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608A - 차량 클러치용 마찰장치 및 차량용 클러치 - Google Patents

차량 클러치용 마찰장치 및 차량용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608A
KR20070034608A KR1020077002148A KR20077002148A KR20070034608A KR 20070034608 A KR20070034608 A KR 20070034608A KR 1020077002148 A KR1020077002148 A KR 1020077002148A KR 20077002148 A KR20077002148 A KR 20077002148A KR 20070034608 A KR20070034608 A KR 20070034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riction device
hub
vehicle clutch
offs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그 미네로
올리비에 파페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070034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6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2013/642Clutch-plates; Clutch-lamellae with resilient attachment of frictions rings or linings to their supporting discs or plates for allowing limited axial displacement of these rings or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찰 장치는 두 개의 마찰 라이닝들 및 지지체(28)를 구비하고, 지지체(28)는 허브(34)를 구비한다. 허브(34)는 두 개의 앵귤러 연부들(38A, 38B)에 의해 한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블레이드(36)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라이닝에 연결되는 베어링 표면(44) 및 제 2 라이닝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유 베어링 표면(46A, 46B, 55)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된 베어링 표면(44) 및 자유 베어링 표면(46A, 46B)은, 두 개의 절곡 라인들(52A, 54A; 52B, 54B)에 의해 한정되는 블레이드 슬립(50A, 50B)에 의해 서로로부터 격리된다. 각각의 앵귤러 연부(38A, 38B)는 오목부(60A, 60B)를 구비하고, 오목부(60A, 60B)는 상기 블레이드 슬립(50A, 50B) 및 블레이드 슬립(50A, 50B)에 근접한 베어링(44) 및 자유 표면들의 부분들을 한정한다. 상기 오목부(60A, 60B)는, 어떠한 지점에서도 상기 블레이드 슬립(50A, 50B)을 한정하고, 특정 지점에 가장 가까운 절곡 라인과 공동으로 70 내지 110°의 각을 갖는 접선을 형성하는 오목한 곡률을 갖는다.

Description

차량 클러치용 마찰장치 및 차량용 클러치{CLUTCH FRICTION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AND A CLUTCH PROVIDED WITH SAID DEVICE}
본 발명은 특히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 차량에 있어서, 단일 또는 이중 형태의 클러치가 대체로 정렬된 회전 축선들(rotation axes)을 갖는 구동 및 피동 회전 부재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구동 회전 부재는 엔진 특히 엔진 크랭크샤프트에 결합되며, 피동 부재는 기어박스 축에 결합된다.
클러치는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적으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구를 구비하며, 이 기구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고정된 관성 플라이휠에 고정된다. 상기 기구는 커버, 다이어프램 및 압력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들 요소들은 모두 상기 구동 부재에 회전적으로 연결된다.
클러치는 또한 상기 구동 부재에 회전적으로 연결되는 마찰 디스크를 구비하는 마찰 장치를 구비한다.
구동 및 피동 회전 부재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다이어프램은 압력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와 회전적으로 일체화되는 반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마찰 디스크를 파지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반력 플레이트는 관성 플라이휠에 의해 형성된다.
마찰 디스크는 전체적으로 회전체의 형상을 취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 상의 제 1 및 제 2 베어링 표면들 상에 각각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마찰 라이닝들을 수반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베어링 표면들은 축방향으로 옵셋되어 제 1 및 제 2 마찰 라이닝들 사이에 축방향 가요성을 제공한다.
점진도(progressiveness)로서도 또한 언급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표면들의 축방향 옵셋은, 상기 마찰 디스크가 상기 압력 플레이트 및 반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파지되었을 때 제 1 및 제 2 라이닝들의 서로에 관한 저-진폭 축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라이닝들의 서로에 관한 이동은 1 mm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7 mm 사이이다.
압력 플레이트와 반력 플레이트 사이에서의 상기 마찰 디스크의 파지는 제어 페달을 매개로 하여 차량 운전자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페달은 마찰 디스크가 파지되지 않는 분리 위치와 마찰 디스크가 파지되는 계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압력 플레이트에 관한 반력 플레이트의 이동은 제어 페달의 이동과 관계되며, 상기 점진도는 마찰 디스크가 파지되었을 때 제어 페달의 증가된 이동을 허용한다. 이는, 압력 디스크의 점진적인 파지중 제 1 및 제 2 라이닝들의 서로에 관 한 축방향 이동이 파지력의 증가에 있어서의 시작과 종료 사이에서 제어 페달의 부가적인 이동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예컨대, 플레이트들의 온도가 증가되어 이들 플레이트들의 변형을 유발할 때, 상기 압력 및 반력 플레이트들 사이의 평형관계가 때때로 훼손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점진도는 마찰 디스크의 파지력이 상기 제 1 및 제 2 마찰 라이닝들의 각각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파지력의 균일한 분산은 클러치의 수명을 연장시킨다는 관점에서 중요하다.
점진도를 보장하기 위해, 선행 기술, 특히 FR-A-2 693 778 호를 참조하면, 특히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이러한 형태의 장치는, 실질적으로 각도를 이루면서 동축적인 제 1 및 제 2 마찰 라이닝 및 전체적으로 회전체의 형상을 취하며 두개의 앵귤러 연부들에 의해 한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블레이드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허브를 구비하는 지지체로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 1 라이닝에 연결되는 베어링 표면 및 상기 제 2 라이닝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유 베어링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된 베어링 표면 및 자유 베어링 표면은 두 개의 절곡 라인들에 의해 한정되는 축방향 블레이드 옵셋에 의해 서로 격리되는, 상기 지지체를 구비한다.
지지체 내에 제공되는 상기 축방향 옵셋은 제 1 및 제 2 라이닝들이 압력 및 반력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압축되었을 때 제 1 및 제 2 라이닝들 사이에 스프링 효과를 창출한다. 이러한 스프링 효과는 클러치 작동의 점진도를 보장한다.
그러나, 자동차 제조업자들에 의해 요구되는 크기 제한사항들을 만족시키면 서 상기 클러치의 치수들을 증가시키지 않고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 토크를 증가시킬 것이 요망된다.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해, 압력 플레이트에 의해 인가되는 파지력이 일반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마찰 라이닝들이 내부 및 외부 반경들에 의해 한정되는 상태에서, 클러치는 일반적으로 마찰 라이닝들의 내부 반경보다 작은 반경 상에 배열되는 진동 감쇠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더욱 부피가 크고 그러므로 더욱 효과적인 감쇠 수단을 하우징하기 위해 마찰 라이닝들의 내부 반경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찰 라이닝들의 표면들은 감소한다.
압력 플레이트에 의해 인가되는 파지력의 증가 및 마찰 라이닝들의 표면적 감소는, 라이닝들 즉 점진도를 제공하는 블레이트 옵셋 상에 부여되는 압력의 현저한 증가를 유발한다.
그러므로, 지지체 블레이드들의 특정 부분들, 특히 앵귤러 윤곽들에 의해 한정되는 부분들에 있어서 큰 힘들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힘들은 더 큰 피로, 더욱 신속한 마모 및 더욱 높은 파열 위험도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고 토크를 전달하도록 의도된 클러치 마찰 장치의 조기 마모를 방지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기한 형태의 마찰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앵귤러 연부가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블레이드 옵셋 및 블레이드 옵셋에 근접한 연결된 베어링 표면 및 자유 베어링 표면의 부분들을 한정하며, 상기 앵귤러 연부의 상기 오목부는, 어떠한 지점에서도 상기 블레이드 옵셋을 한정하면서 접선이 고려되는 지점에 가장 가까운 절곡 라인과 공동으로 70° 내지 110°의 각을 형성하는 접선을 갖는, 오목한 커브를 형성한다.
이러한 형태의 마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내의 응력들을 가능한한 분산시키도록 적합화되며, 이에 의해 블레이드의 파열 위험도가 감소되며 마찰 장치의 수명이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 장치는 또한 이하의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상기 자유 베어링 표면을 한정하는 오목한 커브 상의 특정 지점이 접선이 고려되는 지점에 가장 가까운 절곡 라인과 70° 내지 110°의 각을 형성하는 접선을 가짐;
상기 자유 베어링 표면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의 오목부가, 상기 블레이드 옵셋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의 부분과 지지체의 반경과 대체로 일치하는 앵귤러 연부의 직선 부분 사이에서 연장됨;
상기 연결된 베어링 표면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의 상기 오목부가, 상기 블레이드 옵셋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의 부분과 블레이드에 허브를 연결시키는 축방향 허브 옵셋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의 부분 사이에서 연장됨;
상기 허브 옵셋이 두 개의 절곡 라인들에 의해 한정되고, 앵귤러 연부의 오목부 상의 특정 지점은 접선이 고려되는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상기 절곡 라인과 함께 70° 내지 110°의 각을 형성하는 접선을 갖는 연결된 베어링 표면을 한정하면서 상기 블레이드 및 허브 옵셋을 한정함;
상기 앵귤러 연부의 상기 오목부가 또한, 상기 허브 옵셋, 및 허브 옵셋에 근접한 허브의 일부를 한정함;
상기 블레이드의 자유 베어링 표면이,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앵귤러 연부, 및 블레이드의 상기 앵귤러 연부에 근접한 원형 주변 연부에 의해 한정됨;
상기 블레이드 옵셋이, 상기 블레이드의 메디안 반경에 관하여 40°내지 50°의 각도만큼 경사된 두 개의 대체로 평행한 절곡 라인들에 의해 한정됨;
상기 블레이드가, 블레이드의 두 개의 앵귤러 연부들에 의해 각각 한정되는 두 개의 자유 베어링 표면들를 구비함;
상기 블레이드가, 블레이드의 두 개의 앵귤러 연부들에 의해 각각 한정되는 두 개의 자유 베어링 표면들 사이에 각도적으로 개재되는 블레이드 내의 개구부 내에서 연장되는 설부 상에 제공되는 자유 베어링 표면을 구비함;
상기 허브가, 오목한 허브 연부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두 개의 근접한 앵귤러 연부들에 의해 각각 한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근접한 주변 블레이드들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됨;
상기 허브가, 수 개의 주변 블레이드들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블레이드들은 상기 제 1 라이닝에 연결되는 블레이드와 제 2 라이닝에 연결되는 블레이드가 교대적으로 배열됨;
적어도 하나의 앵귤러 마찰 라이닝이, 내부 윤곽의 직경에 대한 외부 윤곽의 직경의 비가 1.4 미만, 바람직하게는 1.35 미만이 되도록, 외부 및 내부 윤곽들에 의해 한정됨;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이 연결된 베어링 표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 및
상기 마찰 장치가 마모물 적출 장치를 구비함.
본 발명은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은 마찰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임의적으로, 상기 클러치는 구동 및 피동 회전 부재들을 결합시키도록 의도되며, 상기 피동 회전 부재는 자동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회전적으로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이하에 주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찰 장치의 축방향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마찰 장치의 지지체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
도 3은 변형예에 따른 마찰 장치 지지체를 나타내는 도 2와 유사한 도면.
마찰 장치(10)는 차량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와 같은 구동 부재로부터 기어박 스 입력축과 같은 피동축으로 회전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댐퍼(12)를 구비한다.
이러한 토크 전달을 위해, 댐퍼(12)는 크랭크샤프트에 회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마찰 디스크(14)와 같은 입력 회전 요소 및 기어박스 입력축에 회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원통형 허브(16)와 같은 출력 회전 요소 사이에 장착된다.
클러치는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적으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구(도시안됨)를 구비하며, 이 기구는 크랭크샤프트에 고정되는 관성 플라이휠에 고착된다. 상기 기구는 커버, 다이어프램, 및 압력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들 요소들은 모두 상기 구동 부재에 회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 및 피동 회전 부재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마찰 디스크(14)를, 압력 플레이트 및 커버에 회전적으로 고정되는 반력 플레이트 사이에, 파지한다.
상기 댐퍼(12)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진동들을 필터링하도록 의도된다. 이를 위해, 댐퍼(12)는 리벳들(22)에 의해 마찰 디스크(14)에 회전적으로 연결되는 가이드 와셔들(18 및 20) 사이에 개재되는 감쇠 수단(17), 및 허브(16)에 회전적으로 연결되는 댐퍼 플레이트(24)를 구비한다.
마찰 디스크(14)는 전체적으로 회전체의 형상을 취하는 지지체(28)를 구비하고, 지지체(28)는 제 1 및 제 2의 대체로 환형이고 동축적인 마찰 라이닝들(30, 32)을 수반한다.
도 2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지지체(28)는 주변 블레이드들(36)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허브(34)를 구비한다.
각각의 주변 블레이드(36)는 두 개의 앵귤러 연부들(38A 및 38B) 및 앵귤러 연부들(38A 및 38B)에 근접한 원형 주변 연부(42)에 의해 한정된다. 두 개의 근접한 주변 블레이드들(36)의 두 개의 근접한 앵귤러 연부들(38A, 38B)이 허브(34)의 오목 연부(43)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각각의 블레이드(36)는 통상적인 연결 수단(45)에 의해 제 1 라이닝(30)에 연결되는 베어링 표면(44), 및 제 2 라이닝(32)과 접촉되는 제 1 및 제 2 자유 베어링 표면들(46A, 46B)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된 베어링 표면(44) 및 자유 베어링 표면들(46A, 46B)은 축방향 블레이드 옵셋(50A, 50B)에 의해 각각 서로로부터 격리된다. 각각의 옵셋(50A, 50B)은 두 개의 절곡 라인들(52A, 54A, 52B, 54B)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지지체(28)에 있어서 제 1 라이닝(30)에 연결되는 블레이드들(36)과 제 2 라이닝(32)에 연결되는 블레이드들(36)이 서로 교대적으로 배열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45)은 리벳 부착 오리피스들이다. 이 경우, 리벳 헤드가 마찰 라이닝(30, 32)의 두께 내에서 돌출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라이닝(30, 32)이 마모됨에 따라, 마찰 디스크가 파지될 시 압력(또는 각각의 반력) 플레이트가 라이닝 보다는 리벳 헤드와 접촉할 때까지, 라이닝의 두께는 감소된다. 상기 클러치는 그리고나서 정상적인 방식으로 작동할 수 없게 된다.
마찰 라이닝(30, 32)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변형예에서, 상기 연결 수 단은 접착제 접착 수단일 수 있다. 이 경우, 클러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기 위해서는, 마찰 라이닝(30, 32)의 더욱 증가된 두께가 마모되어야만 한다.
마찰 라이닝(30, 32)이 지지체(28)에 접착된다는 사실은 또한 마찰 라이닝(30, 32) 내에서의 블레이드들(36)의 딱지짐(incrustation)을 감소시킨다.
각각의 자유 베어링 표면(46A, 46B)은 블레이드(36)의 앵귤러 연부(38A, 38B) 및 대응되는 앵귤러 연부(38A, 38B)에 근접한 원형 주변 연부(42)에 의해 한정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옵셋(50A)(또는 각각 50B)을 한정하는 두 개의 절곡 라인들(52A, 54A)(또는 각각 52B, 54B)은 대체로 평행하며 블레이드(36)의 메디안 반경(median radius)에 관하여 40°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만큼 경사된다.
상기 블레이드(36)는 또한 상기 두 개의 자유 베어링 표면들(46A, 46B) 사이에 각도적으로 개재되는 블레이드(36) 내의 개구부(57) 내에서 연장되는 설부(tongue)(56) 상에 제공되는 제 3 자유 베어링 표면(55)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된 베어링 표면(44) 및 상기 제 3 베어링 표면(55)은 옵셋(58)에 의해 서로 격리된다. 옵셋(58)은 두 개의 절곡 라인들(59I 및 59E)에 의해 한정된다.
이하, 블레이드(36)의 형상과 마찰 디스크(14)의 축선에 수직한 평면 상으로의 상기 블레이드(36)의 직교방향 돌출 형상을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비교하기로 한다.
각각의 앵귤러 연부(38A, 38B)는 오목부(60A, 60B)를 구비하고, 이 오목 부(60A, 60B)는 블레이드 옵셋(50A, 50B)을 한정하면서 블레이드 옵셋(50A, 50B)에 근접한 자유 베어링 표면들(46A, 46B)의 부분을 한정한다.
앵귤러 연부(38A, 38B)의 오목부(60A, 60B)는 오목한 커브를 형성하며, 오목한 커브는 블레이드 옵셋(50A, 50B)을 한정하는 모든 지점에서 접선이 고려되는 지점에 가장 가까운 절곡 라인(52A, 52B 또는 54A, 54B)과 함께 70°내지 110°사이의 각을 형성하는 접선을 갖는다.
베어링 표면들(46A, 46B)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38A, 38B)의 오목부(60A, 60B)가 블레이드 옵셋(50A, 50B)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의 부분 및 지지체(28)의 반경과 대체로 일치하는 앵귤러 연부의 직선 부분(62A, 62B) 사이에서 연장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자유 베어링 표면들(46A, 46B)을 한정하는 오목 커브 상의 모든 지점은 절곡 라인(52A, 52B)과 함께 70°내지 110°의 각을 형성하는 접선을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변형예에서, 상기 자유 베어링 표면(46A, 46B)은 블레이드 옵셋(50A, 50B)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의 부분과 지지체(28)의 반경과 대체로 일치하는 앵귤러 연부의 직선 부분(62A, 62B) 사이에서 라운딩된 연부(63A, 63B)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연결된 베어링 표면(44)을 한정하는 오목부(60A, 60B)는 블레이드 옵셋(50A, 50B)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38A, 38B)의 부분 및 상기 허브(34)를 상기 블레이드(36)에 연결시키는 축방향 허브 옵셋(64A, 64B)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38A, 38B)의 부분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 허브의 옵셋(64A, 64B)은 두 개의 절곡 라인들(66A, 68A, 66B, 68B)에 의해 한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된 베어링 표면(44)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38A, 38B)의 오목부(60A, 60B) 상의 특정의 지점이, 블레이드 옵셋(50A, 50B)을 한정하는 절곡 라인들(54A, 54B)과 허브의 옵셋(64A, 64B)을 한정하는 절곡 라인(66A, 66B) 중에서, 접선이 고려되는 지점에 가장 가까운 절곡 라인과 함께, 70°내지 110°의 각을 형성하는 접선을 갖는다.
앵귤러 연부(38A, 38B)의 오목부(60A, 60B)는 또한 허브 옵셋(64A, 64B)을 한정하며 상기 허브 옵셋(64A, 64B)에 근접한 허브(34)의 일부분을 한정한다.
이러한 형태의 블레이드(36)는 블레이드(36) 내의 응력이 가능한한 잘 분산되도록 최적화되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36)의 파열 위험도가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마찰 장치의 수명이 연장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마찰 라이닝(30, 32)의 작용 표면들이 통상적인 마찰 라이닝들과 비교하여 감소될 수 있다.
반경방향 외부 및 내부 윤곽들에 의해 한정되는 각각의 환형 라이닝(30, 32)에 있어서, 내부 윤곽의 직경에 대한 외부 직경의 비가 바람직하게는 1.4 미만, 예컨대 1.35 미만이 되도록 선택된다.
이에 따라, 통상적인 라이닝과 비교하여 대체로 동일한 외부 윤곽을 갖는 직경에 대해, 라이닝의 내부 직경을 증가시켜 댐퍼(12)로부터 마련되는 공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블레이드(36)가 3 바아(bar) 보다 큰 압력을 수용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 다. 이는 각각의 마찰 라이닝에 인가되는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높은 압력은 마찰 라이닝들의 작은 표면적을 보상한다.
본 발명은 클러치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수명 연장을 최적화하기 위해, 클러치는 유리하게는 마찰 라이닝들(30, 32) 상의 마모물을 적출하기 위한 장치(도시안됨)를 구비한다. 마모물 적출 장치는, 마찰 디스크(14)가 파지되었을 때 클러치 다이어프램이 마찰 라이닝(30, 32) 상의 마모물과는 대체로 독립적인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그 피동 회전 부재가 자동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회전적으로 연결되는 클러치에 본 발명이 특별하게 적합화되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자동 기어박스가 수동 기어박스보다 클러치 작동 횟수가 일반적으로 더 많으며 이러한 자동 기어박스용 클러치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에 있어서와 같이 마모에 덜 민감하게 되었을 때 더욱 유리하게 되기 때문이다.

Claims (17)

  1. 실질적으로 각도를 이루면서 동축적인 제 1 및 제 2 마찰 라이닝(30, 32)과,
    전체적으로 회전체의 형상을 취하며 두개의 앵귤러 연부들(38A, 38B)에 의해 한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블레이드(36)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허브(34)를 구비하는 지지체(28)로서, 상기 블레이드(36)는 상기 제 1 라이닝(30)에 연결되는 베어링 표면(44) 및 상기 제 2 라이닝(32)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유 베어링 표면(46A, 46B, 55)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된 베어링 표면(44) 및 자유 베어링 표면(46A, 46B)은 두 개의 절곡 라인들(52A, 54A; 52B, 54B)에 의해 한정되는 축방향 블레이드 옵셋(50A, 50B)에 의해 서로로부터 격리되는, 상기 지지체(28)를 포함하는 특히, 차량에 사용되는 클러치용 마찰 장치(10)에 있어서,
    각각의 앵귤러 연부(38A, 38B)가 오목부(60A, 60B)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60A, 60B)는 상기 블레이드 옵셋(50A, 50B) 및 블레이드 옵셋(50A, 50B)에 근접한 연결된 베어링 표면(44) 및 자유 베어링 표면(46A, 46B)의 부분들을 한정하며, 상기 앵귤러 연부(38A, 38B)의 상기 오목부(60A, 60B)는, 어떠한 지점에서도 상기 블레이드 옵셋(50A, 50B)을 한정하면서 접선이 고려되는 지점에 가장 가까운 절곡 라인(52A, 54A; 52B, 54B)과 함께 70° 내지 110°의 각도를 형성하는 접선을 갖는, 오목한 커브를 형성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베어링 표면(46A, 46B)을 한정하는 오목한 커브 상의 임의의 지점이 접선이 고려되는 지점에 가장 가까운 절곡 라인(52A, 52B)과 함께 70° 내지 110°의 각도를 형성하는 접선을 갖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베어링 표면(46A, 46B)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38A, 38B)의 오목부(60A, 60B)가, 상기 블레이드 옵셋(50A, 50B)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38A, 38B)의 부분과 지지체(28)의 반경과 대체로 일치하는 앵귤러 연부(38A, 38B)의 직선 부분(62A, 62B) 사이에서 연장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베어링 표면(44)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의 상기 오목부(60A, 60B)가, 상기 블레이드 옵셋(50A, 50B)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38A, 38B)의 부분과 블레이드(36)에 허브(34)를 연결시키는 축방향 허브 옵셋(64A, 64B)을 한정하는 앵귤러 연부(38A, 38B)의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옵셋(64A, 64B)이 두 개의 절곡 라인(66A, 68A; 66B, 68B)에 의해 한정되고, 앵귤러 연부(38A, 38B)의 오목부(60A, 60B) 상의 임의의 지점은 접선이 고려되는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상기 절곡 라인과 함께 70° 내지 110°의 각도를 형성하는 접선을 갖는 연결된 베어링 표면(44)을 한정하면서 상기 블레이드(54A, 54B) 및 허브 옵셋(66A, 66B)을 한정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앵귤러 연부(38A, 38B)의 상기 오목부(60A, 60B)가 또한, 상기 허브 옵셋(64A, 64B), 및 허브 옵셋(64A, 64B)에 근접한 허브(34)의 일부를 한정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6)의 자유 베어링 표면(46A, 46B)이, 상기 블레이드(36)의 상기 앵귤러 연부(38A, 38B), 및 블레이드(36)의 상기 앵귤러 연부(38A, 38B)에 근접한 원주 연부(42)에 의해 한정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옵셋(50A, 50B)이, 상기 블레이드(36)의 중앙 반경에 관하여 40°내지 50°의 각도만큼 경사된 두 개의 대체로 평행한 절곡 라인들(52A, 54A; 52B, 54B)에 의해 한정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6)가, 블레이드(36)의 두 개의 앵귤러 연부(38A, 38B)에 의해 각각 한정되는 두 개의 자유 베어링 표면(46A, 46B)를 구비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6)가, 블레이드(36)의 두 개의 앵귤러 연부들(38A, 38B)에 의해 각각 한정되는 두 개의 자유 베어링 표면들(46A, 46B) 사이에 각도적으로 개재되는 블레이드(36) 내의 개구부(57) 내에서 연장되는 설형부(56) 상에 마련되는 자유 베어링 표면(55)을 구비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34)가, 오목한 허브 연부(43)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두 개의 근접한 앵귤러 연부들(38A, 38B)에 의해 각각 한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근접한 주변 블 레이드(36)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34)가, 수 개의 주변 블레이드(36)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블레이드(36)는 상기 제 1 라이닝(30)에 연결되는 블레이드와 제 2 라이닝(32)에 연결되는 블레이드가 교대적으로 배열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앵귤러 마찰 라이닝(30, 32)이, 내부 윤곽의 직경에 대한 외부 윤곽의 직경의 비가 1.4 미만, 바람직하게는 1.35 미만이 되도록, 외부 및 내부 윤곽들에 의해 한정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30, 32)이 연결된 베어링 표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장치가 마모물 적출 장치(wear take-up device)를 포함하는
    차량 클러치용 마찰 장치.
  16. 차량용 클러치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0)를 구비하는
    차량용 클러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구동 및 피동 회전 부재들을 결합시키도록 의도된 차량용 클러치로서,
    상기 피동 회전 부재가 자동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회전적으로 연결되는
    차량용 클러치.
KR1020077002148A 2004-07-29 2005-07-27 차량 클러치용 마찰장치 및 차량용 클러치 KR200700346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51708A FR2873774B1 (fr) 2004-07-29 2004-07-29 Dispositif de friction pour embrayag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et embrayag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FR0451708 2004-07-29
PCT/FR2005/050625 WO2006018584A1 (fr) 2004-07-29 2005-07-27 Dispositif de friction pour un 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embrayag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608A true KR20070034608A (ko) 2007-03-28

Family

ID=3494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148A KR20070034608A (ko) 2004-07-29 2005-07-27 차량 클러치용 마찰장치 및 차량용 클러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20070034608A (ko)
CN (1) CN1973145A (ko)
BR (1) BRPI0512384A (ko)
DE (1) DE112005001863T5 (ko)
FR (1) FR2873774B1 (ko)
WO (1) WO20060185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7528B1 (fr) * 2016-02-05 2018-03-02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 progressivite pour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et disque de friction integrant un tel dispositif
DE102016014672A1 (de) * 2016-12-09 2018-06-14 Daimler Ag Hybrid-Triebkopf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3778B1 (fr) * 1992-07-15 1994-08-19 Valeo Disque porte-garnitures,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US5522490A (en) * 1993-03-19 1996-06-04 Valeo Liner support disc for supporting friction liners,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73774A1 (fr) 2006-02-03
DE112005001863T5 (de) 2007-06-06
CN1973145A (zh) 2007-05-30
WO2006018584A1 (fr) 2006-02-23
FR2873774B1 (fr) 2006-09-29
BRPI0512384A (pt) 2008-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54513B (zh) 动力传递装置
JP4797008B2 (ja) 多板クラッチ
EP2037142B1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JP6840146B2 (ja) ローテーション軸線を有する摩擦クラッチ
JP2020505564A (ja) カウンタプレッシャプレート用の少なくとも1つの取り付け要素を備える自動車のパワートレーン用の遠心クラッチ
JP2002098165A (ja) 発進クラッチ
JP6265489B2 (ja) クラッチ装置
KR20070034608A (ko) 차량 클러치용 마찰장치 및 차량용 클러치
EP1672250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13167338B (zh) 动力传递装置
EP2657567B1 (en) Torsional vibration attenuation apparatus
JP2021188732A (ja) トルクダンパ装置およびトルクコンバータ
CN117329242A (zh) 离合器装置及摩托车
CN117366121A (zh) 离合器装置及摩托车
CN104220777A (zh) 扭矩变动吸收装置和变速器
EP2707626B1 (en) Improved over-torque protector device for a compressor
JP4719114B2 (ja) 動力伝達装置
CN203098613U (zh) 双连接式扭矩限定器
CN111108304B (zh) 扭矩传递装置、扭转阻尼器及相关组件
CN218177832U (zh) 扭振减振器及具有扭振减振器的滑动离合器
JP5234223B1 (ja) 捩り振動減衰装置
JP5667904B2 (ja) 動力伝達装置
JP5460460B2 (ja) クラッチ装置
CN103917800A (zh) 扭转振动衰减装置
WO2014108951A1 (ja) 捩り振動低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