while having the through hole. The core material density after vacuum suction was 220 kg / m <3> .

<실시예 D2> Example D2

심재로서는 실시예 D1과 같은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했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니들 펀칭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했다. 가공 직후의 시트 단위면적당 중량은 660g/m2였다. 상기 시트를 200mm×200mm의 크기로 재단했다. 추가로 상기 시트 단부의 100mm×100mm 부분에 대한 섬유 부분을 절결하여, 상기 크기의 절결을 마련했다. 그 절결을 갖는 시트를 온도 110℃에서 1시간 건조를 했다. 상기 시트를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에 삽입했다. 그 후, 진공 흡인 장치에서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진공 흡인을 하고 외포재의 주연부의 미시일 부분, 즉 자루 개구 부분을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 진공 흡인 시간은 180초이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는, 200mm×200mm의 크기이고 두께 3mm이다. 또한, 100mm×100mm의 절결 부분을 열프레스에 의해 융착함으로써 외포재 이면끼리를 시일했다. 그 후, 절결 부분에 대하여, 60mm×60mm의 범위를 오려 내었다. 따라서, 절결부의 내주부를 따라, 20mm폭의 시일 부분이 형성된 진공 단열재가 얻어졌다. 당해 진공 단열재는, 절결부를 가지면서 당해 절결과 내주 부분에서의 외포재의 파손도 없고, 심재와 외포재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진공 흡인 후의 심재 밀도는 220kg/m3였다. As the core material, the same polyester fiber as in Example D1 was used. The polyester fiber was processed into a sheet by needle punching. The weight per sheet unit area immediately after processing was 660 g / m 2 . The sheet was cut to a size of 200 mm x 200 mm. Furthermore, the fiber part with respect to the 100 mm x 100 mm part of the said sheet edge part was cut out, and the notch of the said size was provided. The sheet | seat which had the notch was dried at the temperature of 110 degreeC for 1 hour. The sheet was inserted into a gas barrier film envelope made of a four-layer structure of nylon, aluminum vapor-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Thereafter, vacuum suction was performed in the vacuum suction devic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was 0.01 Torr, and the micro-sealed portion, that is, the bag opening por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uter covering material was sealed by heat fusion. The vacuum suction time is 180 seconds. The vacuum insulator obtained was 200 mm x 200 mm in size and 3 mm in thickness. Moreover, the outer surface back surfaces were sealed by fusion | melting the notch part of 100 mm x 100 mm by heat press. Then, the range of 60 mm x 60 mm was cut out about the notch part. Therefore,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in which the 20 mm wide sealing part was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part of a notch was obtained. The sai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had a notch, and was excellent in the adhesiveness of a core material and an outer cover material without the breakage and the damag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in an inner peripheral part. The core material density after vacuum suction was 220 kg / m <3> .

<실시예 D3> Example D3

심재로서는 실시예 D1과 같은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했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니들 펀칭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했다. 가공 직후의 시트 단위면적당 중량은 660g/m2였다. 상기 시트를 90mm×90mm의 크기로 재단했다. 그 시트를 4장, 온도 110℃에서 1시간 건조를 했다. 상기 시트를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에 삽입했다. 삽입 위치는, 각각의 심재가 20mm의 간격을 가지도록 하여, 4장 전체로서 200mm×200mm가 되도록 삽입했다. 그 후, 진공 흡인 장치에서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진공 흡인을 하고 외포재의 주연부의 미시일 부분, 즉 자루 개구 부분을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 진공 흡인 시간은 180초이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는 200mm×200mm의 크기이고 두께 3mm이다. 또한, 20mm×20mm인 각 심재의 외주부를 따라 열프레스에 의해 융착함으로써 외포재 이면끼리를 시일했다. 상기 진공 단열재는 외포재 중에 4장의 심재를 갖고 있으면서, 상기 각 심재 외주 부분에서의 외포재의 파손도 없고, 심재와 외포재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진공 흡인 후의 심재 밀도는 220kg/m3였다. As the core material, the same polyester fiber as in Example D1 was used. The polyester fiber was processed into a sheet by needle punching. The weight per sheet unit area immediately after processing was 660 g / m 2 . The sheet was cut to a size of 90 mm x 90 mm. Four sheets were dried at a temperature of 110 ° C. for 1 hour. The sheet was inserted into a gas barrier film envelope made of four layers of nylon, aluminum vapor-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The insertion position was inserted so that each core material had a space | interval of 20 mm, so that it might become 200 mm x 200 mm as a whole 4 sheets. Thereafter, vacuum suction was performed in the vacuum suction devic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was 0.01 Torr, and the micro-sealed portion, that is, the bag opening por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uter covering material was sealed by heat fusion. The vacuum suction time is 180 seconds. The resulting vacuum insulator was 200 mm x 200 mm in size and 3 mm thick.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ackaging material was sealed by fusion by heat pres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each cor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20 mm x 20 mm. The said vacuum insulator had four core materials in an outer cover material, and was excellent in the adhesiveness of a core material and an outer cover material without the damag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in each outer peripheral part of said core material. The core material density after vacuum suction was 220 kg / m <3> .

<실험예 E>Experimental Example E

<실시예 E1> <Example E1>

도 2(A) 및 (B)에 나타내는 진공 단열재를 이하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했다.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shown to FIG. 2 (A) and (B) was manufactured with the following method. It demonstrates using FIG.

심재(1)로서 섬유 굵기 1.5데니어, 평균 섬유 직경 12㎛, 섬유 길이 51mm의 폴리에스터 섬유(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이용했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니들 펀칭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했다. 가공 직후의 시트 단위면적당 중량은 660g/m2였다. 상기 시트를 200mm×200mm의 크기로 재단했다. 또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시트 중앙부의 100mm×100mm 부분에 대한 섬유 부분을 오려 내어, 상기 크기의 관통공(5)을 설치했다. 그 관통공(5)을 갖는 시트(1)를, 온도 110℃에서 1시간 건조를 했다. 상기 시트를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2)에 가스 흡착재(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삽입했다. 한편, 시일층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융점은 120℃였다. 그 후, 진공 흡인 장치에서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진공 흡인을 하고 외포재의 주연부의 미시일 부분, 즉 자루 개구 부분을 가열 부재를 이용한 압접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시일부(3D)의 형성). 이 때의 진공 단열재의 개략 상태도가 도 3(B)이다. 한편, 진공 흡인 후의 두께는 3mm, 진공 흡인 시간은 180초이다. 이어서, 이 진공 흡인 후의 것을, 160℃의 가열 오븐에서 30초간 열처리를 하여, 도 3(B)중, "6"으로 표시되는 시트 관통공 부분의 외포재 이면끼리를 융착시켰다. 냉각 후, 관통공 부분에 대하여, 중앙 70mm×70mm의 범위(도 2 중 3F)를 오려 내었다. 따라서, 관통공부의 진공 단열재측 내주부를 따라 15mm폭의 시일 부분(도 2 중 3E)이 형성된 진공 단열재가 얻어졌다. 진공 흡인 후의 심재 밀도는 220kg/m3였다. As the core material 1, a polyester fib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having a fiber thickness of 1.5 denier, an average fiber diameter of 12 µm, and a fiber length of 51 mm was used. The polyester fiber was processed into a sheet by needle punching. The weight per sheet unit area immediately after processing was 660 g / m 2 . The sheet was cut to a size of 200 mm x 200 mm. As shown in Fig. 3 (A), the fiber part with respect to the 100 mm x 100 mm part of the said sheet center part was cut out, and the through-hole 5 of the said size was provided. The sheet 1 having the through hole 5 was dried at a temperature of 110 ° C. for 1 hour. The sheet was inserted together with a gas adsorption material (not shown) into a gas barrier film envelope 2 having a four-layer structure of nylon, aluminum vapor-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On the other hand, melting | fusing point of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which is a sealing layer was 120 degreeC. Thereafter, vacuum suction was performed in the vacuum suction apparatus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was 0.01 Torr, and the seal portion, that is, the bag opening por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uter cover material was sealed by heat welding by pressure welding using a heating member (of the seal portion 3D). formation). The schematic state diagram of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t this time is FIG. 3 (B).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after vacuum suction is 3 mm, and the vacuum suction time is 180 seconds. Subsequently, the thing after this vacuum suction was heat-processed for 30 second in the 160 degreeC heating ove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of the sheet through-hole part shown by "6" in FIG. 3 (B) was fused. After cooling, the range (3F in FIG. 2) of the center 70 mm x 70 mm was cut out with respect to the through-hole part. Therefore,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in which the sealing part (3E in FIG. 2) of 15 mm width was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part of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side of a through hole part was obtained. The core material density after vacuum suction was 220 kg / m <3> .

이상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진공 배기 후에, 시트 관통공 부분의 외포재 이면끼리(도 3(B) 중 6)를 가열 부재에 의해 압접하는 열프레스 공정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우수하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does not perform the heat press process which press-contacts the back surfac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6 in FIG. 3 (B)) with a heating member after vacuum exhaust, and is very excellent in productivity. .

<실시예 E2> <Example E2>

도 4(A) 및 (B)에 나타내는 진공 단열재를 이하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했다.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shown to FIG. 4 (A) and (B) was manufactured with the following method. It demonstrates using FIG.

심재(11)로서는 실시예 E1과 같은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했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니들 펀칭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했다. 가공 직후의 시트 단위면적당 중량은 550g/m2였다. 상기 시트를 200mm×200mm의 크기로 재단했다. 또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시트 연단부의 100mm×100mm 부분에 대한 섬유 부분을 절결하여, 상기 크기의 절결(15)을 마련했다. 그 절결(15)을 갖는 시트(11)를, 온도 110℃에서 1시간 건조를 했다. 상기 시트를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12)에 가스 흡착재(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삽입했다. 한편, 시일층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융점은 120℃였다. 그 후, 진공 흡인 장치에서 내압이 0.01 Torr로 되도록 진공 흡인을 하고 외포재의 주연부의 미시일 부분, 즉 자루 개구 부분을 가열 부재를 이용한 압접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시일부(13D)의 형성). 이 때의 진공 단열재의 개략 상태도가 도 5(B)이다. 한편, 진공 흡인 후의 두께는 2.5mm, 진공 흡인 시간은 180초이다. 이어서, 이 진공 흡인 후의 것을, 160℃의 가열 오븐에서 30초간 열처리를 하여, 도 5(B)중, "16"으로 표시되는 시트 절결 부분의 외포재 이면끼리를 융착시켰다. 냉각 후, 절결 부분에 대하여, 60mm×60mm의 범위(도 4 중 점선의 사선 영역)를 오려 내었다. 따라서, 절결부의 진공 단열재측 내주부를 따라, 20mm폭의 시일 부분(도 4 중 13E)이 형성된 진공 단열재가 얻어졌다. 진공 흡인 후의 심재 밀도는 220kg/m3였다. As the core material 11, the same polyester fiber as Example E1 was used. The polyester fiber was processed into a sheet by needle punching. The weight per sheet unit area immediately after the processing was 550 g / m 2 . The sheet was cut to a size of 200 mm x 200 mm. 5 (A), the fiber part with respect to the 100 mm x 100 mm part of the said sheet edge part was cut out, and the notch 15 of the said size was provided. The sheet 11 having the cutout 15 was dried at a temperature of 110 ° C. for 1 hour. The sheet was inserted together with a gas adsorption material (not shown) into a gas barrier film envelope 12 having a four-layer structure of nylon, aluminum vapor-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On the other hand, melting | fusing point of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which is a sealing layer was 120 degreeC. Thereafter, vacuum suction was performed in the vacuum suction devic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was 0.01 Torr, and the seal portion, ie, the bag opening portion, at the periphery of the outer packaging material was sealed by heat welding by pressure welding using a heating member (of the seal portion 13D). formation). The schematic state diagram of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t this time is FIG. 5 (B).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after vacuum suction is 2.5 mm, and the vacuum suction time is 180 seconds. Subsequently, the thing after this vacuum suction was heat-processed for 30 second in the 160 degreeC heating ove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of the sheet notch part shown by "16" in FIG. 5 (B) was fused. After cooling, the cutout portion was cut out in a range of 60 mm x 60 mm (an oblique line region in FIG. 4). Therefore,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in which the 20 mm width sealing part (13E in FIG. 4) was formed alo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side inner peripheral part of a notch part was obtained. The core material density after vacuum suction was 220 kg / m <3> .

이상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진공 배기 후에, 시트 절결 부분의 외포재 이면끼리(도 5(B)중 16)를 가열 부재에 의해 압접하는 열프레스 공정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우수하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does not perform the heat press process which press-contacts the back surfac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16 in FIG. 5 (B)) with a heating member after vacuum exhaust, and is very excellent in productivity.

<실시예 E3> Example E3

도 6(A) 및 (B)에 나타내는 진공 단열재를 이하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했다.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shown to FIG. 6 (A) and (B) was manufactured with the following method. It demonstrates using FIG.

심재(21)로서는 실시예 E1과 같은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했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니들 펀칭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했다. 가공 직후의 시트 단위면적당 중량은 660g/m2였다. 상기 시트를 90mm×90mm의 크기로 재단했다. 그 시트 4장을, 온도 120℃ 및 진공도 0.1Torr에서 1시간 건조를 했다. 상기 시트(21)를,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22)에 삽입했다. 한편, 시일층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융점은 120℃였다. 삽입 위치는, 각각의 심재가 20mm의 간격을 가지도록 하여, 4장 전체로서 200mm×200mm가 되도록 했다. 그 후, 진공 흡인 장치에서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진공 흡인을 하고 외포재의 주연부의 미시일 부분, 즉 자루 개구 부분을 가열 부재를 이용한 압접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시일부(23D)의 형성). 이 때의 진공 단열재의 개략 상태도가 도 7(B)이다. 한편, 진공 흡인 후의 두께는 3mm, 진공 흡인 시간은 180초이다. 이어서, 이 진공 흡인 후의 것을, 160℃의 가열 오븐에서 30초간 열처리를 하여, 도 7(B) 중 "26"으로 표시되는 심재 외주부의 외포재 이면끼리를 융착시켜, 복수 심재를 갖는 진공 단열재를 수득했다. 진공 흡인 후의 심재 밀도는 220kg/m3였다. As the core material 21, polyester fibers similar to those of Example E1 were used. The polyester fiber was processed into a sheet by needle punching. The weight per sheet unit area immediately after processing was 660 g / m 2 . The sheet was cut to a size of 90 mm x 90 mm. Four sheets were dried at a temperature of 120 ° C. and a vacuum of 0.1 Torr for 1 hour. As shown in FIG. 7 (A), the sheet 21 was inserted into a gas barrier film envelope 22 having a four-layer structure of nylon, aluminum vapor-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On the other hand, melting | fusing point of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which is a sealing layer was 120 degreeC. The insertion position was such that each of the cores had a space of 20 mm, so that the entire four sheets were 200 mm x 200 mm. Thereafter, vacuum suction was performed in the vacuum suction devic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was 0.01 Torr, and the seal portion, i.e., the bag opening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outer packaging material was sealed by heat welding by pressure welding using a heating member (of the seal portion 23D). formation). The schematic state diagram of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t this time is FIG. 7 (B).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after vacuum suction is 3 mm, and the vacuum suction time is 180 seconds. Subsequently, this vacuum suction is heat-treated for 30 seconds in a 160 degreeC heating ov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material outer peripheral part shown by "26" in FIG. 7 (B) is fused, and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has multiple core materials is fused. Obtained. The core material density after vacuum suction was 220 kg / m <3> .

이상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진공 배기 후에, 심재 외주부의 외포재 이면끼리(도 7(B) 중 26)를 가열 부재에 의해 압접하는 열프레스 공정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우수하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is very excellent in productivity since it does not perform the heat press process of pressure-contacting the outer surface back surfaces of the core material outer peripheral part (26 in FIG. 7 (B)) with a heating member after vacuum evacuation.

<비교예 E1> <Comparative Example E1>

감압을 유지하면서 자루 개구 부분을 밀봉한 후에 가열 오븐에서 열처리를 하는 대신에, 가열 오븐에서 열처리를 한 후에 감압을 유지하면서 자루 개구 부분을 밀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E1과 같은 방법으로 진공 단열재를 제조했다. 도 3(B) 중, "6"으로 표시되는 시트 관통공 부분의 외포재 이면끼리의 융착이 달성되지 않기 때문에, 관통공(3F)의 형성에 의해, 진공 단열재 내부의 감압 상태가 유지될 수 없게 되었다. Instead of performing heat treatment in a heating oven after sealing the bag opening portion while maintaining the reduced pressure, a vacuum insulator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E1 except that the bag opening portion was sealed while maintaining the reduced pressure after the heat treatment in the heating oven. did. In Fig. 3B, since the fusion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outer covering material of the sheet through-hole portion indicated by "6" is not achieved, by the formation of the through-hole 3F, the decompression state inside the vacuum insulator can be maintained. It is gone.

<실험예 F>Experimental Example F

<실시예 F1> <Example F1>

통기성 PET 부직포(PET 섬유의 융점: 260℃)를 사각형상(250mm×270mm: 시일부도 포함한다)으로 재단하고, 2장의 부직포를 포개고, 세방면을 열융착에 의해서 결합하여, 통기성을 갖는 자루상 내포재를 제작했다. Breathable PET nonwoven fabric (melting point of PET fiber: 260 ° C) is cut into squares (250 mm x 270 mm: also includes a seal), superimposed two nonwoven fabrics, and the three sides are joined by heat fusion to form a breathable bag Produced the nesting material.

자루상 내포재에, PET 섬유(1.5데니어, 융점 260℃)로 이루어진 솜상 심재 88g을 균일하게 삽입했다. 심재를 수용한 내포재를, 가열 온도 40℃에서 프레스하면서, 개구부를 열융착에 의해서 봉했다. 프레스시의 심재 두께는 10mm였다. 프레스의 상형(上型)에는 높이 5mm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스에 의해서 가스 흡착재용의 구덩이를 형성했다. Into the bag-shaped inclusion material, 88 g of a cotton core material made of PET fiber (1.5 denier, melting point of 260 ° C) was uniformly inserted. The opening part was sealed by heat welding, pressing the inner material which accommodated the core material at the heating temperature of 40 degreeC. The core thickness at the time of press was 10 mm. The convex part of height 5mm was formed in the upper mold | type of a press, and the press for the gas adsorption material was formed.

심재를 수용하고 개구부가 봉해진 내포재를, 120℃에서 60분간 건조한 후,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250mm×270mm: 시일부도 포함한다)에 삽입함과 함께, 외포재 중의 내포재 위에 가스 흡착재(사에스겟터즈사 제품: COMBO-3)를 1개 삽입했다. 그 상태로 즉시 진공 흡인 장치에 넣고,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감압 배기를 하고,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는, 심재부가 200mm×200mm의 크기이고, 두께 10mm였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의 심재의 밀도는 220kg/m3였다. The inner material containing the core and the opening was sealed at 60 ° C. for 60 minutes, and then covered with a gas barrier film made of a four-layer structure made of nylon, aluminum-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high-density polyethylene (250 mm × 270 mm: seal part view). In addition, one gas adsorption material (SOS GETTERS Co., Ltd. product: COMBO-3) was inserted on the inner cover material in the outer cover material. It was immediately put into the vacuum suction apparatus in that state, and it exhausted under reduced pressure so that internal pressure might be set to 0.01 Torr, and it sealed by heat welding. In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core part was 200 mm x 200 mm in size, and was 10 mm in thickness. The density of the core material of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as 220 kg / m <3> .

<실시예 F2> <Example F2>

실시예 F1과 같은 자루상 내포재에, 실시예 F1에서 사용한 솜상 PET 섬유를 뜨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웹으로 이루어진 시트상 심재 88g을 삽입했다. 심재를 수용한 내포재를, 가열 온도 40℃에서 프레스하면서, 개구부를 열융착에 의해서 봉했다. 프레스시의 심재 두께는 10mm였다. Into the same bag-like inclusion material as in Example F1, 88 g of a sheet-shaped core material made of a web obtained by knitting cotton wool fibers used in Example F1 was inserted. The opening part was sealed by heat welding, pressing the inner material which accommodated the core material at the heating temperature of 40 degreeC. The core thickness at the time of press was 10 mm.

심재를 수용하고 개구부가 봉해진 내포재를,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250mm×270mm)에 삽입한 상태로, 120℃에서 60분간의 건조를 했다. 건조 후, 외포재 중의 내포재 위에 가스 흡착재(사에스겟터즈사 제품: COMBO-3)를 1개 삽입했다. 그 상태로 즉시 진공 흡인 장치에 넣고,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감압 배기를 하고,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는, 심재부가 200mm×200mm의 크기이고, 두께 10mm였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의 심재의 밀도는 220kg/m3였다. The inner material containing the core and the opening was sealed in a gas barrier film envelope (250 mm x 270 mm) formed of a four-layer structure of nylon, aluminum vapor-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high-density polyethylene. Drying was performed for a minute. After drying, one gas adsorption material (COMBO-3, manufactured by SAS GETTERZ Co., Ltd.) was inserted on the inner cover material in the outer cover material. It was immediately put into the vacuum suction apparatus in that state, and it exhausted under reduced pressure so that internal pressure might be set to 0.01 Torr, and it sealed by heat welding. In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core part was 200 mm x 200 mm in size, and was 10 mm in thickness. The density of the core material of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as 220 kg / m <3> .

<실시예 F3> <Example F3>

섬유 굵기 1.5데니어 및 평균 섬유 직경 11㎛의 PET 섬유(융점 260℃)를 니들 펀칭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했다. 시트 단위면적당 중량은 550g/m2였다. 시트 두께는 10mm였다. 상기 시트를 200mm×200mm의 크기로 재단하여 심재를 얻었다. PET fibers (melting point 260 ° C.) having a fiber thickness of 1.5 deniers and an average fiber diameter of 11 μm were processed into a sheet by needle punching. The weight per sheet area was 550 g / m 2 . The sheet thickness was 10 mm. The sheet was cut to a size of 200 mm x 200 mm to obtain a core material.

수득된 심재를, 실시예 F1과 같은 자루상 내포재에 삽입했다. 심재를 수용한 내포재의 개구부를 열융착에 의해서 봉했다. The obtained core material was inserted into the bag-like inner packing material like Example F1. The opening part of the inner material which accommodated the core material was sealed by heat welding.

심재를 수용하고 개구부가 봉해진 내포재를,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250mm×270mm: 시일부도 포함한다)에 삽입한 상태로, 120℃에서 60분간의 건조를 했다. 건조 후, 외포재 중의 내포재 위에 가스 흡착재(사에스겟터즈사 제품: COMBO-3)를 1개 삽입했다. 그 상태로 즉시 진공 흡인 장치에 넣고,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감압 배기를 하고,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는, 심재부가 200mm×200mm의 크기이고 두께 10mm였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의 심재의 밀도는 220kg/m3였다. In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the core material and sealed the opening part in the gas barrier film outer cover material (250mm x 270mm: including a seal part) which consists of a 4-layered structure of nylon, aluminum vapor-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It dried for 60 minutes at 120 degreeC. After drying, one gas adsorption material (COMBO-3, manufactured by SAS GETTERZ Co., Ltd.) was inserted on the inner cover material in the outer cover material. It was immediately put into the vacuum suction apparatus in that state, and it exhausted under reduced pressure so that internal pressure might be set to 0.01 Torr, and it sealed by heat welding. In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core part was 200 mm x 200 mm in size, and was 10 mm in thickness. The density of the core material of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as 220 kg / m <3> .

<실시예 F4> <Example F4>

자루상 내포재에 솜상 심재 176g을 균일하게 삽입한 것, 프레스시의 심재 두께는 20mm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F1과 같은 방법으로 진공 단열재를 수득했다. 진공 단열재의 두께는 약 20mm이며, 심재 밀도는 220kg/m3였다. A vacuum insulato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F1, except that 176 g of a cotton core material was uniformly inserted in the bag-shaped inner packing material and the core material thickness at the time of pressing was 20 mm. The thickness of the vacuum insulator was about 20 mm and the core density was 220 kg / m 3 .

<실시예 F5> <Example F5>

자루상 내포재에 3장의 웹으로 이루어진 시트상 심재 264g을 삽입한 것, 프레스시의 심재 두께는 30mm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F2와 같은 방법으로 진공 단열재를 수득했다. 진공 단열재의 두께는 약 30mm이며, 심재 밀도는 220kg/m3였다. A vacuum insulato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F2, except that 264 g of sheet-shaped core material consisting of three webs was inserted into the bag-shaped inclusion material and the core material thickness at the time of pressing was 30 mm. The thickness of the vacuum insulator was about 30 mm and the core density was 220 kg / m 3 .

<실시예 F6> <Example F6>

실시예 F3에서 수득된 심재용 시트를 3장 겹쳐 심재로서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F3과 같은 방법으로 진공 단열재를 수득했다. 진공 단열재의 두께는 약 30mm이며, 심재 밀도는 220kg/m3였다. A vacuum insulating material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F3, except that three sheets of the core material obtained in Example F3 were used as the core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vacuum insulator was about 30 mm and the core density was 220 kg / m 3 .

<비교예 F1> <Comparative Example F1>

솜상 PET 섬유 심재를 120℃에서 60분간 건조한 후, 직접적으로 외포재(250mm×270mm: 시일부도 포함한다)에 삽입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F1과 같은 방법으로 진공 단열재를 수득했다. 심재 밀도는 220kg/m3였다. A vacuum insulato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F1, except that the cotton-like PET fiber core was dried at 120 ° C. for 60 minutes and then directly inserted into an outer cover material (250 mm × 270 mm: also including a seal portion). Core density was 220 kg / m 3 .

<초기 단열성> Initial Insulation

초기 단열성은, 실험예 A에서의 초기 단열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Initial heat insulation was evaluated by the same method as the initial heat insulation in Experimental example A. FIG.

<장기 단열성> <Long term insulation>

장기 단열성은, 실험예 A에서의 장기 단열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Long-term heat insulation was evaluated by the same method as long-term heat insulation in Experimental example A. FIG.

<작업성> <Workability>

심재 또는 상기 심재를 수용한 내포재를 외포재에 삽입할 때의 작업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inserting a core material or the containing material which accommodated the said core material to an outer material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외포재에의 삽입이 간편함;○; Easy insertion into envelopes;

×; 외포재에의 삽입이 번거로움. ×; Insertion into envelopes is cumbersome.

<생산 효율> <Production efficiency>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있어서 진공 단열재의 제조 순서를 50회 반복했다. 수득된 50개의 진공 단열재 중, 제조 후 1일 경과 후에, 진공을 유지할 수 없었던 것의 수(x)에 따라서 평가했다. In each Example or comparative example, the manufacturing procedure of a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as repeated 50 times. Of 50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s, evaluation was made according to the number (x) of the thing which could not hold a vacuum after 1 day after manufacture.

○; 0 내지 1개;○; 0 to 1;

×; 2개 이상. ×; 2 or more.

Figure 112007014517481-PCT00004
Figure 112007014517481-PCT00004

<실험예 G> Experimental Example G

<실시예 G1> Example G1

가스 흡착재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이루어진 단위면적당 중량 60g/m2의 PET 부직포를 2장 포개어 세방면을 시일하고, 그 중으로 가스 흡착 물질을 넣고, 나머지의 개구부를 시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한, 심재로서 섬유 굵기 1.5데니어, 평균 섬유 직경 12㎛, 섬유 길이 51mm의 폴리에스터 섬유(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이용했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니들 펀칭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했다. 가공 직후의 시트 단위면적당 중량은 550g/m2였다. 상기 시트를 200mm×200mm의 크기로 재단하고, 온도 120℃ 및 진공도 0.1Torr에서 1시간 건조를 했다. 건조 후의 시트를 4장 적층하여, 상기 적층한 것을 나일론,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박,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4층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배리어 필름제 외포재에 삽입했다. 한편, 상기 가스 흡착재를 심재 상에 재치하고, 심재와 동시에 외포재에 삽입했다. 그 후, 진공 흡인 장치에서 내압이 0.01Torr로 되도록 진공 흡인을 하고 열융착에 의해 밀봉했다. 진공 흡인 시간은 180초이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는, 200mm×200mm의 크기이고 두께 10mm였다. 수득된 진공 단열재의 심재의 밀도는 220kg/m3였다. As the gas adsorption material, two PET nonwoven fabrics having a weight of 60 g / m 2 per unit area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were stacked to seal three sides, and a gas adsorption material was put thereinto, and the remaining openings were used. In addition, polyester fiber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having a fiber thickness of 1.5 denier, an average fiber diameter of 12 µm, and a fiber length of 51 mm were used as the core material. The polyester fiber was processed into a sheet by needle punching. The weight per sheet unit area immediately after the processing was 550 g / m 2 . The sheet was cut into a size of 200 mm × 200 mm, and dried for 1 hour at a temperature of 120 ° C. and a vacuum degree of 0.1 Torr. Four sheets after drying were laminated | stacked, and the said laminated | stacked thing was inserted into the gas barrier film outer cover material which consists of a four layer structure of nylon, aluminum vapor-deposited PET, aluminum foil, and a high density polyethylene. In addition, the said gas adsorption material was mounted on the core material, and it inserted into the outer cover material simultaneously with the core material. Thereafter, vacuum suction was performed in a vacuum suction devic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was 0.01 Torr and sealed by thermal fusion. The vacuum suction time is 180 seconds.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as 200 mm x 200 mm in size, and was 10 mm in thickness. The density of the core material of the obtaine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as 220 kg / m <3> .

<실시예 G2> Example G2

가스 흡착재로서, 단위면적당 중량 250g/m2의 폴리에스터 섬유(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제 부직포로 이루어진 시트상 포장체 내에 화학 흡착 물질을 내포시킨 것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G1과 같이 하여 진공 단열재를 작성했다. 한편, 진공 흡인 시간은 250초이다. 진공 흡인 후의 심재 밀도는 220kg/m3였다. A vacuum insulato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G1 except that the gas adsorption material was used by including a chemical adsorption material in a sheet-shaped package made of a nonwoven fabric made of polyester fib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having a weight of 250 g / m 2 per unit area. Created. On the other hand, the vacuum suction time is 250 seconds. The core material density after vacuum suction was 220 kg / m <3> .

<평가> <Evaluation>

실시예 G1의 진공 단열재는, 가스 흡착 물질이 외포재 중이더라도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갖는 시트상 포장체에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후에도 흡착 물질과 심재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다. 또한, 진공 단열재를 만곡시킨 경우에도, 표면 상태에 특별히 문제는 생기지 않았다. 또한, 흡착제를 단지 심재 위에 재치할 뿐이기 때문에, 생산성도 매우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G2의 진공 단열재는, 실시예 G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나타났다. Since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Example G1 is contained in the sheet-shaped package which has a polyester nonwoven fabric even if a gas adsorption material is in an outer cover material, an adsorption material and a core material can be easily separated after use. Moreover, even when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as curved, there was no problem in the surface state. In addition, since the adsorbent was merely placed on the core material, the productivity was also excellent.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f Example G2 showed the same effect as Example G1.

제 1 발명, 제 2 발명 및 제 3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냉장고, 자동판매기, 보냉 박스, 보냉차, 저탕 탱크, 저빙 탱크, 급탕 탱크, 진공 단열 배관, 자동차의 성형 천장, 욕조 등의 단열재로서 적용가능하고, 더욱 광범위한 용도 전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Vacuum insulator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ventions are used as insulation materials for refrigerators, vending machines, cold storage boxes, cold storage cars, storage tanks, storage tanks, hot water tanks, vacuum insulation pipes, molded ceilings of automobiles, bathtubs, and the like. It is applicable and enables a wider range of uses.

특히, 제 2 발명의 진공 단열재는, 배선이나 배관 등의 돌기부를 갖는 부재, 예컨대, 급수 기기에 있어서의 원통상 탱크, 배관 설비에 있어서의 원통상 배관 등 에 적용가능하고, 또한, 냉장고의 하우징, 보냉 박스의 광체 등의 요철부, 배선 및 배관에 따르게 한 단열재로서도 적용가능하다. In particular, the vacuum insulator of the second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member having projections such as wiring and piping, for example, a cylindrical tank in a water supply device, a cylindrical pipe in a plumbing facility, and the like, and a housing of a refrigerator. It is also applicable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conforms to the uneven part, wiring, and piping, such as the housing of a cold storage box.

Claims (22)

적어도 심재, 및 상기 심재를 수납하여 내부를 감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외포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심재가 섬유 굵기 1 내지 6데니어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시트상 섬유 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At least a core material and an outer cover material for accommodating the core material to maintain the inside in a reduced pressure state, wherein the core material is a sheet-like fiber aggregate containing 50% by weight or more of polyester fibers having a fiber thickness of 1 to 6 denier Vacuum insul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폴리에스터 섬유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인 진공 단열재. Vacuum insulation, wherein the polyester fibers ar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폴리에스터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이 9 내지 25㎛인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having an average fiber diameter of polyester fibers of 9 to 25 µm.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섬유 집합체가 니들 펀칭법에 의해서 시트상으로 가공되어 있는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in which a fiber assembly is processed into a sheet by a needle punch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심재의 밀도가 100 내지 450kg/m3인 진공 단열재. Vacuum insulation with a core density of 100 to 450 kg / m 3 .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심재가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집합체인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in which the core is a fiber assembly made of polyester fiber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심재의 진공 흡인 후의 두께가 0.1 내지 5mm인 진공 단열재.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whose thickness after vacuum suction of a core material is 0.1-5 mm.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연질 포대에 가스 흡착 물질이 수용되어 이루어진 가스 흡착재를 추가로 수납하여 이루어진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formed by additionally storing a gas adsorbent containing a gas adsorbent material in a soft bag.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가스 흡착재의 포대가 폴리에스터 섬유제 부직포로 이루어진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wherein the gas adsorbent bag is made of polyester fiber nonwoven fabric.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가스 흡착재의 포대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제 부직포로 이루어진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wherein the gas adsorbent bag is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nonwoven fabric.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30 내지 20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nonwoven fabric is 30 to 200 g / m 2 .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심재가 융점이 다른 적어도 2종류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상 섬유 집합체인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wherein the core is a sheet-like fiber assembly comprising at least two kinds of polyester fibers having different melting points.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섬유 집합체가 써멀 본딩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되어 이루어진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in which a fiber assembly is processed into a sheet by a thermal bonding method.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섬유 집합체가 니들 펀칭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된 후, 추가로 써멀 본딩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가공되어 이루어진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wherein the fiber aggregate is processed into a sheet by needle punching, and then processed into a sheet by thermal bonding.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가 110 내지 170℃의 저융점을 갖고,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융점보다 20℃ 이상 높은 고융점을 갖는 진공 단열재. A low-melting-point polyester fiber has a low melting point of 110 to 170 ° C, and the high-melting point polyester fiber has a high melting point of at least 20 ° C higher than that of the low-melting polyester fiber.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가 코어/쉘(core/shell)형 구조를 갖고, 상기 쉘부가 상기 저융점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고,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가 상기 고융점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만으로 이루어진 진공 단열재.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 has a core / shell type structure, the shell part is made of the low melting poi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the high melting point polyester fiber is made of only the high melting poi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와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배합 비율이 중량비로 10:90 내지 30:70인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wherein the blending ratio of the low melting polyester fiber and the high melting polyester fiber is 10:90 to 30:70 by weigh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외포재 이면끼리가 융착되어 이루어진 시일부를 외포재의 주연부 및 상기 주연부의 내측 영역에 갖는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having a seal portion formed by fus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material on a peripheral portion of the outer cover material and an inner reg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제 1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진공 단열재에는 관통공부 및/또는 절결부를 갖는 동시에, 외포재의 주연부 및 상기 관통공부 및/또는 절결부의 내주부를 따라 외포재 이면끼리가 시일되어 이루어진 진공 단열재. The vacuum insulator includes a through hole and / or a cutout, and a back surface of the wrapper is seal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outer cover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and / or the cutout. 제 1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외포재 중에는 2개 이상의 심재가 수납되고, 외포재의 주연부 및 각 심재의 외주부를 따라 외포재 이면끼리가 시일되어 이루어진 진공 단열재. Two or more core materials are accommodated in the said outer cover material, and the back surface of the outer wrap material is seal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wrapper and each cor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심재가 수용된 내포재를 감압 상태로 외포재에 수용하여 이루어진 진공 단열재. Vacuum insulation made by accommodating the inner material containing the core material in the outer material in a reduced pressure state. 제 2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1, 내포재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내포재인 진공 단열재. A vacuum insulator, wherein the inclusion material is an inclusion material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KR1020077003781A 2004-07-20 2005-07-19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KR10096597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11678 2004-07-20
JP2004211678A JP2006029505A (en) 2004-07-20 2004-07-20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JP2004242113A JP2006057213A (en) 2004-08-23 2004-08-23 Core material for vacuum heat insulator and vacuum heat insulator using the core material
JPJP-P-2004-00242113 2004-08-23
JPJP-P-2004-00346728 2004-11-30
JP2004346728A JP4012903B2 (en) 2004-11-30 2004-11-30 Vacuum insulation
JPJP-P-2004-00353542 2004-12-07
JP2004353542A JP2006161939A (en) 2004-12-07 2004-12-07 Vacuum thermal insulating material
JPJP-P-2004-00379281 2004-12-28
JPJP-P-2005-00102028 2005-03-31
PCT/JP2005/013255 WO2006009146A1 (en) 2004-07-20 2005-07-19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650A Division KR20090017645A (en) 2004-07-20 2005-07-19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607A true KR20070035607A (en) 2007-03-30
KR100965971B1 KR100965971B1 (en) 2010-06-24

Family

ID=4365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781A KR100965971B1 (en) 2004-07-20 2005-07-19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97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889B1 (en) * 2020-09-14 2021-11-02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Core material for vacuum insu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2055046A1 (en) * 2020-09-14 2022-03-17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Core for vacuum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0449A1 (en) * 2013-11-26 2015-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insulato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JP6594618B2 (en) 2013-11-26 2019-10-23 三星電子株式会社 Vacuum insulation, insulation box and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6028B2 (en) * 2000-12-21 2005-06-02 松下冷機株式会社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or recycling method of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JP2002333092A (en) * 2001-05-09 2002-11-2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Fiber and fine particle composite heat-insulating materi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889B1 (en) * 2020-09-14 2021-11-02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Core material for vacuum insu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2055046A1 (en) * 2020-09-14 2022-03-17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Core for vacuum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971B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7645A (en)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JP2006283817A (en)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CN100538147C (en) Vacuum thermal insulating material
KR100540522B1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and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142983A1 (en) Composite core material for vacuum insulation pane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vacuum insulation panel using the same
JP2013508652A (en) Vacuum insulatio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777661B2 (en) Vacuum insulation
US9151435B2 (en) Vacuum insulation material including an inner b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1005693A (en) Gas barrier laminated film for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flame-retardant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KR100965971B1 (en)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JP4012903B2 (en) Vacuum insulation
JP2008286282A (en)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JP2006162076A (en) Vacuum thermal insulating material
JP200618381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JP2007239764A (en) Usage of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JP2009228886A (en)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heat insulating box using the same
JP2010281444A (en) Heat insulating material
JP2012092870A (en)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heat insulating box using the same
JP2011038574A (en)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refrigerator using this
JP2006161939A (en) Vacuum thermal insulating material
JP5591612B2 (en) Vacuum insulation core material and vacuum insulation material using the core material
JP2015014326A (en) Heat insulation member and cold/hot storage box
JP5033595B2 (en) Vacuum insulation
JP2006057213A (en) Core material for vacuum heat insulator and vacuum heat insulator using the core material
JP2007050521A (en) Manufacturing method of vacuum heat insulat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