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863A -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863A
KR20030076863A KR1020020015859A KR20020015859A KR20030076863A KR 20030076863 A KR20030076863 A KR 20030076863A KR 1020020015859 A KR1020020015859 A KR 1020020015859A KR 20020015859 A KR20020015859 A KR 20020015859A KR 20030076863 A KR20030076863 A KR 20030076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ydraulic
hinge
clo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1563B1 (ko
Inventor
정순자
Original Assignee
정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자 filed Critical 정순자
Priority to KR10-2002-0015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5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은 문틀플레이트(110)의 일측 하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측에 유압을 인가하고 상측에 센터공(126)을 형성한 지지블록(125)을 결합시킨 하부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유압통로(131)를 형성하되 외주연에 육각가이드부(133)를 형성한 유압축(130)과, 상기 유압축(131)에 센터공(143)을 끼워 연동되게 하여 회전되면서 상하로 작동하는 피스톤(140)과, 상기 도어플레이트(150)의 일측 상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한 상부하우징(160)과,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지지블록(125)을 통하여 상부하우징(160)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측을 상부하우징(160)에 연동되게 결합하고 하부에 유압실(173)을 형성하여 하부하우징(120)에 위치되게 하되 유압실(173)의 내부에 피스톤(140)이 삽입되어 상하로 동작되게 하는 작동구(170)와, 상기 상부하우징(160)에 장력을 인가하는 비틀림스프링(190), 및 상기 비틀림스프링(190)을 장력으로 조절하고 이를 세팅하는 조립어셈블리(180)로 구성하므로 장력의 강약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속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압의 과부하를 억제하여 일정하게 완충력을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완충 경첩을 설치할 때 간편하고 조립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BUFFER OF A HINGE TO OPEN AND SHUT A DOOR}
본 발명은 유압식 완충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첩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현장에서 미관을 해치지 않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개폐할 때 도어의 열림과 닫힘이 원활하고 부드럽게 하며 도어의 개폐속도를 손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거운 중량의 도어에도 적용이 가능한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완충장치는 도어를 개폐 할 때 출입자가 도어를 열고 닫음을 적정속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 문틀과 도어의 상측에 별도의 완충장치인 도어 크로져를 부착하여 도어의 개폐속도를 변환시켜 사용하거나 기존 경첩의 내부에 스프링을 설치한 자유경첩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 완충장치 중 도어 크로져의 경우 설치 공정상의 번거로움과 설치에 대한 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자유경첩의 경우에는 도어의 개폐량이 많은 곳에서 사용하는 경우 피로한계에 다다른 스프링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일반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속도를 미세하고 손쉽게 조절하기 힘들어 이와 같은 도어를 이용하는 노약자나 어린이의 안전사고가 두드러지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현상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압식 완충경첩이 안출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와 같은 유압식 완충경첩은 완충기능을 갖기 위한 구성이 상당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유압식 완충경첩을 설치한 도어를 급작스럽게 열거나 닫게 될 경우 유압식 완충경첩 내에서 유압이 과부하가 발생하면서 경첩을 중심으로 도어는 개폐되다 멈추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 도어의 자연스러운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유압식 완충 경첩을 조립할 때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 다음 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최종 조립구를 두들겨 견고하게 조립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이로 인한 외관의 훼손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심지어 경첩의 작동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경첩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스프링의 비틀림 장력의 강약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속도를 쉽고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속도에 의해 경첩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압의 과부하를 억제하여 일정하게 완충력을 유지시킴으로서 도어를 원활하고도 자연스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도어 개폐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 경첩을 설치할 때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한 다음 이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외관의 훼손이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을 부착한 도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의 유압식 완충경첩의 작동전 상태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의 유압식 완충경첩의 작동후 상태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의 다른 작동구를 나타낸 전체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문틀 2 : 도어
100 : 완충경첩 110 : 문틀플레이트
111 : 체결공 120 : 하부하우징
121 : 유압통로 122 : 조절공
123 : 조절볼트 124 : 조인트홀
125 : 고정블록 126 ; 센터공
130 : 유압축 131 : 유압통로
132 : 유격조인트 133 : 육각가이드부
140 : 피스톤 141 : 헤드
142 : 체크밸브 143 : 몸체
144 : 나선홈 145 : 센터공
146 : 육각공 150 : 도어플레이트
151 : 체결공 160 : 상부하우징
161 : 고정공 162 : 고정핀
170 : 작동구 171 : 가이드공
172 : 볼 173 : 유압실
174 : 세팅공 175 : 세팅핀
176 : 연결축 177 : 스플라인
178 : 나선돌출부 180 : 조립어셈블리
181 : 조립구 182 : 플랜지
183 : 나사부 184 : 스플라인
185 : 상부클러치 186 : 하부클러치
187 : 가압구 188 : 스플라인링
189: 육각홈 190 : 비틀림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은 문틀에 부착하는 문틀플레이트와, 상기 문틀플레이트의 일측 하부에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되 하측에 유압을 인가하고 상측에 센터공을 형성한 지지블록을 결합시킨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유압통로를 형성하되 외주연에 육각가이드부를 형성한 유압축과, 상기 유압축에 센터공을 끼워 연동되게 하여 회전되면서 상하로 작동하는 피스톤과, 도어에 부착하는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일측 상부에 형성하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지지블록을 통하여 상부하우징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측을 상부하우징에 연동되게 결합하고 하부에 유압실을 형성하여 하부하우징에 위치되게 하되 유압실의 내부에 피스톤이 삽입되어 상하로 동작되게 하는 작동구와, 상기 상부하우징에 장력을 인가하는 비틀림스프링, 및 상기 비틀림스프링을 장력을 조절하고 조절된 상태로 세팅하는 조립어셈블리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을 부착한 도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의 유압식 완충경첩의 작동전 상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의 유압식 완충경첩의 작동후 상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의 다른 작동구를 나타낸 전체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100)은 문틀(1)에 부착하는 문틀플레이트(110)와, 상기 문틀플레이트(110)의 일측 하부에 일체로 형성하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측에 유압을 인가하고 상측에 센터공(126)을 형성한 지지블록(125)을 결합시킨 하부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유압통로(131)를 형성하되 외주연에 육각가이드부(133)를 형성한 유압축(130)과, 상기 유압축(131)에 센터공(143)을 끼워 연동되게 하여 회전되면서 상하로 작동하는 피스톤(140)과, 도어(2)에 부착하는 도어플레이트(150)와, 상기 도어플레이트(150)의 일측 상부에 일체로 형성하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한 상부하우징(160)과,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지지블록(125)을 통하여 상부하우징(160)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측을 상부하우징(160)에 연동되게 결합하고 하부에 유압실(173)을 형성하여 하부하우징(120)에 위치되게 하되 유압실(173)의 내부에 피스톤(140)이 삽입되어 상하로 동작되게 하는 작동구(170)와, 상기 상부하우징(160)에 장력을 인가하는 비틀림스프링(190), 및 상기 비틀림스프링(190)을 장력을 조절하고 이를 세팅하는 조립어셈블리(180)로 구성한다.
상기 문틀플레이트(110)는 다수개의 체결공(111)을 형성하여 나사 등으로 견고하게 문틀(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하부에 중앙과 일측을 연통시킨 유압통로(121)를 형성하고 중앙에 육각 형상의 조인트홀(124)을 형성하되 유압통로(121)의 일측방향으로 조절공(122)을 형성하고 여기에 조절볼트(123)를 체결하여 유압통로(121)로 흐르는 유압의 크기를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하부하우징(120)의 상부에는 센터공(126)이 형성된 지지블록(125)을 고정시킨다.
상기 유압축(130)은 하단을 만곡시켜 유격에 따른 가변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유격조인트(132)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격조인트(132) 볼이나 십자 등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약간의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여기에 적응할 수 있을 정도면 족하다.
나아가, 유격조인트(132)는 유압축(13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육각으로 형성하여 조인트홀(124)에 삽입하되 조인트홀(124)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하여 유격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유압축(130)의 외주연에 형성된 육각가이드부(133)는 사각이나 팔각 등으로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피스톤(140)은 헤드(141)에 수직으로 체크밸브(142)를 결합하고 몸체(143)의 외주연 나선홈(144)을 형성하며 중앙에 수직으로 센터공(145)을 형성하되 센터공(145)의 내부를 육각공(146)을 형성하여 유압축(130)의 육각가이드부(133)가 위치되게 한다.
여기서 센터공(145)은 유압축(13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하여 그 틈새로 유압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2)가 닫힐 때 미세 압력변화를 해소할 수 있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플레이트(150)는 다수개의 체결공(151)을 형성하여 나사 등으로 견고하게 도어(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60)은 외주연에 고정공(161)을 형성하고 여기에 끼우는 고정핀(162)을 구비한다.
상기 작동구(170)는 상측으로 연결축(176)을 형성하되 연결축(176)의 외주연에 스플라인(177)을 형성한다.
더불어, 작동구(170)의 내부 상측에는 유압축(130)의 상부가 삽입되는 가이드공(171)을 형성하고 가이드공(171)의 끝단에 볼(172)을 끼워 고정설치된 유압축(130)으로부터 작동구(17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작동구(170)의 유압실(173) 내부에는 피스톤(140)의 몸체(143)를 삽입하고 외주연을 관통시켜 세팅공(174)을 형성하되 세팅공(174)에 세팅핀(175)을 체결하여 세팅핀(175)이 피스톤(140)의 몸체(143)에 형성된 나선홈(144)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구(1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140)을 유압실(173)에 삽입하고 고정블록(125)을 조립하기 전에 고정블록(125)의 센터공(126)하부로연결축(176)을 끼운 다음 고정블록(125)을 조립하여야 한다.
상기 조립어셈블리(180)는 외주연 상측에 상부클러치(185)를 삽입하되 상하로 간격이 유지되게 하부클러치(186)를 하단에 결합하고 내주연에 작동구(170)의 스플라인(177)에 대향되는 스플라인(184)을 형성한 조립구(181)와, 상기 조립구(181)의 외주연에 압입되는 스플라인링(188), 및 상기 스플라인링(188)을 압입하여 고정시키는 가압구(187)로 구성한다.
여기서 조립구(181)의 상부클러치(185)는 고정공(161)에 고정핀(162)을 끼워 상부하우징(160)에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나아가 조립구(181)의 상측에는 플랜지(182)를 형성하되 내주연의 상측에 유각홈(189)을 형성하고 육각홈(189)의 하측에 나사부(183)를 형성한다.
더불어, 스플라인링(188)은 작동구(170)의 연결축(176)에 형성된 스플라인(177)과 조립구(181)의 내주연에 형성된 스플라인(184)에 각각 압입되어 경하되는 스플라인을 외주연과 내주연에 형성한다.
또한 가압구(187)는 머리부의 외주연에 나사를 형성하여 조립구(181)의 플랜지(182)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부(183)에 체결되면서 스플라인링(188)을 가압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틀림스프링(190)은 작동구(170)의 연결축(176)의 외주연에 끼워서 형성하되 하단을 하부하우징(120)의 고정블록(125)에 고정하고 상단을 조립구(181)에 결합된 하부클러치(186)에 고정한다.
한편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구(170)의 유압실(173)의몸체(143) 하부를 절개하여 나선돌출부(178)를 형성하되 나선돌출부(178)를 단부를 내측으로 약간 절곡하여 피스톤(140)의 나선홈(144)에 삽입되게 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완충경첩(100)의 문틀플레이트(110)와 도어플레이트(150)를 문틀(2)과 도어(1)에 체결공(111,151)을 통해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육각공(189)을 통하여 조립구(150)를 회전시키면 조립구(181)에 결합된 하부클러치(186)가 회전하면서 비틀림스프링(190)을 감아 장력을 얻게 된다.
여기서 상, 하부클러치(185,186)가 래치형상으로 치차결합 되어 있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므로 비틀림스프링(190)은 감긴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이때 스플라인링(188)을 작동구(170)의 연결축(176)에 끼우고 가압구(187)를 조립구(181)에 체결하면 스플라인링(188) 하측으로 압입되면서 연결축(176)의 외주연에 형성된 스플라인(177)과 조립구(181)의 내주연에 형성된 스플라인(184) 사이에 압입되어 고정되므로 완충경첩(100)에 장력을 인가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작동구(170)와 상부하우징(120)이 연결된다.
조립이 완료 후에 도어(2)를 열면 도어플레이트(150), 상부하우징(160), 작동구(170) 및 조립어셈블리(18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비틀림스프링(190)은 더욱 감기게 되고 작동구(170)의 회전으로 유압실(173)에 세팅핀(175)으로 결합된 피스톤(140)에도 회전력이 인가되고피스톤(140)이 유압축(130)의 육각가이드부(133)에 가이드되므로 피스톤(140)은 상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유압실(173)의 유압이 유압통로(121, 131)를 통하여 피스톤(140)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도어(2)가 오픈된다.
한편 상용자가 임의 빨리 도어(2)를 여는 경우에는 유압실(173)의 유압은 크게 발생하게 되고 이때 체크밸브(142)가 오픈되어 압력의 지나친 상승을 억제하면서 신속하게 도어(2)를 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2)는 오픈상태가 물리적 힘이 제거되면 비틀림스프링(190)의 탄성복원력으로 상기의 역순으로 원위치 된다.
여기서 유압실(170)의 유압이 서서히 역류하므로 도어(2)는 부드럽게 닫히게 된다.
특히 피스톤(140)의 센터공(145)이 유압축(13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그 틈새로 유압이 통과하므로 도어(2)가 닫힐 때 미세 압력변화를 해소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2)의 닫힘이 일정한 속도로 부드럽게 닫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은 문틀(1)에 부착하는 문틀플레이트(110)와, 상기 문틀플레이트(110)의 일측 하부에 일체로 형성하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측에 유압을 인가하고 상측에 센터공(126)을 형성한 지지블록(125)을 결합시킨 하부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유압통로(131)를 형성하되 외주연에 육각가이드부(133)를 형성한 유압축(130)과, 상기 유압축(131)에 센터공(143)을 끼워 연동되게 하여 회전되면서 상하로 작동하는 피스톤(140)과, 도어(2)에 부착하는 도어플레이트(150)와, 상기 도어플레이트(150)의 일측 상부에 일체로 형성하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한 상부하우징(160)과,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지지블록(125)을 통하여 상부하우징(160)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측을 상부하우징(160)에 연동되게 결합하고 하부에 유압실(173)을 형성하여 하부하우징(120)에 위치되게 하되 유압실(173)의 내부에 피스톤(140)이 삽입되어 상하로 동작되게 하는 작동구(170)와, 상기 상부하우징(160)에 장력을 인가하는 비틀림스프링(190), 및 상기 비틀림스프링(190)을 장력을 조절하고 이를 세팅하는 조립어셈블리(180)로 구성하므로 경첩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스프링의 비틀림 장력의 강약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속도를 쉽고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 만 아니라 개폐속도에 의해 경첩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압의 과부하를 억제하여 일정하게 완충력을 유지시킴으로서 도어를 원활하고도 자연스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도어 개폐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시키고 완충 경첩을 설치할 때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 다음 이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외관의 훼손이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문틀(1)에 부착하는 문틀플레이트(110)와,
    상기 문틀플레이트(110)의 일측 하부에 일체로 형성하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측에 유압을 인가하고 상측에 센터공(126)을 형성한 지지블록(125)을 결합시킨 하부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유압통로(131)를 형성하되 외주연에 육각가이드부(133)를 형성한 유압축(130)과,
    상기 유압축(131)에 센터공(143)을 끼워 연동되게 하여 회전되면서 상하로 작동하는 피스톤(140)과,
    도어(2)에 부착하는 도어플레이트(150)와,
    상기 도어플레이트(150)의 일측 상부에 일체로 형성하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한 상부하우징(160)과,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지지블록(125)을 통하여 상부하우징(160)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측을 상부하우징(160)에 연동되게 결합하고 하부에 유압실(173)을 형성하여 하부하우징(120)에 위치되게 하되 유압실(173)의 내부에 피스톤(140)이 삽입되어 상하로 동작되게 하는 작동구(170)와,
    상기 상부하우징(160)에 장력을 인가하는 비틀림스프링(190), 및
    상기 비틀림스프링(190)을 장력을 조절하고 이를 세팅하는 조립어셈블리(18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하부에 중앙과 일측을 연통시킨 유압통로(121)를 형성하고 중앙에 조인트홀(124)을 형성하되 유압통로(121)의 일측방향으로 조절공(122)을 형성하고 여기에 조절볼트(123)를 체결하며 상부에 센터공(126)이 형성된 지지블록(125)을 고정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축(130)은 하단을 유격조인트(132)로 형성하되 유압축(13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육각으로 형성하고 조인트홀(124)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하여 유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40)은 헤드(141)에 수직으로 체크밸브(142)를 결합하고 몸체(143)의 외주연 나선홈(144)을 형성하며 중앙에 수직으로 센터공(145)을 형성하되 센터공(145)의 내부를 육각공(146)을 형성하여 유압축(130)의 육각가이드부(133)가 위치되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완충경첩.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40)의 센터공(145)은 유압축(13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하여 그 틈새로 유압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70)는 상측으로 연결축(176)을 형성하되 연결축(176)의 외주연에 스플라인(177)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70)는 내부 상측에 유압축(130)의 상부가 삽입되는 가이드공(171)을 형성하고 가이드공(171)의 끝단에 볼(172)을 끼워 작동구(17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70)의 유압실(173)의 내부에는 피스톤(140)의 몸체(143)를 삽입하고 외주연을 관통시켜 세팅공(174)을 형성하되 세팅공(174)에 세팅핀(175)을 체결하여 세팅핀(175)이 피스톤(140)의 몸체(143)에 형성된 나선홈(144)에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어셈블리(180)는 외주연 상측에 상부클러치(185)를 삽입하되 상하로 간격이 유지되게 하부클러치(186)를 하단에 결합하고 내주연에 작동구(170)의 스플라인(177)에 대향되는 스플라인(184)을 형성한 조립구(181)와, 상기 조립구(181)의 외주연에 압입되는 스플라인링(188), 및 상기 스플라인링(188)을 압입하여 고정시키는 가압구(187)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10. 제 9 항에 있어서,
    여기서 조립구(181)의 상부클러치(185)는 고정공(161)에 고정핀(162)을 끼워 상부하우징(160)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되 조립구(181)의 상측에 플랜지(182)를 형성하고 플랜지(182)의 내주연에 나사부(183)를 형성하며 나사부(183)의 상측에 육각홈(189)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링(188)은 작동구(170)의 연결축(176)에 형성된 스플라인(177)과 조립구(181)의 내주연에 형성된 스플라인(184)에 각각 압입되어 결합되는 스플라인을 외주연과 내주연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스프링(190)은 작동구(170)의 연결축(176)의 외주연에 끼워서 형성하되 하단을 하부하우징(120)의 고정블록(125)에 고정하고 상단을 조립구(181)에 결합된 하부클러치(186)에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13.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70)의 유압실(173)의 몸체(143) 하부를 절개하여 나선돌출부(178)를 형성하되 나선돌출부(178)를 단부를 내측으로 약간 절곡하여 피스톤(130)의 나선홈(144)에 삽입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KR10-2002-0015859A 2002-03-23 2002-03-23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KR100511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859A KR100511563B1 (ko) 2002-03-23 2002-03-23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859A KR100511563B1 (ko) 2002-03-23 2002-03-23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863A true KR20030076863A (ko) 2003-09-29
KR100511563B1 KR100511563B1 (ko) 2005-09-02

Family

ID=3222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859A KR100511563B1 (ko) 2002-03-23 2002-03-23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5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292A (ko) * 2002-09-19 2004-03-24 (주)대흥메탈 스프링식 경첩
CN105370122A (zh) * 2015-12-10 2016-03-02 湖州职业技术学院 液压合页
CN114562510A (zh) * 2022-02-28 2022-05-31 东莞市橙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阻尼缓冲铰链及其生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5383B2 (ja) * 1995-05-15 2004-01-13 株式会社ニフコ 自動閉鎖型蝶番
KR20000060278A (ko) * 1999-03-13 2000-10-16 장종복 래치형 스프링 경첩
KR20000066748A (ko) * 1999-04-20 2000-11-15 장종복 탄발력 조절장치가 구비된 스프링 경첩
KR200219473Y1 (ko) * 2000-10-28 2001-04-02 이원옥 유압식 완충경첩
KR100418094B1 (ko) * 2000-12-12 2004-02-11 이동진 도어 클로저
KR200246966Y1 (ko) * 2001-05-30 2001-10-29 이동진 도어 클로저
KR100470568B1 (ko) * 2002-03-06 2005-02-22 정순자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292A (ko) * 2002-09-19 2004-03-24 (주)대흥메탈 스프링식 경첩
CN105370122A (zh) * 2015-12-10 2016-03-02 湖州职业技术学院 液压合页
CN114562510A (zh) * 2022-02-28 2022-05-31 东莞市橙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阻尼缓冲铰链及其生产设备
CN114562510B (zh) * 2022-02-28 2022-10-21 东莞市橙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阻尼缓冲铰链及其生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1563B1 (ko) 200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4924A (en) Door closer unit
US8863356B2 (en) Piston device for the controlled rotatable movement of doors, shutters or like members
US10392847B2 (en) Door hinge closing mechanism
KR100776627B1 (ko) 매립형 자동복귀 힌지장치
US20060230573A1 (en) Door closing hinge device
JP2010500492A (ja) 建資材用ドアの自動復帰ヒンジ装置
JP4024002B2 (ja) ドア閉め装置
KR20120074445A (ko)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GB2044840A (en) Door closer
KR20030076863A (ko)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WO2003067011A1 (en) Armless door-closer
US6904642B2 (en) Closing device for gates and doors
JP2000136669A (ja) 緩衝機構付き自動閉扉蝶番
KR200282452Y1 (ko)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KR100483362B1 (ko)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KR100470568B1 (ko)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KR200361299Y1 (ko) 도어 닫음 장치
JP2003343151A (ja) フロアヒンジ
DK2029846T3 (en) Fastening element for fastening a door or window frame to the edge of an opening in a building
KR100620557B1 (ko) 자동 도어 클로저가 내장된 안전 방화문 조립체
KR100778899B1 (ko)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KR20070009911A (ko)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KR200271646Y1 (ko) 경첩형 도어개폐장치
KR20040025290A (ko) 유압식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