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514A -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514A
KR20070032514A KR1020050086814A KR20050086814A KR20070032514A KR 20070032514 A KR20070032514 A KR 20070032514A KR 1020050086814 A KR1020050086814 A KR 1020050086814A KR 20050086814 A KR20050086814 A KR 20050086814A KR 20070032514 A KR20070032514 A KR 2007003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piston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8899B1 (ko
Inventor
이동성
Original Assignee
이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성 filed Critical 이동성
Priority to KR102005008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899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in which a torsion spring rotates a member around an ax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pis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힌지부에 장착되어 개방된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도어용 오토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하부 내측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내장되고 하단이 지면에 키방식으로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고정되는 텐션부재 및 상기 샤프트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단는 상기 텐션부재에 고정되고 하단 샤프트에 고정되어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 및 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도어의 개폐 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피스톤, 유압조절관, 유압조절체 및 유압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력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그 구성이 단순하게 제작 조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어, 도어틀, 오토힌지장치

Description

도어용 오토힌지장치{AUTO HINGE DEVICE FOR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상태에서의 도어용 오토힌지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닫힘상태에서의 도어용 오토힌지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과 유압조절관의 부분 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샤프트의 힌지홀더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하우징 110 : 텐션홀
120 : 브래킷 200 : 샤프트
210 : 확개단 220 : 연장부
230 : 돌출부 240, 510 : 다줄나사부
250 : 힌지홀더 300 : 스프링
400 : 텐션부재 410 : 텐션핀 삽입홈
420 : 스프링 고정홈 500 : 피스톤
520, 610 : 스플라인 530 : 안내홀
540 : 체크밸브 600 : 유압조절관
700 : 유압조절체 710 : 유압조절봉
711 : 오일유로 800 : 유압조절나사
900 : 핀 910 : 트러스트 베어링
본 발명은 도어의 힌지부에 장착되어 개방된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도어용 오토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한 장소의 경계나 건물의 출입구 또는 사람이 드나드는 곳, 및 비상구 등 개폐가 필요한 곳에 설치되며, 이러한 도어의 개폐는 도어와 도어틀에 연결 설치되는 도어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도어는 사람이 수시로 도어를 여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더욱이 급작스럽게 폐쇄되는 도어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어와 도어틀의 힌지 부분에는 통상적으로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오토힌지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상기한 도어용 오토힌지장치는, 도어와 도어틀의 힌지에 제공되어 도어의 개폐시 유압완충력과 스프링 복원력을 가지며, 이 완충력과 복원력에 의해 자동 닫힘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이 유압완충력을 통해 도어 개폐시 적절한 개폐 속도를 유 지하게 됨으로써 급작스런 도어 개폐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어 열림 후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도어용 오토힌지장치는 복잡한 구성요소가 연결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불어 각 부품들이 용접 등의 연결방식에 따라 고정되어 있어 제품의 안정성을 기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와 도어틀의 힌지부분에 장착되는 도어용 오토힌지장치의 구성요소를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그 제작단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조립을 단순화시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와 도어틀의 하부 힌지에 제공되는 도어용 오토힌지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며, 그 외주면 일측에 텐션홀이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 도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브래킷을 갖는 중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소정 두깨를 갖는 확개단을 중심으로 하측 연장부의 하단이 도어틀의 바닥 힌지홀에 키방식으로 결합되어 회전이 방지되고 상측 돌 출부의 단부에 소정구간 다줄나사부가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연장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그 상단이 상기 확개단에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의 연장부에 끼워져 그 상측면이 상기 확개단의 저면에 지지되고 외주면 둘레에 상기 하우징의 텐션홀을 통해 삽입 지지되는 핀이 고정될 수 있도록 등간격의 텐션핀 삽입홈이 형성되며 하측 외주면에 상기 스프링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스프링 고정홈이 형성되는 텐션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돌출부에 제공된 다줄나사부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 승강되며 외주면 하측에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상측 중앙에 안내홀과 그 외주면에 체크밸브가 형성되는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내주면 하측에 상기 피스톤의 스플라인이 결합되도록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유압조절관과, 상기 유압조절관의 상측을 커버하여 고정되며 하단에 상기 피스톤의 안내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 내부의 오일을 피스톤 상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오일유로를 갖는 유압조절봉을 형성하여서 된 유압조절체와, 상기 유압조절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회전시 오일유로를 개폐하여 오일의 이동을 제어하는 유압조절나사를 가져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토힌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의 도어용 오토힌지장치는, 도어(10)와 도어틀(20)의 힌지부에 제공되어 도어(10)의 자동 닫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어(10)의 하부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내장되며 하단이 도어틀(20)의 바닥에 회전 방지상태로 고정되는 샤프트(200)와, 상기 샤프트(200)의 하부에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며 하단이 샤프트(200)에 고정되는 스프링(300)과, 상기 샤프트(30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00)과 핀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300)의 상단을 고정하게 되는 텐션부재(400)와, 상기 샤프트(200)의 상단부와 나사결합되어 회전 승강되며 외주면에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피스톤(5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500)의 스플라인 결합되도록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유압조절관(600)과, 상기 피스톤(500) 내부의 오일을 피스톤(500) 상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오일유로를 갖는 유압조절체(700) 및 상기 유압조절체(7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오일 유로를 통해 이동되는 오일을 제어하게 되는 유압조절나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어(10)의 하부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 일측에 텐션홀(110)이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 도어(10)와 볼트 고정될 수 있도록 브래킷(120)이 구비되며, 상면 중앙에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00)가 내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200)는, 도어틀(20)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어(10)의 하부에 고정된 하우징(100)에 내장되며,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소정 두깨를 갖는 확개단(210)이 구비되고, 이 확개단(210)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소정 길이의 연장부(220)가 구비되며, 이 연장부(220)의 하단이 도어틀(20)의 바닥 힌지홀(21)에 키방식으로 끼움 결합되어 회전이 방지된다.
다른예로서, 상기 샤프트(200)의 연장부(220) 하단이 힌지홀(21)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힌지홀더(250)를 통해 결합되도록 함이 가능하며, 상기 힌지홀더(250)는 상기 도어틀(20)의 바닥 힌지홀(21)에 결합되도록 키홈을 가지고 있고 상부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스프링(300)의 하단이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회전시 텐션력이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확개단(210)을 중심으로 상측에는 돌출부(230)가 구비되며, 이 돌출부(230)의 단부에 소정구간 다줄나사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20)의 하단 일측에 스프링 고정홈(221)이 형성되며, 이 스프링 고정홈(221)을 통해 상기 스프링(300)의 하단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300)은,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샤프트(200)의 연장부(220)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그 상단이 상기 확개단(210)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연장부(220)의 스프링 고정홈(221)에 고정된다.
상기 텐션부재(400)는, 상기 샤프트(200)의 연장부(220)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300)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텐션부재(400)는 그 상측면이 상기 확개단(210)의 저면에 지지되고, 외주면 둘레에 상기 하우징(100)의 텐션홀(110)을 통해 삽입 지지되는 핀(9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등간격의 텐션핀 삽입홈(410)이 형성되며, 하측 외주면에 상기 스프링(300)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스프링 고정홈(420)이 형성된다.
따라서, 텐션력 조절시 핀(900)을 분리시킨 다음 공구를 통해 텐션부재(400)를 회전시켜 텐션력을 조절하면 되고 조절후에는 다시 핀(900)을 고정하여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면 된다.
그러면, 상기 하우징(100)의 회전시 상기 텐션부재(400)가 함께 연동되며, 이 텐션부재(400)의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300)이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피스톤(500)은, 그 내주면 하부에 상기 샤프트(200)의 돌출부(230)에 제공된 다줄나사부(240)와 나사 결합되도록 다줄나사부(510)가 형성되어 회전 승강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외주면 하측에 소정구간 스플라인(520)이 형성되고, 상측 중앙의 축방향 안내홀에는 중앙 안내홀(530)을 갖는 체크밸브(540)가 결합된다.
상기 체크밸브(540)는 그 외주면 둘레에 후술된 상기 유압조절관(600)에 기밀 유지 상태로 결합되기 위해 다수개의 오링이 결합된다.
상기 체크밸브(540)는, 상기 피스톤(500)의 상면에 결합되어 피스톤(500)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이동경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압조절관(600)은, 상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에 삽입되어 핀(900)을 통해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샤프트(200)의 확개단(210) 상면에 지지되고, 내주면 하측에 상기 피스톤(500)의 스플라인(520)이 결합되도록 스플라인(610)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500)의 수직 승강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일측에 핀(900)을 통해 상기 유압조절체(700)와 일체로 고정되며, 하면 중앙에 상기 샤프트(200)와의 사이 공간이 밀폐되도록 마감편(620)을 결합하게 되고, 상기 마감편(62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해 오링이 결합된다.
상기 유압조절체(700)는, 상기 하우징(100)과 핀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유압조절관(600)의 상측을 커버하게 되며, 하단에 상기 피스톤(500)의 체크밸브(540)에 형성된 안내홀(53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오일유로(711)를 갖는 유압조절봉(710)이 구비되고, 이 유압조절봉(710)의 오일유로(711)을 통해 상기 피스톤(500) 내부의 오일을 피스톤(500) 상측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유압조절나사(800)는, 상기 유압조절체(700)의 상측에 결합되어 회전시 오일유로(711)를 개폐하여 오일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외주면 둘레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오링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조절관(600)와 상기 샤프트(200)의 확개단(210) 사이에 상기 샤프트(200)에 대해 상기 하우징(100)과 유압조절관(600)이 슬라이드 회전될 수 있도록 트러스트 베어링(910)을 구비하며, 이 트러스트 베어링(910)을 통해 마찰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된 도어용 오토힌지장치의 조립 및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립시에는, 샤프트(200)의 연장부(220)에 텐션부재(400)를 상향으로 결합시킨 다음 연속해서 상기 연장부(220)에 스프링(300)을 삽입시킨다. 연속해서 스프링(300)의 상단을 텐션부재(400)의 스프링 고정홈(420)에 고정시키고, 하단을 연장부(220)의 스프링 고정홈(221)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샤프트(200)의 다줄나사부(240)에 피스톤(500)의 다줄나사 부(510)를 결합시킨 다음, 연속해서 상기 피스톤(500)의 스플라인(520)에 유압조절관(600)의 스플라인(610)을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유압조절관(600)의 상면에 유압조절체(700)를 핀(900)을 통해 일체로 고정시키며, 이와 같이 조립된 구성체를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유압조절체(700)를 핀을 통해 일체로 고정시키게 되면 오토힌지장치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절이 완료된 오토힌지장치의 하우징(100)을 도어(10)의 하단 내측에 내장되도록 삽입시킨 상태에서 브래킷(120)과 도어(10)를 볼트를 통해 고정시키고, 상기 샤프트(200)의 연장부(220)에 구비된 힌지홀더(250)를 도어틀(20)의 힌지홀(21)에 키방식으로 결합시키면 오토힌지장치의 장착이 완료된다.
연속해서 도어 설치가 완료되면 도어에 형성된 텐션홀과 일치되어 형성된 상기 하우징(100)의 텐션홀(110)을 통해 별도로 구비된 공구(미도시)를 통과시킨 다음 상기 텐션부재(400)의 텐션핀 삽입홈(410)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구(미도시)를 좌우로 회전을 시킨다. 그러면 상기 텐션부재(400)가 회전함과 동시에 스프링(300)이 함께 회전 압축되어 스프링(300)의 텐션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스프링(300)이 알맞은 텐션력을 가지게 되면 상기 텐션홀(110)과 텐션핀 삽입홈(410)에 핀(900)을 결합시켜 상기 텐션부재(400)를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도어 표면에 절개되어 형성된 유압조절홀을 통해 상기 유압조절체(700)에 결합된 유압조절나사(800)를 조절하여 오일유로(711)를 통해 이동되는 오일의 양을 제어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300)이 복원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 다.
작동시에는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하우징(100)이 회전하게 되고, 이 하우징(100)이 회전함에 따라 유압조절체(700)와 유압조절관(600)와 텐션부재(400) 및 피스톤(500)이 함께 연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텐션부재(400)에 의해 스프링(300)은 내측 방향으로 압축되어져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되며, 상기 피스톤(500)은 샤프트(200)의 다줄나사부(240)를 따라 회전 승강하게 되어 피스톤(500) 상측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500)에 의해 가압되는 오일은 유압조절체(700)의 오일유로(711)와 체크밸브(540)을 통해 피스톤(50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도어가 완전 개방되어 진다.
이후 도어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300)의 복원력에 의해 텐션부재(400)와 하우징(100)과 유압조절관(600) 및 유압조절체(700)가 도어 폐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피스톤(500)은 샤프트(200)의 다줄나사부(240)를 따라 회전 하강하면서 피스톤(500) 내부에 유입된 오일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500)에 의해 가압되는 오일은 체크밸브(540)가 닫힘에 따라 유압조절체(700)의 오일유로(711)를 통해 피스톤(500)의 상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완만한 속도로 도어(10)가 폐쇄되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토힌지장치는, 도어와 도어틀의 힌지부에 장착되는 오토힌지장치의 각각 구성이 단순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져 그 조립이 용이 하게 되고 또한 조립의 간편화에 따라 비용절감을 이룰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어와 도어틀의 하부 힌지에 제공되는 오토힌지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며, 그 외주면 일측에 텐션홀(110)이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 도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브래킷(120)을 갖는 중공형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내장되며,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소정 두깨를 갖는 확개단(210)을 중심으로 하측 연장부(220)의 하단이 도어틀의 바닥 힌지홀에 키방식으로 결합되어 회전이 방지되고, 상측 돌출부(230)의 단부에 소정구간 다줄나사부(240)가 형성되는 샤프트(200)와;
    상기 샤프트(200)의 연장부(220)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그 상단이 상기 확개단(210)에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연장부(220)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프링(300)과;
    상기 샤프트(200)의 연장부(220)에 끼워져 그 상측면이 상기 확개단(210)의 저면에 지지되고, 외주면 둘레에 상기 하우징(100)의 텐션홀(110)을 통해 삽입 지지되는 핀이 고정될 수 있도록 등간격의 텐션핀 삽입홈(410)이 형성되며, 하측 외주면에 상기 스프링(300)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스프링 고정홈(420)이 형성되는 텐션부재(400)와;
    상기 샤프트(200)의 돌출부에 제공된 다줄나사부(240)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 승강되며, 외주면 하측에 스플라인(510)이 형성되고, 상측 중앙에 안내홀과 그 외 주면에 체크밸브가 형성되는 피스톤(5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에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내주면 하측에 상기 피스톤(500)이 스플라인(510) 결합되도록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유압조절관(600)과;
    상기 유압조절관(600)의 상측을 커버하여 고정되며 하단에 상기 피스톤의 안내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 내부의 오일을 피스톤 상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오일유로를 갖는 유압조절봉을 형성하여서 된 유압조절체(700)와;
    상기 유압조절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회전시 오일유로를 개폐하여 오일의 이동을 제어하는 유압조절나사(800)를 가져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조절관(600)와 상기 샤프트(200)의 확개단(210) 사이에 상기 샤프트(200)에 대해 상기 하우징(100)과 유압조절관(600)이 슬라이드 회전될 수 있도록 트러스트 베어링(910)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0)의 연장부(220) 하단에, 상기 도어틀(20)의 바닥 힌지홀 (21)에 결합되도록 키홈을 가지며 상부 일측에 상기 스프링(300)의 하단이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100)이 회전시 텐션력을 부가하게 되는 힌지홀더(250)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KR1020050086814A 2005-09-16 2005-09-16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KR100778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814A KR100778899B1 (ko) 2005-09-16 2005-09-16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814A KR100778899B1 (ko) 2005-09-16 2005-09-16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514A true KR20070032514A (ko) 2007-03-22
KR100778899B1 KR100778899B1 (ko) 2007-11-22

Family

ID=4156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814A KR100778899B1 (ko) 2005-09-16 2005-09-16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491B1 (ko) * 2008-07-01 2008-09-26 우리전기(주) 오일공급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
KR20220063867A (ko) * 2020-11-10 2022-05-18 이재권 도어 개방각도 유지용 힌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06Y1 (ko) 2004-04-23 2004-07-27 신양섭 오토힌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491B1 (ko) * 2008-07-01 2008-09-26 우리전기(주) 오일공급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
KR20220063867A (ko) * 2020-11-10 2022-05-18 이재권 도어 개방각도 유지용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899B1 (ko)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5806A (ko) 도어 개폐장치
JP2005002782A (ja) 自動復帰機能を有する多用途ヒンジ装置
EP3696356A1 (en) Pivot hinge apparatus for door
WO2008050989A1 (en) Buried type hinge apparatus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JP2011094445A (ja) 自動開閉扉蝶番
KR100778899B1 (ko)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KR100403366B1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100813876B1 (ko) 스프링 복원력과 유압 완충력을 갖는 내장형 도어 힌지
KR102466927B1 (ko) 도어 개방각도 유지용 힌지 장치
JP7127142B2 (ja) 電子膨張弁
KR101214724B1 (ko) 도어 개폐 장치
JP4790374B2 (ja) 真空弁
US7260915B2 (en) Door seal device
KR100504944B1 (ko)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100754295B1 (ko) 도어용 유압 경첩
KR100534373B1 (ko) 유압식 완충경첩
US9447622B2 (en) Spring adjusting device for a door actuating device
KR100284872B1 (ko) 유압식크로져와 스프링식크로져 및 그것들을 구비한 도어의 경첩
KR200368537Y1 (ko) 연결아암을 이용한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장치
KR101002302B1 (ko) 도어 내장형 오토힌지장치
JP5073372B2 (ja) ドアクローザ
KR20040025290A (ko) 유압식 경첩
KR20030076863A (ko)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KR200373610Y1 (ko)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KR101117955B1 (ko) 미닫이도어의 자동닫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