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299Y1 - 도어 닫음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닫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299Y1
KR200361299Y1 KR20-2004-0016163U KR20040016163U KR200361299Y1 KR 200361299 Y1 KR200361299 Y1 KR 200361299Y1 KR 20040016163 U KR20040016163 U KR 20040016163U KR 200361299 Y1 KR200361299 Y1 KR 200361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screw
piston
cylind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제
Original Assignee
조선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제 filed Critical 조선제
Priority to KR20-2004-0016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2Special devices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liquid, e.g. valv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6Pis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8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닫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우징의 상단에 도어취부판을 일체화하면서 단순화하고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루회전축과 피스톤 등의 구성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구성부품수를 대폭적으로 줄여 제작조립이 용이하고 원가절감이 이뤄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몸체(11)에 실린더실(12)이 형성되고 몸체(11)의 상단에 도어취부판(16)이 수평으로 연장되며 몸체(11)의 한쪽엔 실린더실(12)의 상하부가 연통되도록 제1, 제2유체통로(14a,14b)가 형성되고 이 제1유체통로(14a)의 상부에 속도조절밸브(15)가 마련되어 도어(D)의 내부에 몸체(11)가 내장된 상태로 도어(D) 상면에 장착되는 하우징(10); 이 하우징(10)의 실린더실(12) 상단에 축공(13)을 관통하여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칼라(21) 상부엔 저널(22)과 고정각부(23)가 형성되고 칼라(21)의 하부엔 2줄 이상의 다줄 나사(24)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루회전축(20); 이 하우징(10)의 실린더실(12) 내에서 스크루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엔 스크루회전축(20)의 다줄 나사(24)와 체결되는 스크루 홀(31)이 형성되고 한쪽엔 체크밸브(32)가 마련된 피스톤(30); 상기 하우징(10)의 실린더실(12)에 고점성유체(46)를 채워 넣음과 아울러 피스톤(30)이 스프링(4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플러그(40)로 씌워지며 몸체(11)의 상부로 돌출된 스크루회전축(20)의 고정각부(23)에 문틀(DF) 측의 문틀브래킷(50) 및 이와 연결된 2절 링크(52)의 끝단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닫음 장치{Door closer}
본 고안은 도어 닫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상단에 도어취부판을 일체화하면서 단순화하고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루회전축과 피스톤 등의 구성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구성부품수를 줄여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절감이 이뤄지는 도어 닫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출입문이나 방화문 등은 문틀의 한쪽에 힌지 혹은 경첩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종 문들은 외력에 의해 상기 문의 한쪽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개방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유압 내지 스프링 등의 복원력에 의해 닫히도록 하는 도어 닫음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 닫음 장치와 관련하여 무수히 많은 것들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 중에서 본원과 같이 유압을 이용하는 도어 닫음 장치에 대하여 발췌하여 열거하였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63251호(공개번호 제1999-0081808호)의 도어용 힌지는, 조립공정을 생산라인과 시공현장에서 조립하는 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생산라인에서의 공정은 ① 하우징 한쪽의 유로 상/하단에 각각 조절밸브를 설치하고, ② 피스톤의 통로위에 볼을 올려놓고 힌지축의 나선축과 나사 결합시킨 다음, ③ 힌지축의 상부에 부시와 패킹을 끼운 상태에서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그 내부공간인 실린더실에 끼워 넣어 가설하고, ④ 상기 실린더실에 오일(고점성유체)을 채우되 피스톤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스프링을 넣어 캡을 체결하는 4공정으로 이뤄진다. 시공현장에서의 공정은 ① 시공현장에선 도어 및 도어프레임에 도어용 취부판재와 도어프레임용 취부판재를 각각 장착한 상태에서 연결구를 관통 결합시키고 이 연결구에 너트를 체결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설치하며, ② 상기의 생산라인에서 조립된 유닛인 하우징 상부의 스플라인 홈에 도어용 취부판재의 스플라인 편이 끼워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된 힌지축을 연결구 상부로 관통시킨 후 상기 힌지축 상단에 너트로 체결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었다.
상기의 등록특허공보는 생산라인 및 시공현장에서의 조립공정이 너무 복잡하고 조립작업이 곤란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없었으며, 특히 구성부품이 너무 많아 제작이 어렵고 생산원가의 상승요인이 되었음은 물론 잦은 고장이 발생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우징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의 외측 힌지, 즉 도어의 외부에 도출된상태로 설치되는 것이어서 외관이 보기 흉하게 됨은 물론 외기의 영향(동절기와 하절기의 온도차이)으로 인한 고점성인 유체의 점성이 변하기 쉬우며, 이렇게 고점성유체의 점성이 변하게 되면 도어의 닫힘 속도가 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이 도어의 외부에 하우징이 설치되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도어의 패널내부에 하우징을 내장시킨 것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3185호에 게재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도어측 힌지 브래킷에 고정된 하우징 내에 도어 개폐시 피스톤이 승/하강되게 샤프트와 피스톤을 설치하며 상기 피스톤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도어 개폐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을 유압으로 제어하도록 하우징 외측에 유압 조절나사를 갖는 유압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도어의 내측벽에서 상기 도어측 힌지 브래킷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샤프트의 단부와 상기 도어와 도어틀측 힌지 브래킷들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핀이 기어 연동수단으로 치합되어 도어 개폐시 도어에 유압 완충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참고적으로, 위 등록실용신안공보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① 샤프트에 상부링, 부싱, 볼 베어링, 하부링, 상부 스프링 캡, 스프링 및 하부 스프링 캡을 삽입하여 하우징 내에 장착하고, ② 슬라이더, 체크밸브가 장착된 피스톤, 실린더를 상호 결합한 후 하우징 내에 장착한 다음, ③ 상기 캡을 하우징의 캡 나사홈에 결합한다. ④ 이어 상기 상부링과 도어측 힌지 브래킷을 결합한 후 상기 샤프트의 다각부에 제1기어를 그리고 상부링의 체결홀에 볼트를 체결한다. ⑤ 연속해서 도어측힌지 브래킷의 힌지홀에 아이들기어가 끼워진 힌지핀을 결합시킨 후 ⑥ 도어틀측 힌지 브래킷의 힌지홀을 통해 제2기어가 결합된 힌지핀을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위와 같은 등록실용신안공보의 도어 개폐완충기에 있어서는, 등록특허공보와 마찬가지로, 구성부품이 25여개 이상으로 너무 많아 제작이 어려우며, 그 조립공정이 너무 복잡하고 조립작업이 곤란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없음은 물론 생산원가의 상승요인으로 대두되는 것이었다.
특히, 도어의 패널내부에 하우징이 설치되므로 외관을 해하지 않고 외기의 영향(동절기와 하절기의 온도차이)으로 인한 고점성인 유체의 점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으나,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구성부품이 많은 관계로 잦은 고장이 발생되기 쉽고 이렇게 고장이 발생되면 수리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상단에 도어취부판을 일체화하면서 단순화하고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루회전축과 피스톤 등의 구성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구성부품수를 대폭적으로 줄여 제작조립이 용이하고 원가절감이 이뤄지도록 한 도어 닫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도어 닫음 장치가 적용된 문틀과 도어의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본 고안의 요부인 도어 닫음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도어개방시 피스톤이 하강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가이드핀이 설치된 위치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도어 닫음 장치가 적용된 문틀과 도어의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요부인 도어 닫음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조립 단면도,
도 9는 도 7에서 문틀취부판과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몸체 12: 실린더실
14a: 제1유체통로 14b: 제2유체통로 15: 속도조절밸브
16: 도어취부판 18: 힌지브래킷 20: 스크루회전축
21: 칼라 22: 저널 23: 고정각부
24: 다줄 나사 30: 피스톤 31: 스크루 홀
32: 체크밸브 40: 플러그 42: 가이드 핀
44: 스프링 46: 유체 50: 문틀브래킷
52: 2절 링크 54: 문틀취부판 56: 힌지
60: 기어유닛 61: 구동기어 62: 아이들기어
63: 피니언기어 65: 커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도어 닫음 장치는, 몸체에 실린더실이 형성되고 몸체의 상단에 도어취부판이 수평으로 연장되며 몸체의 한쪽엔 실린더실의 상하부가 연통되도록 제1, 제2유체통로가 형성되고 이 제1유체통로의 상부에 속도조절밸브가 마련되어 도어의 내부에 몸체가 내장된 상태로 도어 상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이 하우징의 실린더실 상단에 축공을 관통하여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칼라 상부엔 저널과 고정각부가 형성되고 칼라의 하부엔 2줄 이상의 다줄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루회전축; 이 하우징의 실린더실 내에서 스크루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엔 스크루회전축의 다줄 나사와 체결되는 스크루 홀이 형성되고 한쪽엔 체크밸브가 마련된 피스톤; 상기 하우징의 실린더실에 고점성의 유체를 채워 넣음과 아울러 피스톤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플러그로 씌워지며 몸체의 상부로 돌출된 스크루회전축의 고정각부에 문틀 측의 문틀브래킷 및 이와 연결된 2절 링크의 끝단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도어 닫음 장치는, 도어 및 문틀에 도어취부판과 문틀취부판이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도어취부판에는 실린더실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스크루회전축과, 이 스크루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상단이 장착되며, 상기 도어개폐시 도어에 유압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스크루회전축의 고정각부와 상기 도어 및 문틀측의 브래킷들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핀이 연결된 기어유닛을 포함하는 도어 닫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엔 상단에 도어와의 장착을 위한 도어취부판과, 문틀측 힌지와의 연결을 위한 브래킷이 수평으로 연장되며 몸체의 한쪽엔 실린더실의 상하부가 연통되도록 제1, 제2유체통로가 형성되고 이 제1유체통로의 상부에 속도조절밸브가 마련되며; 상기 스크루회전축의 하부엔 2줄 이상의 다줄 나사가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은 중앙에 스크루회전축의 다줄 나사와 체결되는 스크루 홀이 형성되고 한쪽엔 체크밸브가 마련되며, 상기 문틀취부판의 힌지가 힌지브래킷의 피니언기어에 관통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도어 닫음 장치를 실시 예의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도어 닫음 장치를 적용하여 도어와 문틀의 힌지 근처에 설치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도어(D)상단의 한쪽끝단부분에 상부로부터 하우징(10)이 내장되도록 도어취부판(16)을 장착하며,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 설치된 스크루회전축(20)상단의 고정각부(23)에 문틀(DF) 측의 문틀브래킷(50)과 연결된 2절 링크(52)끝단을 연결 고정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본 고안의 요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서 가이드핀을 횡단하는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여기에서, 하우징(10)은 상하로 긴 실린더실(12)의 상단에 축공(13)이 형성된 몸체(11)와, 이 몸체(1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도어취부판(1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1)에는 그 한쪽의 덧살(11a) 부분에 실린더실(12)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제1유체통로(14a)가 형성되고 이 제1유체통로(14a)의 상하부에 실린더실(12)과 연통되도록 제2유체통로(1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유체통로(14a)의 상단부분에 실린더실(12)에 채워진 유체(46)의 흐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밸브(1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몸체(11)의 실린더실(12) 상단에 형성된 축공(13)에는 실린더실(12)의 하부로부터 스러스트베어링(25)과 함께 스크루회전축(20)이 삽입 설치되되, 이 스크루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30)이 상하로 이동되게 나사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스크루회전축(20)은 중간의 칼라(21)를 기준으로 하여 그 상부엔 저널(22)과 고정각부(23)가 형성되고 칼라(21)의 하부엔 피스톤(30)의 스크루 홀(31a)과 체결되는 2줄 이상의 다줄 나사(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30)은 스크루회전축(20)의 다줄 나사(24)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스크루회전축(20)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10)의 실린더실(12)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30)은 중앙엔 스크루 홀(31a)이 형성되고 한쪽엔 체크밸브(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32)는 피스톤(32) 하부의 실린더실(12)과 연통되도록 통공(3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32a)의 상부에 볼(32b)이 안치되어있어 피스톤(30)이 하강될 때엔 피스톤(30)하부의 실린더실(12)내에 고점성유체가 상부로 토출되고 피스톤(30)이 상승될 때엔 볼(32b)에 의해 통공(32a)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스톤(30)의 외면에는 몸체(11)의 덧살(11a) 부분으로 체결되는 가이드핀(42)에 의해 피스톤(30)을 상하로 안내하는 가이드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실린더실(12) 하단부분인 몸체(11)에는 플러그(40)가 마감 처리되되 실린더실(12)내의 피스톤(3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스프링(44)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실린더실(12) 내부공간인 피스톤(30)의 상/하부는 물론 제1, 제2유체통로(14a,14b)에 이르기까지 고점성의 유체(46)가 충전되어있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도어 닫음 장치는, 하우징(10)에 도어취부판(1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실린더실(12)에 설치되는 부품, 즉 스크루회전축(20), 피스톤(30), 스프링(44), 플러그(40)로 최소한의 구성부품으로 이뤄지며 이로 인하여 구성이 단순함과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잔고장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최소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도어 닫음 장치는, 도 1과 같이 도어(D) 상단한쪽의 힌지근처에 하우징(10)의 몸체(11)가 매립되도록 하되 도어(D)상단에 하우징(10)의 도어취부판(16)을 스크루로 장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D)를 수용하는 바로위의 문틀(DF)에 문틀브래킷(50)을 장착한 후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된 스크루회전축(20) 상단의 고정각부(23)와 문틀브래킷(50)을 직선형의 2절 링크(52)를 통해 연결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고안의 도어 닫음 장치를 설치하였을 때, 스크루회전축(20)이 약간 회전되어 피스톤(30)이 약간 내려간 상태, 즉 도 3과 같은 상태로유지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우징(10)내의 피스톤(30)과 함께 스크루회전축(20)이 원위치로 회전하려는 복귀력에 의하여 도어(D)가 문틀(DF)에 가압되는 상태로 밀착되어 닫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시공된 상태에서 도어(D)를 개방하면 도어(D)가 2절 링크(52)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D)가 개방되는 만큼 스크루회전축(20)이 회전되며, 이에 상응하여 스크루회전축(20)의 다줄 나사(24)와 나사 결합된 피스톤(30)이 하강된다. 이때, 피스톤(30)은 유체(46)와 함께 스프링(44)을 누르면서 하강하여 도어(D)를 적정한 힘으로 밀어 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30)이 하강될 때, 유체(46)는 피스톤(30)의 통공(32a)을 통하여 볼(32b)이 압력에 의하여 밀리면서 유체(46)가 올라와 피스톤(30)의 하강에 따라 넓어지는 공간으로 유입과 동시에 제1유체통로(14a)상단에 끼워진 속도조절밸브(15)의 끝단부분과 제1유체통로(14a)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피스톤(30)하부의 실린더실(12) 하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속도조절밸브(15)를 회전시켜 속도조절밸브(15)의 끝단부분과 제1유체통로(14a) 사이의 공간을 조정하여 고점성의 유체(46)가 빠져나가는 것이 조정되므로 도어(D)의 오픈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어(D)가 개방된 도 4의 상태에서 도어(D)에 가해졌던 힘, 즉 외력이 제거되면 하우징(10)의 실린더실(12)내에 설치된 피스톤(30)이 스프링(44)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승되고, 이렇게 피스톤(30)이 상승되는 만큼 피스톤(30)의 스크루 홀(31)에 나사 결합된 스크루회전축(20)의 다줄 나사(24)가 회전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스크루회전축(20)이 회전됨에 따라 그 상단의 고정각부(23)에 2절 링크(52)의 끝단이 연결되고 문틀(DF)측의 문틀브래킷(50)과 다른 끝단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2절 링크(52)가 접히면서 닫히게 된다.
이때, 피스톤(30)에 마련된 체크밸브(32), 즉 피스톤(30)의 통공(32a)에 설치된 볼(32b)이 피스톤(30) 위쪽의 유체(46)에 가해지는 압축력과 피스톤(30)아래의 유체(46)에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한 작용으로 차단되고, 상기 피스톤(30)상부의 실린더실(12)내에 있는 유체(46)는 상부의 제2유체통로(14b), 제1유체통로(14a) 및 하부의 제2유체통로(14b)를 통하여 피스톤(30)하부의 실린더실(1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30)이 상승될 때, 고점성의 유체(46)는 체크밸브(32)를 이루는 피스톤(30)의 통공(32a)이 볼(32b)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제1유체통로(14a)상단에 끼워진 속도조절밸브(15)의 끝단부분과 제1유체통로(14a)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서만 피스톤(30)상부의 실린더실(12) 하부로 서서히 빠져 나가게 되며, 이로 인하여 도어(D)는 순간적으로 닫히지 않고 유체압력을 받으면서 적정속도로 서서히 닫히게 된다.
따라서, 도어(D)의 닫히는 속도는 상기 속도조절밸브(15)를 회전시켜 이 속도조절밸브(15)의 끝단부분과 제1유체통로(14a) 사이의 공간을 조정함으로써 고점성의 유체(46)가 빠져나가는 유량이 조정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D)의 닫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어(D)가 닫힌 상태에서는 문틀브래킷(50)과 2절 링크(25)가 문틀(DF)과 도어(D)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도어 닫음 장치가 적용된 도어와 문틀의 모서리부분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도어(D)상단의 한쪽끝단부분에 하우징(10a)이 내장된 상태로 도어취부판(16)으로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10a)과 일체로 형성된 힌지브래킷(18)이 도어(D)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이렇게 외측으로 돌출된 힌지브래킷(18)이 문틀(DF) 측의 문틀취부판(54)과 힌지(56)를 통해 연결설치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10a)이 도어(D)내부로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의 영향(동절기와 하절기의 온도차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어(D)의 외관이 심플함은 물론 미려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도 6의 도어 닫음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에서 문틀취부판과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구성부품, 즉 하우징(10a)의 몸체(11)와 속도조절밸브(15), 스크루회전축(20), 피스톤(30), 스프링(44), 플러그(40) 등에 대하여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a)은 상하로 긴 실린더실(12)의 상단에 축공(13)이 형성된 몸체(11)와, 이 몸체(1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도어취부판(16) 및 문틀(DF)에 장착되는 문틀취부판(54)의 힌지(56)와 연결을 위한 힌지브래킷(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힌지브래킷(18)은 기어유닛(60)의 설치를 고려하여 도어취부판(16)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어 있고 이외의 몸체(11)구성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스크루회전축(19)의 상단에 구동기어(61)가 장착되고 이 구동기어(61)와 맞물리도록 하우징(10)상단의 힌지브래킷(18)엔 아이들기어(62)가 설치됨과 아울러 아이들기어(62)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63)가 설치되어 기어유닛(60)을 이루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힌지브래킷(18) 상부에는 기어유닛(60)의 구동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도록 하면서 보호하기 위한 커버(65)가 씌워져 있다.
상기 하우징(10) 상단의 힌지브래킷(18)에 설치된 피니언기어(63)에는 도어(D)의 개폐됨에 따라 기어유닛(60)을 이루는 피니언기어(63), 아이들기어(62) 및 구동기어(61)가 순차적으로 연동되도록 문틀(DF) 측의 문틀취부판(54)에 장착된 힌지(56)가 관통됨과 아울러 고정 설치되어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인 도어 닫음 장치 또한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도어 닫음 장치에 기어유닛(60)과 커버(65)를 부가하는 정도로 최소한의 구성부품으로 이뤄지며 이로 인하여 구성이 단순함과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잔고장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도어 닫음 장치를 적어도 문틀(DF) 및 도어(D)의 상/하단 중 한 곳에 설치하고 그 외의 문틀(DF) 및 도어(D)에 통상의 힌지부분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문틀(DF) 및 도어(D)의 상단에 본 고안의 도어 닫음 장치가 설치된 경우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어취부판(23)의 직립부재(23b)에 하우징(10) 한쪽의 제1, 제2유체통로(14a,14b)부분을 감싸도록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몸체(11)부분이 도어(D)내에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10)의 힌지브래킷(18)이 도어(D)의 외측으로 도출되도록 도어(D)상단에 하우징(10a)의 도어취부판(16)을 장착한다.
상기 하우징(10)의 힌지브래킷(18)과 상응하는 위치의 문틀(DF)에 문틀취부판(54)을 장착하되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하우징(10)의 힌지브래킷(18)과 문틀취부판(54)이 겹쳐져 일치되는 형상으로 장착함으로써 문틀(DF)과 도어(D)에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 문틀취부판(54)의 힌지(56)가 힌지브래킷(18)내의 피니언기어(63)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하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고안의 도어 닫음 장치를 설치하였을 때, 스크루회전축(20)이 약간 회전되어 피스톤(30)이 약간 내려간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우징(10)내의 피스톤(30) 및 기어유닛(60)과 함께 하우징(10)이 원위치로 회전하려는 복귀력에 의하여 도어(D)가 문틀(DF)에 가압되는 상태로 밀착되어 닫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D)를 열면 힌지(56)는 문틀(DF)에 장착되는 문틀취부판(54)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회전하지 않고 도어(D)에 장착된 도어취부판(16)과 함께 하우징(10)이 회전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하우징(10)측의 힌지브래킷(18) 단부에 설치된 피니언기어(63)가 상대적으로 회전되면서 이 피니언기어(63)와 맞물려있는 아이들기어(62)를 통해 구동기어(61)가 연동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D)가 개방되는 만큼 구동기어(61)가 회전됨에 따라 이 구동기어(61)와 함께 스크루회전축(20) 또한 회전되게 되고 이 스크루회전축(20)에 나사 결합된 피스톤(30)이 하강되게 된다. 이때, 피스톤(30)은 유체(46)와 함께 스프링(44)을 누르면서 하강하여 도어(D)를 적정한 힘으로 밀어 열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어(D)에 가해졌던 힘, 즉 외력이 제거되면 하우징(10)의 실린더실(12)내에 설치된 피스톤(30)이 스프링(44)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승되고 이렇게 피스톤(30)이 상승되는 만큼 피스톤(30)의 스크루 홀(31)에 나사 결합된 스크루회전축(20)의 다줄 나사(24)가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루회전축(20)이 회전됨에 따라 그 상단의 고정각부(23)에 구동기어(61)가 연동 회전되게 되고 이 구동기어(61)에 맞물려있는 아이들기어(62)를 통해 피니언기어(63)가 연동되게 된다.
위와 같이 피니언기어(63)가 연동 회전되면 이를 관통하여 힌지(56)가 는 문틀(DF)에 장착되는 문틀취부판(54)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회전하지 않고 도어(D)에 장착된 도어취부판(16)과 함께 하우징(10)이 도어(D)가 개방될 때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하우징(10)측의 힌지브래킷(18) 단부에 설치된 피니언기어(63) 또한 도어(D)가 개방될 때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 피니언기어(63)와 맞물려있는 아이들기어(62)를 통해 구동기어(61)가 연동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동기어(61)에 의해 연동되는 피니언(63)이 회전되는 만큼 도어(D)가 닫히게 된다.
이때, 피스톤(30)은 스프링(44)의 복원력(탄성력)에 의해 상승되므로, 체크밸브(32)를 이루는 피스톤(30)의 통공(32a)은 볼(32b)이 피스톤(30)상부의 유체(46)가 받는 압축력과 피스톤(30)하부의 유체(46)에 걸리는 흡입력에 의한 작용으로 차단되고, 상기 피스톤(30)상부의 실린더실(12)내에 있는 유체(46)는 상부의 제2유체통로(14b), 제1유체통로(14a) 및 하부의 제2유체통로(14b)를 통하여 피스톤(30)하부의 실린더실(1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피스톤(30)이 하강될 때 유체(46)의 작용과 도어(D)의 개폐 속도조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56)는 문틀취부판(54)에 일체로 고정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하우징(10a) 측의 피니언기어(63)가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 즉 힌지(56)를 피니언기어(63)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힌지(56)의 상단이 문틀취부판(54)에 고정되는 구조로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닫음 장치는, 하우징의 상단에 도어취부판이나 이에 힌지브래킷을 일체화하면서 단순화하고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루회전축과 피스톤 등의 구성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구성부품수를 최소한으로 줄였으며, 이로 인한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원가절감은 물론 잔고장이 발생되지 않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몸체(11)에 실린더실(12)이 형성되고 몸체(11)의 상단에 도어취부판(16)이 수평으로 연장되며 몸체(11)의 한쪽엔 실린더실(12)의 상하부가 연통되도록 제1, 제2유체통로(14a,14b)가 형성되고 이 제1유체통로(14a)의 상부에 속도조절밸브(15)가 마련되어 도어(D)의 내부에 몸체(11)가 내장된 상태로 도어(D) 상면에 장착되는 하우징(10);
    이 하우징(10)의 실린더실(12) 상단에 축공(13)을 관통하여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칼라(21) 상부엔 저널(22)과 고정각부(23)가 형성되고 칼라(21)의 하부엔 다줄 나사(24)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루회전축(20);
    이 하우징(10)의 실린더실(12) 내에서 스크루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엔 스크루회전축(20)의 다줄 나사(24)와 체결되는 스크루 홀(31)이 형성되고 한쪽엔 체크밸브(32)가 마련된 피스톤(30);
    상기 하우징(10)의 실린더실(12)에 고점성의 유체(46)를 채워 넣음과 아울러 피스톤(30)이 스프링(4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플러그(40)로 씌워지며 몸체(11)의 상부로 돌출된 스크루회전축(20)의 고정각부(23)에 문틀(DF) 측의 문틀브래킷(50) 및 이와 연결된 2절 링크(52)의 끝단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닫음 장치.
  2. 도어(D) 및 문틀(DF)에 도어취부판(16)과 문틀취부판(54)이 힌지(56)를 통해연결되고 상기 도어취부판(16)에는 실린더실(12)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스크루회전축(20)과, 이 스크루회전축(2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30)과, 이 피스톤(30)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44)을 포함하는 하우징(10)의 상단이 장착되며, 상기 도어개폐시 도어(D)에 유압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스크루회전축(20)의 고정각부(23)와 상기 도어(D) 및 문틀(DF)측의 힌지브래킷(18)들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56)가 연결된 기어유닛(60)을 포함하는 도어 닫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a)엔 상단에 도어(D)와의 장착을 위한 도어취부판(16)과, 문틀(DF)측 힌지(56)와의 연결을 위한 힌지브래킷(18)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몸체(11)의 한쪽엔 실린더실(12)의 상하부가 연통되도록 제1, 제2유체통로(14a,14b)가 형성되고 이 제1유체통로(14a)의 상부에 속도조절밸브(15)가 마련되며; 상기 스크루회전축(20)의 하부엔 다줄 나사(24)가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30)은 중앙에 스크루회전축(20)의 다줄 나사(24)와 체결되는 스크루 홀(31)이 형성되고 한쪽엔 체크밸브(32)가 마련되며, 문틀취부판(50)의 힌지(52)가 힌지브래킷(18)의 피니언기어(63)에 관통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닫음 장치.
KR20-2004-0016163U 2004-06-09 2004-06-09 도어 닫음 장치 KR200361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63U KR200361299Y1 (ko) 2004-06-09 2004-06-09 도어 닫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63U KR200361299Y1 (ko) 2004-06-09 2004-06-09 도어 닫음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147A Division KR20050083534A (ko) 2004-02-02 2004-06-09 도어 닫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299Y1 true KR200361299Y1 (ko) 2004-09-07

Family

ID=4934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163U KR200361299Y1 (ko) 2004-06-09 2004-06-09 도어 닫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29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190B1 (ko) * 2005-05-13 2007-01-05 조현규 경첩
KR100776627B1 (ko) * 2006-10-24 2007-11-15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매립형 자동복귀 힌지장치
KR101019780B1 (ko) 2008-03-21 2011-03-04 김현피 웜 내치기어 및 이를 이용하는 자동 복귀 및 정지 기능을갖는 힌지장치
KR101750210B1 (ko) * 2016-09-13 2017-06-22 정기환 갱폼의 작업발판 출입용 자동식 안전도어
WO2019210364A1 (en) * 2018-05-03 2019-11-07 Farrugia Nikolaus A dampened hinge assembly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190B1 (ko) * 2005-05-13 2007-01-05 조현규 경첩
KR100776627B1 (ko) * 2006-10-24 2007-11-15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매립형 자동복귀 힌지장치
WO2008050989A1 (en) * 2006-10-24 2008-05-02 I-One Innotech Co., Ltd. Buried type hinge apparatus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KR101019780B1 (ko) 2008-03-21 2011-03-04 김현피 웜 내치기어 및 이를 이용하는 자동 복귀 및 정지 기능을갖는 힌지장치
KR101750210B1 (ko) * 2016-09-13 2017-06-22 정기환 갱폼의 작업발판 출입용 자동식 안전도어
WO2019210364A1 (en) * 2018-05-03 2019-11-07 Farrugia Nikolaus A dampened hinge assembly
GB2584053A (en) * 2018-05-03 2020-11-18 Farrugia Nikolaus A dampened hinge assembly
GB2584053B (en) * 2018-05-03 2022-07-06 Farrugia Nikolaus A dampened hinge assembly
US11401744B2 (en) 2018-05-03 2022-08-02 Nikolaus Alexander Farrugia Dampened hing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4924A (en) Door closer unit
US4756051A (en) Door-closer hinge with rotary-movement shock absorber
JP3990384B2 (ja) 自動復帰機能を有する多用途ヒンジ装置
KR101553824B1 (ko) 컴팩트 플로어 힌지
CN101535587B (zh) 具有自动返回功能的埋置式铰链设备
CN101473100B (zh) 用于自动关闭门等、特别是用于玻璃门等的铰链结构,以及包括该结构的组件
KR200361299Y1 (ko) 도어 닫음 장치
KR20050083534A (ko) 도어 닫음 장치
KR20060093868A (ko) 유압식 힌지가 장착된 자동닫힘 도어
CN102199978B (zh) 安全复位防火门
KR100652117B1 (ko) 도어 내장형 자동닫힘 도어클로저
CN2675820Y (zh) 立式液控弹簧门铰
CN2608644Y (zh) 自动弹力阻尼定位合页
KR200180073Y1 (ko) 자동 문닫음 장치
KR200180751Y1 (ko) 자동 문닫음 장치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JP2003343151A (ja) フロアヒンジ
KR100511563B1 (ko)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CN201705093U (zh) 液压铰链
CN220014891U (zh) 一种门体安装结构和淋浴房
KR200280529Y1 (ko) 유리문용 축 고정구 구조
KR200326948Y1 (ko) 도어 클로저
KR200184278Y1 (ko) 자동 문닫음 장치
KR200228240Y1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20020030692A (ko) 기능이 강화된 수직형 도어 클로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