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867A -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제초활성물질 엘레미신 및 그의분리방법 - Google Patents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제초활성물질 엘레미신 및 그의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867A
KR20070032867A KR1020050087415A KR20050087415A KR20070032867A KR 20070032867 A KR20070032867 A KR 20070032867A KR 1020050087415 A KR1020050087415 A KR 1020050087415A KR 20050087415 A KR20050087415 A KR 20050087415A KR 20070032867 A KR20070032867 A KR 20070032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hexane
methanol
herbicidal
column chromatogra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0349B1 (ko
Inventor
김미성
이유선
김희연
최해진
허수정
권순배
임상현
김경희
김성문
Original Assignee
강원도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도
Priority to KR102005008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349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1/16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with two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제초활성물질인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이하 엘레미신[elemicin]이라 칭한다), 족도리로부터 하기 구조식의 엘레미신을 분리하는 방법 및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하기 구조식의 엘레미신을 포함하는 제초제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5052345312-PAT00001
엘레미신, 족도리, 제초활성물질, elemicin, Asarum sieboldii Miq.

Description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제초활성물질 엘레미신 및 그의 분리방법{Elemicin Purified from Asarum sieboldii Miq.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족도리 헥산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제초활성물질 HBBAA의 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EI-MS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족도리 헥산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제초활성물질 HBBAA의 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1H-NMR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족도리 헥산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제초활성물질 HBBAA의 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13C-NMR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족도리(Asarum sieboldii Miq.)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제초활성물질인 엘레미신(elemicin)과 그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규 제초제 개발을 위한 방법으로는 (1)무작위 유기합성 화합물의 제초활성 스크리닝 방법(random screening), (2)이미 개발된 제초제 구조의 모방 방법(me-too approach), (3)작용점 연구를 통한 생합리적 방법(biorational screening), (4)천연물 유래 제초활성물질의 탐색을 통한 개발 방법(natural product screening)을 들 수 있다(Duke, S. O., J. G. Romagni, and F. E. Dayan. 2000. Natural products as sources for new mechanisms of herbicidal action. Crop Protect. 19:583-589).
상기의 신규 제초제 개발을 위한 방법 중에서 (1)의 방법과 (2)의 방법은 현재까지 개발된 거의 모든 제초제의 개발을 주도하는 방법으로 활용되었지만,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 때문에 향후의 제초제 개발을 주도하는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된다. (3)의 방법은 현재의 과학기술동향을 고려할 때 그 응용 시기가 적절하다고 판단되지만 제초제의 작용점(target site)인 식물체내의 효소 작용점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인하여 농약개발업체에서는 크게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4)의 방법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물, 식물, 미생물로부터 새로운 제초 활성성분을 탐색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초제를 개발하는 것으로, 고속검색시스템(high throughput screening system)을 구축할 경우 시간과 경비를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까지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물 중 코넥시스틴(cornexistin)(Nakajima, M., K. Ito, Y. Takamatsu, S. Sato, Y. Furukawa, T. Honma, J. Kodotani, M. Kozasa, and T. Haneishi. 1989. Cornexistin: A new fungal metabolite with herbicidal activity. J. Antibiotics 42:1065-1072), 소골리온(sorgoleone)(Rimando, A. M., F. E. Dayan, F. E. Czarnota, M. A. Weston, and S. O. Duke. 1998. A new photosystem II electron transfer inhibitor from Sorghum bicolor (L.) J. Nat. Prod. 61:927-930), 아테미시닌(artemisinin)(Tallez, M. R., C. Canel, A M. Rimando, and S. O. Duke. 1999. Differential accumulation of isoprenoids in glanded and glandless Artemisia annua L. Phytochem. 52:1035-1040), 시네올(cineole)(Romagni, J. G., S. O. Duke, and F. E. Dayan. 2000. Allelopathic effects of volatile cineoles on two weedy plant species. J. Chemical Ecol. 26:303-313), 렙토스퍼몬(leptospermone)(Mitchell G., D. W. Bartlett, T. E. M. Fraser, T. R. Hawkes, D. C. Holt, J. K. Townson, and R. A. Wichert. 2001. Mesotrione: a new selective herbicide for use in maize. Pest. Manag. Sci. 57:120-128), 포스피노트리신(phosphinothricin)(Lydon, J. and S. O. Duke. 1999. Inhibitors of glutamine biosynthesis. In Singh, B. K. (ed.). Plant Amino Acids: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Marcel Dekker, New York, pp.445-464)이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모화합물로 제안된 바 있으며, 실제 몇몇 천연화합물은 제품으로 개발되었다.
국내에서도 고활성의 천연제초활성물질을 신규 제초제 개발을 위한 모화합물 로 활용하고자 국내의 자생식물로부터 제초활성식물을 탐색하고, 이로부터 제초활성물질을 분리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 자생식물 185과 1,065속 4,596종(이철희. 2002. 생물산업발전을 위한 자생식물의 활용방안. pp.27-67. In 기능성 자생식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상품화 방안. 농촌진흥청 고령지시험장)을 이용하여 새로운 제초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제초활성물질을 탐색하고자 일련의 연구가 수행되었고, 다양한 제초활성식물에 대한 보고가 이루어졌다(김희연, 최해진, 임상현, 허수정, 한상섭, 김도순, 황기환, 김성문. 2003. 제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I). 한국농약과학회지 7(4):248-257; 김미성, 이유선, 김희연, 최해진, 임상현, 허수정, 권순배, 박동식, 한상섭, 김성문. 2004. 제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II). 한국농약과학회지 8(3):220-230; 김성문, 김미성, 이유선, 김희연, 최해진, 허수정, 권순배, 김경희, 한상섭, 임상현. 2005. 제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III). 농약과학회지 9(2):173-180; 이유선, 김미성, 임상현, 허수정, 권순배, 박동식, 한상섭, 김성문. 2004. 국내 자생 제초활성식물의 탐색. 한국잡초학회지 24(2):103-113).
김 등(2004)이 보고한 고활성의 제초활성식물 중 족도리(Asarum sieboldii Miq.)는 국내의 전역에서 발견되는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의 다년생식물로서, 근경은 마디가 많고 육질은 매운 맛이 나는 특징이 있다(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245). 너비 5∼10cm의 표면이 녹색인 심장형 혹은 신장형의 족도리 잎은 원줄기 끝에서 2개가 마주나와 대생한 것처럼 보이며 표면은 녹색을 띤다.
족도리의 뿌리는 한방에서 세신(細辛)이라 하여 담기강화, 풍습양(風濕痒)제거, 치통 및 요통치료의 목적으로 소청룡탕과 마황부자세신탕 등의 다양한 처방제제로 활용되고 있다(박종희, 이정규. 2000. 상용 약용식물도감. 신일상사. pp.368-370).
족도리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탐색연구가 이루어져 몇몇 2차대사산물의 존재가 규명되었는데, 족도리에는 신미물질인 N-isobutyl-2,4,8,10-dodecatetraneamide 이외에도 체온강하와 알레르기 치료효과가 있는 methyleugenol(김형민, 유영현. 알레르기 치료제로서의 메틸유게놀. 대한민국특허 10-2000-0057019), asarylketone, 항균과 항암작용을 하며 고혈압에 효과가 있는 cineol(조병옥, 진미림, 정형진, 김선영, 김봉철. 생약 복합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장애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03-0023173) 살충작용이 있는 safrole(김금숙, 백남인, 성재덕, 곽용호. 1999. 세신(Asarum sieboldii)으로부터 propiophenone의 분리. 한국농화학회지 42(4):369∼370), 항균과 항암효과가 있는 limonene(민선호, 김창규, 이능안, 양승각. 항균성 치약. 대한민국특허 10-1989-0000070), 강심작용을 하는 higenamine(김성진. 세신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01-0050670)과 eucarvone과 같은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본 발명에서와 같은 제초활성물질로서 엘레미신에 대한보고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족도리로부터 신규 제초활성물질을 분리하고, 그 화학구조를 규명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족도리로부터 신규 제초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의해 족도리로부터 신규 제초활성물질을 규명한 후 이러한 신규 제초활성물질을 함유하는 제초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제초활성물질인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이하 엘레미신[elemicin]이라 칭한다), 족도리로부터 하기 구조식의 엘레미신을 분리하는 방법 및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하기 구조식의 엘레미신을 포함하는 제초제를 포함한다.
Figure 112005052345312-PAT00002
본 발명의 족도리로부터 엘레미신의 분리방법은 하기의 (a)단계 내지 (f)단 계에 의해 족도리로부터 엘레미신을 분리할 수 있다.
(a)족도리(Asarum sieboldii Miquel var. soulensis Nakai)를 메탄올로 추출하고 건조하는 단계;
(b)메탄올 추출 건조물을 헥산으로 용해하여 헥산 분획물을 얻는 단계;
(c)헥산 분획물로부터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제초활성의 HB 분획물를 얻는 단계;
(d)단계 (c)의 HB 분획물로부터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제초활성의 HBB 분획물을 얻는 단계;
(e)단계 (d)의 HBB분획물로부터 헥산-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제초활성의 HBBA 분획물을 얻는 단계;
(f)단계 (e)의 HBBA 분획물로부터 메탄올-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이용하여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용출, 분획하여 HBBAA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족도리로부터 엘레미신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족도리는 뿌리, 잎, 줄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a)단계 내지 (f)단계에 의해 족도리로부터 엘레미신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족도리를 메탄올로 추출시 족도리는 1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mm로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분쇄한 족도리를 족도리 중량 대비 1.5∼5배 중량의 메탄올에 넣고 50∼200rpm으로 10∼30시간 동안 1∼5회 반복 추출하여 족도리 메탄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족도리 메탄올 추출물은 여과하고 건조하는 한편, 건조시료를 (b)단계 내지 (f)단계를 이용하여 족도리로부터 엘레미신을 분리한다.
이하, 족도리로부터 엘레미신을 분리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레미신 화합물은 족도리(Asarum sieboldii Miq.)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족도리를 수세한 후 표면에 물기가 없어질 때까지 건조한 다음 1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mm로 분쇄한다. 분쇄한 족도리 건조시료를 메탄올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을 얻을 때 사용한 메탄올과 극성을 달리하는 유기용매인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로 각각 순차 분획한 다음, 각각의 분획물을 유채(Brassica napus L.)를 대상으로 seed bioassay를 통하여 제초활성을 검정한 결과, 헥산 분획물의 GR50값(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채의 생장을 50% 억제하는 농도)이 가장 우수하여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에 비해 높은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고활성의 헥산 분획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5:1:0.1, v/v/v) 용액을 이용하여 컬럼크로마토그라피에서 높은 제초활성의 HB 분획물을 얻고, HB 분획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9:1:0.5, v/v/v) 용액을 이용하여 컬럼크로마토그라피에서 높은 제초활성의 HBB 분획물을 얻은 후, HBB 분획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5:5, v/v) 용액으로 흡착(Silica gel 60, 0.040 - 0.063 mm, Merck)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용출, 분획하여 높은 제초활성의 HBBA 분획물을 얻는다. 그런 다음, HBBA 분획물을 메탄올:아세토니트릴 용액(9:1, v/v)을 이용하여 흡착(ODS-A, 150 ㎛, YMC)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용출, 분획하고, 제초활성을 검정한 결과 가장 제초활성이 높았던 HBBAA 분획물을 얻었다.
족도리 헥산분획물로부터 단리된 제초활성분획물 HBBAA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1H-NMR, 13C-NMR, EI-MS 분석을 행한 결과, 족도리에서 분리한 제초활성물질 HBBAA는 분자량 208, 화학식 C12H16O3, 하기 구조식을 가지는 물질로 규명하였으며, 하기 구조식을 지니는 물질의 이름을 엘레미신(elemicin;1,2,3-trimethoxy-5-allylbenzene)으로 명명하였다.
Figure 112005052345312-PAT00003
본 발명은 상기 구조식의 엘레미신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초제를 포함한다. 이때 제초제는 상기 구조식의 엘레미신 이외에 기타 제초제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분산제, 부형제, 희석제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분말, 과립, 스프레이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초제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성분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 니다.
<실시예 1>
족도리의 뿌리부위를 수세하고 음건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0.6±0.1mm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족도리 건조시료 1kg을 취하여 메탄올 2리터(L)가 담겨 있는 5-L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100rpm의 진탕기에서 24시간씩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메탄올 추출물을 여과지가 깔려있는 부흐너 깔때기(Buchner funnel)에 통과시켜 잔재물을 제거한 후 회전감압농축기(EYELA NE-1101)를 이용하여 메탄올을 완전히 제거하는 완전 농축을 실시한 다음, 이를 플라스크에 넣은 후 플라스크에 물을 50ml 첨가하였다. 플라스크(Flask) 내의 건조물은 물을 이용하여 잘 용해시킨 다음 동결건조기(ILSHIN Lab Co. Ltd.)를 이용하여 -50℃에서 3일간 건조시켰다. 동결건조된 시료를 4℃의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제초활성검정에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족도리 메탄올 추출 건조물에 대한 제초활성 검정법은 seed bioassay 법을 사용하였다. 메탄올 추출 건조물을 물로 희석하여 10,000 ㎍ g-1이 되게 스톡용액(stock solution)을 제조한 후, 이 스톡용액으로부터 농도를 달리하는 처리액을 제조하였다. 처리액을 모래 1g 위에 5립의 유채(Brassica napus L.)종자가 치상되어 있는 24-well tissue culture test plate에 처리하였고, 테스트 플레이트(test plate)를 온도 25℃, 습도 70%, 광도 250μmol m-2 s-1 조건의 식물생 장상에 놓고 7일 동안 생장시켰다. 처리 7일 후 유채 유식물의 생체중을 측정하여 각 시료에 대한 GR50 값(식물의 생장을 50% 저해할 수 있는 약량)을 계산하여 제초력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실시되었다.
족도리의 제초활성을 검정하고자 메탄올 추출물을 얻고, 그 추출물을 유채를 대상으로 seed bioassay를 수행한 결과 GR50 값은 242 ㎍ g-1이었다.
<실시예 2>
상시 실시예 1의 족도리로부터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메탄올 추출 건조물 10g 당 각각 100ml의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로 단계적으로 용매의 극성을 높여가면서 각 용매의 가용획분별로 분획한 다음, 각각의 분획층을 회전감압농축기로 각각의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는 완전농축을 실시하고 -50℃에서 3일간 동결건조시켰다. 동결건조된 각각의 분획물은 물을 사용하여 농도를 달리하는 처리액을 제조하였고, 각각의 분획물에 대한 제초력 검정을 상기 실시예 1에서 언급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족도리의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 부탄올, 물로 분획하고, 각각의 분획물을 회전증발농축기로 완전농축하고 동결건조시킨 다음 유채를 대상식물로 제초력을 검정한 결과,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의 GR50 값은 각각 66 ㎍ g-1(회수율 20.7%), 42 ㎍ g-1(회수 율 1.3%), >400 ㎍ g-1(회수율 1.3%), >400 ㎍ g-1(회수율 26.9%), >400 ㎍ g-1(회수율 58.0%)이었다(표 1 참조).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을 용매로 하는 분획물 중에서 헥산 분획물의 제초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표 1> 족도리 메탄올 추출 건조물에 대한 용매 분획층의 제초활성
용매분획층 GR50(㎍g-1)
헥산 66
디클로로메탄 42
에틸아세테이트 >400
부탄올 >400
>400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족도리 메탄올 추출 건조물에 대한 용매 분획물 중 가장 높은 제초활성과 회수율을 나타내었던 헥산 분획물(36.17g)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용액(5:1:0.1, v/v/v)으로 흡착(Silica gel 60, 0.040∼0.063 mm, Merck)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10ml씩 용출분획하여 HA 분획물(Rf 0.74∼1.00), HB 분획물(Rf 0.53∼0.67), HC 분획물(Rf 0.33∼0.50), HD 분획물(Rf 0.24∼0.30)을 얻었다.
각각의 분획물을 회전감압농축기로 완전농축한 다음, 실시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HA 분획물, HB 분획물, HC 분획물, HD 분획물의 제초력 검정을 실시한바, 이들 분획물의 GR50 값은 각각 599 ㎍ g-1(회수율 4.6%), 250 ㎍ g-1(회수율 47.2%), 162 ㎍ g-1(회수율 3.4%), 190 ㎍ g-1(회수율 23.2%)이었다(표 2 참조). 제초력 및 회수율을 고려한바 HB 분획물의 제초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표 2> 족도리 헥산 분획층으로부터 분획된 HA, HB, HC, HD 분획물의 제초활성
분획물 GR50(㎍g-1)
HA 599
HB 250
HC 162
HD 190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초활성과 회수율이 높았던 HB 분획물(17.06 g)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용액(9:1:0.5, v/v/v)으로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라피(Silica gel 60, 0.040 - 0.063 mm, Merck)에서 10ml씩 용출분획하여 HBA 분획물(Rf 0.64∼0.72)과 HBB 분획물(Rf 0.52∼0.60)을 얻은 다음, 이들 분획물을 회전감압농축기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는 완전농축을 실시하고 실시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HBA 분획물과 HBB 분획물의 제초력 검정을 실시한바, HBA와 HBB 분획물의 GR50 값은 각각 412 ㎍ g-1(회수율 12.3%)와 138 ㎍ g-1(회수율 13.9%)이었다(표 3 참조).
<표 3> 족도리 HB로부터 분획된 HBA, HBB 분획물의 제초활성
분획물 GR50(㎍g-1)
HBA 412
HBB 138
<실시예 5>
실시예 4의 HBA 분획물과 HBB 분획물 중에서 제초활성이 높았던 HBB 분획물(2.38g)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 용액(5:5, v/v)으로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라피(Silica gel 60, 0.040∼0.063 mm, Merck)에서 10ml씩 용출분획하여 HBBA 분획물(Rf 0.83∼1.00), HBBB 분획물(Rf 0.55∼0.64), HBBC 분획물(Rf 0.24∼0.36), HBBD 분획물(Rf 0.00∼0.12)을 얻었다. 각각의 분획물을 회전감압농축기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는 완전농축을 실시하고 농축된 HBBA 분획물, HBBB 분획물, HBBC 분획물, HBBD 분획물에 대해 실시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초력 검정을 실시한바, 각 분획물의 GR50 값은 각각 239 ㎍ g-1(회수율, 78.0%), 857 ㎍ g-1(4.0%), 451 ㎍ g-1(1.3%)이었던 반면, HBBD 분획물의 GR50 값은 1,000 이상이었다(표 4 참조).
<표 4> 족도리 HBB 분획층으로부터 분획된 분획물들의 제초활성
분획물 GR50(㎍g-1)
HBBA 239
HBBB 857
HBBC 451
HBBD >1,000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제초활성이 가장 높았던 HBBA 분획물(1.86g)을 메탄올-아세토니트릴 용액(9:1)으로 흡착(ODS-A 150mm, YMC)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용출분획 하여 HBBAA 분획물(Rf 0.68∼0.80), HBBAB 분획물(Rf 0.34∼0.39), HBBAC 분획물(Rf 0.00∼0.33)을 얻었다. 각각의 분획물을 회전감압농축기로 용매를 제거하는 완전농축을 실시하고 농축된 HBBAA 분획물, HBBAB 분획물, HBBAC 분획물에 대해 실시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초력 검정을 실시하였다. 각 분획물에 대한 제초활성 검정결과 HBBAA 분획물의 GR50 값이 113 ㎍ g-1으로 가장 낮았다(표 5 참조).
<표 5> 족도리 HBBA 분획층으로부터 분획된 분획물들의 제초활성
분획물 GR50(㎍g-1)
HBBAA 113
HBBAB 422
HBBAC > 1,000
<실시예 7>
실시예 6에서 HBBAA 분획물, HBBAB 분획물, HBBAC 분획물 중에서 제초활성이 가장 높았던 HBBAA 분획물에 대해 가스 크로마토그라피-매스 스텍트로메트리(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8000 Top Series, CE Instruments)를 이용하여 순수한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분석조건은 컬럼, DB-5MS (30m ×0.25mm ×0.25mm); injector 온도, 200℃; oven 온도, 100℃-15℃/min 상승-250℃(2min) 이었고 MS 분석조건은 : Ion source, EI, 70 eV; ion source 온도, 250℃ 이었다.).
한편 실시예 6에서 얻은 HBBAA 분획물(1.50g)를 normal phase 실리카겔(Silica gel 60 F254, Merck)과 reversed phase 실리카겔 (Silica gel RP-18 F254, Merck)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한 후, HBBAA 분획물의 화학구조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제분리된 HBBAA 분획물은 EI-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molecular ion(M+)이 m/z 208 (100), 193 (53), 177 (18), 165 (30), 161 (7), 150 (8), 133 (18), 118 (13), 105 (15), 91 (32), 77 (29), 65 (24), 58 (6)에서 나타났다(도 1 참조).
1H-NMR, 13C-NMR 분석은 Varian Gemini 200 (400 MHz) NM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용매는 CDCl3를 사용하였으며, 내부표준물질로는 테트라메틸실란(tetramethylsilane, TMS)를 사용하였다.
HBBAA를 CDCl3를 사용하여 1H-NMR(400 MHz)을 실시한 결과, δ(ppm) 3.34 (2H, brd, H-1'), 3.83 (3H, s, 2-OCH3), 3.85 (6H, s, 1 and 3-OCH3), 5.08 (1H, brd, Ha-3'), 5.10 (1H, brd, Hb-3'), 5.95 (1H, m, H-2'), 6.41 (2H, m, H-4, H-6)에서 수소신호를 확인하였다(도 2 참조).
CDCl3를 사용하여 HBBAA를 13C-NMR(400 MHz)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δ(ppm) 40.9 (C-1'), 56.3 (C-3-OCH3 and 1-OCH3), 61.1 (2-OCH3), 105.7 (C-4 and 6), 116.3 (C-3'), 136.1 (C-5), 136.6 (C-2), 137.5 (C-2'), 153.2 (C-1 and 3)에서 탄소신호를 확인 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이상의 EI-MS, 1H-NMR, 13C-NMR의 분석에서 족도리로부터 제초활성물질로 단리된 활성물질 HBBAA 분획물은 분자량이 208이고, 화학구조식이 C12H16O3인 엘레미신(elemicin)으로 알려져 있는 1,2,3-trimethoxy-5-allylbenzene으로 결정하였다.
Figure 112005052345312-PAT00004
본 발명을 통하여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자생식물 중 하나인 족도리(Asarum sieboldii Miq.)로부터 분리되고, 그 화학구조가 밝혀진 제초활성물질인 엘레미신은, 현재까지 개발된 제초제의 구조와는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향후 새로운 제초제의 개발을 위한 선도물질(lead compound)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하기 구조식의 엘레미신.
    Figure 112005052345312-PAT00005
  2. (a)족도리(Asarum sieboldii Miquel var. soulensis Nakai)를 메탄올로 추출하고 건조하는 단계;
    (b)메탄올 추출 건조물을 헥산으로 용해하여 헥산 분획물을 얻는 단계;
    (c)헥산 분획물로부터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용액(5:1:0.1, v/v/v)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제초활성의 HB 분획물를 얻는 단계;
    (d)단계 (c)의 HB 분획물로부터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용액(9:1:0.5, v/v/v)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제초활성의 HBB 분획물을 얻는 단계;
    (e)단계 (d)의 HBB분획물로부터 헥산-에틸아세테이트 용액(5:5, v/v)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제초활성의 HBBA 분획물을 얻는 단계;
    (f)단계 (e)의 HBBA 분획물로부터 메탄올-아세토니트릴 용액(9:1, v/v)을 이용하여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용출, 분획하여 HBBAA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족도리부터 제초 활성물질인 엘레미신의 분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족도리는 뿌리, 잎, 줄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족도리부터 제초 활성물질인 엘레미신의 분리방법.
  4. 청구항 제1항의 엘레미신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초제.
KR1020050087415A 2005-09-20 2005-09-20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제초활성물질 엘레미신 및 그의분리방법 KR100750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415A KR100750349B1 (ko) 2005-09-20 2005-09-20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제초활성물질 엘레미신 및 그의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415A KR100750349B1 (ko) 2005-09-20 2005-09-20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제초활성물질 엘레미신 및 그의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867A true KR20070032867A (ko) 2007-03-23
KR100750349B1 KR100750349B1 (ko) 2007-08-17

Family

ID=4156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415A KR100750349B1 (ko) 2005-09-20 2005-09-20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제초활성물질 엘레미신 및 그의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3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8231A (zh) * 2015-12-29 2016-03-09 成都普思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榄香素纯度的方法
WO2018023502A1 (zh) * 2016-08-03 2018-02-08 深圳市先康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从胡椒中提取榄香素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2476A (zh) * 2012-06-19 2012-09-26 延边大学 气流吹扫微注射器萃取技术与gc-ms联用检测北细辛药材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1164A (ja) 1997-03-11 1998-09-22 Yoshiaki Honda 経皮吸収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8231A (zh) * 2015-12-29 2016-03-09 成都普思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榄香素纯度的方法
WO2018023502A1 (zh) * 2016-08-03 2018-02-08 深圳市先康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从胡椒中提取榄香素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349B1 (ko) 200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tung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otoxic compounds from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L.) roots
Nielsen et al. New resistance-correlated saponins from the insect-resistant crucifer Barbarea vulgaris
Yasuda et al. (+)-Strigol, a witchweed seed germination stimulant, from Menispermum dauricum root culture
Pavela et al. Oviposition inhibitory activity of the Mexican sunflower Tithonia diversifolia (Asteraceae) polar extracts against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Tetranychidae)
Sharma et al. Chemical basis of resistance in soya bean to cabbage looper, Trichoplusia ni
Javaid et al. Management of Macrophomina phaseolina by extracts of an allelopathic grass Imperata cylindrica
Ladhari et al. Phytotoxic activity of Capparis spinosa L. and its discovered active compounds
Kato-Noguchi et al. Involvement of allelopathy in the establishment of pure colony of Dicranopteris linearis
KR100750349B1 (ko) 족도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제초활성물질 엘레미신 및 그의분리방법
KR100713858B1 (ko) 사괴와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세스퀴테르펜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농업용 살균제 조성물
Zhang et al. Discovery of febrifugine with specific anti-Phytophthora oomycete activity isolated from Dichroa febrifuga Lour
US6146893A (en) Method of screening elicitor inducing the production of phytoalexin in rice and rice disease controlling agent containing elicitor as the active ingredient
Kato-Noguchi et al. Phytotoxicities of the invasive species Plantago major and non-invasive species Plantago asiatica
Page et al. Identification of a plant growth inhibiting iridoid lactone from Duroia hirsuta, the allelopathic tree of the ‘Devil's Garden’
Dzulkafli et al. Identification of chelidonic acid and asparagine in Ganoderma boninense-inoculated oil palm seedlings
KR100974262B1 (ko) 메틸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제초제 조성물 및 삼지구엽초로부터메틸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의 분리방법
KR100634402B1 (ko) 울금 추출물 또는 데메톡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고추 탄저병 방제용 조성물
Udo Phytochemical screening of Dracaena arborea (Asparagaceae) for insecticidal activity in the control of Sitophilus zeamais (Coleoptera: Curculionidae) and Callosobruchus maculatus (Coleoptera: Chrysomelidae)
WO2022101932A1 (en) A novel biofumigant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230001354A (ko) 트리코더마 롱기브라키아툼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 방법
Kato-Noguchi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plant growth inhibitor from Tinospora tuberculata Beumee
KR100832745B1 (ko) 리그난계 화합물, 레조시놀계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육두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0460437B1 (ko) 제초활성을 갖는 곤달비 추출물
Koïta et al. Phenolics from Lippia multiflora Moldenke as potential bioactive agents against peanut pathogens
KR100531761B1 (ko) 할미꽃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제초활성물질 아네모닌과그의 분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